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29B1 -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729B1
KR101549729B1 KR1020120155610A KR20120155610A KR101549729B1 KR 101549729 B1 KR101549729 B1 KR 101549729B1 KR 1020120155610 A KR1020120155610 A KR 1020120155610A KR 20120155610 A KR20120155610 A KR 20120155610A KR 101549729 B1 KR101549729 B1 KR 10154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group
carbon atoms
formula
polyether sulf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254A (ko
Inventor
문성일
최진우
진영섭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2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592 priority patent/WO2014104470A1/ko
Publication of KR2014008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이 에테르 결합한 셀룰로오스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CELLULOSE BASED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에 폴리에테르술폰(PES)계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한 신규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 플라스틱은 석유 고갈 대책 및 지구 온난화 대책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용기, 섬유 등 일반 제품 용도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자동차 등의 내구 제품 용도로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틱산(poly lactic acid: PLA), 전분 변성품 등의 바이오 플라스틱은 전분계 원료를 사용하므로, 향후 식량 자원과 경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식량 원료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있다. 비식량 원료를 사용하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는 목재나 초본류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cellulose)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이 대표적이며, 일부 제품화되어 있다.
셀룰로오스는 β-글루코오스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량 화합물이다. 셀룰로오스는 결정성이 높기 때문에,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고, 열가소성이 없다. 또한, 셀룰로오스는 많은 수산기들을 함유하기 때문에, 흡수성이 높고 내수성이 낮다. 따라서, 종래의 셀룰로오스계 바이오 플라스틱은 셀룰로오스 자체가 갖는 특성에 의하여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열가소성 등이 불충분하며, 특히, 전기 및 전자기기 등 내구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열가소성 등의 특성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바이오 플라스틱의 열가소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외부 가소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경우, 오히려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거나 균일성의 저하 및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bleed out)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1994-0931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한 신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이 에테르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상기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0.1 내지 3개 에테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의 아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학식 2임);
[화학식 2]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4 및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는 결합부위를 나타냄).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을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에테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를 알칼리 금속 화합물로 치환하여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의 아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이고, R6, R7 및 R8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임);
[화학식 4]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4 및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임).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켜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디할로게노디페닐술폰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6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4, R5, X, a 및 b는 상기 화학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에 폴리에테르술폰(PES)계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한 신규한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 예를 들면, 단위 글루코스 링의 히드록시기에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이 에테르 결합한 구조(셀룰로오스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의 n 반복단위와 같이, 사슬 내에 술폰기(-SO2-) 및 에테르기(-O-)를 포함하는 단위("에테르술폰 단위")를 포함하는 단량체(예를 들면, 화학식 2에서, n이 1인 경우) 또는 폴리에테르술폰 수지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말단에 할로겐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상기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0.1 내지 3개 에테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아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그룹(group)이고,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학식 2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4 및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36의 정수이며, *는 결합부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아실기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벤조일기, 아크릴로일기 등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탄화수소기"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hydrocarbon radical)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아실기" 및 "알킬기"는 산소(O), 황(S), 인(P) 등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치환"은 수소 원자가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할로겐 원자, 이들의 조합 등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를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에테르 결합시켜 제조된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를 알칼리 금속 화합물(나트륨, 리튬, 칼륨, 세슘 등, 바람직하게는 나트륨)로 치환하여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108718002-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의 아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이고, R6, R7 및 R8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0
상기 화학식 4에서, R4, R5, a, b 및 n은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할로겐 원자, 예를 들면, 염소 원자(Cl), 불소 원자(F), 브롬 원자(Br), 및 요오드 원자(I), 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Cl)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얻는 단계는 상기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예를 들면, dimethyl sulfoxide-amine계 용매, dimethylformamide-chloral-pyridine계 용매, dimethyl acetamide-lithium chloride계 용매, imidazolium계 이온 액체, 알콜류, 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용매 중에서,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 리튬(Lithium Hydroxide),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 세슘(Cesium Hydroxide)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상기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와 상기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의 반응은 예를 들면, DMSO(dimethyl sulfoxide), DMF(dimethylformamide), DMAc(dimethylacetamide), 톨루엔(toulene), 다이옥산(dioxane) 또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 중에서 150 내지 250℃의 반응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로는 제품화된 폴리에테르술폰 화합물 및 그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켜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디할로게노디페닐술폰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선형 폴리에테르술폰)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2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4, R5, X, a 및 b는 상기 화학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의 낮은 반응성(친핵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의 금속염(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 무수물, 탄산나트륨 무수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몰부,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20 몰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비양자성 유기 용매 및 공비 용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는 폴리에테르술폰 중합 시 사용되는 통상의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렌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N-메틸-2-피롤리돈, N-메틸-2-피페리돈 등의 피페리돈계 용매,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2-이미다졸리논계 용매, 술폴란 등의 술폴란계 용매,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시에 미량의 수분, 반응 중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수분, 중합 시에 발생하는 물은 중합의 진행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들 반응계 내의 물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와 상용성이고, 대기압 하에, 물과 공비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비 용매를 사용한다. 이러한 공비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젠, 클로로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부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틸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이소부틸 알코올, 헥산올, 벤질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부틸, 부티르산부틸, 벤조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발레르산, 벤조산 등의 카르복실산계 용매, 클로로포름, 브로모포름, 1,2-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등의 할로겐계 용매, 에틸렌디아민, 아닐린, 피리딘, 메틸피리딘 등의 아민계 용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계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젠, 클로로벤젠, 및 톨루엔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전체 단량체(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 및 상기 디할로게노디페닐술폰 화합물)와 상기 비양자성 유기 용매의 몰비는, 1 : 0.8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 1.0 내지 1.3이다. 상기 범위에서, 원하는 선형 폴리에테르술폰을 얻을 수 있고, 수득한 고분자의 세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비 용매의 사용량은 계 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150 내지 250℃의 반응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메틸술폭시드(DMSO) 용매 중에 300 MHz 1H-NMR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 시, 할로게노페닐기의 할로겐기에 이웃하는 H 시그널(7.79 내지 7.76 ppm 시그널)과 히드록시페닐기의 히드록시기에 이웃하는 H 시그널(6.94 내지 6.91 ppm 시그널)의 면적비가 40 내지 60 : 40 내지 60, 예를 들어, 50 : 5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상기와 같이 1H-NMR 측정 시, 말단 히드록시기(-OH)에서 유래하는 H 시그널(피크)이 10.4 내지 10.8 ppm에 존재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선형 폴리에테르술폰은 비스페놀 S에서 나타나는 말단 히드록시기(-OH)에서 유래하는 10.4 내지 10.8 ppm 부근의 H 시그널이 존재하는 물질이며 추가적인 말단 그룹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글루코오스 중합도 측면에서, 5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열가소성 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제조예 1: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의 제조
콘덴서(condenser) 및 딘-스타크 트랩(Dean-Stark trap)을 장착한 2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비스페놀 S(bisphenol 100g, 탄산칼륨(K2CO3) 120g,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700ml, 및 톨루엔(toluene) 300ml를 첨가한 후,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180 내지 200℃의 온도로 2.5시간 동안 가열하고, 생성되는 물을 톨루엔과의 공비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온도를 150℃로 내리고, 디클로로디페닐술폰 115g을 첨가한 후, 220℃의 온도에서 2.5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5L의 10% 염산 수용액에 넣어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한 후, 이를 NMP에 다시 녹이고, 상기 침전 과정을 반복하여 여과한 침전물을 80℃의 진공오븐에서 1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백색 및 밝은 베이지색의 분말상이었으며, 수득량은 186g(수율: 99%)이었으며 GPC 분석결과 중합도는 10이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3

실시예 1
콘덴서(condenser) 및 딘-스타크 트랩(Dean-Stark trap)을 장착한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세틸 치환도 2.4, 제조사: Daicel 社, 제품명: L-70) 10g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 91g, 탄산칼륨(K2CO3) 11g,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700ml를 첨가한 후,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180 내지 200℃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85L의 10% 염산 수용액에 넣어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한 후, 이를 NMP에 다시 녹이고, 상기 침전 과정을 반복하여 여과한 침전물을 80℃의 진공오븐에서 1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이 도입된 셀룰오로스 수지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의 1H-NMR 분석결과 폴리에테르술폰 화합물의 치환도는 0.4이었다.
비교예 1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세틸 치환도 2.4, 제조사: Daicel 社, 제품명: L-70) 10g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치환된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과 동일한 도입량의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을 250℃의 hot plate를 이용하여 용용 블렌드하였다.
비교예 2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세틸 치환도 2.4, 제조사: Daicel 社, 제품명: L-70) 10g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치환된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과 동일한 도입량의 triethyl citrate(가소제)를 250℃의 hot plate를 이용하여 용용 블렌드하였다.
<물성 평가 방법>
(1) 치환도: 핵자기공명법(1H-NMR)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 기타 물성 평가: Hot press(200 내지 250℃)를 이용하여 시편(두께 2mm x 폭 13mm x 길이 80mm)을 제작한 후, 다음 항목의 물성을 하기 표 1의 비고의 기준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흡습율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성형체를 24시간 상온의 물에 침적한 후의 중량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비고
내수성(흡습율) (wt%) ASTM D570
내열성(열변형온도) () ASTM D648
내충격성(IZOD 충격강도)(J/m) ASTM D256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IZOD 충격강도(J/m) 410 측정불가 100
열변형온도 () 170 측정불가 68
흡습율 (wt%) 0.3 측정불가 8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실시예 1)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에 폴리에테르술폰(PES)계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내충격성(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수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이 에테르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상기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단위 글루코스 링에 0.1 내지 3개 에테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화학식 1]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의 아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2임);
    [화학식 2]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5

    (상기 화학식 2에서, R4 및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는 결합부위를 나타냄).
  4.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을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에테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를 알칼리 금속 화합물로 치환하여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치환체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6

    (상기 화학식 3에서,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6의 아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6의 알킬기이고, R6, R7 및 R8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임);
    [화학식 4]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7

    (상기 화학식 4에서, R4 및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켜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염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디할로게노디페닐술폰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8

    [화학식 6]
    Figure 112012108718002-pat00019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4, R5, X, a 및 b는 상기 화학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KR1020120155610A 2012-12-27 2012-12-27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10A KR101549729B1 (ko) 2012-12-27 2012-12-27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01592 WO2014104470A1 (ko) 2012-12-27 2013-02-27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10A KR101549729B1 (ko) 2012-12-27 2012-12-27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54A KR20140085254A (ko) 2014-07-07
KR101549729B1 true KR101549729B1 (ko) 2015-09-11

Family

ID=5102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610A KR101549729B1 (ko) 2012-12-27 2012-12-27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9729B1 (ko)
WO (1) WO2014104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0494B (zh) * 2018-03-20 2020-11-06 南京理工大学 聚醚砜/功能性含糖聚合物杂化膜的制备方法
CN113234243A (zh) * 2021-05-08 2021-08-10 南京林业大学 一种纤维素基自增强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576A (ja) 2010-03-02 2012-07-26 Kao Corp セルロースエーテル及び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セルロースエーテ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0891T2 (de) * 1994-12-30 2001-09-27 Eastman Chem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estern unter verwendung eines sulfonsäureharz-katalysators
JPH09227601A (ja) * 1996-02-23 1997-09-02 Shin Etsu Chem Co Ltd スルホン酸基含有セルロース誘導体の製造法
DE19730090A1 (de) * 1997-07-14 1999-01-21 Wolff Walsrode Ag Neuartige Celluloseeth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276518B1 (ko) * 2005-02-17 2013-06-25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블록형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이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576A (ja) 2010-03-02 2012-07-26 Kao Corp セルロースエーテル及び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セルロースエーテ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54A (ko) 2014-07-07
WO2014104470A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064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열성형 재료,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기 전자 기기용 케이싱
Söyler et al. Sustainable functionalization of cellulose and starch with diallyl carbonate in ionic liquids
KR101668902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기 전자기기용 케이싱
CN110268003A (zh) 固化性化合物
KR101549729B1 (ko)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67478B1 (ko) 내오염성이 개선된 아세틸화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아세틸화 셀룰로오스 에테르
KR101749620B1 (ko) 아세틸화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5514598B2 (ja) セルロース誘導体、及びセルロース誘導体の製造方法
KR20190139907A (ko) 폴리아릴렌술폰/폴리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p)의 제조 방법
JP7259296B2 (ja) 変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2094B1 (ko)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0267A (ko)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040868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152903B (zh) 一种脂肪族二元羧酸的制备方法
JP5625259B2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0621A (ko) 말단 개질된 폴리에테르술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7270B1 (ko) 탄화수소 코어를 포함하는 술폰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7871B1 (ko) O-아실화된 키틴 부티레이트-클레이 복합체, 이를 이용한 항균성 필름, 및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EP4349872A1 (en) ß GLUCAN ESTER DERIVATIVE
RU2550516C2 (ru) Ароматические полиэфирсульфонкетоны
US20210189064A1 (en) Polyisoindolinon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899624B1 (ko) 공중합 폴리아미드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1132454A (ja) 成形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電子機器用筐体
KR20140057108A (ko) 폴리에테르술폰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898A (ko) 폴리아미노설폰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