KR101551301B1 -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 Google Patents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301B1
KR101551301B1 KR1020140186628A KR20140186628A KR101551301B1 KR 101551301 B1 KR101551301 B1 KR 101551301B1 KR 1020140186628 A KR1020140186628 A KR 1020140186628A KR 20140186628 A KR20140186628 A KR 20140186628A KR 101551301 B1 KR101551301 B1 KR 10155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ylinder
burnishing
ski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팩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팩
Priority to KR102014018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41/12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forming working surfaces of cylinders, of bearings, e.g. in heads of driving rods, or of other eng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22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7/02Single metal-working processes; Machine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2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상의 실린더 내부면을 가공하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내부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드의 전진시 실린더의 내주면을 깎아내는 스카이빙부와; 상기 로드의 후단에 장착되어 스카이빙부가 실린더의 내경을 깎아내는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선왕복 및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생크와; 상기 스카이빙부와 상기 드라이브 생크 사이의 로드 상에 장착되어 로드의 후진 시 상기 스카이빙부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 내경을 깎아낸 후, 가공툴을 교체하지 않고 실린더 내경을 확장하여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Cylinder inside diameter complex processing tool}
본 발명은 튜브 형상의 실린더 내면을 깎아내면서 동시에 내경을 확장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 내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버닝작업도 수행할 수 있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상의 실린더 내면을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실린더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의 외주면에 절삭가공툴을 방사형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장착한 후, 실린더의 내부길이방향으로 로드를 진행시키면서 절삭가공툴이 로드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절삭가공툴이 실린더의 내면에서 회전하면서 실린더 내부면을 가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실린더 내면을 가공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88677호에 스키빙부,롤러 버니싱부 및 드라이브 생크부로 구성되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키빙부는 스키빙몸체의 외주연 양측에 각각 서포트 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서포트 패드가 설치된 사이의 상하단 홈에 인서트 팁과 가이드 패드가 설치된 카트리지를 힌지 결합시키며 상기 카트리지는 스키빙몸체의 선단에 설치된 카트리지 조절구를 정,역회전시켜 개방작동, 폐쇄작동 및 개방각을 조절케 하고 상기 스키빙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롤러 버니싱부는 버니싱몸체의 외주연에 다수의 롤러를 설치하되, 롤러의 외측면은 평행하게 하고 내측면을 테이퍼지게 하여 버니싱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테이퍼진 맨드렐 팁과 롤러의 내측면이 상호 테이퍼진 면으로 맞닫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게 결합하며 상기 버니싱몸체의 전단에는 정,역회전하면서 롤러 버니싱부의 슬라이딩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롤러 조절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 버니싱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드라이브 생크부는 생크몸체의 후단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작기계의 아답터 플랜지와 결합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75982호에 유압실린더의 내주면에 대해 회전 접촉하면서 그 유압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여 그 유압실린더의 내주면을 깍아내는 스카이빙 공정을 수행하는 한편 그 깍여진 내주면의 표면상태를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 공정을 수행하도록 된 유압실린더 내주면 가공용 공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카이빙 공정 및 상기 롤러 버니싱 공정은 상기 유압실린더 내주면 가공용 공구 조립체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내주면 가공용 상기 공구 조립체는, 일단에 상기 스카이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툴 헤드가 설치되는 툴헤드 조립부와, 타단에 외부의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릴 튜브 조립부를 가지는 드라이브 섕크; 및 상기 드라이브 섕크에 상대 고정되어 그 드라이브 섕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롤;을 포함하며, 상기 롤은 상기 드라이브 섕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부를 가지며,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공구 조립체가 전진방향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내주면 가공용 공구 조립체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실린더 내경을 깎아내는 작업과 내면을 매끄럽게 버닝하는 공정만을 수행할 수 있으나, 실린더 내경을 깎아내어 보다 내경을 보다 더 확장하는 경우는 가공툴을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린더 내경을 깎아내면서 동시에 가공툴을 교체하지 않고 실린더 내경을 확장하여 버닝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는 실린더의 내부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드의 전진시 실린더의 내주면을 깎아내는 스카이빙부와; 상기 로드의 후단에 장착되어 스카이빙부가 실린더의 내경을 깎아내는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선왕복 및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생크와; 상기 스카이빙부와 상기 드라이브 생크 사이의 로드 상에 장착되어 로드의 후진 시 상기 스카이빙부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 내경을 깎아낸 후, 가공툴을 교체하지 않고 실린더 내경을 확장하여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의 스카이빙부에 의해 실린더의 내경이 가공되는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의 롤러 버닝부에 의해 실린더의 내경이 가공되는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사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 카트리지와 절삭날의 체결을 나타낸 카트리지 일부분 확대사진.
도 7은 본 발명 롤러 버닝부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롤러 버닝부의 버닝부 몸체에 장착되는 패킹을 나타낸 단면 개요도.
본 발명 상기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100)는 실린더(200)의 내부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110)와; 상기 로드(110)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드(110)의 전진시 실린더(200)의 내경을 깎아내는 스카이빙부(120)와; 상기 로드(110)의 후단에 장착되어 스카이빙부(120)가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깎아내는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선왕복 및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생크(160)와; 상기 스카이빙부(120)와 상기 드라이브 생크(160) 사이의 로드(110) 상에 장착되어 로드(110)의 후진 시 상기 스카이빙부(120)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부(13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 버니싱부(130)는 상기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을 이동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외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34)가 형성되어 있는 버니싱 몸체(131)와;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내부에 위치하여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에 고정장착되며, 외부 직경이 로드(1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맨드릴(132)과;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관통구에 상기 로드(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133)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133)의 외측면은 수평을 유지하여 실린더(200)의 내부면에 수평으로 맞닿게 장착되고, 롤러(133)의 내측면은 테이퍼진 맨드릴(132)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전방측 로드(110) 상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111)에는 조절너트(14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후방측 로드(110) 상에는 로드(110)의 직경보다 돌출된 스토퍼(150)가 형성되어 상기 버니싱 몸체(131)는 조절너트(140)와 스토퍼(150) 사이에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의 스카이빙부에 의해 실린더의 내경이 가공되는 개요도이며, 도 2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의 롤러 버닝부에 의해 실린더의 내경이 가공되는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100)는 튜브 형상의 실린더(200) 내경을 가공하는 것으로, 실린더(20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로드(110)의 선단에는 실린더(200)의 내경을 깎아내는 스카이빙부(120)가 장착되고, 로드(110)의 후단에는 상기 스카이빙부(120)가 실린더(200)의 내경을 깎아내는 공정을 행할 수 있도록 로드(110)의 직선왕복 및 회전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생크(1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카이빙부(120)는 관용의 스카이빙 몸체(121)와 카트리지(122)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카이빙부(120)는 관용의 스카이빙 몸체(121)와 카트리지(122)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드(110)가 실린더(200)의 내부를 전진할 때 카트리지(122)에 장착된 절삭날(123)에 의해 실린더(200)의 내면을 깎아내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22)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절삭날(123)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카이빙부(120)와 드라이브 생크(160) 사이의 로드(110) 상에는 상기 로드(110)의 후진 시 상기 스카이빙부(120)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부(130)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로드(110)의 후단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생크(160) 및 스카이빙부(120)와 카트리지(122)의 체결방법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0)의 내부로 전진했던 로드(110)가 후진하면서 롤러 버니싱부(130)에 의해 스카이빙부(120)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200)의 내면은 롤러 버니싱부(130)에 의해 연마되게 된다.
상기 롤러 버니싱부(130)는 상기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을 이동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외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버니싱 몸체(131)와;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내부에 위치하여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에 고정장착되며, 외부 직경이 로드(1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맨드릴(132)과;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관통구에 상기 로드(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133)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133)의 외측면은 수평을 유지하여 실린더(200)의 내부면에 수평으로 맞닿게 장착되고, 롤러(133)의 내측면은 테이퍼진 맨드릴(132)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롤러 버니싱부(130)는 상기 스카이빙부(120)의 후단 즉, 로드(110) 상에서 스카이빙부(120)와 드라이브 생크(1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체 형상의 버니싱 몸체(131)가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34)는 버니싱 몸체(1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134)에는 각각 롤러(133)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133)는 외측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실린더(200)의 내부면에 수평으로 맞닿게 하여 연마시키고, 내측면은 테이퍼진 맨드릴(132)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전·후단에는 버니싱 몸체(131)가 로드(110) 상에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너트(140)와 스토퍼(1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절너트(140)는 버니싱 몸체(131)의 전방에 설치되어 버니싱 몸체(131)가 로드(11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버니싱 몸체(131)의 전방 측 로드(1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111)에 조절너트(140)가 나사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로드(110)의 나사산(11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절너트(140)를 회전시켜 버니싱 몸체(131)와 조절너트(140) 사이를 거리를 조절해줌으로써 버니싱 몸체(131)가 로드(110) 상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50)는 버니싱 몸체(131)의 후방에 설치되어 버니싱 몸체(131)가 로드(11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로드(110)의 직경보다 외부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따라서, 로드(110)가 전진하게 되면, 버니싱 몸체(131)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버니싱 몸체(131)가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150)에 의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롤러(133)는 버니싱 몸체(131)의 관통구에 체결되어 실린더(200)의 내면에 접촉하여 있는 관계로 로드(1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맨드릴(132)의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경사진 맨드릴(132)의 후방측 경사면은 실린더(200)의 내면과의 폭이 넓은 위치이기 때문에 롤러(133)가 실린더(200)의 내면과의 마찰로 인한 버니싱 기능을 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로드(110)가 후진하게 되면, 버니싱 몸체(131)는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버니싱 몸체(131)가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조절너트(140)에 의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롤러(133)는 버니싱 몸체(131)의 관통구에 체결되어 실린더(200)의 내면에 접촉하여 있는 관계로 로드(1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맨드릴(132)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경사진 맨드릴(132)의 전방측 경사면은 실린더(200)의 내면과의 폭이 좁은 위치이기 때문에 롤러(133)가 로드(11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실린더(200)의 내면과의 마찰로 인한 버니싱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00)의 전·후단은 고정척(3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척(300)은 중공체로 형성되어 중공부분으로 실린더(200)의 내부 절삭가공시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200)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는 로드(110) 및 스카이빙부(120)에 의해 절삭된 실린더(200) 내부에서 형성된 금속칩의 배출도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정면도, 도 5는 스카이빙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사시 사진, 도 6은 카트리지와 절삭날의 체결을 나타낸 카트리지 일부분 확대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이빙부(120)에 체결되는 카트리지(122)의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삭날(123)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절삭날(123)이 카트리지(12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110)가 실린더(20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면, 절삭날(123)에 의해 실린더(200)의 내부면은 절삭되므로 더욱 확장되는 것이다.
이때, 절삭날(123)이 진행하는 카트리지(122)의 외주면에는 절삭날(123)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200)의 금속칩이 절삭날(123)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배출을 유도하도록 오목한 원호형으로 깍여진 유도면(12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카트리지(122)의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카트리지(122)는 내부 중공된 ‘
Figure 112014124739061-pat00001
’형으로서,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날개편(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122)가 회전하는 방향의 상기 날개편(124)에는 절삭날(12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날개편(124)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삭날(123)에도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기에 날개편(124)의 관통구와 절삭날(123)의 관통구를 일치시킨 후, 렌치볼트(126)를 삽입시켜 조여주면 절삭날(123)은 카트리지(122)의 날개편(124)에 견고히 체결되며, 절삭날(123)이 파손되면 교체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22)에 장착되는 절삭날(123)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3개의 절삭날(123)이 카트리지(122)보다는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각각의 절삭날(123)은 카트리지(122)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카트리지(122)의 외측 방향으로 덜 돌출된 절삭날(123)이 다른 절삭날(1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절삭날(123)보다 카트리지(122)의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였다.
즉, 카트리지(122)에 장착된 다수의 절삭날(123) 중 외측 방향으로 덜 돌출된 절삭날(123)부터 카트리지(122)의 전방측으로는 더 돌출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절삭날(123)이 회전하여 실린더(200)의 내면을 가공할 때, 순차적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한다.
이는, 실린더(200)의 내면이 조금씩 순차적으로 깎여지도록 하여 절삭날(123)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본 발명에는 카트리지에 절삭날이 3개로 장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3개의 절삭날이 장착된 것을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절삭날이 장착된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 롤러 버닝부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버닝부(130)의 버닝부 몸체(131)는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두 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또한 버닝부 몸체(13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의해 형성된 두께면에는 버닝부 몸체(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삽입홀(135)은 관통구(134)에 안착되는 롤러(133)에 형성된 중공(133a)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볼트를 삽입홀(135)에 삽입하여 두 개로 분할된 버닝부 몸체(131)와 관통구(134)에 안착되는 롤러(133)를 함께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롤러(133)가 닳게 되어 교체가 필요할 시, 롤러(133)만을 교체할 수 있는 유용한 구조로서, 버닝부 몸체(131)를 해체하면 동시에 롤러(133)도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롤러(133)를 교체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닝부 몸체(131)는 상술한 구성으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 롤러 버닝부의 버닝부 몸체(131)에 장착되는 패킹을 나타낸 단면 개요도이다.
상기 버닝부 몸체(131)의 삽입홀(135)에 볼트를 삽입할 때 패킹(136)을 삽입 한 후, 볼트를 패킹(136)의 중공부분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패킹(136)의 형상으로는 내부면에 하부로 경사진 날개(137)가 형성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는 자체 탄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패킹(136)의 날개(137)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날개(137)는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하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킹(136)의 중공부분으로 볼트를 삽입하게 되면 패킹(136)의 내부면에 형성된 날개(137)가 패킹(136)의 내부면을 더욱 압착하면서 접촉하게 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 내주면을 깎아낸 후, 가공툴을 교체하지 않고 실린더 내경을 확장하여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110. 로드 120. 스카이빙부 130. 롤러 버닝부
140. 조절너트 150. 스토퍼 160. 드라이브 생크
111. 나사산
121. 스카이빙 몸체 122. 카트리지 123. 절삭날
124. 날개편 125. 유도면 126. 렌치볼트
131. 버니싱 몸체 132. 맨드릴 133. 롤러
133a. 중공 134. 관통구 135. 삽입홀
200. 실린더
300. 고정척

Claims (3)

  1. 실린더(200)의 내부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110)와, 상기 로드(110)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드(110)의 전진시 실린더(200)의 내경을 깎아내는 스카이빙부(120)와, 상기 로드(110)의 후단에 장착되어 스카이빙부(120)가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깎아내는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선왕복 및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생크(160)와, 상기 스카이빙부(120)와 드라이브 생크(160) 사이의 로드(110) 상에 장착되어 로드(110)의 후진 시 상기 스카이빙부(120)에 의해 깎여진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롤러 버니싱부(130)로 구성되어 실린더의 내경을 절삭가공하는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롤러 버니싱부(130)는 상기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을 이동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외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34)가 형성되어 있는 버니싱 몸체(131)와;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내부에 위치하여 로드(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110) 상에 고정장착되며, 외부 직경이 로드(1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맨드릴(132)과;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관통구에 상기 로드(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133);
    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133)의 외측면은 수평을 유지하여 실린더(200)의 내부면에 수평으로 맞닿게 장착되고, 내측면은 테이퍼진 맨드릴(132)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전방측 로드(110) 상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111)에는 조절너트(14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버니싱 몸체(131)의 후방측 로드(110) 상에는 로드(110)의 직경보다 돌출된 스토퍼(150)가 형성되어 상기 버니싱 몸체(131)는 조절너트(140)와 스토퍼(150) 사이에서 이동이 제한되며,
    또한, 상기 스카이빙부(120)는 스카이빙 몸체(121)와 절삭날(123)이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122)로 이루어져, 로드(110)가 실린더(200)의 내부를 전진할 때 카트리지(122)에 장착된 절삭날(123)에 의해 실린더(200)의 내면을 깎아내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122)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절삭날(123)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절삭날(123)은 순차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원주방향으로 덜 돌출된 절삭날(123)은 전방측으로는 더 돌출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전방측으로 더 돌출된 절삭날(123)부터 실린더(200)의 내면에 접촉하여 순차적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것이 특징인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2. 삭제
  3. 삭제
KR1020140186628A 2014-12-23 2014-12-23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KR10155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28A KR101551301B1 (ko) 2014-12-23 2014-12-23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28A KR101551301B1 (ko) 2014-12-23 2014-12-23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301B1 true KR101551301B1 (ko) 2015-09-10

Family

ID=5424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628A KR101551301B1 (ko) 2014-12-23 2014-12-23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741B1 (ko) 2017-11-03 2018-02-05 이상철 박형 실린더 제작을 위한 기계 가공 방법
CN117885017A (zh) * 2024-02-29 2024-04-16 山东弘方液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破碎锤缸体抛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7542A1 (en) 2000-05-16 2001-11-22 Sierra Machinery, Inc Skiving and roller burnishing tool
KR101088677B1 (ko) 2009-09-28 2011-12-01 김명한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KR101132210B1 (ko) * 2009-12-11 2012-03-30 조복래 스키빙과 버니싱 가공이 가능한 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7542A1 (en) 2000-05-16 2001-11-22 Sierra Machinery, Inc Skiving and roller burnishing tool
KR101088677B1 (ko) 2009-09-28 2011-12-01 김명한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KR101132210B1 (ko) * 2009-12-11 2012-03-30 조복래 스키빙과 버니싱 가공이 가능한 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741B1 (ko) 2017-11-03 2018-02-05 이상철 박형 실린더 제작을 위한 기계 가공 방법
CN117885017A (zh) * 2024-02-29 2024-04-16 山东弘方液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破碎锤缸体抛光装置
CN117885017B (zh) * 2024-02-29 2024-05-10 山东弘方液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破碎锤缸体抛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09859A (ja) ワークピースの特に非円形の凹部をデバリングするためのデバリング工具
KR102165842B1 (ko) 드릴 구멍을 생성하기 위한 천공 기구 및 방법
JP5378330B2 (ja) 裏座ぐり切削工具
KR101551301B1 (ko)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CN102369086B (zh) 内径加工工具
US3880545A (en) Fine-boring tool
JP5352177B2 (ja) 複合加工工具
US1811802A (en) Collapsible tap
US2495583A (en) Boring tool
CN204262495U (zh) 双引导向深孔铰刀
EP3228410A1 (en) Combined machining tool and machining method using same
CN103978255A (zh) 加工异径孔的复合铣刀
EP1296801A4 (en) GALETTING AND DRAYING TOOL
KR101551297B1 (ko)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방법
US2878696A (en) Reaming and de-burring tool
US8512098B1 (en) Machining technique using a plated superabrasive grinding wheel on a swiss style screw machine
CN104625119A (zh) 一种高精度细长孔的加工刀具及其加工方法
CN112453509A (zh) 一种复合材料孔加工交错刃钻铰刀具
WO2013114527A1 (ja) ホーニング工具
CN207577575U (zh) 一种阶梯孔珩磨铰刀
KR20160060336A (ko) 세레이션 절삭팁 테이퍼 리머
JP2003205407A (ja) 座ぐり用切削工具およびこの工具を用いた座ぐり方法
JP2006026713A (ja) 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CN210498493U (zh) 台阶孔复合刀
US2200506A (en) Tool for machining tapered b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