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260B1 - 철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철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260B1
KR101548260B1 KR1020140092553A KR20140092553A KR101548260B1 KR 101548260 B1 KR101548260 B1 KR 101548260B1 KR 1020140092553 A KR1020140092553 A KR 1020140092553A KR 20140092553 A KR20140092553 A KR 20140092553A KR 101548260 B1 KR101548260 B1 KR 10154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welding
cut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강
이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강, 이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강
Priority to KR102014009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에 특징으로서: 철선을 곧게 펼치면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송하는 직선유닛과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하나씩 배출해서 가로철선 상에 교차되게 공급하는 배출유닛과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부와 공급부 사이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단자봉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봉의 상측으로 철선을 망형으로 용접하는 용접기구를 구비하는 용접부; 상기 공급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성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유닛의 하류단에 절곡부위를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유닛을 구비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의 하류단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사이에 가로철선을 커팅해서 철망을 분리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망 제조장치{Wire mesh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철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망은 철선을 그물처럼 얽어 망형으로 만든 것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토목이나 인테리어에서 널리 이용하는 돌망태(개비온)용, 건축물에서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되는 보강용, 경계를 둘러싸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거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용, 비닐하우스의 내·외주면에 장착되어 눈이나 태풍으로부터 보호하는 판넬용, 각종 농작물이나 덩굴식물 따위를 지지하는 지지대용 등이 있으며 점차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철망은 가로방향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가로철선 상에 세로철선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배열하고,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중첩되는 부위를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스폿 용접을 통해 일체로 제조되어 진다. 이러한 철망은 용접되어 있으므로, 내구성이 좋고 동일한 굵기의 철선으로 제조된 개비온 철망에 비해서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철망은 가로철선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의 세로철선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구조 내지 다른 치수의 사각 용접철망을 제조할 수 없었다. 즉, 단순한 직사각형의 망눈만을 형성함에 따라 단일 구조의 단일 형상만을 제조할 수밖에 없는 단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경사진 비탈길이나 언덕과 같이 특이한 지형적 형태를 갖는 곳에는 직사각형태의 철망을 설치하게 되면, 연속되는 철망의 연결형태가 계단처럼 다단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계단 형상의 철망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고, 지면에 매입ㆍ설치 시 경계면이 일직선으로 접하지 않아서 삼각형 모양의 여유분이 생기게 되므로 절단을 통한 추가적인 공사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857호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a). 컨트롤부(C)의 제어명령에 의해, 세로철선(10)을 인출하고 그 위에 메인 가로철선(22)을 상기 세로철선(1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열한 다음, 상기의 세로철선(10)과 상기의 메인 가로철선(22)을 전기용접하는 메인가로철선의 전기용접 단계(S310)와; ···중략···d). 용접철망의 제조과정을 마무리하고 초기화시키는 용접철망의 종료단계(S 3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5684호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종방향 철선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의 측단에 위치하고 횡방향 철선을 공급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작업을 하는 용접장치,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와 용접장치를 지지하는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장치와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1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1회전 장치; 제 1회전 장치 측단에 위치하고 용접된 철망을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장치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2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2회전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8734호 "철망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용접용 전극이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부와; 일측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용접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장치와 연결되어 동반 회전되는 철망 커팅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보다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망눈을 지닌 용접철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중자의 후자의 경우에는 경사지형에 적합한 철망을 제조할 수 있어 설치 시 철망에 대한 절단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공수의 감소와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철망의 양변으로부터 철선이 노출되게 연장됨에 따라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옷이나 여타의 물체에 걸리는 등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물론, 인체나 동물의 피부를 찢거나 찔러 다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857호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5684호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8734호 "철망 제조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마감부위에 용접으로 인해 비교적 가는 철선으로도 철망의 내구성을 충족시켜 재료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철망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철선을 곧게 펼치면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송하는 직선유닛과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하나씩 배출해서 가로철선 상에 교차되게 공급하는 배출유닛과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부와 공급부 사이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단자봉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봉의 상측으로 철선을 망형으로 용접하는 용접기구를 구비하는 용접부; 상기 공급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성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유닛의 하류단에 절곡부위를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유닛을 구비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의 하류단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사이에 가로철선을 커팅해서 철망을 분리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부의 직선유닛은 가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과 맞물려 가압력을 조절하는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부의 이송유닛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 상에 경사홈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가로철선을 경유하도록 통공을 지닌 유동대와, 상기 경사홈에 맞물려 통공 내로 출몰하는 가압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부의 직선유닛은 세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세로철선의 동심으로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연결되어 회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부의 이송유닛은 세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하로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블록과,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이송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의 절단유닛은 세로철선을 경유하도록 수용하는 절단홈과, 상기 절단홈 상에 세로철선을 절단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과 연결되어 절단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의 배출유닛은 절단된 세로철선을 적층되도록 수용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상에 적층된 세로철선을 가압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가압바와,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배출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개폐바와, 상기 가압바와 개폐바에 연결되어 작동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의 공급유닛은 배출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수용하도록 거치홈을 개재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작동력을 부여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접부의 용접기구는 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 상에 가로·세로철선을 가압하도록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의 일단에 가로·세로철선을 일체로 용접하도록 전원을 쇼트하는 용접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마감부의 성형유닛은 가로철선을 지지하도록 거치홈을 개재하는 탄성블록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단에 세로철선을 하향으로 절곡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의 측단에 세로철선을 내측으로 절곡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지지하면서 가로철선을 감싸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3블록과, 상기 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절곡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마감부의 용접유닛은 절곡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된 단자봉과, 상기 단자봉의 상단에 절곡부위를 가압해서 일체로 용접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용접봉과, 상기 용접봉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마감부는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하단에 가이드와 스크류에 맞물려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제1조절판과, 상기 제1조절판의 하단에 레일을 따라 내·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2조절판을 구비한 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부의 절단유닛은 고정날의 상단에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날과, 상기 유동날의 양단에 로드와 연결되어 운동력을 전달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운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부는 절단유닛의 하단에 고정판으로부터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유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유동판에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절단위치를 가변하는 핸들을 구비한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형유닛의 제1블록은 가로·세로철선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십자홈을 형성하고, 제2·3블록은 세로철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반원의 성형홈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유닛은 스크류 상에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시켜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와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유닛은 제1블록의 십자홈 내로 가로·세로철선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따라 성형유닛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철망 제조장치는 절단부의 하류단에 철망을 롤 형태로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 상에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과 대향하는 일단에 힌지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권취롤러와 연결되어 권취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한 권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철망 제조장치는 용접부와 마감부 사이에 고정판으로부터 가로철선을 가압시켜 구속하도록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어 구속력을 부여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한 구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절곡으로 인한 용접부위가 증가되어 비교적 가는 철선으로도 필요한 내구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 재료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가 있다.
셋째, 가는 철선의 사용으로 여타의 동일한 크기의 철망에 비해서 중량이 적어 운반이나 시공에 필요한 인력과 운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넷째, 철망을 롤 형태로 권취함에 따라 운반이나 보관에 필요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섯째, 롤 형태로 권취된 철망으로 인해 울타리 시공 시 별도의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도 혼자서 펼치면서 신속하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닛과 이송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유닛과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철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권취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완성된 철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구속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이송부(10)(20), 공급부(30), 용접부(40), 마감부(50), 절단부(6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에 관 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100)는 일부 유닛(공정)이 추가되더라도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10)(20)는 철선(W1)(W2)을 곧게 펼치면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송하는 직선유닛과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이송부(10)(2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보빈 상에 감겨진 철선(W1)(W2)을 인출해서 본체 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부(10)는 본체의 선단측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송부(20)는 본체의 중앙측에 세로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이송부(10)(20)는 후술하는 공급부(30)와 함께 용접부(40)가 상호 연동해야 하므로 철선(W1)(W2)을 이송하는 특성 또한 달라서 상호 별의의 구조와 작동을 지닐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이하, 가로 이송부(10)와 세로 이송부(20) 및 가로철선(W1)과 세로철선(W2)으로 구분해서 지칭한다.
가로 이송부(10)는 도 5처럼 프레임 상에 다수의 가로철선(W1)을 설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관통홈을 개재한 배치블록(10a)을 구비한다. 배치블록(10a)의 후단에는 보빈에 감겨져 휘어 있는 가로철선(W1)을 곧게 펼치는 직선유닛을 구비한다. 그리고 직선유닛의 후단에는 가로철선(W1)을 설정한 간격에 따라 간헐적으로 연속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차례로 구성한다.
직선유닛은 가로철선(W1)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11)를 구비한다. 롤러(11)는 도 6a처럼 외주면에 가로철선(W1)의 직경과 대응하는 반원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롤러(11)를 통과하는 가로철선(W1)은 도 6b처럼 직선으로 곧게 펼치도록 소성된다. 이러한 롤러(11)는 상하로 유동 가능한 블록(12)에 장착되며, 블록(12)은 유동거리를 조절하는 노브(13)에 맞물려 있다. 즉, 노브(13)를 통해서 롤러(11)간에 거리를 조절하면 다양한 직경과 강도를 지닌 가로철선(W1)에 구애받지 않고 직선으로 곧게 펼칠 수가 있다.
이송유닛은 프레임 상에 레일(15a)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15)을 구비한다. 유동판(15)은 가로철선(W1)을 설정한 거리만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동판(15)의 양단에는 도 5 및 도 7a처럼 본체 상에 장착된 모터의 동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과 연동해서 선형으로 왕복하는 로드와 링크에 연결된다. 여기서 크랭크축은 편심량을 조절하는 스크류를 통해서 가로철선(W1)의 이송거리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러한 유동판(15)에는 도 7b처럼 중앙이 관통되며 일단에 경사홈(16a)이 형성되는 하우징(16)이 장착된다.
하우징(16)내에는 도 7b처럼 가로철선(W1)을 경유하도록 통공(17a)을 지닌 유동대(17)와 함께 경사홈(16a)에 맞물려 통공(16a)내로 출몰하는 가압볼(18)을 내장한다. 유동대(17)는 중앙에 다양한 직경을 지닌 가로철선(W1)을 수용하는 통공(17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가압볼(18)을 수용하는 유동홈이 방사형으로 천공된다. 즉, 도 7c처럼 유동판(15)에 의해 하우징(16)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가압볼(18)이 경사홈(16a)에 의해 통공(17a)측으로 돌출되어 가로철선(W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가압볼(18)에 의해 구속된 가로철선(W1)은 유동판(15)의 이동량 만큼 이송하게 된다. 반대로 가로철선(W1)을 이송방향의 반대로 당기더라도 동일한 작동을 통해서 구속된다. 여기서 가압볼(18)이 가로철선(W1)을 구속하는 과정은 매우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유동대(17)에 체결된 조절너트를 통해서 구속시간을 연장 또는 단축할 수도 있다. 구속시간을 연장하거나 단축하면 가로철선(W1)의 이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송유닛의 유동력을 부여하는 장치는 언급한 구조와 도면에 한정하지 않고 실린더와 연결할 수도 있으며, 유동판(15)을 생략하고 가로철선(W1)을 가압하는 한 쌍의 롤러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세로 이송부(20)는 도 8 및 도 9처럼 프레임 상에 보빈에 감겨져 휘어 있는 세로철선(W2)을 곧게 펼치는 다수의 직선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유닛의 중앙에는 세로철선(W2)을 연속해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차례로 구성한다.
직선유닛은 전술한 가로 이송부(10)의 직선유닛과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가로철선(W1)은 철망이 완성되어 분리할 때 까지 연속해서 연결된 상태이지만, 세로철선(W2)은 공급부(30)에 의해 설정한 길이로 절단됨에 따라 곧게 펼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직선유닛은 세로철선(W2)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21)를 구비하고, 롤러(21)를 세로철선(W2)의 동심으로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회동판(22)을 구비한다. 회동판(22)은 중앙에 세로철선(W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홈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모터(23)와 연결되는 풀리가 장착된다. 따라서 회동판(22)으로 통과하는 세로철선(W2)의 외주면을 롤러(21)가 나선 형태로 가압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양질의 세로철선(W2)을 얻을 수가 있다.
이송유닛은 세로철선(W2)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25)를 구비한다. 롤러(25)는 외면에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25)는 상하로 유동 가능한 블록(26)에 장착되며, 다수의 기어와 맞물리는 모터(27)와 연결된다. 여기서 블록(26)은 유동거리를 조절하는 노브에 맞물려 있다. 즉, 노브를 통해서 롤러(25)간에 거리를 조절하면 다양한 직경을 지닌 세로철선(W1)에 구애받지 않고 이송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30)는 이송부(10)의 하류단에 세로철선(W2)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고, 절단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W2)을 하나씩 배출해서 가로철선(W1)상에 교차되게 공급하는 배출유닛과 공급유닛을 구비한다. 공급부(30)는 도 1 및 도 4처럼 가로 이송부(10)의 하류단에 세로 이송부(20)와 연동하도록 위치해서 도 32a처럼 세로철선(W2)을 가로철선(W1)상에 교차되게 공급한다. 즉, 공급부(30)는 도 10 및 도 11처럼 프레임 상에 절단유닛과 배출유닛 및 공급유닛을 각각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절단유닛은 세로철선(W2)을 경유하도록 수용하는 절단홈(3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절단홈(31)에는 상호 맞물려 상하로 유동하는 절단날(32)을 구비한다. 여기서 절단날(32)은 도 12a처럼 세로철선(W2)을 수용하는 V형의 경사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절단날(32)은 절단력을 부여받도록 일측에 실린더(33)와 연결된다. 즉, 도 12b처럼 절단홈(31)으로 세로철선(W)이 설정한 길이로 통과하면 즉시, 실린더(33)가 작동해서 절단날(32)로 하여금 세로철선(W2)을 절단한다.
배출유닛은 절단된 세로철선(W2)을 적층되도록 수용하는 가이드홈(34)을 구비한다. 가이드홈(34)의 중앙 좌측에는 적층된 세로철선(W2)을 가압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가압바(35)를 구비한다. 가압바(35)는 일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가이드홈(34)내에 최하단으로 위치한 세로철선(W2)만을 제외한 나머지 세로철선(W2)들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홈(34)의 하단 우측에는 적층된 세로철선(W2)을 하향으로 배출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개폐바(36)를 구비한다. 개폐바(36)는 가이드홈(34)의 하단인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해서 세로철선(W2)을 배출한다. 이러한 가압바(35)와 개폐바(36)는 프레임의 하단에 가이드블록과 맞물린 유동프레임에 장착되고, 유동프레임은 프레임의 일단에 실린더(37)와 연결되어 작동력을 부여받는다.
즉, 실린더(37)가 작동 전에는 도 13처럼 개폐바(36)가 가이드홈(34)의 배출구를 가로 막아서 세로철선(W2)을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가압바(35)는 세로철선(W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37)가 작동하면 도 14처럼 가압바(35)와 개폐바(36)가 우측으로 유동한다. 유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바(35)는 배출될 세로철선(W2)을 제외한 나머지 철선(W2)을 가압해서 구속하고, 개폐바(36)는 가이드홈(34)의 배출구를 개방해서 하나의 세로철선(W2)만을 하향 배출한다.
공급유닛은 배출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W2)을 수용하도록 거치홈(38a)을 개재하는 체인(38)을 구비한다. 체인(38)은 배출유닛의 하단에서 용접부(40)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스프라켓(39)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라켓(39)은 회전축과 함께 엑추에이터로부터 작동력을 부여받는다. 여기서 엑추에이터로는 제어가 비교적 용이한 실린더로 구비할 수 있는데, 실린더의 경우에는 별도의 밀대와 치차를 더 구비한다.
즉, 세로철선(W2)이 거치홈(38a)에 수용되면 도 15처럼 실린더에 의해 밀대가 전진해서 치차를 밀어준다. 이 과정에서 체인(38)은 치차의 피치만큼 회전해서 세로철선(W2)을 용접부(40)로 이동시키고, 비어 있는 거치홈(38a)에 세로철선(W2)을 재 수용한다. 작동의 반복으로 세로철선(W2)이 용접부(40)에 도달하면 도 16처럼 세로철선(W2)이 철선가이드를 타고 단자봉(41)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어 가로철선(W1)의 상단에 정확히 안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40)는 이송부(10)와 공급부(30) 사이에 가로·세로철선(W1)(W2)을 지지하는 단자봉(41)을 구비하고, 단자봉(41)의 상측으로 철선(W1)(W2)을 망형으로 용접하는 용접기구를 구비한다. 용접부(4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가로 이송부(10)와 공급부(30) 사이에 위치해서 도 32b처럼 가로·세로철선(W1)(W2)이 교차하는 부위를 용접한다. 이러한 용접부(40)는 도 17처럼 철선(W1)(W2)으로 전원이 통전되도록 고정된 단자봉(41)을 구비하고, 단자봉(41)의 상측에는 전원을 쇼트시켜 교차부위를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기구로 구성된다.
용접기구는 프레임 상에 레일(45a)을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45)을 구비한다. 유동판(45)의 양단에는 전술한 유동판(15)처럼(도 5참고) 모터의 동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과 연동해서 선형으로 왕복하는 커넥팅로드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동판(45)은 일면에 가로·세로철선(W1)(W2)을 가압하도록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탄성대(46)를 구비한다. 탄성대(46)는 가로철선(W1)상에 공급된 세로철선(W2)의 외주면 끼리 상호 밀착시키고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탄성대(46)는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단동형의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대(46)를 공압실린더로 구성하면, 유동판(45)으로부터 용접봉(47)을 개별적으로 옮기지 않아도 가로철선(W1)의 다양한 배열에만 대응시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대(45)의 일단에는 가로·세로철선(W1)(W2)을 일체로 용접하도록 전원을 쇼트하는 용접봉(47)을 구비한다.
즉, 도 18a처럼 단자봉(41)에 위치하는 가로철선(W1)에 세로철선(W2)이 공급되면 도 18b처럼 유동판(45)에 의해 용접봉(47)이 가로·세로철선(W1)(W2)을 가압해서 상호 밀착되고, 이 과정에서 단자봉(41)의 전원과 용접봉(47)의 전원이 쇼트되어 일체로 용접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50)는 공급부(30)의 하류단에 세로철선(W2)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성형유닛을 구비하고, 성형유닛의 하류단에 절곡부위를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유닛을 구비한다. 마감부(5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공급부(30)의 하류단에 위치해서 도 32c 내지 도 32e처럼 가로철선(W1)으로부터 노출되게 연장하는 세로철선(W2)을 내측으로 절곡해서 일체로 용접한다. 이러한 마감부(50)는 도 19처럼 프레임 상에 절곡을 수행하는 한 쌍의 성형유닛과, 절곡부위를 용접하는 한 쌍의 용접유닛을 상호 인접하게 구성한다.
성형유닛은 도 23 및 도 24처럼 가로철선(W1)을 지지하도록 거치홈(51a)을 개재하는 탄성블록(51)을 구비한다. 탄성블록(51)은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탄성력을 지니는데, 이송하는 가로철선(W1)을 고정해서 절곡과정 중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블록(51)의 상단에는 세로철선(W2)을 하향으로 90°절곡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1블록(52)을 구비한다. 제1블록(52)은 저면에 가로·세로철선(W1)(W2)이 교차한 용접부위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십자홈(52b)을 형성한다. 좌측의 십자홈(52b)은 계단식 단턱으로 형성되어 연장하는 세로철선(W2)을 하향으로 절곡하고, 우측의 십자홈(52b)은 탄성블록(51)과 연동해서 가로·세로철선(W1)(W2)을 가압 고정한다. 이러한 제1블록(52)은 가이드와 함께 절곡력을 부여하는 실린더(52a)와 연결된다.
제1블록(52)의 측단에는 세로철선(W2)을 내측으로 절곡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제2블록(53)을 구비한다. 제2블록(53)은 제1블록(52)에 의해 하향으로 90°절곡된 세로철선(W2)을 내측으로 90°절곡한다. 그리고 제1블록(52)의 하단에 세로철선(W2)을 지지하면서 가로철선(W1)을 감싸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3블록(54)을 구비한다. 제3블록(54)은 제1블록(52)이 하강 전에 세로철선(W2)의 저면을 지지해서 하향으로 절곡을 유도한다. 또, 제2블록(53)으로 인해 내측으로 절곡된 세로철선(W2)을 가로철선(W2)에 완전히 감싸도록 절곡(펀칭)한다. 여기서 제2·3블록(53)(54)은 세로철선(W2)의 직경에 대응하는 반원의 성형홈(53b)(54b)이 형성된다. 성형홈(53b)(54b)은 절곡하는 과정에서 철선(W2)의 변형을 억제하고 어긋남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3블록(53)(54)은 가이드와 함께 절곡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53a)(54a)를 구비한다.
용접유닛은 도 25처럼 세로철선(W2)의 절곡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되고, 절곡부위에 전원을 통전하는 단자봉(55)을 구비한다. 단자봉(55)의 상단에는 절곡부위를 가압해서 일체로 용접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용접봉(56)을 구비한다. 그리고 용접봉(56)의 상단에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실린더(56a)를 구비한다. 이러한 용접유닛은 전술한 용접부(30)의 용접기구와 동일하므로 구조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마감부(6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차부위가 일체로 용접된 가로·세로철선(W1)(W2)이 이송되면 도 26a처럼 가로철선(W1)이 탄성블록(51)의 거치홈(51a)으로 수용한다. 이어서 철선(W1)(W2)의 이송이 정지하는 순간에 도 26b처럼 제3블록(54)이 상승해서 철선(W1)(W2)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 27a처럼 제1블록(52)이 하강해서 연장된 세로철선(W2)을 도 32c처럼 하향으로 90°절곡한다. 이어서 도 27b처럼 제2블록(53)이 우측(좌측)으로 이동해서 세로철선(W2)의 절곡부위를 도 32d처럼 내측으로 90°로 재차 절곡한다. 여기서 제3블록(54)은 제2블록(53)과 간섭되지 않도록 순간적으로 하강한다.
이어서 도 28a처럼 제2블록(53)이 원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3블록(54)이 상승해서 도 32d처럼 세로철선(W2)의 절곡부위를 가로철선(W1)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도 28b처럼 제1블록(52)과 제2블록(53)이 원위치로 복귀해서 절곡을 완료한다. 이어서 절곡이 완료된 가로·세로철선(W1)(W2)이 용접유닛으로 이송되면 도 29처럼 실린더(56a)의 작동으로 용접봉(56)이 하강해서 도 32e처럼 절곡부위를 일체로 용접한다. 이러한 과정을 연속으로 반복해서 철망의 양변(상하단)으로 노출되는 세로철선(W2)을 안전하게 마감처리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50)는 도 19 및 도 20처럼 본체로부터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좌우 및 내·외측으로 위치를 가변하는 조절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조절유닛은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을 좌우로 이동을 유도하는 제1조절판(57)과 내·외측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제2조절판(58)으로 구성된다.
제1조절판(57)은 도 21 및 도 22처럼 상면에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을 지지하고, 저면에 가이드블록과 조절블록이 장착된다. 제2조절판(58)은 상면에 가이드(57a)와 스크류(57b)가 장착되고, 저면에는 레일블록이 장착된다. 즉, 가이드블록은 가이드(57a)에 맞물려 제2조절판(58)으로부터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을 좌우로 이동되게 유도하고, 스크류(57b)는 조절블록에 맞물려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을 조절하거나 제한한다. 그리고 레일블록은 본체의 프레임 상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된 레일(58a)에 맞물려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을 내·외측으로 이동되게 유도한다.
여기서 스크류(57b)에는 도 21 및 도 22처럼 스프링(59a)과 조절노브(59b)를 더 구비한다. 스프링(59a)은 조절블록의 양단을 탄성으로 가압해서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여기서 스크류(57b)와 조절블록은 상호 맞물린 상태가 아니라 가이드(57a)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스프링(59a)이 조절블록의 양단을 가압해줌으로서 이동범위가 탄성력에 비례해서 제한된다. 그리고 조절노브(59b)는 스프링(59a)의 탄성력을 가변시켜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와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노브(59b)는 스프링(59a)을 가압하도록 스크류(57b)상에 맞물려 장착된다.
예컨대, 스프링(59a)의 탄성력을 약하도록 가압하면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가 넓어지면서 이동을 위한 작용력 또한 약한데 반해 탄성력을 강하도록 가압하면 이동범위가 좁아지면서 이동을 위한 작용력 또한 강해진다. 물론, 스프링(59a)의 탄성력이 완전히 소멸되도록 가압하면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일단에 스프링(59a)에는 탄성력을 강하게 해주고 타단에 스프링(59a)에는 탄성력을 약하게 해주면,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이 탄성력이 약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해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위치를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처럼 조절유닛은 제1블록(52)의 십자홈(52b)내로 가로·세로철선(W1)(W2)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59a)의 탄성에 따라 성형유닛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된다. 즉, 가로철선(W1)상에 설정한 간격(가로패턴)으로 용접된 세로철선(W2)은 용접하는 과정에서 약 1~5mm정도 오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여기서 철선(W1)(W2)의 직경이 2~5mm이므로 1mm의 오차가 발생해도 절곡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된다. 하지만, 스프링(59a)에 의해 성형유닛이 탄성력에 비례한 거리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십자홈(52b)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정 위치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60)는 마감부(50)의 하류단에 가로·세로철선(W1)(W2)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61)를 구비하고, 롤러(61) 사이에 가로철선(W1)을 커팅해서 철망을 분리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한다. 절단부(6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마감부(50)의 하류단에 위치해서 도 33처럼 설정한 길이를 지닌 철망을 완성하도록 절단해서 분리한다. 이러한 절단부(60)는 도 30처럼 이송되는 철선(W1)(W2)을 지지하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61)와 절단유닛으로 구성된다.
절단유닛은 고정날(62)의 상단에 가이드(63a)를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날(63)을 구비한다. 고정날(62)과 유동날(63)은 고정바 상에 삽입 장착되는데, 장기간 사용으로 무뎌진 날을 연마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여기서 유동날(63)의 고정바는 양단에 로드와 연결되어 운동력을 전달하는 캠축(64)과 모터(64a)를 구비한다. 캠축(64)은 전술한 유동판(15)(45)과 연결되는 크랭크축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가로·세로철선(W1)(W2)이 교차해서 완성되는 철망이 도 31a처럼 롤러(61)를 지나 설정한 길이에 도달되면, 도 31b처럼 가이드(63a)를 따라 유동날(63)이 고정날(62)과 맞물리도록 하강해서 연설되는 가로철선(W1)을 절단한다.
완성된 철망은 도 33처럼 다수의 가로철선(W1)과 세로철선(W2)이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중첩 배열되고, 중첩부위는 디지털 스폿 용접으로 일체화 되며, 세로철선(W2)의 상·하단은 가로철선(W1)의 외면을 감싸 안아서 내부에 수용하도록 고리형태로 안전하게 마감된다. 따라서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절곡으로 인해 용접부위가 증가되어 비교적 가는 철선으로도 필요한 내구성을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60)는 도 30 및 도 31처럼 본체로부터 롤러(61)와 절단유닛을 이동시켜 절단위치를 가변하는 이동기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기구는 크게 고정판(65)과 유동판(66)으로 구성된다.
고정판(65)는 본체의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하단 중앙에는 스크류(67)와 핸들(68)을 구비한다. 그리고 유동판(66)은 상단에 절단유닛을 지지하고, 하단에는 고정판(65)의 스크류(67)상으로 돌출되는 체결블록을 구비한다. 즉, 유동판(66)은 스크류(67)와 맞물려 핸들(68)에 따라 고정판(65)으로부터 좌우로 이동된다. 따라서 핸들(68)을 통해서 절단유닛의 위치를 임의대로 가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조절기구는 절단유닛을 통과한 철망의 길이를 임의대로 보정할 수 있다. 또, 설정한 철망에 길이에 따른 절단부위가 세로철선(W2)을 향해 있거나 인접한 경우에 이를 회피해서 안전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00)는 도 34 내지 도 36처럼 절단부(60)의 하류단에 철망을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부(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권취부(70)는 철망을 롤 형태로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롤러(71)를 구비한다. 권취롤러(71)는 철망의 일변을 구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환봉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즉, 환봉과 환봉 사이에 완성된 철망의 일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과정없이 안전하게 구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권취롤러(71)는 일단에 권취력을 부여하는 모터(74)와 연결되어 소정의 장력을 지니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권취롤러(71)상에는 레일(72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조절판(72)을 구비한다. 조절판(72)은 하단에 레일블록을 구비해서 프레임에 장착된 레일(72a)과 맞물려 좌우로 이동한다. 즉, 철망의 세로(높이)길이에 따라 조절판(72)을 이동시켜 곧은 상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 조절판(72)과 대향하는 일단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73)를 구비한다. 도어(73)는 조절판(72)과 같이 철망을 곧은 상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함께 권취된 철망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이때, 권취부(70)의 모터(74)는 철망을 권취하기 위해 권취롤러(71)상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치합하는 한 쌍의 기어가 일정한 권취력을 부여한다(도면 미도시). 즉, 제조되는 철망은 용접과 절곡을 위해서 이송과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권취하는 모터(74) 또한 이와 연동해서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적인 권취력을 부여해야 한다. 그러나 모터의 특성상 순간적인 정지와 가동이 불가능한 정도의 딜레이가 존재한다. 물론, 서보 또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면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이들은 매우 고가이면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터(74)가 지속적인 권취력을 부여하더라도 철망의 이송이 정지되는 순간에 한 쌍의 기어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이격되어 권취롤러(71)가 정지된다. 이 과정에서 철망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비례하는 장력이 자동으로 걸려서 권취하는 철망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이처럼 롤 형태로 권취된 철망은 도 37처럼 필요한 길이에 구애받지 않게 되고 무엇보다 운반이나 보관에 필요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철망을 혼자서 펼치면서 시공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00)는 도 38 및 도 39처럼 용접부(40)와 마감부(50) 사이에 가로철선(W1)을 가압시켜 구속하는 구속부(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앞에서 전술한 것처럼 권취부(70)의 권취롤러(71)와 모터(74)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치합하는 한 쌍의 기어로 연결되어 이송이 정지된 철망에 장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장력이 발생 한다는 건 가로철선(W1)이 이송방향으로 강제로 당겨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철선(W1)(W2)의 직경이 작은 철망은 요구하는 장력이 약해서 이송부(10)의 이송유닛이 충분히 구속해줄 수 있지만, 직경이 굵은 철망은 장력이 강해서 당겨지므로 장력이 소실된다. 물론, 이송유닛을 굵은 직경에 적합하도록 구조적으로 개선하면 가능하나, 반대로 작은 직경에 가로철선(W1)을 이송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구속부(80)는 권취부(70)에 의해 권취되는 철망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용접부(40)와 마감부(50)의 장력에 의한 맥동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속부(80)는 크게 고정판(81)과 가압판(82)으로 구성된다. 고정판(81)은 본체의 프레임 상에 고정된 판으로 가로철선(W1)을 지지한다. 그리고 가압판(82)은 고정판(8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즉, 가압판(82)이 고정판(81)으로 하강하면 가로철선(W1)이 가압되어 구속된다. 이러한 가압판(82)은 구속력을 부여하도록 연결되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엑추에이터는 도 39a처럼 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39b처럼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는 가압판(82)과 직결로 연결되므로 비교적 구조가 용이한 반면, 잦은 반복 운동으로 유·공압량이 우수한 유·공압 탱크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모터는 가압판(82)과 링크와 로드 및 캠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반면, 잦은 반복 운동에도 일정한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가 있다. 물론,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가압판(82)을 상하로 유동시켜 가로철선(W1)을 구속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구속부(80)는 용접부(40)와 마감부(50) 사이에만 구비하는데 국한하지 않고, 이송부(10)의 이송유닛 상에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망의 양변에 노출되는 철선을 마감시켜 운반이나 시공 및 사용 시에 인체나 동물 및 여타의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마감부위에 용접으로 인해 비교적 가는 철선으로도 철망의 내구성을 충족시켜 재료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W1: 가로철선 W2: 세로철선
10,20: 이송부 10a: 배치블록
11, 21, 25, 61: 롤러 12, 26: 블록
13: 노브 15a, 45a, 58a, 72a: 레일
15, 45, 66: 유동판 16a: 경사홈
16: 하우징 17a: 통공
17: 유동대 18: 가압볼
22: 회동판 23, 27, 64a, 74: 모터
30: 공급부 31: 절단홈
32: 절단날 33, 37, 52a, 53a, 54a, 56a: 실린더
34: 가이드홈 35: 가압바
36: 개폐바 38a, 51a: 거치홈
38: 체인 39: 스프라켓
40: 용접부 41, 55: 단자봉
46: 탄성대 47, 56: 용접봉
50: 마감부 51: 탄성블록
52b: 십자홈 52: 제1블록
53b, 54b: 성형홈 53: 제2블록
54: 제3블록 57a, 63a: 가이드
57b, 67 : 스크류 57: 제1조절판
58: 제2조절판 59a: 스프링
59b: 조절노브 60: 절단부
62: 고정날 63: 유동날
64: 캠축 65, 81: 고정판
68: 핸들 70: 권취부
71: 권취롤러 72: 조절판
73: 도어 80: 구속부
82: 가압판

Claims (19)

  1.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철선을 곧게 펼치는 직선유닛과, 철선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을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상기 절단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유닛과, 가로철선 상에 교차되게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부와 공급부 사이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단자봉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봉의 상측으로 가로·세로철선을 망형으로 용접하는 용접기구를 구비하는 용접부;
    상기 공급부의 하류단에 세로철선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성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유닛의 하류단에 절곡부위를 일체로 용접하는 용접유닛을 구비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의 하류단에 가로·세로철선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사이에 가로철선을 커팅해서 철망을 분리하는 절단유닛을 구비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직선유닛은 가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과 맞물려 가압력을 조절하는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유닛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 상에 경사홈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가로철선을 경유하도록 통공을 지닌 유동대와, 상기 경사홈에 맞물려 통공 내로 출몰하는 가압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직선유닛은 세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세로철선의 동심으로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연결되어 회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유닛은 세로철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하로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블록과,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이송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절단유닛은 세로철선을 경유하도록 수용하는 절단홈과, 상기 절단홈 상에 세로철선을 절단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과 연결되어 절단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배출유닛은 절단된 세로철선을 적층되도록 수용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상에 적층된 세로철선을 가압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가압바와,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배출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개폐바와, 상기 가압바와 개폐바에 연결되어 작동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공급유닛은 배출유닛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수용하도록 거치홈을 개재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작동력을 부여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의 용접기구는 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판과, 상기 유동판 상에 가로·세로철선을 가압하도록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의 일단에 가로·세로철선을 일체로 용접하도록 전원을 쇼트하는 용접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성형유닛은 가로철선을 지지하도록 거치홈을 개재하는 탄성블록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단에 세로철선을 하향으로 절곡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의 측단에 세로철선을 내측으로 절곡하도록 좌우로 유동하는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의 하단에 세로철선을 지지하면서 가로철선을 감싸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제3블록과, 상기 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절곡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용접유닛은 절곡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된 단자봉과, 상기 단자봉의 상단에 절곡부위를 가압해서 일체로 용접하도록 상하로 유동하는 용접봉과, 상기 용접봉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하단에 가이드와 스크류에 맞물려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제1조절판과, 상기 제1조절판의 하단에 레일을 따라 내·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2조절판을 구비한 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절단유닛은 고정날의 상단에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유동날과, 상기 유동날의 양단에 로드와 연결되어 운동력을 전달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운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절단유닛의 하단에 고정판으로부터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유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유동판에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절단위치를 가변하는 핸들을 구비한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의 제1블록은 가로·세로철선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십자홈을 형성하고, 제2·3블록은 세로철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반원의 성형홈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스크류 상에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시켜 성형유닛과 용접유닛의 이동범위와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제1블록의 십자홈 내로 가로·세로철선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따라 성형유닛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제조장치는 절단부의 하류단에 철망을 롤 형태로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 상에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과 대향하는 일단에 힌지에 의해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권취롤러와 연결되어 권취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한 권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제조장치는 용접부와 마감부 사이에 고정판으로부터 가로철선을 가압시켜 구속하도록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어 구속력을 부여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비한 구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제조장치.
KR1020140092553A 2014-07-22 2014-07-22 철망 제조장치 KR10154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53A KR101548260B1 (ko) 2014-07-22 2014-07-22 철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53A KR101548260B1 (ko) 2014-07-22 2014-07-22 철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60B1 true KR101548260B1 (ko) 2015-08-28

Family

ID=5406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553A KR101548260B1 (ko) 2014-07-22 2014-07-22 철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6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82B1 (ko) * 2016-06-30 2016-09-23 (주) 광암스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
KR101702557B1 (ko) *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KR101933651B1 (ko) * 2018-06-20 2018-12-31 조영화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CN109482789A (zh) * 2019-01-03 2019-03-19 昌遂控股(深圳)有限公司 一种铜母线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9500310A (zh) * 2018-11-30 2019-03-22 上海航天精密机械研究所 钢丝网套切割工艺方法
CN109909755A (zh) * 2018-12-27 2019-06-21 浙江亿洲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网笼生产线
CN109967664A (zh) * 2019-04-30 2019-07-05 魏元科 一种袋装弹簧加工设备
KR102190043B1 (ko)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KR102318977B1 (ko) * 2021-05-25 2021-10-28 홍성식 휀스 철망 제조 장치
KR20230014272A (ko) * 2021-07-21 2023-01-30 김지윤 메쉬 철망 제직기
CN117226016A (zh) * 2023-09-28 2023-12-15 河北洲信金属科技有限公司 钢筋焊接网制备用焊网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684B1 (ko) 2004-09-22 2006-01-24 송덕용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563974B1 (ko) 2003-01-27 2006-03-29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74B1 (ko) 2003-01-27 2006-03-29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100545684B1 (ko) 2004-09-22 2006-01-24 송덕용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57B1 (ko) *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KR101658882B1 (ko) * 2016-06-30 2016-09-23 (주) 광암스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
KR101933651B1 (ko) * 2018-06-20 2018-12-31 조영화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CN109500310A (zh) * 2018-11-30 2019-03-22 上海航天精密机械研究所 钢丝网套切割工艺方法
CN109909755B (zh) * 2018-12-27 2023-09-08 浙江亿洲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网笼生产线
CN109909755A (zh) * 2018-12-27 2019-06-21 浙江亿洲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网笼生产线
CN109482789A (zh) * 2019-01-03 2019-03-19 昌遂控股(深圳)有限公司 一种铜母线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9967664A (zh) * 2019-04-30 2019-07-05 魏元科 一种袋装弹簧加工设备
KR102190043B1 (ko)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KR102318977B1 (ko) * 2021-05-25 2021-10-28 홍성식 휀스 철망 제조 장치
KR20230014272A (ko) * 2021-07-21 2023-01-30 김지윤 메쉬 철망 제직기
KR102545059B1 (ko) 2021-07-21 2023-06-20 김지윤 메쉬 철망 제직기
CN117226016A (zh) * 2023-09-28 2023-12-15 河北洲信金属科技有限公司 钢筋焊接网制备用焊网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60B1 (ko) 철망 제조장치
KR101702557B1 (ko)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EP1703796B1 (de) Teigstrang-schlingsystem
EP2726230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es gitterträgers
EP237776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hüllen eines Gutstapels mit einer Folie
KR100563974B1 (ko)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US20190381558A1 (en) Ben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ire mesh
KR101992754B1 (ko) 철근 구조물 자동 용접장치
DE102012019326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reifen von Packstücken
DE102010006545A1 (d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Mono- oder Multiaxialgeleges
EP2605988B1 (de) Antriebsmechanismus für eine vorrichtung zum legen einer fasermaterialbahn in eine leporellofaltung
EP3885110B1 (de) Verfahren zum verschweissen zweier sich überlappender und auf der oberseite eines gutstapels befindlicher folienabschnitte zum bilden einer umhüllung sowie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zweier sich überlappender und auf der oberseite eines gutstapels befindlicher folienabschnitte zum bilden einer umhüllung
KR20020067723A (ko) 중구경 강관 자동 결속을 위한 이송시스템
KR102502037B1 (ko) 금속 메쉬를 만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207303A1 (de) Einrichtung zum Dosieren und Austragen von Fliessfähigen Schüttgütern
WO1995005906A1 (en) Method and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product consisting of two parallel steel wire-meshes and intermediate panel of insulating material
DE102014222756A1 (de)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bandförmigem Material
EP37906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pacer structures
EP1033429B1 (de) Verstellbarer Warenbreithalter
AT401485B (de) Verfahren und maschine zum herstellen von drahtgittern
EP2588376A2 (de) Verpac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RU278285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истанцирующих структур
EP1279597A1 (de) Umreifungsvorrichtung
SU8166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продольныхСТЕРжНЕй B МАшиНу дл СВАРКиКАРКАСОВ
DE1956151C (de) Maschine zum Herstellen von Betonroh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