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087B1 -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 Google Patents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087B1
KR101546087B1 KR1020150054759A KR20150054759A KR101546087B1 KR 101546087 B1 KR101546087 B1 KR 101546087B1 KR 1020150054759 A KR1020150054759 A KR 1020150054759A KR 20150054759 A KR20150054759 A KR 20150054759A KR 101546087 B1 KR101546087 B1 KR 10154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le
piston housing
insertion posi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원
Original Assignee
고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원 filed Critical 고동원
Priority to KR102015005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압력조절밸브는, 마운팅 플랜지를 갖는 밸브 몸체, 밸브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고압펌프 내측으로 설치되는 피스톤 하우징, 및 피스톤 하우징의 연료 배출구를 통해서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료 배출구로부터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가 개시된다.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는,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하며, 제1 관통 홀로 피스톤을 노출시키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 제1 관통 홀로 삽입되며, 하부 단면이 피스톤 하우징의 연료 배출구 주변 상면에 밀착되도록 제2 관통 홀을 가지며,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관통 홀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갖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제2 관통 홀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는 가압용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FLOW CONTROL TOOL FOR PRESSURE CONTROL VALVE OF DIESEL ENGINE HIGH PRESSUER PUMP}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 사용되는 압력조절밸브의 연료 배출량을 결정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압력조절밸브의 연료 배출구에 삽입된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여 연료 배출구로부터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에 관한 것이다.
디젤 기관에서 사용되는 고압펌프의 역할은 고압연료를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며, 커먼-레일(고압 축압기)(common rail)에서의 급격한 압력상승과 원활한 시동을 위해 연료를 비축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고압펌프는 분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고압 축압기에서의 압력을 계속적으로 생성한다. 고압펌프의 동작원리는 이미 공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고압펌프에 관해서는 공개번호 10-2002-0004006 및 10-2009-0122017 등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를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 중의 울렁거림, 간헐적 시동 꺼짐 등은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에 관한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고압펌프 정비는 노후 차량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다만, 상기한 문제들은 실지로 고압펌프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 고압펌프에 보내지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주요부품인 압력조절밸브(당업자들에게 인렛미터링밸브(INLET METERING VALVE) 또는 LP 액추에이터로 지칭됨)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압력조절밸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문제 해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참고로, 인렛미터링밸브의 역할 및 구조에 관해서는 공개번호 10-2014-0041899 및 공개번호 10-2002-0004006 등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력조절밸브에서 연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된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조절밸브는, 디젤 고압펌프에 결속되는 마운팅 플랜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밸브 몸체, 밸브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고압펌프 내측의 연료 공급을 위한 통로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하우징, 및 피스톤 하우징의 연료 배출구를 통해서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연료 배출구로 노출되는 피스톤을 통해서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는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여, 연료 배출구로부터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가 개시된다.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는, 마운팅 플랜지 상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하는 중공 내부를 가지며,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 단면이 마운팅 플랜지 상면에 지지되며, 상부에서부터 중공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어 연료 배출구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을 노출시키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 제1 관통 홀로 삽입되어 하부 단면이 피스톤 하우징의 연료 배출구 주변 상면에 밀착되도록 제2 관통 홀을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관통 홀을 통해서 연료 배출구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을 노출시키며, 제1 관통 홀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1 관통 홀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제2 관통 홀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면서 제2 관통 홀 하부로 노출되는 길이만큼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는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되, 제2 관통 홀 및 연료 배출구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 및 로드 삽입부의 상단에서 로드 삽입부만이 제2 관통 홀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상면에 지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가압용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을 하방으로 밀어내되, 정확히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제2 관통 홀 하방으로 노출되는 가압용 로드의 길이만큼만 하방으로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압력조절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 및 유압을 예측할 수 있고, 설계되거나 원하는 만큼 연료의 유량 및 유압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는 복수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를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는 서로 다른 길이로 제공되어 서로 다른 길이의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의 가압용 로드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가 여러 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를 한번에 보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에 삽입 가능한 삽입 홀이 형성되는 키트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하나의 키트 형태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외면에는 피스톤 하우징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예측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눈금표시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삽입위치 조절부분의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중공 내부는 피스톤 하우징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피스톤 하우징을 중공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상방에서 가압용 로드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내려칠 경우, 가압용 로드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외경 역시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정될 수 있고, 이에 상방에서 가압용 로드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내려칠 경우, 가압용 로드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젤 엔진 차량에서 차량 주행 중의 울렁거림, 간헐적 시동 꺼짐 등은 연료 공급에 관한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압력조절밸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문제 해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만, 연료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 없이 피스톤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며, 현장에서 이에 대한 불편함이 많은 실정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피스톤을 피스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료 배출구로부터 하방으로 밀어내되, 정확히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제2 관통 홀 하방으로 노출되는 가압용 로드의 길이만큼만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압력조절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 및 유압을 예측할 수 있고, 설계되거나 원하는 만큼 연료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는 복수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일한 길이의 가압용 로드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를 한번에 보관할 수 있는 키트본체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키트 형태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비할 수 있으면서 하나의 키트로 원하는 유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중공 내부를 피스톤 하우징의 외형에 맞춰 제공하여 중공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스톤 하우징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외경 역시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설계하여, 상방에서 가압용 로드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내려칠 경우, 가압용 로드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 홀의 내경은 연료 배출구의 내경 이하로 형성되어 제2 관통 홀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용 로드의 로드 삽입부가 연료 배출구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압력조절밸브가 장착된 디젤 기관의 고압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압펌프로부터 분리된 압력조절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가 장착된 압력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압력조절밸브가 장착된 디젤 기관의 고압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고압펌프로부터 분리된 압력조절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가 장착된 압력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는 디젤 엔진의 커먼-레일로 고압의 연료를 공급하는 고압펌프가 도시된다. 고압펌프(10)에는 외부의 연료저장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저압의 연료를 공급받아 고압펌프(10)에 보내지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2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압력조절밸브(20)는 커먼-레일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압펌프에 장착되며, 차량 제조회사나 차종에 따라서 다양한 외형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유압을 조절하는 기능은 동일하며, 기본적인 구성 요소 또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밸브(20)는 내측 중심에 원통형의 피스톤 하우징(27)이 끼워져 결속되는 밸브 몸체(22)를 가지며, 밸브 몸체(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밸브 몸체(22)를 고압펌프(10)의 펌프 하우징(12)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플랜지(23)를 갖는다. 마운팅 플랜지(23)에는 결속 나사(25)가 관통하는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관통하는 결속 나사(25)를 통해서 밸브 몸체(22)를 고압펌프(10)의 펌프 하우징(12)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밸브 몸체(22)에 강하게 끼워져 결속된 피스톤 하우징(27)은 밸브 몸체(22)에 결합된 상태로 펌프 하우징(12) 내측에 연료 공급을 위한 통로에 삽입 설치된다. 참고로, 피스톤 하우징(27) 주변을 수용하는 필터(2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펌프 하우징(12) 외측으로 노출되는 압력조절밸브(20) 부분에는 피스톤 하우징(27) 내부에 배치되는 피스톤(5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플러그(30)가 배치된다.
피스톤 하우징(27)의 연료 배출구(35)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노출되는 피스톤(50)은 그 아래에 배치된 하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서 상방으로 지지되며, 피스톤(50)은 연료 배출구(35) 내측에 꽉 끼어져 설치된 상태로 제공되어 하부 스프링에 의해서 쉽게 유동하지는 않는다.
다만, 전원 플러그(30)로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서 압력조절밸브(20)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하부 스프링의 장력과 자력을 더한 힘이 내부 유압과 피스톤(50) 상부에 배치되어 피스톤(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부 스프링(37)의 장력을 합한 힘보다 커져 피스톤(50)이 연료 배출구(35)를 향하여 이동하고, 이에 압력조절밸브(20)의 연료 배출구(35)가 닫히게 된다.
반대로, 압력조절밸브(20)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는, 전원 플러그(3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이며, 이 상태에서는 하부 스프링의 장력만으로 연료 배출구(35)를 향하여 피스톤(50)이 상방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되며, 내부 유압이 하부 스프링의 장력보다 커져 피스톤(50)과 연료 배출구(35)사이로 연료가 배출되도록 압력제어밸브(20)가 열리게 된다.
상술한 솔레노이드 및 피스톤에 의한 장력과 내부의 연료 압력에 관한 압력조절밸브의 작동 원리나 상세한 내부 구조는 이미 대형 인터넷 포털 사이트(internet portal site)의 백과사전이나,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한국 공개특허 등에 수 없이 개시된 상태이며,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을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함에 목적이 있는 연유로 압력조절밸브의 더 상세한 내용은 앞선 자료들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27)의 외측으로는 피스톤 하우징(27)의 외주를 따라서 펌프 하우징(12) 내측에 형성된 연료 공급을 위한 통로 내면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O-링(40)이 배치되며, 밸브 몸체(22)의 외측에도 별도의 O-링(6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고압펌프 및 압력조절밸브는 종종 교체나 정비를 필요로 하며,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중의 울렁거림, 간헐적 시동 꺼짐 등은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에 관한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고압펌프 정비는 노후 차량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다만, 상기한 문제들은 실지로 고압펌프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 고압펌프에 보내지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주요부품인 압력조절밸브(당업자들에게 인렛미터링밸브(INLET METERING VALVE) 또는 LP 액추에이터로 지칭됨)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고, 압력조절밸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문제 해결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연료조절밸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및 가압용 로드(130)를 포함한다.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는 마운팅 플랜지(23)의 상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하우징(27)을 수용하도록 중공으로 제공되며, 피스톤(50)이 삽입된 연료 배출구(35)를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스톤 하우징(27)의 상면 일부도 커버한다. 중공 내부 형상은 피스톤 하우징(27)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는 피스톤 하우징(27)을 수용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하우징(27)에서 O-링(40, 60)이나 필터(29)들은 제거한 상태에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에 피스톤 하우징(27)를 삽입시키지만, 경우에 따라서, O-링(40, 60)이나 필터(29) 등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내부 중공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는 피스톤 하우징(27)을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 단면이 마운팅 플랜지(23) 상면(33)에 지지된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는 상부에서 중공 내부까지 관통하는 제1 관통 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관통 홀(112)을 통해서 연료 배출구(35)에 삽입 설치된 피스톤(50)이 노출된다.
그리고,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의 제1 관통 홀(112) 상부에서부터 삽입되며, 하부 단면이 연료 배출구(35)를 막지 않도록 피스톤 하우징(27)의 연료 배출구(35) 주변 상면에 밀착된다.
또한,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역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122)을 통해서 연료 배출구(35)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50)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는 제1 관통 홀(112)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관통 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1 관통 홀(112)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삽입위치 조절부분(H)을 갖는다.
또한,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의 외경 역시 제1 관통 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가압용 로드(130)는 제2 관통 홀(122)의 상부에서부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내부로 진입하여 제2 관통 홀(122) 하부로 노출되는 길이만큼 피스톤(5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스톤 하우징(27) 내측에 삽입되는 피스톤(50)의 삽입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압용 로드(130)는 구체적으로, 외경이 제2 관통 홀(122)에 꽉 끼워져 삽입 가능하게 제작되어 제2 관통 홀(122)로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132) 및 로드 삽입부(132)의 상단에서 로드 삽입부(132)만이 제2 관통 홀(122)로 진입 가능하도록 로드 삽입부(132)의 외경이나 제2 관통 홀(12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부(134)를 갖는다. 참고로, 로드 삽입부(132)의 하부 단부는 점차 직경이 작아져 날카롭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용 로드(130)는 제2 관통 홀(122)의 주변 즉,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상면(128)에 확장부(134)가 지지됨으로써,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상면으로 노출된 로드 삽입부(132)의 길이 즉, 삽입위치 조절부분만큼만 피스톤(50)을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를 이용하여, 피스톤(50)을 연료 배출구(35) 입구에서부터 하방으로 밀어내되, 정확히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의 제2 관통 홀(122) 하방으로 노출되는 가압용 로드(130)의 길이만큼만 하방으로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압력조절밸브(2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 및 유압을 예측할 수 있고, 설계되거나 원하는 만큼 연료의 유량 및 유압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는 5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는 서로 다른 길이로 제공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길이의 삽입위치 조절부분(H)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가압용 로드(130)가 서로 다른 길이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의 제2 관통 홀(122)로 삽입되면, 가압용 로드(130)는 서로 다른 거리로 피스톤(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처럼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가 여러 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및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를 한번에 보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 및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에 삽입 가능한 삽입 홀이 형성되는 키트본체(140)를 더 제공할 수 있고, 이에 하나의 키트 형태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비할 수 있으면서 하나의 키트로 원하는 유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키트 형태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100)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를 위한 수용몸체 캡(114)을 더 구비할 수 있고, 가압용 로드(130)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의 외면에는 피스톤 하우징(27)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50)의 이동 거리 즉,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예측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126)가 제공될 수 있다. 눈금표시(126)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삽입위치 조절부분의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언급했듯이,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의 중공 내부는 피스톤 하우징(27)의 외형에 대응하여 피스톤 하우징(27)을 중공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11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고, 마찬가지로,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120)의 외경 역시 제1 관통 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정되어 있어서, 상방에서 가압용 로드(130)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내려칠 경우, 가압용 로드(13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피스톤(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 홀(122)의 내경 및 연료 배출구(35)의 내경은 동일하게 제공되나, 연료 배출구의 내경은 제2 관통 홀보다는 커도 무방하며, 가압용 로드(130)의 외경은 상기 제2 관통 홀(122)에 밀착되어 삽입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가압용 로드(130)가 좌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피스톤(5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고압펌프 12:펌프 하우징
20:압력조절밸브 22:밸브 몸체
23:마운팅 플랜지 25:결속 나사
27:피스톤 하우징 29:필터
30:전원 플러그 35:연료 배출구
37:상부 스프링 40:O-링
50:피스톤 100: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110: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 112:제1 관통 홀
120: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122:제2 관통 홀
124:삽입위치 조절부분 126:눈금표시
130:가압용 로드 132:로드 삽입부
134:확장부 140:키트본체

Claims (7)

  1. 압력조절밸브는, 디젤 고압펌프에 결속되는 마운팅 플랜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압펌프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하우징, 및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연료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배출구로 노출되는 상기 피스톤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연료 배출구로부터 상기 고압펌프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하는 중공 내부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 하우징을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 단면이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면에 지지되며, 상부에서부터 상기 중공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료 배출구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을 노출시키는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
    상기 제1 관통 홀로 삽입되어 하부 단면이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상기 연료 배출구 주변 상면에 밀착되도록 제2 관통 홀을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 홀을 통해서 상기 연료 배출구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피스톤을 노출시키며, 상기 제1 관통 홀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관통 홀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상기 제2 관통 홀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2 관통 홀 하부로 노출되는 길이만큼 상기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피스톤의 삽입위치를 조절하되, 상기 제2 관통 홀 및 상기 연료 배출구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 및 상기 로드 삽입부의 상단에서 상기 로드 삽입부만이 상기 제2 관통 홀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상면에 지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가압용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의 상기 삽입위치 조절부분을 갖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를 포함하여,
    동일한 길이의 상기 가압용 로드가 서로 다른 길이로 제공되는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상기 제2 관통 홀로 삽입되면, 상기 가압용 로드는 서로 다른 거리로 상기 피스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 및 상기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가 삽입되는 키트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외면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예측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상기 중공 내부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하우징을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 수용몸체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위치 조절용 스탑퍼의 외경은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홀의 내경은 연료 배출구의 내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KR1020150054759A 2015-04-17 2015-04-17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KR10154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59A KR101546087B1 (ko) 2015-04-17 2015-04-17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59A KR101546087B1 (ko) 2015-04-17 2015-04-17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087B1 true KR101546087B1 (ko) 2015-08-20

Family

ID=5406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759A KR101546087B1 (ko) 2015-04-17 2015-04-17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210B1 (ko) 1997-12-02 2000-10-02 김형국 안전밸브의 스프링 장력 조정용 장치
KR200226820Y1 (ko) 1997-11-14 2001-10-25 박상록 디젤연료분사펌프의실내압력조정장치
JP2013133753A (ja) 2011-12-27 2013-07-08 Bosch Corp 圧力調整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20Y1 (ko) 1997-11-14 2001-10-25 박상록 디젤연료분사펌프의실내압력조정장치
KR100262210B1 (ko) 1997-12-02 2000-10-02 김형국 안전밸브의 스프링 장력 조정용 장치
JP2013133753A (ja) 2011-12-27 2013-07-08 Bosch Corp 圧力調整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1910B (zh) 自动排水排出设备
US6923164B1 (en) Fuel supply apparatus
US6964264B2 (en) Fuel supply apparatus
ATE393340T1 (de) Ventilvorrichtung
KR101238320B1 (ko) 솔레노이드 펌프
JP2015222110A (ja) シリンダ装置
CN106471226B (zh) 油泵控制阀
KR101546087B1 (ko)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용 유량조정공구
US20070209876A1 (en) Oil level adjuster
KR101546086B1 (ko) 디젤 고압펌프의 압력조절밸브를 위한 분해공구
JP2008038689A (ja) 燃料供給装置
KR101137529B1 (ko) 가스 차량용 가스 인젝터
CN107524906B (zh) 微量润滑装置
JP2009281527A (ja) リリーフバルブ
KR101654752B1 (ko) 가스 분사 밸브
US11932100B2 (en) Valve device
JP2010084540A (ja) 燃料供給装置
JP2009257420A (ja) オイル量調整装置
JP5374646B2 (ja) 噴霧装置
JP2008138650A (ja) 電磁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装置
KR102007467B1 (ko)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JP7264099B2 (ja) タンク
JP2006226223A (ja)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9013907A (ja) 下付け燃料ポンプユニット装置
JP2006083821A (ja) 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