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91B1 -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91B1
KR101548191B1 KR1020140000052A KR20140000052A KR101548191B1 KR 101548191 B1 KR101548191 B1 KR 101548191B1 KR 1020140000052 A KR1020140000052 A KR 1020140000052A KR 20140000052 A KR20140000052 A KR 20140000052A KR 101548191 B1 KR101548191 B1 KR 10154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nector
power transmission
bol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964A (ko
Inventor
이상용
이성희
이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연삭기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차지고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끼워져 평행이동하고 자유회전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지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부가 상기 핸들을 상기 동력전달부의 타단 방향으로 밀면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밀착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부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속부를 복원시키면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떨어져서 상기 핸들만 자유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 고정시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핸들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핸들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며, 정밀가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The steering wheel device for right and left movement for grinding-molding device}
본 발명은 성형 연삭기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 연삭기에서 공작물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형 연삭기는 정밀한 공작물을 연삭하여 성형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성형 연삭기에 공작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작물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공작물을 연삭하는데, 이때 공작물을 좌우로 이동하는 구동수단이 좌우이동 핸들이다.
즉, 작업자가 좌우이동 핸들을 조금씩 조작하면서 공작물을 연삭하게 된다.
가령 연삭공구가 이동하면서 공작물을 연삭하게 되면 연삭공구가 이동할 때 백래쉬와 같은 이동공차가 생겨서 정밀한 작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는 자동 연삭을 수행하고, 정밀 연삭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핸들을 미세하게 조작하면서 공작물을 연삭한다.
그런데, 핸들을 미세하게 조작하려면 작업자가 가장 편안해 하는 동작으로 핸들을 조작해야 한다. 즉, 불편한 자세로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가공오차가 커져서 가공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좌우이동 핸들을 살펴보면, 회전축(11)에 일단 부분에 경사진 테이퍼부(11a)가 형성되고, 그 끝단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의 테이퍼부(11a)에 파지부(12b)를 구비한 핸들(12)이 끼워지는데, 핸들(12) 또한 테이퍼부(11a)에 대응하는 구멍(12a)이 형성된다.
회전축(11)의 테이퍼부에 핸들(12)이 끼워지면, 회전축(11)의 끝단에 잠금너트(13)를 결합하여 회전축(11)으로부터 핸들(1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잠금너트(13)를 조이면 테이퍼부(11a)와 핸들의 구멍(12a)이 밀착되면서 핸들(12)과 회전축(11)이 고정되고, 파지부(12b)를 잡고 핸들(12)을 회전시키면 핸들(12)의 회전력이 회전축(11)으로 전달된다.
한편, 잠금너트(13)를 풀면 테이퍼부(11a)와 핸들(12) 사이가 느슨해져서 핸들(12)이 자유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가장 익숙한 자세로 핸들(12)을 조작하기 위해서 파지부(12b)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는데, 파지부(12b)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핸들(12)을 자유회전시킨 후, 잠금너트(13)를 조여서 핸들(12)을 회전축(11)에 고정시키고 핸들(12)을 조작한다.
즉, 작업자가 잠금너트(13)를 꽉 조임으로써 핸들(12)이 테이퍼부(11a)에 꽉 끼워져서 핸들(12)이 회전축(1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잠금너트(13)를 느슨하게 조이면 회전축(11)으로부터 핸들(12)이 헛도는 문제가 발생하고, 잠금너트(13)를 꽉 조이게 되면 잠금너트(13)와 핸들(12)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축(11) 또한 함께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핸들(12)과 회전축(11)을 연동하기 위해서 잠금너트(13)를 조이면, 핸들(12)과 회전축(11)은 서로 꽉 끼워져 연동되지만, 동시에 잠금너트(13)가 핸들(12)에 밀착되면서 핸들(12)이 잠금너트(13)와 함께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핸들(12)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회전축(11)이 회전함으로써 공작물의 가공 오차가 발생하거나 가공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핸들(12)이 테이퍼부(11a)에 완벽하게 밀착되면 괜찮지만, 핸들(12)이 조금이라도 기울어져서 테이퍼부(11a)에 밀착하게 되면, 핸들(12)이 테이퍼부(11a)로부터 슬립현상 즉 헛도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테이퍼부(11a)의 외면이 경사져 형성되기 때문에 핸들(12)의 자중으로 인해서 핸들(12)이 평행이동 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핸들(12)이 미세하게 소정 각도(A)로 기울어져서 테이퍼부(11a)에 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또한, 공작물의 가공 오차가 발생하거나 가공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핸들(12)이 회전축(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잠금너트(13)를 풀어서 파지부(12b)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핸들(12)이 테이퍼부(11a)에 꽉 끼어진 상태라면 테이퍼부(11a)로부터 핸들(12)을 해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테이퍼진 형태에 핸들(12)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테이퍼부(11a)로부터 핸들(12)을 억지로 해제하면 회전축(11)이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공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인해, 작업자가 파지부(12b)를 신속하게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나아가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핸들(12)이 평행이동 하지 않기 때문에 핸들(12)의 구멍(12a) 및 테이퍼부(11a)가 맞닿는 부분이 먼저 손상되거나 마모속도가 빨라져서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 또한 가공불량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 고정시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핸들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핸들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며, 정밀가공이 가능한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차지고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끼워져 평행이동하고 자유회전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지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부가 상기 핸들을 상기 동력전달부의 타단 방향으로 밀면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밀착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부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속부를 복원시키면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떨어져서 상기 핸들만 자유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로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한 부분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에 상기 핸들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를 조이면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와 밀착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부를 풀면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떨어져서 상기 핸들만 자유회전할 수 있다.
또,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지고 자유회전하며, 상기 구속부에 의해서 상기 핸들과 상기 커넥터가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면 접촉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핸들이 신속하게 연동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핸들과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면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핸들이 신속하게 연동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의 회전 중심 선상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로부터 수평이동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둘레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볼트가 접촉되는 부분에 면취 가공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둘레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볼트가 접촉되는 부분에 면취 가공되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부는,
둘레가 굴곡져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를 회전할 때 상기 잠금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을 신속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핸들의 둘레에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잠금부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잠금부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을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핸들 고정시 핸들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과 커넥터를 수직하게 면 접촉시킴으로써, 커넥터로부터 핸들을 손쉽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부가 회전 선상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됨으로써, 잠금부와 핸들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의 관통공 또는 커넥터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들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가공오차 또는 가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는, 동력전달부(2), 핸들(3) 및 구속부(4)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는, 핸들(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회전축(21) 및 커넥터(22)를 포함한다.
회전축(21)은, 대략 환봉형태로 외면이 단차져 형성되고, 일단 둘레의 일 영역이 면취가공 되며, 성형 연삭기(20)에 설치된 베어링부(10)에 끼워져 회전한다.
커넥터(22)는, 대략 눕혀진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회전축(21)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삽입홈(221)이 커넥터(22)의 타단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커넥터(22)의 타단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며, 회전축(21)의 일단에 끼워진다.
또한, 커넥터(22)는 회전축(21)에 고정되기 위해서 커넥터(22)의 확장된 둘레의 한 부분에 렌치볼트 등의 볼트(B)가 설치되고, 후술할 이탈방지부(41)가 고정되도록 커넥터(22)의 일단 둘레가 면취가공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22)를 회전축(21)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B)를 조이면 볼트(B)의 일단이 회전축(21)의 면취된 부분에 밀착되어 커넥터(22)가 회전축(21)에 고정되며, 볼트(B)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회전축(21)으로부터 커넥터(22)를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22)에 끼워진 볼트(B)가 회전축(21)의 면취된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커넥터(22)가 회전축(21)으로부터 회전하는 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3)은, 대략 림, 암 및 보스(32)가 결합된 형태로, 핸들(3)의 보스(32)에는 커넥터(22)의 일단에 대응하는 관통공(33)이 형성되고, 커넥터(22)의 일단에 끼워져 소정 정도 평행이동하면서 자유회전한다.
또한, 핸들(3)의 림에는 핸들(3)의 회전 선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파지부(31)를 구비한다. 이때, 파지부(31)는 핸들(3)에 구속되되 후술할 잠금부(4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잠금부(42)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핸들(3)로부터 자유회전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파지부(31)를 잡고 핸들(3)을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잠금부(42)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핸들(3)의 림, 암 및 보스(32)는 주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속부(4)는, 커넥터(22)로부터 핸들(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탈방지부(41) 및 잠금부(42)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41)는, 대략 눕혀진 원통형으로 타단만 개구되고, 일단 면에는 후술할 잠금부(42)가 결합되는 나사구멍(411)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 형성되며, 이탈방지부(41)의 둘레에는 볼트(B)가 설치된다. 이때, 나사구멍(411)은 회전 중심 선상으로부터 편심되고 이탈방지부(41)의 개구를 벗어나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핸들(3)을 커넥터(22)에 끼우면 커넥터(22)의 일단이 핸들(3)의 보스(32)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돌출된 커넥터(22)에 이탈방지부(41)를 끼운 후 렌치볼트 등의 볼트(B)를 조여서 이탈방지부(41)를 커넥터(22)에 고정시킨다. 이때, 이탈방지부(41)에 끼워진 볼트(B)가 커넥터(22)의 면취된 부분에 밀착되어 커넥터(22)로부터 이탈방지부(4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B)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커넥터(22)로부터 이탈방지부(41)를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핸들(3)이 커넥터(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42)는, 대략 눕혀진 모자형태로, 잠금부(42)를 잡고서 회전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가 대략 요철형태로 굴곡져 형성되고, 일면에 수나사(421)가 돌출 형성되며, 이탈방지부(41)의 나사구멍(411)에 끼워져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잠금부(42)를 조이면, 수나사(421)가 나사구멍(411)으로부터 돌출되고, 잠금부(42)를 풀면 수나사(421)가 나사구멍(411)으로 인입된다.
예를 들면, 잠금부(42)를 조이면 수나사(421)가 돌출되면서 핸들(3)의 보스(32)를 밀어내고, 핸들(3)의 보스(32)의 타단면이 커넥터(22)의 확장된 부분의 수직한 면에 밀착된다. 이때, 잠금부(42)를 더욱 조이면 핸들(3)과 커넥터(22) 사이의 마찰력이 상승하여 핸들(3)이 커넥터(2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핸들(3)이 회전하면 커넥터(22)가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축(21)이 회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축(21)에 커넥터(22)가 끼워져 고정되고, 커넥터(22)에 핸들(3)을 삽입한 후 이탈방지부(41)를 커넥터(22)에 끼워서 고정하며, 이탈방지부(41)에 잠금부(42)를 나사결합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파지부(31)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잠금부(42)를 조인다.
잠금부(42)를 조이면 잠금부(42)의 수나사(421)가 이탈방지부(41)로부터 돌출되면서 핸들(3)의 보스(32)를 커넥터(22)의 타단 방향으로 밀어낸다.
계속해서 잠금부(42)를 조이면 핸들(3)의 보스(32)가 커넥터(22)에 밀착되면서 핸들(3)이 커넥터(22)에 고정된다.
이때, 핸들(3)과 커넥터(22)는 수직한 면들이 서로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핸들(3)이 커넥터(22)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잠금부(42)의 수나사(421)가 보스(32)의 일면 일 영역을 누르고 있어서 보스(32)와 잠금부(42)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발생한다.
특히, 잠금부(42)의 수나사(421)가 보스(32)의 일면 일 영역을 찍어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핸들(3)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핸들(3)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3)과 커넥터(22)가 밀착되고, 잠금부(42)의 수나사(421)가 핸들(3)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즉, 핸들(3)의 보스(32) 양쪽에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3)이 커넥터(22) 및 이탈방지부(4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핸들(3)이 견고하게 고정되면, 작업자는 파지부(31)를 잡고 핸들(3)을 회전시킨다.
핸들(3)이 회전하면 구속부(4), 커넥터(22) 및 회전축(21)이 모두 회전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회전축(21)을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핸들(3)을 회전시킨 후 다시 파지부(3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잠금부(42)를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잠금부(42)를 풀면 잠금부(42)의 수나사(421)와 핸들(3)의 보스(32)사이가 떨어지고, 핸들(3)의 보스(32)와 커넥터(22) 사이가 벌어진다.
따라서, 핸들(3)은 자유회전 상태가 되고 작업자는 파지부(3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부(42)를 풀면, 핸들(3)이 커넥터(22)로부터 평행이동하고, 핸들(3)과 커넥터(22)가 수직하게 접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3)과 커넥터(22)가 손쉽게 사이가 벌어짐으로써, 커넥터(22)로부터 핸들(3)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3)을 신속하게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어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의 고정 또는 해제를 손쉽게 할 수 있어서, 핸들 고정시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핸들을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핸들의 관통공 및 커넥터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핸들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손쉽게 해제됨으로써, 회전축을 오차 없이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공작물을 더욱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동력전달부
21; 회전축
22; 커넥터
221; 삽입홈
3; 핸들
31; 파지부
32; 보스
33; 관통공
4; 구속부
41; 이탈방지부
411; 나사구멍
42; 잠금부
421; 수나사
B; 볼트
10; 베어링부
20; 성형 연삭기

Claims (14)

  1. 단차지고 회전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끼워져 평행이동하고 자유회전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끼워지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로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한 부분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핸들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를 조이면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와 밀착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되며, 상기 잠금부를 풀면 상기 핸들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떨어져서 상기 핸들만 자유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지고 자유회전하며, 상기 구속부에 의해서 상기 핸들과 상기 커넥터가 면 접촉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면 접촉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핸들이 신속하게 연동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면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핸들이 신속하게 연동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의 회전 중심 선상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상기 커넥터로부터 수평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둘레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볼트가 접촉되는 부분에 면취 가공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둘레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볼트가 접촉되는 부분에 면취 가공되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둘레가 굴곡져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를 회전할 때 상기 잠금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을 신속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핸들의 둘레에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잠금부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 중심 선상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잠금부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KR1020140000052A 2014-01-02 2014-01-02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KR10154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52A KR101548191B1 (ko) 2014-01-02 2014-01-02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52A KR101548191B1 (ko) 2014-01-02 2014-01-02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64A KR20150080964A (ko) 2015-07-13
KR101548191B1 true KR101548191B1 (ko) 2015-09-01

Family

ID=5379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052A KR101548191B1 (ko) 2014-01-02 2014-01-02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8538A (zh) * 2015-11-28 2016-02-17 重庆元创自动化设备有限公司 汽车方向盘打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398A (ja) * 2004-02-27 2005-09-08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工作機械のテ−ブル送り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398A (ja) * 2004-02-27 2005-09-08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工作機械のテ−ブル送り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64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37446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KR102139421B1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CN102896619B (zh) 动力工具及其操作方法
EP2896492B1 (en) Powered working machine
KR101285962B1 (ko) 블레이드 착탈 장치
CN102689293A (zh) 电动工具
KR101578730B1 (ko) 그라인더 휠 잠금장치
KR20190086137A (ko)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101548191B1 (ko) 성형 연삭기용 좌우이동 핸들장치
CA2848189C (en) Wrench for rotary tool
KR100220620B1 (ko) 조임나사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US11045882B2 (en) Chuck mechanism
KR20110104534A (ko) 링 형상의 밀링 공구 캐리어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
JP5657126B2 (ja) 手持ち式工作機械締付け装置
JP7428974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砥石装置用工具
KR101548192B1 (ko) 성형 연삭기용 상하이동 핸들장치
WO2022057945A9 (zh) 一种行程离合装置及具有行程离合装置的角磨机
KR100933038B1 (ko) 그라인더휠 체결장치
CN106312955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JP6674363B2 (ja) チャック装置
KR102603975B1 (ko) 다이 그라인더의 연마부재 교체모듈
JP4700436B2 (ja) 刃物着脱用工具
JP2016059972A (ja) ダブルナット締付工具
CN106312954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