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459B1 - 레인지용 버너 - Google Patents

레인지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459B1
KR101548459B1 KR1020140048825A KR20140048825A KR101548459B1 KR 101548459 B1 KR101548459 B1 KR 101548459B1 KR 1020140048825 A KR1020140048825 A KR 1020140048825A KR 20140048825 A KR20140048825 A KR 20140048825A KR 101548459 B1 KR101548459 B1 KR 10154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head
receiving
ignition
fl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사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버너 보디에 대해서 버너 헤드가 잘못 맞추어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혼합관(1)과, 혼합관(1)에 연속 설치한 버너 보디(2)와, 버너 보디(2) 위에 얹어놓는 버너 헤드(3)와, 버너 헤드(3)의 불꽃구멍(32)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6)를 구비한다. 버너 보디(2)는 버너 헤드(3)를 얹어놓는 얹어놓음부(14)와, 점화 플러그(6)를 수용하는 점화 플러그 수용부(19)와, 점화 플러그(6)의 상방을 덮어서 얹어놓음부(1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를 구비한다. 버너 헤드(3)는 얹어놓음부(14)의 소정의 위치에 얹어놓았을 때에 돌출부(24)를 받아들이는 받이부(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레인지용 버너{RANGE FOR BURNER}
본 발명은 가스 레인지에 이용되는 레인지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레인지용 버너는 일반적으로 연료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혼합관과, 혼합관에 연속 설치된 버너 보디와, 상기 버너 보디 위에 얹혀져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불꽃구멍을 형성하는 환 형상의 버너 헤드와, 상기 불꽃구멍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런 종류의 레인지용 버너에 있어서는, 버너 헤드의 하면에 돌기를 설치하고, 버너 보디에 버너 헤드의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버너 헤드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버너 헤드를 위치 결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6-185707호 공보
그런데, 이런 종류의 레인지용 버너는 청소 등의 손질시에 버너 보디로부터 버너 헤드를 떼어내는 것이 실시된다. 그리고, 손질 종료 후, 재차 버너 보디 위에 버너 헤드가 얹혀진다. 이때, 버너 헤드의 돌기를 버너 보디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레인지용 버너와 같이 버너 헤드의 하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버너 보디의 오목부에 끼워 맞춰져 있지 않은 상태(잘못맞춤상태)에서 버너 보디 위에 버너 헤드가 얹혀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조리시에 버너 헤드가 잘못맞춤상태에서 레인지용 버너에 점화되면, 양호한 화염이 얻어지지 않고, 레인지용 버너의 연소효율이 현저하게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버너 보디에 대해서 버너 헤드가 잘못 맞추어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연속 설치된 버너 보디와, 상기 버너 보디 위에 얹혀져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불꽃구멍을 형성하는 환 형상의 버너 헤드와, 상기 불꽃구멍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하는 레인지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 보디는 상기 버너 헤드를 얹어놓는 환 형상의 얹어놓음부와, 상기 점화 플러그를 수용하는 점화 플러그 수용부와,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방을 덮어서 상기 얹어놓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버너 헤드를 상기 버너 보디의 얹어놓음부의 소정의 위치에 얹어놓았을 때에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받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 보디에 형성된 얹어놓음부의 소정의 위치에 버너 헤드가 얹혀져 있을 때에는 버너 헤드의 상기 받이부가 상기 얹어놓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인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받이부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버너 헤드는 버너 보디에 대해서 잘못 맞추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받이부로부터 어긋나 있는 상태의 돌출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잘못 맞춤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잘못 맞추어진 상태에서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는 얹어놓음부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 맞추어진 상태의 버너 헤드는 버너 보디 상태에서 불안정한 자세(예를 들면 크게 기우는 자세)가 되고, 사용자에 있어서 육안에 의한 잘못 맞춤의 확인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가 점화 플러그를 덮고 있으므로, 점화 플러그로의 부주의한 접촉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잘못 맞춤을 알아차리고 버너 헤드를 올바르게 다시 맞출 때 등에도, 받이부가 점화 플러그에 접촉되는 일이 없고, 점화 플러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점화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얹어놓음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남겨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세로벽부와, 양 세로벽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방을 덮는 상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이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벽부를 덮는 상벽복부(上壁覆部)와, 상기 돌출부의 양 세로벽부를 그 외방으로부터 덮는 1쌍의 측부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받이부의 측부 내면이 상기 돌출부의 세로벽부의 외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버너 헤드가 상기 버너 보디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버너 보디에 대한 버너 헤드의 위치결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리기구 등이 버너 헤드에 접촉되었을 때 등의 부주의한 버너 헤드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받이부가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였을 때,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받이부의 사이에 점화용 불꽃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상기 받이부가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이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점화용 불꽃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점화 플러그가 점화 동작을 실시해도 점화용의 화염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버너 보디에 형성된 얹어놓음부의 소정의 위치에 버너 헤드가 얹혀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점화를 방지할 수 있고, 버너 헤드가 잘못 맞추어진 상태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인지용 버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레인지용 버너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버너 보디의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버너 헤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버너 헤드의 저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 및 받이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돌출부 및 받이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9는 받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받이부의 설명적 단면도.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레인지용 버너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관(1)과, 버너 보디(2)와, 버너 헤드(3)를 구비하고 있다.
혼합관(1)은 도시하지 않는 가스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연료가스를 1차 공기와 함께 받아들임으로써 연료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가스를 생성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관(1)의 하류단에는 버너 보디(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버너 보디(2)는 금속제 판재에 의해 형성된 기체부(基體部, 4)와,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5)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5)의 내부에는 점화 플러그(6)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 보디(2)의 기체부(4)는 외통(7)과, 외통의 내측에 설치된 내통(8)을 구비하고, 외통(7)과 내통(8)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의 공간이 혼합관(1)에 연통하는 혼합기(混合氣) 통로(9)를 구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부(4)의 외통(7)은 점화 플러그(6)가 배치되어 있는 측이 내통(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부(4)에는 환 형상의 바닥 융기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8)은 그 하단이 바닥 융기부(10)의 상단에 코킹(caulking)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8)의 상단은 외통(7)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통(7)의 상단에는 스페이서(5)가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는 그 바닥부(11)에 형성된 연통용의 개구인 연결부(12)에 외통(7)의 상단을 삽입하고, 외통(7)의 상단부를 확장 개방시키도록 구부림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된 구부림부(13)에 의해 기체부(4)에 연결되어 있다.
스페이서(5)는 그 상단면에 버너 헤드(3)를 얹어놓는 환 형상의 얹어놓음부 (14)를 구비하고 있다. 얹어놓음부(14)는 기체부(4)의 내통(8)과 동심(同心)에 형성되어 있지만, 스페이서(5)의 연결부(12)는 기체부(4)의 외통(7)에 대응시키기 위해 얹어놓음부(14)에 대해서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는 레인지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을 폐색하는 상판(15)으로부터 노출된다. 상판(15)에는 버너용 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너용 개구(16)와 스페이서(5)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폐색하는 환 형상의 폐색판(17)이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는 다이캐스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관이 높고, 또, 변형 강도도 높은 것에 의해 상판(15)으로부터 노출시키는데에 매우 적합하다.
또, 스페이서(5)의 외주벽(18)의 내측에는 점화 플러그(6)를 수용하는 점화 플러그 수용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 플러그 수용부(19)는 스페이서(5)의 외주벽(18)의 내면을 따라서 세로로 긴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점화 플러그 수용부 (19)의 내부에는 점화 플러그(6)의 플러그 본체(20)가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화 플러그(6)를 거의 노출시키는 일없이 설치할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화 플러그 수용부(19)는 기체부(4)의 외통(7)을 내통(8)에 대해서 편심시킴으로써 형성한 비교적 넓은 공간에 설치된다. 점화 플러그(6)는 스페이서(5)의 외주벽(18)의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편(21)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스페이서(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3에 일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의 점화 플러그 수용부(19)에 인접하는 위치에 열전대(22)가 끼워 넣어져 있다. 열전대(22)는 지지부재(23)를 통하여 스페이서(5)에 지지되어 있다. 외통 (7)을 내통(8)에 대해서 편심시킴으로써 점화 플러그(6)뿐만 아니라 열전대(22)를 설치하는 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화 플러그 수용부(19)의 상방에 연속하여 얹어놓음부(14)로부터 돌출되는 중공(中空)의 돌출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는 얹어놓음부(14)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남겨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세로벽부(25)와, 점화 플러그(6)의 상방을 덮는 상벽부(26)와, 배면(背面) 벽부(27, 도 2 참조)로 이루어지며, 이들에 포위된 공간 내에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이 수용된다.
또, 얹어놓음부(14)의 직경 방향 외측이 되는 돌출부(24)의 외측면{배면 벽부(27)에 대향하는 측}은 창부(窓部, 29)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돌출부(24)의 상벽부(26)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점화용 불꽃구멍(30)이 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이 돌출부(24)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청소 등을 할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헤드(3)를 떼어내도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청소 등을 할 때에 잘못하여 전극(28)에 접촉되는 일이 없고, 전극(28)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점화 플러그 (6)와 그 전극(28)으로의 끓어올라 넘쳐 흐르는 국물의 부착도 방지할 수 있고, 전극(28)의 부식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높은 점화 성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버너 헤드(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외주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환 형상 벽(31)을 구비하고 있다. 환 형상 벽(31)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치 설치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홈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의 얹어놓음부(14)에 맞닿았을 때, 버너 헤드 (3)에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조리용 불꽃구멍(32)이 형성된다.
또, 버너 헤드(3)에는 스페이서(5)의 얹어놓음부(14)에 얹어놓았을 때에 스페이서(5)의 돌출부(24)를 상방 및 주위를 덮도록 하여 받아들이는 받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헤드(3)의 환 형상 벽{31, 조리용 불꽃구멍(32)이 형성된 외주단}보다도 외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3)는 버너 헤드(3)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가 돌출 방향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너 헤드(3)의 내주에는 환 형상 벽(31)과 동심의 수하통(垂下筒, 3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하통(34)은 버너 헤드(3)를 스페이서 (5)의 얹어놓음부(14)에 얹어놓았을 때, 버너 보디(2)의 기체부(4)의 내통(8)에 삽입 장착된다. 이때, 수하통(34)과 내통(8)에 의해서, 버너 보디(2)와 버너 헤드(3)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동(空洞)부분(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동부분(35)에는 냄비바닥온도센서(36)가 설치된다. 또한, 버너 헤드(3)의 상부에는 환 형상의 커버판(37)이 설치되고, 공동부분(35)으로의 이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버너 헤드(3)의 수하통(34)과 스페이서(5)의 내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의 공간은 혼합기 통로(9)에 연통하는 분포실(38)을 구성하고 있다. 혼합관(1)으로부터 혼합기 통로(9)를 거쳐 분포실(38)로 들어간 혼합가스는 버너 헤드(3)의 둘레 방향으로 분포하여 조리용 불꽃구멍(32)으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보디(2)의 기체부(4)에 있어서, 외통(7)을 내통(8)에 대해서 편심시키면, 혼합기 통로(9)의 직경 방향의 일방측이 넓어지는 만큼, 타방측{점화 플러그(6) 측}이 좁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부(4)를 금속제 판재에 의해 형성했다. 이에 따라, 외통(7) 및 내통(8)이 살이 얇아지고, 편심에 의해서 혼합기 통로(9)가 좁아지는 것이 경감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부(4)의 외통(7)이 스페이서(5)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확대되고, 그것에 대향하는 기체부(4)의 내통(8)이 외통(7)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혼합가스의 분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리용 불꽃구멍(32)에 대한 혼합가스의 분포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기체부(4)에 있어서, 내통(8)이 외통(7)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버너 헤드(3)의 수하통(34)의 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버너 헤드(3)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받이부(33)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복부(39)에 의해서 돌출부(24)의 상벽부(26)를 덮는다. 돌출부(24)의 외주면은 버너 헤드(3)의 환 형상 벽 (31)의 외주면과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상벽복부(39)는 돌출부(24)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26)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상부가 상벽복부(39)의 하면에 의해 폐색되고, 점화용 불꽃구멍(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돌출부(24)의 상벽부(26)와 받이부(33)의 상벽복부(39)의 사이에 형성된 점화용 불꽃구멍(30)은 점화 플러그(6)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벽복부(39)의 선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단 수하부(垂下部, 40)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 수하부(40)의 내면은 버너 헤드(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부로부터 점차 이반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선단 수하부(40)의 내면에는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과의 사이에서 불꽃방전을 형성하기 위한 타깃(4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수하부(40)는 점화용 불꽃구멍(30)을 흐르는 혼합가스를 하방으로 안내한다. 이에 따라,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는 실질적으로 선단 수하부(40)의 하단부와 돌출부(24)의 상벽부(26)의 외측 단면의 사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는 돌출부(24)와 선단 수하부(40)의 사이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개구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로부터 형성되는 화염은 조리용 불꽃구멍(32)보다도 외측에 위치한다.
또, 선단 수하부(40)의 내면이 상기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의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로부터의 화염의 이반을 방지하여 점화시의 화염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혼합가스는 분포실(38)의 일부인 수하통(34)과 배면 벽부(27)의 사이로부터 돌출부(24)의 상면측의 점화용 불꽃구멍(30)의 통로를 흐름으로써 돌출부(24)의 내부의 전극(28)의 상방을 넘고, 전극(28)보다도 버너 헤드(3)의 직경 방향 외방의 높은 위치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분출된다. 이와 같이, 혼합가스는 점화 플러그 수용부(19)와 완전히 다른 통로를 통하여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의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레인지 본체 내부가 부압으로 된 경우의 영향 등에 의해 점화 플러그 수용부(19)가 부압으로 되어 있어도,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에서 확실하게 점화할 수 있다. 또, 선단 수하부(40)의 내면에 타깃(41)을 형성한 것에 의해,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에 의한 불꽃방전은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로부터 분출되는 혼합가스에 확실하게 점화할 수 있다.
또한, 받이부(33)의 상벽복부(39)가 돌출부(24)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조리용 불꽃구멍(32)보다도 외측에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로부터의 화염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에서 형성되는 화염이 작아도, 조리용 불꽃구멍(32)에 확실하게 불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헤드(3)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벽복부(39)의 양측에는 돌출부(24)의 대략 상반부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수하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측방 수하부(42)의 내면(측부 내면의 일부)은 돌출부 (24)의 양 세로벽부(25)에 외방으로부터 맞닿는다.
이와 같이, 받이부(33)는 상벽복부(39)에 설치한 선단 수하부(40) 및 측방 수하부(42)에 의해 점화용 불꽃구멍(30)을 포위하고 있으므로, 끓어올라 넘쳐 흐르는 국물 등이 점화용 불꽃구멍(30)에 침입하기 어렵고, 점화용 불꽃구멍(30)의 막힘을 방지하여 점화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수하부(40) 및 측방 수하부(42)가 점화용 불꽃구멍(30)을 포위함으로써, 혼합가스의 확산이 방지되고, 비교적 소량의 혼합가스로 점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이부(33)의 측방 수하부(4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측부 내면과, 돌출부(24)의 양 세로벽부(25)의 하반부 외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의해서, 상기 점화용 불꽃구멍(30)보다도 큰 화염을 형성하는 불 이송용 불꽃구멍(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24)와 받이부(33)의 사이에 점화용 불꽃구멍(30)과 불 이송용 불꽃구멍(43)을 형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용이하다. 또, 불 이송용 불꽃구멍(43)이 점화용 불꽃구멍(30)과 조리용 불꽃구멍(32)의 사이에 형성되므로, 점화용 불꽃구멍(30)으로부터 조리용 불꽃구멍(32)으로의 불 이송을 한층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받이부(33)는 상부측의 치수가 작게 되도록 측방 수하부(42)의 외표면이 경사져 있으며(도 7 참조), 선단 수하부(40)의 외표면도 하방측이 버너 헤드(3)의 외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런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헤드(3)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받이부(33)에 있어서는, 점화용의 화염이 하방으로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조리용 불꽃구멍(32)과 같은 상향불꽃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버너 헤드(3)의 외주에 형성되는 조리용의 화염이 받이부{33, 점화용 불꽃구멍(30)}의 부분에서 중단되고, 받이부(33)의 부분에서 열량의 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 이송용 불꽃구멍(43)에 의해서 받이부(33)의 양측에 비교적 큰 화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받이부(33)의 부분에서의 열량의 저하를 보충하여 버너 헤드(3)의 외주의 열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받이부(3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헤드(3)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가 돌출 방향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리용 불꽃구멍(32)이나 불 이송용 불꽃구멍(43)으로부터의 화염에 의한 받이부(33)의 구워짐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받이부(33)를 설치한 것에 의한 열효율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열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받이부(33)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수하부(42)의 외표면 및 선단 수하부(40)의 외표면이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받이부(33)의 구워짐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끓어올라 넘쳐 흐르는 국물의 부착도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미관이 높은 외관이 얻어진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의 얹어놓음부(14) 위에 버너 헤드(3)가 올바르게 얹혀 놓아졌을 때에는, 돌출부(24)가 받이부(33)에 걸리고, 돌출부(24)가 받이부(33)에 설치한 1쌍의 측방 수하부(42)의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스페이서(5)에 설치한 얹어놓음부(14) 위에 버너 헤드(3)를 얹어놓았을 때, 버너 헤드(3)가 위치 결정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돌출부(24)가 받이부(33)에 받아들여져 있지 않은 잘못맞춤상태시에는, 버너 보디(2) 위의 버너 헤드(3)의 자세가 비스듬하게 되기 때문에, 잘못맞춤상태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지만, 돌출부(24)가 레인지의 전측(前側)에 위치하도록 레인지용 버너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 있어서 받이부(33)가 돌출부(24)의 상부로부터 어긋나 있는 상태를 보이기 쉽게 할 수 있어 잘못맞춤의 판단이 확실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부(24)의 상벽부(26)와 받이부(33)의 상벽복부(39)에 의해서 점화용 불꽃구멍(30)이 형성되므로, 잘못맞춤상태에서는 점화용 불꽃구멍(30)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버너 보디 (2)에 대해서 버너 헤드(3)가 잘못맞춤상태에서 레인지용 버너가 사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너 보디(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혼합관(1)과 동일 직선상(도면 밖의 가스 노즐의 분출 축선과 동일한 직선임)에 돌출부 (24)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혼합관(1)을 거쳐 버너 보디(2)의 분포실(38, 도 2 참조)로 흘러들어간 혼합가스는 점화용 불꽃구멍(30)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충분히 분산되고, 각 조리용 불꽃구멍(32)으로부터의 연소 불꽃이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열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복부(39)에 선단 수하부(40)를 설치함으로써,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를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개구하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 이외에 선단 수하부(40)를 설치하는 일없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복부(39)를 돌출부(24)의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을 돌출부(24)의 창부(29)로부터 외방으로 연장 돌출시키고, 상벽복부(39)의 선단부 하면에 타깃(41)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점화용 불꽃구멍(30)의 출구는 버너 헤드(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개구되지만, 상기 개구로부터 분출되는 혼합가스를 가로질러 점화 플러그(6)의 전극(28)으로부터의 불꽃방전이 형성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점화할 수 있다. 또, 상벽복부(39)에 의해서 끓어올라 넘쳐 흐르는 국물 등의 점화용 불꽃구멍(30)으로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24)의 상벽부(26)의 상면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홈의 상면을 받이부(33)의 상벽복부(39)의 하면에서 덮음으로써 점화용 불꽃구멍(30)을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 이외에, 도시하지 않지만, 받이부(33)의 상벽복부(39)의 하면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홈의 하면을 돌출부(24)의 상면에 맞닿아 점화용 불꽃구멍(30)을 형성해도 좋다.
1: 혼합관 2: 버너 보디
3: 버너 헤드 6: 점화 플러그
14: 얹어놓음부 19: 점화 플러그 수용부
24: 돌출부 25: 세로벽부
26: 상벽부 28: 전극
30: 점화용 불꽃구멍 32: 조리용 불꽃구멍(불꽃구멍)
33: 받이부 39: 상벽복부

Claims (4)

  1.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연속 설치된 버너 보디와, 상기 버너 보디 위에 얹혀져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불꽃구멍을 형성하는 환 형상의 버너 헤드와, 상기 불꽃구멍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하는 레인지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 보디는 상기 버너 헤드를 얹어놓는 환 형상의 얹어놓음부와, 상기 점화 플러그를 수용하는 점화 플러그 수용부와,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방을 덮어서 상기 얹어놓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버너 헤드를 상기 버너 보디의 얹어놓음부의 소정의 위치에 얹어놓았을 때에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받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이부가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였을 때,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받이부의 사이에 점화용 불꽃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점화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얹어놓음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남겨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세로벽부와, 양 세로벽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방을 덮는 상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이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벽부를 덮는 상벽복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 세로벽부를 그 외방으로부터 덮는 1쌍의 측부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받이부의 측부 내면이 상기 돌출부의 세로벽부의 외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버너 헤드가 상기 버너 보디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버너.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가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였을 때, 상기 받이부의 측부 내면의 일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세로벽부의 외측면의 일부와의 사이에 불 이송용 불꽃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버너.
KR1020140048825A 2014-04-23 2014-04-23 레인지용 버너 KR10154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25A KR101548459B1 (ko) 2014-04-23 2014-04-23 레인지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25A KR101548459B1 (ko) 2014-04-23 2014-04-23 레인지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459B1 true KR101548459B1 (ko) 2015-08-28

Family

ID=540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25A KR101548459B1 (ko) 2014-04-23 2014-04-23 레인지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6603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及应用有该燃烧器的燃气灶
WO2022007463A1 (zh) * 2020-07-06 2022-01-13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分气盘、燃烧器和燃气灶具
CN117553296A (zh) * 2024-01-08 2024-02-13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燃烧器及灶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6603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及应用有该燃烧器的燃气灶
CN110966603B (zh) * 2018-09-30 2021-11-0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及应用有该燃烧器的燃气灶
WO2022007463A1 (zh) * 2020-07-06 2022-01-13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分气盘、燃烧器和燃气灶具
CN117553296A (zh) * 2024-01-08 2024-02-13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燃烧器及灶具
CN117553296B (zh) * 2024-01-08 2024-04-02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燃烧器及灶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9061B1 (en) Gas burner for domestic cookers
KR101548459B1 (ko) 레인지용 버너
EP2773905A2 (en) Gas burner, in particular for a cooking appliance
EP3404324B1 (en) Burner cap for burner of a gas cooktop, burner head, burner, and gas cooktop
KR101307903B1 (ko) 풍로용 버너
JP2015230144A (ja) コンロバーナ
JP5663527B2 (ja)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JP5980255B2 (ja) コンロ用バーナ
CA2934672A1 (en) Dual ring burner ovni
JP5766677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6049649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5661081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3860480B2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5940000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1300899B1 (ko) 버너
JP2017020705A (ja) ガスバーナ
JP200319431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6041822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5661082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5980254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5770703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6000143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200392768Y1 (ko) 업소용 가스버너
JP2009281609A (ja) コンロ用バーナ
JP2018151133A (ja) コンロ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