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684B1 -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684B1
KR100545684B1 KR1020040075800A KR20040075800A KR100545684B1 KR 100545684 B1 KR100545684 B1 KR 100545684B1 KR 1020040075800 A KR1020040075800 A KR 1020040075800A KR 20040075800 A KR20040075800 A KR 20040075800A KR 100545684 B1 KR100545684 B1 KR 10054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ding
wire mesh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덕용
Original Assignee
송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덕용 filed Critical 송덕용
Priority to KR102004007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방향 철선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장치,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와 제 1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1회전 장치 및 절단장치와 제 2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2회전 장치로 구성되고, 제 1회전부와 제 2회전부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용접봉과 용접접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출력되는 단계, 종방향 철선이 이송되는 단계, 공급틈으로 횡방향 철선이 투입되는 단계, 철선 공급축에 의해 횡방향 철선이 배출되는 단계, 철선이동부에 의해 횡방향 철선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단계, 종방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이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단계 및 용접된 철망을 칼날에 의해 절단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기존기술로서 실시되지 않았던 불규칙한 지형을 갖는 지역의 철망설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경사형 철망을 제조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망, 회전장치, 용접, 절단

Description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sloped wire ne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평활화 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블록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의 철선 적재부와 공급틈, 그리고 제 1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용접장치가 보이는 시점에서의 제 1회전 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와 용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절단장치 및 제 2회전부와 철망 적재부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회전부와 제 2회전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반과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 장치, 제 1회전 장치와 제 2회전 장치의 각 구성장치간에 전기적, 기계적 상호 작동 연결망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의 제조공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다른 기어형태에 의한 구성으로 제 1회전 장치와 제 2회전 장치의 상부부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다른 기어형태에 의한 구성으로 각 제 1,제 2회전장치의 상부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 1회전부와 제 2회전부의 내부구조를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의 제조공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베이스판 10: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11: 평활화 장치 12: 이송장치
20: 제 1회전 장치 21: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22: 용접장치 23: 제 1회전부
24: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 30: 제 2회전 장치
31: 절단장치 33: 제 2회전부
34: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 40: 철망 적재부
50: 제어반 51: 중앙 제어장치
52: 연산장치 53: 철망간격 입력 스위치
54: 경사각도 입력 스위치 55: 절단간격 입력 스위치
56: 제 1,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 57: 동작 스위치
111: 본체 112: 로울러
113: 투입구 121: 이송블록
122: 왕복작동부 122a: 왕복 작동부 모터
123: 고정부 124: 고정나사
125: 철선 이송파이프 126: 확장부
127: 철선고정장치 128: 철선 관통관
129: 용수철 130: 너트
211: 철선 적재부 212: 공급틈
213: 철선 이동부 213a: 철선 이동부 모터
214: 철선 공급축 214a: 철선 공급축 모터
215: 걸림턱 221: 용접봉
222: 용접봉 모터 223: 용접 접지부
224: 용접 접지부 모터 231: 제 1회전부 회전바퀴
231b: 회전기어 232: 제 1회전부 모터부
232a: 제 1회전부 모터 232b: 구동기어
233b: 구동축 234b: 회전부 로울러
241: 용접 이동 프레임 241a: 용접 이동 프레임 모터
242: 용접 이동 프레임 지지부 311: 칼날
311a: 칼날 이동 모터 331: 제 2회전부 회전바퀴
331b: 회전기어 332: 제 2회전부 모터부
332a: 제 2회전부 모터 332b: 구동기어
334b: 회전부 로울러 342: 칼날 이동 프레임 지지부
본 발명은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횡방향 철선이 종방향 철선과 수직이 아닌 경사형으로 결합되어 비탈진 지형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경사형 철망을 제조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망은 산림지대에서의 경계 표시 기능을 하는 경계망, 암벽에서 낙석 방지용으로 설치되는 보호망, 고속도로의 중앙 차선의 표시역할을 하는 경계망 등 그밖에 여러가지 용도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망은 일정 크기의 각 단위별로 사각 격자모양으로 제조되고 있는 바, 현재의 상기 철망의 설치작업 상황을 보면, 다양한 지형적 형태를 갖춘 대부분 의 설치장소에 일정규격의 철망제조물로 시설하고 있고, 특이한 지형적 형태로 인해 시설상에 문제점이 생길때 철망을 지형의 형태에 맞도록 절단등의 변형을 가하거나 설치장소에 시설공사에 의한 추가적인 부분적인 변형을 통해서 설치작업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지를 제외한 여러가지 형태의 지형에서는 설치시 추가의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원하지 않은 형태로 설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경사진 비탈길, 언덕이나 산의 일부지형 등도 상기 특이한 지형적 형태를 갖는 설치장소중의 하나로서, 이러한 지면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에 임의의 설치목적에 의한 기존의 사각 격자모양으로 구성된 철망의 설치형상을 설명하자면, 직사각형 모양의 철망을 경사진 지면의 수직 방향이 아닌 평지의 지면을 기초한 수직방향으로 시설하게 되고, 상기 이유로 설치되는 철망은 연속되는 철망의 연결형태에서 계단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계단 형상의 철망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지면에 매입ㆍ설치시 지면과 경계면이 일직선으로 접하지 않고 삼각형 모양의 여유분이 생기게 되어 절단을 하는 가공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거나, 또는 지면에 상기 여유분이 삽입되도록 지면에 삼각형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사작업을 필요로 하게된다.
이러한 경사를 이루는 지역에서의 설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비탈진 지형과 같은 경사를 이루는 평행사변형 망눈형태의 경사형 철망의 이용에 대한 개 념이 대두되고 있으나, 상기 경사형 철망은 사각 격자모양의 철망을 제조하는 기존창치로는 제조가 불가능하여 아직 실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형 철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됨과 동시에 상기 장치에는 경사진 장소의 경사각도에 따라 설치가 적합한 철망을 제조가능하도록 경사형 철망의 경사각도를 제조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로 가능한 철망 제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진 지형에 유용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경사형 철망을 제조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종방향 철선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의 측단에 위치하고 횡방향 철선을 공급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작업을 하는 용접장치,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와 용접장치를 지지하는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장치와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1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1회전 장치;
제 1회전 장치 측단에 위치하고 용접된 철망을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장치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2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2회전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를 포함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에 관계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제 1회전부와 제 2회전부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용접봉과 용접접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동작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출력되는 단계;
이송장치에 의해 종방향 철선이 이송되는 단계;
공급틈으로 횡방향 철선이 투입되는 단계;
철선 공급축에 의해 횡방향 철선이 배출되는 단계;
철선이동부에 의해 용접장치쪽으로 횡방향 철선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단계;
종방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이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단계; 및
용접된 철망을 칼날에 의해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에 관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는 크게 종방향의 철선을 곧은 직선형태로 펴주는 기능을 하는 평활화 장치(11), 종방향의 철선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상기 평활화 장치(11)의 도면상의 우측에 설치되는 이송장치(12), 상기 평활화 장치(11)와 이송장치(12)로 구성된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10), 횡방향의 철선을 적재하고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이송장치(12)로부터 도면상의 상당한 거리의 우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 상기 공급된 횡방향의 철선과 종방향의 철선을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시키며 상기 이송장치(12)로부터 도면상의 우측,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공급장치(21)의 좌측에 설치되는 용접장치(22),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와 용접장치(22)의 하부에 설치되어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와 용접장치(22)를 지지하는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24) 및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 용접장치(22)와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24)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1회전부(23),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 용접장치(22),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24)과 제 1회전부(23)로 구성된 제 1회전 장치(20), 도면상의 우측에 설치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된 철망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장치(31), 절단장치(3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장치(31)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2회전부(33), 및 상기 절단장치(31)와 제 2회전부(33)로 구성되는 제 2회전 장치(30), 절단된 철망을 적재하며 제 2회전부(33)로부터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철망 적재부(40) 및 상기 이송장치(12)의 이송간격을 제어하고,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회전각을 제어하며 절단장치의 절단간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평활화 장치(11)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활화 장치(11)는 한개의 철선당 두개의 본체(111)로 이루어져 각 본체(111)마다 상측에 두개의 로울러(11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세개의 로울러(11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로울러(112)의 측부에 철선이 투입되는 투입구(113)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직선상의 철선이 양 본체(111)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양 본체(111)가 서로 다른 경사를 이루어 엇갈림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이송장치(12)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12)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된 이송블록(121)이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철선의 수개의 열로부터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종방향의 전후로 이동가능한 왕복작동부(12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이송블록(121)을 왕복작동부(122)로부터 고정하는 고정부(123)가 왕복작동부(122)의 종방향의 각 양단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송블록(121)의 상부에 고정나사(124)가 설치되어 고정나사(124)를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선 이송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이송블록(121)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형성하나 도면상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일정 부분에서 폭이 증가하면서 증가된 폭을 일정하게 유 지하고 폭이 증가하는 일정부분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서 이송블록(121)의 내부에 철선 이송파이프(125)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이송블록(121)의 내부중심에 철선이 통과하도록 철선 관통관(128)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송블록 내부의 도면상의 우측에 연장되어 갈수록 폭이 커지는 확장부(126)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철선 이송파이프(125)의 빈공간에 삽입되고 일부를 철선 이송파이프(125)의 외부로 돌출시키며 확장부(126)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송블록(121)의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철선고정장치(127)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철선 이송파이프(125)의 도면상의 좌측 끝단부에 너트(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이송블록(121)과 너트(130)의 사이에 팽창력을 작용시키는 용수철(129)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회전 장치(20)에 포함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의 철선 적재부(211)와 공급틈(212), 그리고 제 1회전 장치(20)에 포함되는 용접장치가 보이는 시점에서의 제 1회전 장치(20)만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상의 우측 상부에 철선 적재부(211)가 설치되어 횡방향 철선의 공급 전 철선을 적재하게 되고, 철선은 상기 철선 적재부(211)의 도면상의 좌측으로부터 하부에 연장되는 공급틈(212)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공급틈(212)에의 투입은 수작업으로 하나 상기 발명은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공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공급틈(212)은 공급틈(212)으로의 한번의 투입과정에 한 개씩만의 철선이 투입되고 한 개씩만이 순차적으로 배출되기위한 범위내의 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설명한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24)의 상부에 용접 이동 프레임(241)이 위치하고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24)으로 부터 용접이동 프레임(241)을 지지하기위해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의 각 양측단 상부에 용접이동 프레임 지지부(242)가 설치되며 상기 용접이동 프레임(241)은 상하 왕복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회전 장치(20)에 포함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와 용접장치(22)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틈(212)의 아래쪽에는 거의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달팽이집을 위에서 바라본 외형과 같은 형태로 상기 외형이 지름이 증가하는 상태에서 원의 궤적을 그리며 끝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끝단을 가지는 형상으로서, 일정간격으로 긴 기둥 형태에 설치되어 한바퀴의 회전마다 공급틈(212)으로부터 한개의 철선만이 돌출부분에 걸리도록 구성된 철선 공급축(2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철선 공급축(214)의 하단에 위치하고 4개의 톱니모양의 홈을 가진 막대 형태의 구성의 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하나의 점이 타원의 궤적을 그리듯이 상기 구성의 전체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고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철선 이동부(213)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철선이 상기 철선 이동부(213)에 위치할 때 철선 이동부(213)가 상기 타원의 궤적을 그리는 위치이동시 하부로 이동하더라도 철선이 떨어지지 않도록 철선 이동부(213)의 회전작동상의 최상부에 있을때와 같은 위치로 철선 공급축(214)의 일정간격마다 수 개의 걸림턱(215)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21)의 도면상의 좌측에 용접장치(2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설명한 용접 이동 프레임(241)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 이동 프레임(241)에 여러개의 용접봉(221)이 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연결된 구성으로 공급되는 각 종방향 철선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수량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용접봉(221)의 용접방식은 전기용접방식으로 각 용접봉(221)은 용접 이동 프레임(241)과 상부에 결합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여러개의 용접봉(221)이 일체로 용접 이동 프레임(241)에 의해 상하 왕복작동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각 용접봉(221)은 종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횡방향으로 이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용접봉 모터(2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설명한다. 또한 각 용접봉(221)마다 하부에 하나씩 같은 간격으로 용접접지부(223)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용접접지부(223)는 자기력의 성질을 가지고 각 용접봉(221)이 하부로 내려올때 상기 용접봉(221) 및 철선과 함께 밀착되어 용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용접접지부(223)는 종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횡방향으로 이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용접 접지부 모터(2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회전 장치(30)에 포함되는 절단장치(31) 및 제 2회전부(33)와 철망 적재부(40)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의 도면상의 우측에는 절단장치(31)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장치(31)에는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34)이 설치되고, 상기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34)의 상부에 칼날(311)이 설치되며, 상기 칼날(311)을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34)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34)의 양측단 상부에 칼날 이동 프레임 지지부(342)가 설치되며 상기 칼날은(311)은 상하 왕복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장치의 도면상의 우측에는 절단된 철망을 적재하는 철망 적재부(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회전부(23)와 제 2회전부(33)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 장치(20)의 하부에는 제 1회전부(23)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 1회전부(23)에는 제 1회전 장치(20)의 전체 면적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상당한 크기로서 톱니를 가진 기어의 형태로 구성된 제 1회전부 회전바퀴(231)와, 상기 제 1회전부 회전바퀴(231)를 회전 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도록 모터와 톱니를 가진 기어를 포함하는 제 1회전부 모터부(232)가 설치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회전 장치(20)는 상기 제 1회전부 회전바퀴(231)에 의해 좌우45°씩 90°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회전부(33)에도 상기 제 1회전부(23)의 제 1회전부 회전바퀴(231)와 같은 형태로 상당한 크기로서 톱니를 가진 기어의 형태로 구성된 제 2회전부 회전바퀴(331)와 상기 제 2회전부 회전바퀴(331)를 회전 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도록 모터와 톱니를 가진 기어를 포함하는 제 2회전부 모터부(332)가 설치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회전 장치(30)는 상기 제 2회전부 회전바퀴(331)에 의해 좌우45°씩 90°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회전부 회전바퀴(231)와 제 2회전부 회전바퀴(331)의 하부에는 바닥면과 회전바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부가 베어링으로 구성된 기계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계구조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공지기술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 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반과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 장치(10),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각 구성장치간에 전기적, 기계적 상호 작동 연결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제어반(50)에는 철망의 종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53),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도 입력 스위치(54)와 철망의 절단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절단간격 입력스위치(55)가 설치되어 원하는 형태의 철망을 제조하려는 기계 장치의 조작자가 철망의 규격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경사각도 입력 후 거기에 따른 제 1회전부(23)와 제 2회전부(33)의 회전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제 1,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56)와 상기 입력 스위치를 통한 의도된 수치를 입력 후 기계의 전체적인 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동작스위치(57)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53)를 통해 제어반(50) 내의 중앙 제어 장치(51)가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51)는 연산장치(52)로 신호를 전송한 후 연산장치(52)를 통해 수학적으로 계산된 수치를 입력받아 거기에 따른 이송장치(12)의 왕복의 거리적, 시간적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왕복작동부 모터(122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 이송장치(12)의 왕복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용접봉(221)이 결합된 용접 이동 프레임(241)의 상하왕복작동에서의 시간적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용접봉 이동 프레임 모터(241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 용접봉(221)의 상하왕복작동에서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철선 공급축(214)의 회전속 도를 제어하기 위한 철선 공급축 모터(214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와 용접봉(221)의 상하왕복작동에서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철선 이동부(21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철선 이동부 모터(213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를 전송할 준비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사각도 입력 스위치(54)를 통해 제어반(50) 내의 중앙 제어 장치(51)가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51)는 연산장치(52)로 신호를 전송한 후 연산장치(52)를 통해 수학적으로 계산된 수치를 입력받아 거기에 따른 제 1회전 장치(2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회전부 모터(232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 제 2회전 장치(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회전부 모터(332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 종방향 철선의 간격과 일치하게 하기위해 경사각도에 따른 용접봉(221)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용접봉 모터(222)로의 제어된 출력신호와 종방향 철선의 간격과 일치하게 하기위해 경사각도에 따른 용접접지부(223)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용접접지부 모터(224)로의 제어된 출력신호를 전송할 준비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55)를 통해 제어반(50) 내의 중앙 제어 장치(51)가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51)는 연산장치(52)로 신호를 전송한 후 연산장치(52)를 통해 수학적으로 계산된 수치를 입력받아 거기에 따른 칼날(311)에 의한 반복절단 작업공정의 1회의 공정당 이송장치(12)에 의한 이송공정의 횟수를 조절하기 위한 칼날 이동 모터(311a)로의 제어된 출력신호를 전송할 준비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각도 입력 스위치(54)를 통해 수치가 입력된 후 제 1,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56)를 선택하게 되면 입력된 수치에 의한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제 2회전부(23,33)를 제어함과 동시에 회전동작을 구동시켜 원하는 경사각도에 이르게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회전 각도에 따른 용접봉(221)과 용접 접지부(223)의 간격이 용접봉 모터(222)와 용접 접지부 모터(224)를 제어함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철망간격 입력 스위치(53),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55)를 통해 각 수치가 입력된 후 동작 스위치(57)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각 입력 스위치에 입력된 수치에 의한 출력신호가 상기 서술한 기계장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를 이용한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의 제조공정의 흐름도이다.
상기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53), 경사 각도 입력 스위치(54),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55)는 기계 장치 조작자의 의도된 수치대로 입력받게 되고(S1), 제 1,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56)를 선택하여(S2) 제 1, 제 2회전부(23,33)가 회전하여 경사 각도 입력 스위치(54)에 의한 의도된 회전각을 이루게 되고, 거기에 따른 용접봉(221)과 용접 접지부(223)의 종방향 철선의 간격에 따른 적정간격이 용접봉 모터(222)와 용접 접지부 모터(223)를 통해 조절되게 된다(S3).
또한 상기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53)와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54)에 입력된 수치대로 이송장치(12)의 이송간격, 철선 공급축(214)의 회전속도, 철선 이동부(213)의 회전속도, 용접 이동 프레임(241)의 이송장치(12)의 이송공정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상하왕복공정의 시간적 간격, 및 칼날(311)의 절단공정의 간격 사이에서의 이송장치(12)에 의한 이송공정의 횟수를 유지하면서 동작 스위치(57)를 선택하면(S4) 본 기계 장치는 하기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종방향 철선은 상기 이송장치(12)에 의해서 제조장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Sa5). 이송블록(121)은 상기 장치의 종방향으로 왕복작동을 하고 이송블록(121)이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할때 철선은 위치상의 영향이 미치지 않지만, 우측으로 이동할때 철선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블록(121)의 원리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철선이 철선 관통관(128)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장치(12)가 용접장치(22) 위치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때 이송블록(12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용수철(129)을 압축시키고 용수철(129)의 팽창력이 너트(130)를 밀게 되고 상기 과정에 의해 너트(130)와 결합된 철선 이송파이프(125)가 이송블록(121)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용수철(129)이 압축된 만큼 이송블록(121) 내의 확장부(126)와 철선 이송파이프(125)에 삽입된 철선고정장치(127)간에는 상당한 간격이 생기게 되고, 상기 과정으로 철선고정장치(127)는 상기 철선에 대해 어떠한 마찰력을 가하지 않아 철선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철선을 제외한 상기 구성들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송장치(12)가 용접장치(22) 위치의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는 상기 철선고정장치(127) 가 상기 확장부(126)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철선, 확장부(126)와 철선고정장치(127)간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여 이송블록(121), 철선 이송파이프(125), 철선고정장치(127)가 이동하는 것과 함께 철선이 용접장치(22)쪽의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송장치(12)에 포함된 왕복 작동부(122)의 왕복동작에 의해 철선이 순차적으로 용접장치(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12)에 의해서 이동하는 철선은 이송장치(12)를 통과하기 이전에 도면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평활화 장치(11)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평활화 장치(11)의 로울러(112)를 통과함으로서 굴곡이 제거되게 된다(Sb5). 상기 로울러(112)가 결합되어 있는 양 본체(111)는 서로 다른 경사를 이루어 엇갈림 형태로 배치되어 입체적으로 굴곡제거가 가능하게된다. 상기 평활화 장치(11)의 철선은 상기 설명한 이송장치(12)의 작용에 의해 통과하는 힘을 받게된다.
상기 철선적재부(211)에 적재된 횡방향 철선은 수작업 또는 그 밖의 다른 공정에 의해 공급틈(212) 안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투입된다(Sc0). 상기 공급틈(212)의 출구에서는 철선 공급축(214)이 인접하는데 철선 공급축(214)의 측면의 형상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한 원의 형태가 아닌 도면상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달팽이집의 위에서 바라본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작동시 도면상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상기 철선 공급축(214)이 회전 작동상황에서 달팽이집 형상의 돌출된 부분이 공급틈(212)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때에는 공급틈(212)에 위치한 철선은 출구로부터 차단되지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나의 철선이 서서히 출구로 나 오면서 돌출된 부분이 공급틈(212)을 지나갈 때 하나의 철선이 출구로부터 배출되게 된다(Sc1).
상기 배출된 횡방향 철선은 상기 철선 공급축(214)의 하단에 위치하는 철선 이동부(213)의 도면상의 우측에서의 첫번째 톱니 모양의 홈과 철선 공급축(214)의 하단의 일정간격으로 위치한 걸림턱(215)에 낙하되어 철선이동부(213)의 첫 번째 톱니모양의 홈과 걸림턱(215)의 상부에 지지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철선 이동부(213)는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도 도면상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타원의 궤적을 그리는 형상으로 작동하여 상기 철선 이동부(213)에 위치하는 철선은 철선 이동부(213)가 최상부 위치상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위치이동시 홈에 걸린 상태에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철선 이동부(213)가 타원의 궤적을 그리며 하부로 내려갈때 상기 철선은 걸림턱(215)에 지지되어 철선 이동부(213)로부터 비접촉 상태에 있게되고, 상기 철선이동부(213)가 다시 최상부에 재위치 하는 작동에 의해 상기 철선은 두 번째 톱니모양의 홈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반복적인 철선 이동부(213)의 작동으로 철선은 순차적으로 다음의 세 번째 톱니모양의 홈과 그 다음 작동에 의해 네 번째 톱니모양의 홈으로 위치이동하고 그 다음 작동으로 철선은 철선 이동부(213)와 걸림턱(215)으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이송장치(12)에 의해 이송된 종방향 철선의 상부로서 자기력을 가진 용접 접지부(223)의 수직상의 상부의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Sc2).
또한 철선이 두번째 톱니모양의 홈에 위치하는 동시에 다음 철선은 철선 공급축(214)에 의해 배출되어 첫번째 톱니모양의 홈에 위치하게 되고 그 다음 작동으 로 또 다음 철선이 철선 공급축(214)에 의해 배출되어 첫번째 톱니모양의 홈에 위치하고 이전 단계에 배출된 철선은 다음 번째의 톱니모양의 홈으로 이동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철선이동부(213)의 반복적인 위치이동 공정에 의해 순차적으로 각 배출되는 철선들이 동시에 각 위치에서 그 다음의 공정상의 위치로 진행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철선이동부(213)로부터 낙하하는 종방향 철선의 상부에 위치한 횡방향 철선은 상기 용접접지부(223)의 자기력에 의해 유도되어 용접 접지부(223)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상에 종방향 철선과 함께 엇갈린 형태로 위치되는데 상기 용접봉(221)이 하강하여 상기 횡방향 철선과 종방향 철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접 접지부(223)와 밀착되어 강한 전기저항열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지고 횡방향 철선과 종방향 철선이 상기 공정에 의해 결합된 후, 용접봉(221)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된 철망의 부분은 상기 이송장치(12)에 의해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 다시 횡방향 철선이 낙하하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용접작업이 반복되어 이루어지게 된다(S6).
상기 용접장치(22)로부터 용접된 후 이송장치(12)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한 철망은 제 2회전 장치(30)의 절단장치(31)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단장치(31)의 칼날(311)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철망은 제어반(50)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철망의 길이를 입력받고 이송장치(12)에 의해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횟수만큼 칼날(311)의 우측으로 이동한 후 칼날(311)이 하강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절단시 좌측에 위치한 철망은 이송장치에 의해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여 칼날 (311)의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S7).
상기 절단된 철망은 절단된 후 절단된 위치에서 바로 아래에 놓여 있는 철망적재부(311)에 낙하하여 적재되고(S8) 상기 적재된 철망은 완성품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다른 기어형태의 구성으로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상부부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제 1,제 2회전장치(20,30)의 상부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 1회전부(23)와 제 2회전부(33)의 내부구조를 본 사시도로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제 2회전부(23,33)의 중앙하부에 회전기어(231b,331b), 상기 각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232b,332b), 상기 각 구동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33b),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하부위치의 베이스판 상에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회전부 로울러(234b,334b)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232b,332b)는 구동축(233b)에 2개가 형성되어 각 제 1회전부(23)와 제 2회전부(33)의 회전기어(231b,331b)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동축(233b)의 시단은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10)로부터 도면상의 우측의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고 베이스판(5)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연장되어 철망 적재부(40)가 위치하는 곳의 베이스판(5)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축(233b)은 베이스판(5) 내부에 형성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모터 대신 손잡이가 설치되어 수작업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회전부 로울러(234b,334b)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베어링 구조를 대체하여 배이스판(5)상에 수개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개의 회전부 로울러(234b,334b)의 베이스판(5)상의 배열 상태는 원의 궤적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상부부분이 각각 회전부 로울러(234b,334b)와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회전 장치와 제 2회전 장치의 회전각도 조절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반(50)을 통한 제어방식에 의한 모터의 작동 또는 수작업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 1회전 장치와 제 2회전 장치의 회전에 따른 용접봉과 용접 접지부의 간격조절은 제어반의 제어에 의하지 않고 수작업에 의해 조절가능하며 상기 절단장치는 제어반 또는 수동 설정에 의하여 절단공정의 시간적 간격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를 이용한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의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의 제조공정의 흐름도이다.
각 구동기어(232b,332b)와 각 회전기어(231b,331b)의 결합관계를 통하여 제 1회전 장치(20)와 제 2회전 장치(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제어반을 통해 구동축(233b)에 설치된 모터를 작동시키게 되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모터의 설치 대신 손잡이의 설치에 의해 수작업으로도 경사각도 조 절이 가능하다(SS1).
상기 일정한 각도 조절 후 각도 조절에 따른 용접봉(221)과 용접 접지부(223)의 간격을 수작업에 의해 한다(SS2).
상기 용접봉(221)과 용접접지부(223)의 간격조절 후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53),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55)를 통해 철망간격과 절단간격을 입력하여 왕복작동부(122), 철선 공급축(214), 철선 이동부(213), 용접 이동 프레임(241), 칼날(311)의 작동을 설정하게 된다(SS3).
상기 스위치를 통한 철망간격, 절단간격의 설정 후 동작 스위치(57)를 통해 본 기계장치의 전체적인 공정에 관한 작동을 구동시키게 된다(SS4).
본 기계장치의 동작스위치(57)를 선택하면 첫번째 공정으로서 이송장치(12)를 통해 종방향 철선이 용접장치(22)쪽으로 이송되고(SSa5) 상기 이송과정 이전에 평활화 장치(11)를 통과하여 철선의 굴곡이 제거되는데(SSb5) 상기공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의 공정이 적용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공급틈(212)으로 횡방향 철선을 수작업 또는 그 밖의 다른 방법에 의하여 투입하게 되고(SSc0) 상기 투입된 횡방향 철선은 철선공급축(214)에 의해 순차적으로 배출되며(SSc1) 상기 배출된 철선이 철선 이동부(213)에 의하여 용접장치(22)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SSc2) 상기공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의 공정이 적용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이송장치(12)에 의해 용접장치(22)로 이송된 종방향 철선의 상부에 횡방향 철선이 용접접지부(223)의 자기력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종방 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은 용접장치(22)에 의하여 용접되며(SS6) 상기공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의 공정이 적용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계 이후 용접된 철망이 이송장치(12)에 의해 절단장치(31)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절단장치(31)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일정한 수 회의 이송공정 후 칼날(311)이 하강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다시 이송공정에 의하여 좌측에 위치한 철망은 절단장치(31)를 통과하게 되며(SS7) 상기공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의 공정이 적용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절단된 철망은 철망 적재부(40)에 낙하하여 적재되고(SS8) 적재된 철망은 완성품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방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이 경사진 상태에서 용접공정과 절단공정을 가능하게 하여 특이한 형태의 지역에 적합하고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경사진 철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종방향 철선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의 측단에 위치하고 횡방향 철선을 공급하는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작업을 하는 용접장치,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와 용접장치를 지지하는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 용접장치와 제 1회전장치 지지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1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1회전 장치;
    제 1회전 장치 측단에 위치하고 용접된 철망을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장치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 2회전부를 포함하는 제 2회전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는, 하단에 공급틈이 형성된 철선적재부와, 상기 철선적재부의 공급틈의 하단에 달팽이집을 위에서 본 형상의 구성을 포함하여 한 개씩만의 철선을 배출하는 철선 공급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철선 적재 공급장치는, 철선 공급축에 의해 배출된 철선을 회전 작동에 의해 용접장치 쪽으로 이동시키고, 긴 막대모양의 형상에 네개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철선공급축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철선 이동부와, 상기 철선 이동부의 회전시 최상부 위치와 같은 높이상에서 고정되어 일정간격마다 위치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이송장치는, 일정한 폭을 형성하되 일정 부분에서 폭이 증가하면서 증가된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폭이 증가하는 일정부분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서 이송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철선 이송파이프, 이송블록의 내부중심에 철선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철선 관통관, 연장되어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확장부, 철선 이송파이프 안에 삽입되고 일부가 철선 이송파이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철선고정장치, 철선 이송파이프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이송블록과 너트 사이에 팽창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된 용수철을 포함하여 왕복작동에 의해 철선을 용접 장치쪽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절단장치는,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과, 상부에 설치되는 칼날과, 제 2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의 양측단 상부에 설치되는 칼날 이동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칼날이 상하 왕복작 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는, 철선의 굴곡을 없애기 위한 로울러와 투입구로 구성되어 각 철선당 두개의 본체가 엇갈림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평활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는, 제 2회전 장치의 측단에 절단된 철망을 적재하는 철망 적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 장치에 포함되는 용접장치는, 전기용접방식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용접 이동 프레임과, 제 1회전 장치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용접 이동 프레임을 지지하는 용접 이동 프레임 지지부와, 상기 용접 이동 프레임상에 각 철선마다 하나씩 대응되도록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여러개로 설치되고 일체로 용접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하 왕복작동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용접봉과, 각 용접봉마다 하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자기력을 갖고 상기 특성에 의해 철선이 유도되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각 용접봉이 하부로 내려올때 상기 용접봉, 철선과 함께 밀착되어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접접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는, 용접봉을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하는 용접봉 모터와 용접 접지부를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용접 접지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부는, 톱니모양의 기어형태를 가지는 제 1회전부 회전바퀴와, 제 1회전부 회전바퀴로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기어를 포함하는 형태의 제 1회전부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전부는, 톱니모양의 기어형태를 가지는 제 2회전부 회전바퀴와, 제 2회전부 회전바퀴로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기어를 포함하는 형태의 제 2회전부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철망 제조장치는,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제 1회전 장치, 및 제 2회전 장치의 왕복 작동부에 의한 이송장치의 시간적, 공간적 이송간 격, 용접 이동 프레임에 의한 용접봉의 상하왕복작동의 시간적 간격, 철선 공급축의 회전속도, 철선 이동부의 회전속도, 칼날의 상하왕복작동에서의 이송장치의 이송횟수, 제 1회전부의 회전각도, 제 2회전부의 회전각도, 용접봉의 이동간격 및 용접접지부의 이동간격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에 제어되는 철선 공급축 모터, 철선 이동부 모터,왕복 작동부 모터, 용접 이동 프레임 모터 및 칼날 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제조될 철망의 경사각도에 따른 제 1회전부 모터에 의한 제 1회전 장치의 회전각도, 제 2회전부 모터에 의한 제 2회전 장치의 회전각도, 용접봉 모터에 의한 용접봉의 이동간격, 및 용접 접지부 모터에 의한 용접 접지부의 이동간격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의 출력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경사 각도 입력 스위치와 상기 경사 각도 입력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통해 제 1회전부 모터, 제 2회전부 모터, 용접봉 모터, 용접 접지부 모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제 1, 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제조될 철망의 철망 간격에 따른 상기 철선 공급축의 회전속도, 철선 이동부의 회전속도, 용접 이동 프레임에 의한 용접봉의 상하왕복작동의 시간적 간격 및 왕복작동부에 의한 이송장치의 시간적, 공간적 이송간격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의 출력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제조될 철망의 전체 크기에 따른 상기 칼날의 상하 왕복 작동에서의 이송장치의 이송횟수를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의 출력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 및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통해 철선 공급축 모터, 철선 이동부 모터, 용접 이동 프레임 모터, 왕복작동부 모터 및 칼날 이동 모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 장치와 제 2회전 장치는, 각각 축상에 위치한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에 각각 연결된 구동기어, 각 구동기어를 연결하는 구동축, 각 제 1,제 2회전 장치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회전부 로울러 및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또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모터의 작동 또는 수작업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철망 제조장치는, 상기 종방향 철선 이송 공급장치, 제 1회전 장치, 및 제 2회전 장치의 왕복 작동부에 의한 이송장치의 시간적, 공간적 이송간격, 용접 이동 프레임에 의한 용접봉의 상하왕복작동의 시간적 간격, 철선 공급축의 회전속도, 철선 이동부의 회전속도, 칼날의 상하왕복작동에서의 이송장치의 이송횟수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에 제어되는 철선 공급축 모터, 철선 이동부 모터, 왕복 작동부 모터, 용접이동 프레임 모터 및 칼날 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제조될 철망의 철망 간격에 따른 상기 철선 공급축의 회전속도, 철선 이동부의 회전속도, 용접이동프레임에 의한 용접봉의 상하왕복작동의 시간적 간격 및 왕복작동부에 의한 이송장치의 시간적, 공간적 이송간격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의 출력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제조될 철망의 전체 크기에 따른 상기 칼날의 상하 왕복 작 동에서의 이송장치의 이송횟수를 제어함를 위해 상기 제어의 출력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 및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통해 철선 공급축 모터, 철선 이동부 모터, 용접 이동 프레임 모터, 왕복 작동부 모터 및 칼날 이동 모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22. 제 1회전부와 제 2회전부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용접봉과 용접접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는 제 1단계;
    동작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철망 간격 입력 스위치, 절단 간격 입력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출력되는 제 2단계;
    이송장치에 의해 종방향 철선이 이송되는 제 3단계;
    공급틈으로 횡방향 철선이 투입되는 제 4단계;
    철선 공급축에 의해 횡방향 철선이 배출되는 제 5단계;
    철선이동부에 의해 용접장치쪽으로 횡방향 철선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제 6단계;
    종방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이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제 7단계; 및
    용접된 철망을 칼날에 의해 절단하는 제 8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제 1,제 2회전부 회전 작동 스위치의 회전신호에 대응하여 경사각도 입력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출력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전에 평활화 장치에 의해 철선의 굴곡이 제거되는 제 10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8단계 이후에 절단된 철망을 철망 적재부에 적재하는 제 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철망 제조 방법.
KR1020040075800A 2004-09-22 2004-09-22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54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00A KR100545684B1 (ko) 2004-09-22 2004-09-22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00A KR100545684B1 (ko) 2004-09-22 2004-09-22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684B1 true KR100545684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800A KR100545684B1 (ko) 2004-09-22 2004-09-22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6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60B1 (ko) 2014-07-22 2015-08-28 주식회사 석강 철망 제조장치
KR20170024346A (ko) 2015-08-25 2017-03-07 백주현 용접 철망 적층장치
KR20220158954A (ko) * 2021-05-25 2022-12-02 홍성식 휀스 철망 제조 장치용 세로 철선 공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387A (ja) * 1992-02-22 1994-08-16 Techno Kuriito:Kk 暗渠ブロック用金網の製造方法と金網挿入装置
JPH11226751A (ja) * 1998-02-18 1999-08-24 Mitsuba Mfg Co Ltd 傾斜金網製造装置
KR100306555B1 (ko) * 1992-02-20 2001-11-30 클라우스 리테르 보강와이어메쉬제조용방법및구조체
KR200275210Y1 (ko) * 2002-01-14 2002-05-17 지창근 경사형 자동용접 철망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555B1 (ko) * 1992-02-20 2001-11-30 클라우스 리테르 보강와이어메쉬제조용방법및구조체
JPH06226387A (ja) * 1992-02-22 1994-08-16 Techno Kuriito:Kk 暗渠ブロック用金網の製造方法と金網挿入装置
JPH11226751A (ja) * 1998-02-18 1999-08-24 Mitsuba Mfg Co Ltd 傾斜金網製造装置
KR200275210Y1 (ko) * 2002-01-14 2002-05-17 지창근 경사형 자동용접 철망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60B1 (ko) 2014-07-22 2015-08-28 주식회사 석강 철망 제조장치
KR20170024346A (ko) 2015-08-25 2017-03-07 백주현 용접 철망 적층장치
KR20220158954A (ko) * 2021-05-25 2022-12-02 홍성식 휀스 철망 제조 장치용 세로 철선 공급 장치
KR102534372B1 (ko) 2021-05-25 2023-05-18 홍성식 휀스 철망 제조 장치용 세로 철선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60B1 (ko) 철망 제조장치
KR100545684B1 (ko) 경사형 철망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2699683B (zh) 螺旋地桩自动生产线
CN102699184A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自动冲孔设备
CN105149758A (zh) 一种自动布线焊接装置
KR102151090B1 (ko) 철근 밴딩기
CN106695331A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生产线
KR101630184B1 (ko) 철근트러스조립체 자동생산장치
KR100648734B1 (ko) 철망 제조장치
CN102699476B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自动穿片焊接设备
CN103433610B (zh) 丝管蒸发器专用焊机与焊接方法
CN110947967B (zh) 一种铺粉装置及3d打印设备
KR101121770B1 (ko) 철근 받침대용 절곡장치
CN207026564U (zh) 一种自动化倒角设备
CN102699514B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螺母自动焊接设备
KR200392812Y1 (ko) 철망 제조장치
TWI746778B (zh) 用於製造金屬網的裝置及方法
CN207464098U (zh) 一种铜棒坯料自动上料装置
CN102699172A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尖锥部自动成型设备
LU101810B1 (en) A Processing Machine for Center Blank Welded Rebar Net
CN102699590A (zh) 焊接机械手
CN202411654U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螺母自动焊接设备
CN102699477B (zh) 穿片焊接机械手
CN202438876U (zh) 进料装置
KR101941846B1 (ko) 금속망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