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51B1 -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651B1
KR101933651B1 KR1020180070771A KR20180070771A KR101933651B1 KR 101933651 B1 KR101933651 B1 KR 101933651B1 KR 1020180070771 A KR1020180070771 A KR 1020180070771A KR 20180070771 A KR20180070771 A KR 20180070771A KR 101933651 B1 KR101933651 B1 KR 10193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ove
lower body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화
Original Assignee
조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화 filed Critical 조영화
Priority to KR102018007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권취된 제1와이어를 세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를 공급하는 제1와이어공급부; 절단된 제2와이어를 가로방향으로 배치시켜 공급하는 제2와이어공급부;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지점을 용접하는 용접부; 및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 제2와이어공급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의 구성중, 연결수단을 통해 하부바디의 하부홈과 상부바디의 상부홈 사이의 내측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WIRE MESH MANUFACTURING MACHINE APPARATUS AND WIRE MESH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용접하여 메쉬형 철망을 제조할 수 있는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망은 철선, 즉 와이어(wire)를 그물처럼 얽어 메쉬(mesh)형태로 만든 것으로, 건축현장 및 토목현장에서 콘트리트 골조의 보강용으로 사용되거나, 보호되는 대상의 경계를 둘러싸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거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망은 가로방향으로 공급되는 와이어와 세로방향으로 공급되는 와이어가 격자형태로 중첩 배열된 상태에서, 상호 직교하는 지점을 용접함에 따라 메쉬망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철망을 제조하는 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2557호(2017.01.26)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복근철망 제조장치는 중앙철선을 이송시키는 중앙철선이송부, 상부철선을 공급하는 상부철선공급대, 하부철선을 공급하는 하부철선공급대 및 상부철선과 하부철선을 용접하는 상부용접전극 및 하부용접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근철망 제조장치는 상부철선과 하부철선이 중앙철선에 용접결합되는 복근철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복근철망 제조장치에서, 중앙철선이송부는 설치된 구성을 교체하지 않는 이상 설정된 크기 이하의 직경을 갖는 중앙철선만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중앙철선을 구비해야 할 경우, 중앙철선이송부의 설치된 구성을 매번 다른 구조를 갖는 구성으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다른 구조를 갖는 구성을 구비함에 따른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근철망 제조장치의 중앙철선이송부는 균일한 복수개로 이루어져 제각기 구비된 중앙철선을 주기적으로 동시에 이송시킨다. 여기서, 중앙철선이송부는 제각기 마련된 중앙철선을 이송시키기 전에 중앙철선을 제각기 고정한 상태를 이루어야 하는데, 중앙철선의 고정상태를 제각기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중앙철선이 고정되지 않았더라도 나머지 고정된 중앙철선만을 이송시킨 상태로 철망을 제조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복근철망 제조장치는 형태가 불균일한 불량의 철망을 제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2557호(2017.01.26)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비된 철선(세로방향 철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별도의 다른 구성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설치된 구성의 변형을 통해 구비된 철선(세로방향 철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절가능한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비된 철선(세로방향 철선)을 이송시키기 전, 철선의 고정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는 권취된 제1와이어를 세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를 공급하는 제1와이어 공급부; 절단된 제2와이어를 가로방향으로 배치시켜 공급하는 제2와이어공급부;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지점을 용접하는 용접부; 및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 제2와이어공급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은 상부 내측으로 상기 제1와이어가 안착되는 반원형태의 하부홈이 마련된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내측으로 상기 하부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대향되게 마련되는 상부홈이 마련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하부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제1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하부바디의 하부홈과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홈이 이루는 내측거리를 상기 제1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수직홀더; 상기 수직홀더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직홀더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바디에 안착되는 상기 제1와이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하는 로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로드의 내측에 마련되는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제1스크류; 및 상기 제1스크류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크류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로드에 의해 상기 하부바디에 구비된 상기 제1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1회전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모터작동중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터중지수단은 상기 로드의 하단에 함몰형성된 수용홈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센서; 및 상기 압전센서의 하부에 밀착상태로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로드의 하단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압전센서는 상기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면이 상기 제1와이어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하부홈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홈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위치정렬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방법은 직선화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된 제1와이어를 일직선 형태로 성형하는 제1와이어직선화단계; 상기 제1와이어직선화단계 후,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 상기 제1와이어를 작업대의 세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제1와이어의 일부분을 하부바디에 안착시키는 제1와이어안착단계; 상기 제1와이어안착단계 후, 고정유닛의 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제1와이어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와이어고정단계; 상기 제1와이어고정단계에서, 압전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데이터베이스부의 중지값에 해당될 경우, 제1회전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로드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 상기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 후, 이송유닛을 통해 상기 고정유닛과 함께 고정된 상기 제1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와이어이송단계; 상기 제1와이어이송단계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제1와이어를 지지단자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제1와이어용접준비단계; 상기 제1와이어용접준비단계 후, 제2와이어공급부를 통해 제2와이어를 작업대의 가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단자에 배치된 상기 제1와이어의 상부에 엇갈리는 상태로 상기 제2와이어를 배치시키는 제2와이어용접준비단계; 및 상기 제2와이어용접준비단계 후, 용접단자승강수단을 통해 용접단자를 하강시켜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지점을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 후, 상기 압전센서를 통해 발생되는 작동중지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된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고정식별수단의 LED램프를 점등시키는 LED램프점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안착단계 전, 연결수단을 통해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승강시켜 상기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사이의 내측거리를 상기 제1와이어가 이루는 직경에 대응하거나 크게 조절하는 내측거리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의 구성중, 연결수단을 통해 하부바디의 하부홈과 상부바디의 상부홈 사이의 내측거리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유닛은 내측거리를 제1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구비되는 제1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별도의 다른 구성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하며, 이에 의해 별도의 다른 구성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 중,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홈에 안착된 제1와이어를 하부바디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유닛은 모터작동중지수단을 통해 제1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로드가 제1와이어를 고정한 상태에 해당될 경우, 회전모터의 작동을 용이하게 중지시킬 수 있다. 즉, 고정유닛은 모터작동중지수단을 통해 제1와이어의 고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각기 구비된 제1와이어 모두가 고정된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을 통해 제각기 구비된 제1와이어 모두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유닛을 통해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균일한 철망을 제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고정유닛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정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정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T)의 일측에 제각기 설치되는 제1와이어공급부(10), 제2와이어공급부(20), 용접부(30) 및 제어수단(40)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공급부(10)는 권취된 제1와이어(W1)를 작업대(T)의 세로방향으로 배치시켜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00) 및 이송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와이어공급부(10)를 설명하기에 앞서, 권취된 제1와이어(W1)는 작업대(T)의 일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W1)는 드럼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곡선 또는 굴곡진 형태를 이루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와이어(W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T)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된 직선화장치(5)를 통해 일직선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와이어(W1)는 직선화장치(5)에 마련된 롤러들에 의해 직선화 될 수 있고, 롤러들이 배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작업대(T)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후술할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 사이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유닛(100)은 제1와이어(W1)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이송유닛(200)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브라켓(270)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10), 상부바디(130), 연결수단(150) 및 고정수단(170)을 포함한다.
하부바디(110)는 제1와이어(W1)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7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바디(110)는 상부 내측에 길이방향(작업대(T)의 세로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반경을 이루는 반원형태의 하부홈(111)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바디(110)는 하부홈(111)에 안착되는 제1와이어(W1)를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시킬수 있다.
한편, 하부바디(110)는 위치정렬홈(111a)이 마련될 수 있다.
위치정렬홈(111a)은 하부바디(110)에 안착되는 제1와이어(W1)의 위치를 정렬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홈(111)의 내측 중앙에 하부홈(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정렬홈(111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홈(111)에 안착되는 제1와이어(W1)의 일부분을 지지함에 따라 제1와이어(W1)를 하부홈(111)의 중앙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렬홈(11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W1)가 이루는 직경이 하부홈(111)이 이루는 곡률반경보다 작을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와이어(W1)가 이루는 직경이 하부홈(111)이 이루는 곡률반경보다 클 경우, 제1와이어(W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홈(111)을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정렬될 수 있다.
상부바디(130)는 전술한 하부바디(110)에 안착된 제1와이어(W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연결수단(150)을 통해 하부바디(110)와 연결된 상태로, 하부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바디(130)는 하부 내측에 전술한 하부바디(110)의 하부홈(1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는 상부홈(131)이 대향상태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연결수단(150)은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151), 연결홈(153) 및 연결부재(155)를 포함한다.
연결돌기(151)는 후술할 상부바디(130)의 연결홈에 삽입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10)의 하부바디(11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돌기(151)는 연결구(151a)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구(151a)는 상부바디(13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151)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는 홀 형태를 이루고, 연결돌기(151)의 길이방향(지면의 상부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연결홈(153)은 내부로 삽입된 전술한 연결돌기(15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돌기(15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부바디(130)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55)는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55)는 상부바디(130)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홀(130a)을 관통하여 상부바디(130)의 연결홈(153)에 일단이 구비될 수 있고, 연결홈(153)에 구비되는 일단이 연결홈(153)에 삽입된 연결돌기(151)의 연결구(151a) 중 어느 하나에 관통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5)는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연결수단(150)은 전술한 제1와이어(W1)가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하부바디(110)의 하부홈(111)과 상부바디(130)의 상부홈(131) 사이의 내측거리(D)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조절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바디(130)를 하부바디(110)의 상부로 이동시켜 하부바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킨다. 이경우, 상부바디(130)는 연결돌기(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의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연결부재(155)를 상부바디(130)의 연결홀(130a)에 관통삽입시키고, 연결홀(130a)에 관통된 연결부재(155)의 일단을 연결홀(130a)의 동심원상에 배치된 연결돌기(151)의 연결구(151a)에 관통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5)는 하부바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바디(130)를 이동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수단(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50)의 형태를 변형시킴에 따라 하부바디(110)의 하부홈(111)과 상부바디(130)의 상부홈(131) 사이의 내측거리(D)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수단(150)은 전술한 내측거리(D)를 제1와이어(W1)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직경을 이루는 제1와이어(W1)가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 사이로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는 공간(내측거리(D))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수단(170)은 하부바디(110)에 제1와이어(W1)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홀더(171), 로드(173), 제1스크류(175) 및 제1회전모터(177)를 포함한다.
수직홀더(171)는 후술할 로드(17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부바디(13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홈(131)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직홀더(171)는 모서리를 갖는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홀더(17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로드(173)가 수직홀더(171)의 각 면, 모서리 등에 걸려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수직홀더(171)는 원형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이 경우, 둘레 일측에 가이드레일(171a)을 형성하고, 후술할 로드(173)의 둘레 일측에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73a)를 형성하여 로드(173)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수직홀더(171)는 둘레 일측에 가이드레일(171a) 및 걸림턱(171b)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1a)은 후술할 로드(173)에 마련되는 가이드돌기(173a)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수직홀더(171)의 내측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레일형태를 이룰 수 있다.
걸림턱(171b)은 후술할 로드(173)가 수직홀더(1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71a)의 끝단에 단턱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71b)은 가이드레일(171a)을 따라 이동되는 로드(173)의 가이드돌기(173a)를 지지함에 따라 로드(173)가 수직홀더(1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로드(173)는 하부바디(110)에 구비된 제1와이어(W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수직홀더(171)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외측 둘레를 이루는 돌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로드(173)는 수직홀더(171)의 내부로 삽입되고, 후술할 제1스크류(175) 및 제1회전모터(177)에 의해 수직홀더(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173)는 수직홀더(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면서 하단면이 제1와이어(W1)의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제1와이어(W1)를 하부바디(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로드(173)는 나사홈(173b) 및 가이드돌기(173a)가 마련될 수 있다.
나사홈(173b)은 후술할 제1스크류(175)가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로드(173)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함몰형성되는 홈형태를 이룰 수 있고, 내주면에 암사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73a)는 로드(173)가 수직홀더(1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73)의 상부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73a)는 전술한 가이드레일(17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턱(171b)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로드(173)가 수직홀더(1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173a)는 전술한 가이드레일(171a)에 구비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7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데, 예컨대 수직홀더(171) 및 로드(173)가 원형 형상을 이룰 경우, 로드(173)가 수직홀더(17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173)가 수직홀더(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도 있다.
제1스크류(175)는 전술한 로드(173)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긴 봉의 형상을 이루고, 외주면에 수사나산이 형성되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스크류(175)는 일단이 전술한 로드(173)의 나사홈(173b)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1회전모터(177)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모터(177)는 전술한 제1스크류(175)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스크류(175)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로드(17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모터(177)는 별도로 마련되는 고정브라켓(179)을 통해 전술한 상부바디(13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모터(177)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후술할 제어수단(40)에 의해 연결된 제1스크류(17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170)은 모터작동중지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작동중지수단(190)은 전술한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센서(191) 및 접촉부재(193)를 포함한다.
압전센서(191)는 전술한 로드(173)가 제1와이어(W1)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73)의 하단에 함몰형성되는 수용홈(173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센서(191)는 로드(173)가 하강하면서 후술할 접촉부재(193)의 일측면이 제1와이어(W1)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접촉부재(193)는 전술한 제1와이어(W1)의 상부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센서(191)의 하부에 밀착상태로 설치되며, 일측면이 로드(173)의 하단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193)는 노출된 일측면, 즉 노출면(193a)이 제1와이어(W1)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압전센서(191)가 제1와이어(W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접촉부재(193)는 요철(193b) 및 패킹(194)이 마련될 수 있다.
요철(193b)은 제1와이어(W1)의 슬립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노출면(193a)에 요부(凹部)와 철부(凸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193b)은 제1와이어(W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돌기가 걸림에 따라 제1와이어(W1)의 슬립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요철(193b)은 제1와이어(W1)를 걸림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패킹(194)은 제1와이어(W1)와 접촉부재(193)의 노출면(193a)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고무나 우레탄 등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요철(193b)의 표면에 접착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94)은 접촉부재(193)의 노출면(193a)과 제1와이어(W1)의 상부면 사이에서 밀착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1와이어(W1)가 접촉부재(193)의 노출면(193a)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고정수단(170)은 고정식별수단(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식별수단(195)은 로드(173)에 의해 제1와이어(W1)가 고정된 상태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예컨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LED램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어수단(40)의 컨트롤박스 내부에 마련되는 PCB기판(41)에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LED램프는 로드(173)가 제1와이어(W1)를 고정한 상태,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센서(191)가 작동되어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고정수단(170)은 제1와이어(W1)를 하부바디(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회전모터(177)를 작동시켜 제1스크류(175)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로드(173)는 수직홀더(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다음, 로드(173)가 하강하면서 접촉부재(193)의 노출면(193a)이 하부바디(110)에 안착된 제1와이어(W1)의 상부를 가압하고, 이때 로드(173)의 하단에 설치된 압전센서(191)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후술할 제어수단(4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압전센서(191)의 측정값에 따라 제1회전모터(177)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고, LED램프가 점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제어수단(40)과 함께 설명한다.
따라서, 고정수단(170)은 로드(173)를 통해 하부바디(110)에 안착된 제1와이어(W1)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고, 압전센서(191)를 이용하여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제1와이어(W1)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제1와이어(W1)가 로드(173)의 가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LED램프의 점등을 통해 제1와이어(W1)의 고정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수도 있다.
한편, 고정수단(170)은 후술할 이송유닛(200)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왕복이송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수단(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W1)를 고정한 상태로 일측방향(제1와이어(W1)를 세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을 향해 이송됨과 동시에 제1와이어(W1)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설정된 위치에 별도로 마련되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이의 이송이 감지될 경우, 로드(173)를 승강시켜 제1와이어(W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순환과정을 이룰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전술한 고정수단(170)을 왕복이송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크류(210), LM가이드(230), 제2회전모터(250) 및 이동브라켓(27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유닛(200)은 제2회전모터(25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스크류(210)가 구비되는 LM가이드(230)에 제2스크류(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2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유닛(200)은 LM가이드(230)를 이용하여 이동브라켓(270)을 이송시키는 통상적인 장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송유닛(200)은 이동브라켓(270)에 설치되는 전술한 고정수단(170)을 제2스크류(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송유닛(200)은 고정수단(170)에 의해 고정된 제1와이어(W1)를 일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와이어공급부(20)는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상태의 제2와이어(W2)를 작업대(T)의 가로방향으로 배치시켜 공급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와이어공급부(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공급대(21), 회전자(23) 및 제3회전모터(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와이어공급부(20)는 제3회전모터(25)에 의해 설정된 회전범위로 회전되는 회전자(23)가 설치된 공급대(21)에 구비되는 제2와이어(W2)를 설정된 회전주기마다 후술할 용접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2와이어공급부(20)는 후술할 제어수단(40)에 의해 제3회전모터(25)가 설정된 회전주기마다 설정된 회전범위만큼 회전됨에 따라 단일의 제2와이어(W2)를 일정간격으로 배출시켜 용접부(30)의 지지단자(31)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와이어공급부(20)는 제2와이어(W2)를 지지단자(31)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제1와이어(W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엇갈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용접부(30)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교차하는 부위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자(31), 용접단자(33), 용접단자승강수단(35)을 포함한다.
지지단자(31)는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와이어공급부(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봉형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단자(31)는 공급유닛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단자(31)는 전술한 제1와이어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제1와이어(W1)를 지지한 후, 제2와이어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제2와이어(W2)를 지지한다. 즉, 지지단자(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의 교차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용접단자(33)는 전술한 지지단자(31)에 의해 지지된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를 일체적으로 용접하는 구성으로, 지지단자(31)의 상부에 배치되는 봉형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단자(33)는 지지단자(3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후술할 용접단자승강수단(35)의 승강판(35b)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용접단자승강수단(35)은 전술한 용접단자(33)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다수의 용접단자(33)가 설치되는 승강판(35b)의 양측에 실린더(35a)가 설치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용접단자승강수단(35)은 설치된 실린더(35a)에 의해 승강판(35b)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됨에 따라 이에 설치된 용접단자(35)를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용접부(30)는 지지단자(31)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W1)에 제2와이어(W2)가 엇갈리게 배치되면, 용접단자승강수단(35)에 의해 용접단자(33)가 하강되면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의 교차부분을 가압하여 상호 밀착시키고, 이 과정에서 지지단자(31)의 전원과 용접단자(33)의 전원이 쇼트되면서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를 일체적으로 용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접부(30)의 용접구조나 방법은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수단(40)은 전술한 제1와이어공급부(10), 제2와이어공급부(20) 및 용접부(3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PCB기판(41) 및 제어모듈(43)을 포함한다.
PCB기판(41)은 후술할 제어모듈(43)이 실장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PCB기판(41)은 표면에 인쇄회로 패턴이 형성된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모듈(43)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회전모터(177, 250, 25) 및 실린더(35a)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PCB기판(41)에 실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3a), 비교부(43b) 및 제어수단(4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43a)는 전술한 압전센서(191)의 측정값 및 별도로 설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압전센서(191)를 통해 측정된 가압력의 측정값을 저장하고, 작업자에 의해 사전에 입력되는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설정된 데이터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값의 한계를 설정하는 중지값, 제2회전모터(250)를 통해 이송유닛(200)의 이송거리를 설정하는 제1설정값, 제3회전모터(25)를 통해 회전자(23)의 회전범위를 설정하는 제2설정값 및 제3회전모터(25)의 회전주기를 설정하는 제3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비교부(43b)는 전술한 측정값과 중지값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압전센서(191)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설정된 중지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중지값에 도달할 경우,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작동중지신호를 후술할 제어부(43c)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3c)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회전모터(177, 250, 25) 및 실린더(35a)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비교부(43b)로부터 발생되는 작동중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을 중지시킴에 따라 로드(173)의 하강동작을 멈출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3c)는 작동중지신호를 이용하여 고정식별수단(195)의 LED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나 다른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제공받는 신호들에 의해 제1 내지 제3회전모터(177, 250, 2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실린더(35a)의 로드(173)를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43c)는 전술한 각종 센서들과 유무선을 통해 원활히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40)은 제1와이어공급부(10)를 제어하여 제1와이어(W1)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제2와이어공급부(20)를 제어하여 제2와이어(W2)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용접부(30)를 제어하여 공급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를 일체적으로 용접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장치(5)를 이용하여 권취된 제1와이어(W1)를 일직선 형태로 성형하는 제1와이어직선화단계(S310); 제1와이어직선화단계(S310) 후,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 제1와이어(W1)를 작업대(T)의 세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제1와이어(W1)의 일부분을 하부바디(110)에 안착시키는 제1와이어안착단계(S320); 제1와이어안착단계(S320) 후, 고정유닛(100)의 로드(173)를 하강시켜 제1와이어(W1)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와이어고정단계(S330); 제1와이어고정단계(S330)에서, 압전센서(191)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데이터베이스부(43a)의 중지값에 해당될 경우,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을 중지시켜 로드(173)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S340);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S340) 후, 이송유닛(200)을 통해 고정유닛(100)과 함께 고정된 제1와이어(W1)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와이어이송단계(S350); 제1와이어이송단계(S350)를 통해 이송되는 제1와이어(W1)를 지지단자(31)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제1와이어용접준비단계(S360); 제1와이어용접준비단계(S360) 후, 제2와이어공급부(20)를 통해 제2와이어(W2)를 작업대(T)의 가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지지단자(31)에 배치된 제1와이어(W1)의 상부에 엇갈리는 상태로 제2와이어(W2)를 배치시키는 제2와이어용접준비단계(S370); 및 제2와이어용접준비단계(S370) 후, 용접단자승강수단(35)을 통해 용접단자(33)를 하강시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의 교차지점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3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S340) 후, 압전센서(191)를 통해 발생되는 작동중지신호가 제어부(43c)에 전달된 경우, 제어부(43c)를 통해 고정식별수단(195)의 LED램프를 점등시키는 LED램프점등단계(S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안착단계(S320) 전, 연결수단(150)을 통해 상부바디(130)를 하부바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승강시켜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 사이의 내측거리(D)를 제1와이어(W1)가 이루는 직경에 대응하거나 크게 조절하는 내측거리조절단계(S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2)은 세로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와이어(W1)와 가로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와이어(W2)를 메쉬형태의 철망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철망 제조장치(1)의 구성 및 작동과정들을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제조장치(1) 및 철망 제조방법(2)은 제1와이어공급부(10) 중, 연결수단(150)의 간단한 구조변형, 즉 내측거리(D)의 조절을 통해 제1와이어(W1)를 하우비다외 상부바디(130) 사이에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고, 고정수단(170)을 통해 하부바디(110)에 안착된 제1와이어(W1)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모터작동중지수단(190)을 통해 제1와이어(W1)가 고정된 상태로 식별됨과 동시에 제1회전모터(177)의 작동을 중지시켜 제1와이어(W1)의 고정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1 : 철망 제조장치 2 : 철망 제조방법
10 : 제1와이어공급부 20 : 제2와이어공급부
21 : 공급대 23 : 회전자
25 : 제3회전모터 30 : 용접부
31 : 지지단자 33 : 용접단자
35 : 용접단자승강수단 40 : 제어수단
41 : PCB기판 43 : 제어모듈
43a : 데이터베이스부 43b : 비교부
43c : 제어부 W1 : 제1와이어
W2 : 제2와이어 100 : 고정유닛
110 : 하부바디 111 : 하부홈
130 : 상부바디 130a : 연결홀
131 : 상부홈 150 : 연결수단
151 : 연결돌기 151a : 연결구
153 : 연결홈 155 : 연결부재
170 : 고정수단 171 : 수직홀더
173 : 로드 175 : 제1스크류
177 : 제1회전모터 179 : 고정브라켓
190 : 모터작동중지수단 191 : 압전센서
193 : 접촉부재 195 : 고정식별수단
200 : 이송유닛 210 : 제2스크류
230 : LM가이드 250 : 제2회전모터
270 : 이동브라켓 S310 : 제1와이어직선화단계
S320 : 제1와이어안착단계 S330 : 제1와이어고정단계
S340 : 제1회전모터작동중지단계 S345 : 내측거리조절단계
S350 : 제1와이어이송단계 S360 : 제1와이어용접준비단계
S370 : 제2와이어용접준비단계 S380 : 용접단계

Claims (5)

  1. 권취된 제1와이어를 세로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를 공급하는 제1와이어 공급부;
    절단된 제2와이어를 가로방향으로 배치시켜 공급하는 제2와이어공급부;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지점을 용접하는 용접부; 및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 제2와이어공급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은,
    상부 내측으로 상기 제1와이어가 안착되는 반원형태의 하부홈이 마련된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내측으로 상기 하부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대향되게 마련되는 상부홈이 마련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하부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제1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공급부의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하부바디의 하부홈과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홈이 이루는 내측거리를 상기 제1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수직홀더;
    상기 수직홀더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직홀더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바디에 안착되는 상기 제1와이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하는 로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로드의 내측에 마련되는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제1스크류; 및
    상기 제1스크류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크류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철망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0771A 2018-06-20 2018-06-20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KR10193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71A KR101933651B1 (ko) 2018-06-20 2018-06-20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71A KR101933651B1 (ko) 2018-06-20 2018-06-20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651B1 true KR101933651B1 (ko) 2018-12-31

Family

ID=6495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71A KR101933651B1 (ko) 2018-06-20 2018-06-20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43B1 (ko) *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CN114102469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碧品居建筑工业化有限公司 整定装置及钢筋构件生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087A (ja) * 2002-08-28 2005-12-08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整形外科手術用ケーブルを締め付け、締め付け直す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1548260B1 (ko) * 2014-07-22 2015-08-28 주식회사 석강 철망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087A (ja) * 2002-08-28 2005-12-08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整形外科手術用ケーブルを締め付け、締め付け直す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1548260B1 (ko) * 2014-07-22 2015-08-28 주식회사 석강 철망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43B1 (ko) * 2020-07-02 2020-12-11 조재희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CN114102469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碧品居建筑工业化有限公司 整定装置及钢筋构件生产设备
CN114102469B (zh) * 2021-11-29 2023-11-28 广东碧品居建筑工业化有限公司 整定装置及钢筋构件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651B1 (ko) 철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망 제조방법
JP3789047B2 (ja) 矯正装置,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1517305B1 (ko) 볼트 휨 보정 장치
KR101959245B1 (ko) 와이어 커팅 시스템
CN105618648A (zh) 一种滚丝机用自动进料装置
KR101584040B1 (ko) 코일스프링의 밴딩 및 절단장치
KR101394394B1 (ko) 핀튜브용 자동용접장치
CN116021155A (zh) 极柱焊接方法及设备
KR101918537B1 (ko) 건축용 래티스바 자동 제조 장치
KR101818551B1 (ko) 인라인 포밍장치 및 인라인 롤 포밍장치용 스택커
JPH10193001A (ja) スロット孔プレスユニット及びスロット孔加工装置
RU27641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й сетки
KR20150018193A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JPH0211268A (ja) 補強ケージ製造機
KR20170119978A (ko) 방전가공기
CN107052103B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CN211849437U (zh) 一种可调节的钢筋笼定位装置
KR19980057602A (ko) 철망의 제조장치
CN110456423A (zh) 用于弯曲单元的切削碎屑识别
KR102252125B1 (ko) 파이프 진원도 교정장치
CN110872026B (zh) 丝线处理装置
KR20210128991A (ko) 타발 장비
KR101398443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용접물 맞대기장치
CN107052102B (zh) 一种翻转卸料的卧式卷绕机
CN218016799U (zh) 焊接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