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93B1 -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 Google Patents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93B1
KR101549293B1 KR1020120154138A KR20120154138A KR101549293B1 KR 101549293 B1 KR101549293 B1 KR 101549293B1 KR 1020120154138 A KR1020120154138 A KR 1020120154138A KR 20120154138 A KR20120154138 A KR 20120154138A KR 101549293 B1 KR101549293 B1 KR 10154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rail
pad
coupling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554A (ko
Inventor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5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터 판넬 상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스텐션부와 상기 스텐션부들 사이에 상기 스텐션부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레일부를 갖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텐션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ROOF RACK}
본 발명은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레일부와 스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장 품질을 향상시키고, 자재비의 절감시킴과 아울러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루프랙은 크게 그 지지 구조에 따라 스텐션 부분이 루프에 안착되고 레일이 일정의 갭을 이루어 부상되는 부분 매칭 타입과, 스텐션 및 사이드 바의 전면이 루프 판넬 상에 안착되는 전면 매칭 타입으로 구분된다.
통상, 부분 매칭 타입의 경우, 스텐션의 하단에 부착되는 패드가 루프 몰딩 지지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면 매칭 타입의 경우, 루프 몰딩 영역이 외부로부터 커버됨으로 인해, 원가 절감의 목적으로 일부분 또는 전 구간에서 루프 몰딩 지지 구조를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루프 몰딩 구조는 일정 길이의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스텐션을 포함한다.
즉, 종래의 스텐션은 사이드 레일의 단부에 서로 다른 부재로서 결합된다.
따라서, 제조의 경우, 스텐션과 사이드 레일을 각각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스텐션과 사이드 레일을 각각 도장함으로써 도장 비용이 상승됨과 아울러,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결합되는 부분이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합력이 하락되는 경우, 스텐션과 사이드 레일간의 구조적 강성이 하락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8898호(2007.01.08)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의 루프에 루프랙을 용이하게 장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레일부와 스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장 품질을 향상시키고, 자재비의 절감시킴과 아울러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아우터 판넬 상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스텐션부와 상기 스텐션부들 사이에 상기 스텐션부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레일부를 갖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텐션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드부의 양단 저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갖는 패드 브라켓과, 상기 패드부 양단 상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스텐션부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는 비노출형 스텐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션은, 상기 패드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스텐션부의 내측 상면에 대응되도록 일정의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는 상기 패드 브라켓 및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 판넬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스페이서와,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판넬과 상기 레일부를 서로 지지한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패드부 및 상기 레일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끼워지져 상기 레일부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판넬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스페이서와,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판넬과 상기 레일부를 서로 지지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패드부 및 상기 레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의 내측 중공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측 중공을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홀에는 상기 체결 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캡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상면과, 상기 레일부의 스텐션부 내측 상면은 서로 요철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레일부와 스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장 품질을 향상시키고, 자재비의 절감시킴과 아울러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르는 레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의 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보여주는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일부와 패드부와의 결합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일부와 패드부와의 결합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은 크게 패드부(200)와, 레일부(300)와, 지지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부(200)는 일정 폭과 너비를 갖고, 일정 길이를 형성한다. 상기 패드부(200)는 아우터 패널(10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300)는 상기 패드부(2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레일부(300)의 양단은 상기 패드부(200)의 양단에 걸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0)는 한 쌍의 스텐션부(310)와, 한 쌍의 스텐션부(310)를 연결하는 사이드 레일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텐션부(310)와 사이드 레일부(3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일부(300)는 양단에 스텐션부(310)가 형성되고 그 중간에 사이드 레일부(32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성형된 레일부(300)의 양단을 수평으로 절단함으로써, 한 쌍의 스텐션부(310)의 저면을 절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30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상기 레일부(300)는 내측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00)와 레일부(300)는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400)는 패드 브라켓(410)과, 비노출형 스텐션(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 브라켓(410)은 패드부(200)의 양단 하면부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패드 브라켓(410)의 일단부에는 끼움홀(412)이 형성되고, 패드부(200)의 일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 부재(210)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 부재(210)는 상기 끼움홀(41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패드 브라켓(410)은 패드부(200)의 하면부에 결합되며,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 브라켓(41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결합 돌기(4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411)는 상기 패드부(200)를 관통하여 패드부(20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패드 브라켓(410)에는 스크류 볼트와 같은 다수의 결합 부재(422)가 관통되는 홀들(413)이 형성된다. 상기 홀들(413)은 패드부(200)의 상단부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은 상기 패드부(20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하단부에는 상기결합 돌기(411)가 끼워지는 결합홈(4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홀들(413)과 위치가 일치되는 다수의 스크류 홀들(4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결합 돌기(411)는 상기 패드 브라켓(410)의 하단에서 홀들(413)과, 스크류 홀들(423)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은 상기 패드부(200)의 상단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422)는 상기 패드 브라켓(410) 및 상기 패드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42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드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은 상기 패드부(200)와 레일부(30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상면은 상기 레일부(300), 특히 스텐션부(310)의 내측 상면과 밀착된다. 또한,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상면은 스텐션부(310)의 내측 상면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420)의 전단은 일부 절개된다. 따라서, 레일부(300)의 스텐션부(310) 내측 전방에는 일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 한편, 상기 아우터 판넬(100)에는 체결 수단(500)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 수단(500)은 레일부(300)를 아우터 판넬(10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면서, 레일부(300)를 패드부(200)에 체결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수단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체결 수단(500)은 다수의 스페이서(510)와, 체결 부재(520)로 성된다.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510)는 상기 아우터 판넬(100) 상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레일부(300)의 하단을 지지하여 레일부(300)를 아우터 판넬(100)로부터 일정 높이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부재(520)는 상기 아우터 판넬(100)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200) 및 상기 레일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홀(33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의 레일부(300)는 그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홀(330)에 체결부재(520)가 끼워져 결합되고, 체결부재(520)는 레일부(3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체결 수단(500)은 다수의 스페이서(510)와, 체결 부재(520)로 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부재(520)는 상기 패드부(200) 및 상기 레일부(300)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300)의 내측 중공에 위치된다.
상기 레일부(300)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부(300)의 내측 중공을 노출시키는 노출홀(340)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홀(340)에는 상기 체결 부재(5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610)이 형성되는 체결캡(6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체결캡(600)은 레일부(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노출홀(340)에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체결캡(6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610)에는 체결 부재(520)가 끼워져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캡(600)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구성은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스텐션부와 사이드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도장시 도장 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부를 일체로 구성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 구성들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되는 레일부를 패드부 및 아우터 판넬에 끼움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하여, 결합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레일부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체 강성이 증가되는 잇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루프랙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아우터 판넬 200 : 패드부
210 : 끼움 부재 300 : 레일부
310 : 스텐션부 320 : 사이드 레일부
400 : 지지부 410 : 패드 부라켓
420 : 비노출형 스텐션 500 : 체결 수단
510 : 스페이서 520 : 체결부재

Claims (7)

  1. 아우터 판넬 상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패드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스텐션부와 상기 스텐션부들 사이에 상기 스텐션부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레일부를 갖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패드부의 양단 저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갖는 패드 브라켓과, 상기 패드부 양단 상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스텐션부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는 비노출형 스텐션을 갖고, 상기 스텐션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은, 상기 패드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스텐션부의 내측 상면에 대응되도록 일정의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전단이 일부 절개되어 상기 레일부의 상기 스텐션부 내측 전방에 일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는 상기 패드 브라켓 및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는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하단부에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판넬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스페이서와,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판넬과 상기 레일부를 서로 지지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패드부 및 상기 레일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끼워지져 상기 레일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판넬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스페이서와,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는 상기 아우터 판넬과 상기 레일부를 서로 지지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패드부 및 상기 레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의 내측 중공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측 중공을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홀에는 상기 체결 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노출형 스텐션의 상면과, 상기 레일부의 스텐션부 내측 상면은 서로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KR1020120154138A 2012-12-27 2012-12-27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KR10154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38A KR101549293B1 (ko) 2012-12-27 2012-12-27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38A KR101549293B1 (ko) 2012-12-27 2012-12-27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54A KR20140084554A (ko) 2014-07-07
KR101549293B1 true KR101549293B1 (ko) 2015-09-01

Family

ID=5173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138A KR101549293B1 (ko) 2012-12-27 2012-12-27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64A (ko) 2021-03-25 2022-10-13 동화경금속공업(주) 일체형 알루미늄 루프랙 제조방법
KR20230166603A (ko) 2022-05-31 2023-12-07 동화경금속공업(주) 열처리를 통해 경도를 향상시킨 일체형 알루미늄 루프랙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773B1 (ko) * 2016-03-09 2019-11-01 (주)엘지하우시스 일체형 루프랙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65A (ja) * 1996-06-24 1998-01-13 Nippon Keikinzoku Kakoki Kk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59993Y1 (ko) * 1997-07-21 1999-11-01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취부구조
KR200345782Y1 (ko) * 2003-12-18 2004-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랙 어셈블리
JP2007145102A (ja) * 2005-11-25 2007-06-14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ルーフラック取付け構造
JP2007253928A (ja) * 2006-02-24 2007-10-04 Altia Hashimoto Co Ltd 車両用ルーフ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95131A (ko) * 2008-03-05 2009-09-09 박경태 사이드레일바 인서트 일체형 패션루프캐리어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JP5011216B2 (ja) * 2008-06-11 2012-08-29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65A (ja) * 1996-06-24 1998-01-13 Nippon Keikinzoku Kakoki Kk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59993Y1 (ko) * 1997-07-21 1999-11-01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취부구조
KR200345782Y1 (ko) * 2003-12-18 2004-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랙 어셈블리
JP2007145102A (ja) * 2005-11-25 2007-06-14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ルーフラック取付け構造
JP2007253928A (ja) * 2006-02-24 2007-10-04 Altia Hashimoto Co Ltd 車両用ルーフ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95131A (ko) * 2008-03-05 2009-09-09 박경태 사이드레일바 인서트 일체형 패션루프캐리어
JP5011216B2 (ja) * 2008-06-11 2012-08-29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64A (ko) 2021-03-25 2022-10-13 동화경금속공업(주) 일체형 알루미늄 루프랙 제조방법
KR20230166603A (ko) 2022-05-31 2023-12-07 동화경금속공업(주) 열처리를 통해 경도를 향상시킨 일체형 알루미늄 루프랙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54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864B2 (en) Body structure having a roof rail
KR100957320B1 (ko)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KR101549293B1 (ko) 일체형 레일을 갖는 루프랙
KR10113725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20050017204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고정용 지지브라켓 구조
US8096620B2 (en) Injection mold seat riser for modular school bus seats
US20020130529A1 (en) Instrument panel frame
CN103863075A (zh) 一种车门内防水夹条固定支架的安装结构
JP3692280B2 (ja) 車両ルーフ溝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
KR101508879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브라켓 설치구조
JP5035757B2 (ja) 浴槽支持構造
JP5716903B2 (ja) 浴室ユニット
CN205819342U (zh) 一种前保险杠上盖板支架及前保险杠上盖板安装结构
JP2008106567A (ja) 踏桟の補強装置
KR20070011766A (ko) 방음벽
JP5800275B2 (ja) 浴室ユニット
JP5562684B2 (ja) ホーム柵設置構造およびホーム柵設置方法
JP4768515B2 (ja) パネル支持装置
CN205660584U (zh) A柱下护板卡扣安装支架
KR200375911Y1 (ko) 격자형 중문 조립체
CN106585731A (zh) 一种汽车仪表板前端限位结构
KR100722192B1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스토퍼 구조
JP2004299588A (ja) 車両のフロント車体構造及び車両の組立方法
CN207374222U (zh) 一种汽车雾灯支架
KR101096850B1 (ko) 유체 유통용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