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517B1 -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517B1
KR101546517B1 KR1020090129289A KR20090129289A KR101546517B1 KR 101546517 B1 KR101546517 B1 KR 101546517B1 KR 1020090129289 A KR1020090129289 A KR 1020090129289A KR 20090129289 A KR20090129289 A KR 20090129289A KR 101546517 B1 KR101546517 B1 KR 10154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gn2
ign1
voltage signals
a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382A (ko
Inventor
박수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5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비상시동을 걸고자 할 때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1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서브MCU 고장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MCU와, 상기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2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MCU 고장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브MCU와, 상기 제1전압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를 비교하여 차량의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비교부와, 상기 메인MCU 고장시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전원 비교부로 출력하고, 상기 서브MCU 고장시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전원 비교부로 출력하는 비상 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29289
차량, 스마트 키, 비상시동

Description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비상시동을 걸고자 할 때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은 차량 소유자가 물리적인 열쇠나 리모컨 버튼을 사용하는 일없이 잠금을 해제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의 LF 안테나가 구동되어 인증키(FOB)로 LF를 송신하고, LF 수신 후에 인증키(FOB)에서 자동으로 RF를 송신하게 되며, RF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 모듈에서 인증키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친 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의 안정성을 위해 메인MCU와 서브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시동을 오프하거나 시동을 걸 때 메인MCU와 서브MCU가 동일한 출력을 내 보낼 경우에 한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시동을 걸 경우 메인MCU와 서브MCU가 각각 시동신호를 "하이"로 내보낼 경우 차량의 시동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스마트 키 시스템의 메인MCU와 서브MCU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 시동을 걸 때 메인MCU와 서브MCU가 동일한 출력을 내보내지 못하므로 시동이 걸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메인MCU와 서브MCU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 비상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은,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1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서브MCU 고장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MCU와, 상기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2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MCU 고장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브MCU와, 상기 제1전압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를 비교하여 차량의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비교부와, 상기 메인MCU 고장시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전원 비교부로 출력하고, 상기 서브MCU 고장시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전원 비교부로 출력하는 비상 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MCU와 서브MCU는 SPI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호 고장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비상 시동부는 상기 제1전압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를 논리합 연산하는 제1논리합소자와, 상기 제2전압신호와 상기 제1제어신호를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제2논리합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비교부로 출력하는 시동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동 차단부는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제3논리합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비교부는 상기 제1전압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시동상태 신호와 시동버튼에 의한 스위칭 신호와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동신호를 제어하는 시동오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전압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논리곱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동오프부는 상기 시동상태 신호와 상기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3제어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2논리곱소자와, 상기 제2논리곱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논리곱소자의 출력신호를 논리합 연산하는 제4논리합소자와, 상기 제4논리합소자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논리곱소자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메인MCU와 서브MCU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 비상시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은 시동버튼(1)과 인증키 홀더(2)와 메인MCU(3)와 서브MCU(4)와 비상시동부(5)와 시동차단부(6)와 전원비교부(7)와 전원출력부(8) 및 엔진관리부(9)를 포함한다.
시동버튼(1)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에 시동을 걸고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인증키 홀더(2)는 인증키(FOB)를 삽입해서 TP통신을 할 수 있는 홀더로써, 차량의 도어 잠금과 시동을 위한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MCU(3)는 시동버튼(1)의 입력에 따라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를 출력하고, 서브MCU(4) 고장시 제1제어신호(Sub MCU NOK)를 출력한다.
서브MCU(4)는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출력하고, 메인MCU(3) 고장시 제2제어신호(Main MCU NOK)를 출력한다.
또한, 메인MCU(3)와 서브MCU(4)는 SPI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호 고장 여부를 체크한다.
비상 시동부(5)는 메인MCU(3) 고장시 제2제어신호(Main MCU NOK)에 따라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를 활성화하여 전원 비교부(7)로 출력하고, 서브MCU(4) 고장시 제1제어신호(Sub MCU NOK)에 따라 상기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활성화하여 전원 비교부(7)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제어신호(Sub MCU NOK)는 서브MCU(4) 고장시 하이(HIGH)로 활성화되고, 제2제어신호(Main MCU NOK)는 메인MCU(3) 고장시 하이(HIGH)로 활성화된다.
이러한 비상 시동부(5)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상기 제2제어신호(Main MCU NOK)를 논리합 연산하는 제1논리합소자(51)와,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와 제1제어신호(Sub MCU NOK)를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제2논리합소자(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논리합소자(51)는 각각의 제1전압신호 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에 대해 제2제어신호(Main MCU NOK)와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도록 다수개의 OR 게이트로 구성한다.
또한, 제2논리합소자(52)도 각각의 제2전압신호 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에 대해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도록 다수개의 OR 게이트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상 시동부(5)는 메인MCU(3)와 서브MCU(4)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제2제어신호(Main MCU NOK)가 모두 로우(LOW)로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메인MCU(3)와 서브MCU(4)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그대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또한, 서브MCU(4)가 고장일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Sub MCU NOK)가 하이로 활성화되어 입력되므로 서브MCU(4)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모두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또한, 메인MCU(3)가 고장일 경우에는 제2제어신호(Main MCU NOK)가 활성화되어 입력되므로 메인MCU(3)로부터 출력되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를 모두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시동 차단부(6)는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제2제어신호(Main MCU NOK)를 입력받아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OFF_CS)를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이러한 시동 차단부(6)는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제2제어신호(Main MCU NOK)를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OR 게이트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동 차단부(6)는 메인MCU(3)와 서브MCU(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일 경우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제2제어신호(Main MCU NOK)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므로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OFF_CS)를 하이로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전원비교부(7)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비교하여 차량의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원비교부(7)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비교하여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출력하는 비교부(71)와, 시동상태 신호(ON/OFF)와 시동버튼(1)에 의한 스위칭 신호(L_SSB_SW1)와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OFF_CS)에 따라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제어하는 시동오프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비교부(7)는 각각의 제1전압신호 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대응되는 각각의 제2전압신호 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논리곱 연산하는 다수개의 AND 게이트로 구성한다.
시동오프부(72)는 시동상태 신호(ON/OFF)와 스위칭 신호(L_SSB_SW1)와 제3제어신호(OFF_CS)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2논리곱소자(721)와, 제2논리곱소자(721)의 출력신호와 제1논리곱소자(71)의 출력신호를 논리합 연산하는 제4논리합소자(722)와 제4논리합소자(72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논리곱소자(71)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소자(72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비교부(7)는 메인MCU(3)와 서브MCU(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경우에도 시동을 온 할 경우 비상시동부(5)를 통해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와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가 입력되므로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시동신호 START를 하이로 출력한다.
또한, 전원비교부(7)는 시동오프를 위한 스위칭 신호(L_SSB_SW1)가 입력되면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OFF_CS)에 의해 시동오프부(72)가 활성화되므로 시동 오프를 위한 시동신호 IGN1,IGN2를 로우로 출력한다.
전원출력부(8)는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입력받아 시동신호 START, ACC, IGN1, IGN2 중 활성화되는 시동신호를 엔진관리부(9)를 출력하면, 엔진관리부(9)는 해당 시동신호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메인MCU 고장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브MCU 고장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메인MCU(3)가 고장인 경우 비상시동부(5)는 제2제어신호(Main MCU NOK)에 의해 메인MCU(3)로부터 출력되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를 모두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그러면, 전원비교부(7)는 서브MCU(4)로부터 입력되는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에 따라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출력한다.
즉, 비상 시동을 온 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서브MCU(4)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2_ON2, IGN2_ON2, IGN2_OFF1, IGN2_OFF2)에 의해 비상 시동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서브MCU(4)가 고장인 경우 비상시동부(5)는 제1제어신호(Sub MCU NOK)에 의해 서브MCU(4)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압신호(START_ON2, ACC_ON2, IGN1_ON2, IGN2_ON2, IGN1_OFF2, IGN2_OFF2)를 모두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그러면, 전원비교부(7)는 메인MCU(3)로부터 입력되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에 따라 시동신호(START,ACC,IGN1,IGN2)를 출력한다.
즉, 비상 시동을 온 하는 경우, 도 3와 같이 메인MCU(3)로부터 출력되는 제1전압신호(START_ON1, ACC_ON1, IGN1_ON1, IGN2_ON1, IGN1_OFF1, IGN2_OFF1)에 의해 비상 시동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을 참고하여 메인MCU와 서브MCU(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동 차단부(6)는 메인MCU(3)와 서브MCU(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일 경우 제1제어신호(Sub MCU NOK)와 제2제어신호(Main MCU NOK)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므로 시동차단을 위한 제3제어신호(OFF_CS)를 하이로 활성화시켜 전원비교부(7)로 출력한다.
그러면, 전원비교부(7)는 시동오프를 위한 스위칭 신호(L_SSB_SW1)가 입력되는 경우 제3제어신호(OFF_CS)에 의해 시동오프부(72)가 활성화되므로 비상 시동 오프 동작을 위한 시동신호(IGN1,IGN2)를 출력하여 시동을 오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메인MCU와 서브MCU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비상시동과 시동오프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 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메인MCU 고장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브MCU 고장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동버튼 2 : 인증키 홀더
3 : 메인MCU 4 : 서브MCU
5 : 비상시동부 6 : 시동차단부
7 : 전원비교부 8 : 전원출력부
9 : 엔진관리부

Claims (8)

  1.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START_ON1, ACC_ON1, IGN1_ON1 및 IGN2_ON1 각각에 대한 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서브MCU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MCU;
    상기 시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START_ON2, ACC_ON2, IGN1_ON2 및 IGN2_ON2 각각에 대한 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MCU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브MCU;
    상기 메인MCU 및 상기 서브MCU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MCU가 정상이면 상기 START_ON1, ACC_ON1, IGN1_ON1 및 IGN2_ON1에 대한 전압신호를 그대로 제1전압신호들로 출력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MCU가 고장이면 상기 START_ON1, ACC_ON1, IGN1_ON1 및 IGN2_ON1에 대한 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전압신호들로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MCU가 정상이면 상기 START_ON2, ACC_ON2, IGN1_ON2 및 IGN2_ON2에 대한 전압신호를 그대로 제2전압신호들로 출력하고,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MCU가 고장이면 상기 START_ON2, ACC_ON2, IGN1_ON2 및 IGN2_ON2에 대한 전압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전압신호들로 출력하는 비상시동부; 및
    상기 비상시동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전압신호들과 상기 제2전압신호들을 비교하여 차량의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동신호는 START 신호, ACC 신호, IGN1 신호 및 IGN2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MCU와 서브MCU는 SPI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호 고장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시동부는,
    상기 제2제어신호와 상기 START_ON1, ACC_ON1, IGN1_ON1 및 IGN2_ON1에 대한 전압신호 각각을 논리합 연산하는 제1논리합소자들; 및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START_ON2, ACC_ON2, IGN1_ON2 및 IGN2_ON2에 대한 전압신호 각각을 논리합 연산하는 제2논리합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전원비교부로 출력하는 시동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비교부는,
    시동상태 신호, 시동버튼에 의한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시동차단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IGN1 신호 및 상기 IGN2 신호를 제어하는 시동오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MCU는 IGN1_OFF1 신호 및 IGN2_OFF1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서브MCU는 IGN1_OFF2 신호 및 IGN2_OFF2 신호를 더 출력하며,
    상기 전원비교부는,
    상기 제1전압신호들 중 IGN1_ON1 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들 중 IGN1_ON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1논리곱소자;
    상기 제1전압신호들 중 IGN2_ON1 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들 중 IGN2_ON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2논리곱소자;
    상기 IGN1_OFF1 신호와 상기 IGN1_OFF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3논리곱소자;
    상기 IGN2_OFF1 신호와 상기 IGN2_OFF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4논리곱소자;
    상기 제13논리곱소자의 출력 및 상기 시동오프부의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1논리곱소자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IGN1 신호를 출력하는 제1래치소자; 및
    상기 제14논리곱소자의 출력 및 상기 시동오프부의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2논리곱소자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IGN2 신호를 출력하는 제2래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비교부는,
    상기 제1전압신호들 중 START_ON1 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들 중 START_ON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START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전압신호들 중 ACC_ON1 신호와 상기 제2전압신호들 중 ACC_ON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ACC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비교부는,
    상기 START_ON1 신호와 상기 START_ON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5논리곱소자; 및
    상기 ACC_ON1 신호와 상기 ACC_ON2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는 제16논리곱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KR1020090129289A 2009-12-22 2009-12-22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KR10154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89A KR101546517B1 (ko) 2009-12-22 2009-12-22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89A KR101546517B1 (ko) 2009-12-22 2009-12-22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82A KR20110072382A (ko) 2011-06-29
KR101546517B1 true KR101546517B1 (ko) 2015-08-21

Family

ID=4440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89A KR101546517B1 (ko) 2009-12-22 2009-12-22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115B1 (ko) * 2014-10-17 2022-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비상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016A (ja) 2004-10-05 2006-04-2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始動制御装置
JP2007040270A (ja) 2005-08-05 2007-02-15 Denso Corp 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エンジン始動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016A (ja) 2004-10-05 2006-04-2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始動制御装置
JP2007040270A (ja) 2005-08-05 2007-02-15 Denso Corp 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エンジン始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8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6231B2 (en) Watchdog circuit, power IC and watchdog monitor system
KR100906272B1 (ko) 무선 키 및 도어 원격 제어 시스템
US20120310447A1 (en) Keyless entry device for vehicle
US11146082B2 (en) Method of preventing battery discharg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performing the same
JP2004259137A (ja) 電子制御装置
US8400267B2 (en) 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KR101546517B1 (ko)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
RU273068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CN109398307B (zh) 无钥匙进入和启动系统及提高该系统安全性的方法
US9145100B2 (en) In-vehicle ECU
US20150367738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8206390A (ja) 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それに対応する負荷の活動化方法
KR102410515B1 (ko) 제어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193941B2 (ja) 統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フェールセーフ回路及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130113746A (ko) 암전류 절감 장치 및 방법
JP2008222051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518236B1 (ko) 웨이크업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N220421812U (zh) 一种tbox异常修复电路及车辆
CN215526418U (zh) 电子机器的控制装置
TWI639289B (zh) Power system for vehicles
US20080288161A1 (en) Engine starting apparatus
KR101125641B1 (ko) 백업전원의 누설전류 차단장치
JP2015218523A (ja) 車両用制御装置
JP5077127B2 (ja) 携帯機
JP3282255B2 (ja) 車両ドアのロッ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