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689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689B1
KR101545689B1 KR1020140000455A KR20140000455A KR101545689B1 KR 101545689 B1 KR101545689 B1 KR 101545689B1 KR 1020140000455 A KR1020140000455 A KR 1020140000455A KR 20140000455 A KR20140000455 A KR 20140000455A KR 101545689 B1 KR101545689 B1 KR 10154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plate
pair
mounting portion
side surface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872A (ko
Inventor
김상옥
김병오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유양디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양디앤유 filed Critical (주)유양디앤유
Priority to KR102014000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689B1/ko
Priority to PCT/KR2014/005597 priority patent/WO2015102182A1/ko
Publication of KR2015008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2Housings with variable shape or dimensions, e.g. by means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or by movement of parts forming telescopic extensions of the hous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확산판의 배치를 다양하게 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1개 또는 여러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형식으로 조명의 설치장소 및 설치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확산판의 배치를 다양하게 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주택, 빌딩 및 작업장 등과 같은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매장 및 진열장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이에 적용되는 램프가 전력을 과다하게 소비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크게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발광효율은 더 높으면서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LED(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LED는 종래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며, 고속응답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조명장치에 효율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LED는 빛이 한 점에서 '점광(点光)'되는 직진특성으로 인하여 눈부심이 매우 심하므로 시력을 손상시키는 등으로 전시장의 특수 조명 또는 차량의 전조등 등에 사용될 뿐 일반 조명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LED의 발광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빛이 조사되는 경로 상에 설치하거나, 빛이 조사되는 경로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직접 또는 간접적인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LED를 이용한 직접 또는 간접 조명장치는 이른바 감성조명으로써 사용장소 및 사용용도에 따라 구조를 변형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구조의 변경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설치장소 또는 조명장치의 용도 등에 따라서 조명장치의 설계를 변경하는 경우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의 기능을 확보하지 못하여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설치시간과 설계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작업이 불편하여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개 또는 여러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구조로 조명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취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확산판설치부를 가지는 2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확산판설치부와, 상기 2 이상의 하우징 중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상기 확산판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확산판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이 상기 한 쌍의 측면이 돌출되는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외부확산판설치부와 상기 돌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부와 상기 확산판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이동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끝단과 상기 돌출면을 연결하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산판은 상기 돌출면과 상기 걸림면에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산판은 상기 요홈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의 단부에 상기 확산판이 설치되는 확산판설치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1면이 상기 바닥판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2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3면이 상기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의 외면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광원은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절곡부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제4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4면의 두께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1개 또는 여러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형식으로 조명의 설치장소 및 설치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LED광원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LED광원이 하우징 외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고정 연결하는 브라켓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브라켓에 의하여 4개의 하우징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조명 프레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하우징과 하우징이 브라켓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실시예와 제2연결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하우징과 하우징이 브라켓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실시예와 제4연결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20);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30); 및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12)과, 상기 한 쌍의 측면(12)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확산판설치부(40)를 가지는 2 이상의 하우징(10);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설치부(40)는 상기 확산판(30)이 상기 한 쌍의 측면(12)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확산판설치부(41)와, 상기 2 이상의 하우징(10) 중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상기 확산판(30)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확산판설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확산판설치부(41)는 상기 한 쌍의 측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1)일 수 있다. 확산판(30)은 이 돌출부(41) 각각의 일면에 걸림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돌출부(41)는 3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판(30)은 그 3개의 면 중 바닥면(11)과 마주보는 걸림면(41a)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 돌출부(41)는 2개일 수 있다. 즉 양 측면(12)으로부터 각각 2 개씩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판(30)은 두 개의 돌출부(41)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외부확산판설치부(42,43)는 상기 확산판(30)이 상기 한 쌍의 측면(12)이 돌출되는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외부확산판설치부(42)와 상기 돌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2외부확산판설치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방향은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외부확산판설치부(42,43)는 상기 확산판(30)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부(42a,43a)와 상기 확산판(30)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이동구속부(42b,4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부확산판설치부(42)의 지지부와 구속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12)의 끝단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42b)과, 상기 끝단과 상기 돌출면(42b)을 연결하는 걸림면(42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하우징(10)은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우징(10)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판(30)은 각 하우징(10)의 하단에 배치된 측면(12)의 걸림면(42a)에 걸림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확산판(30)은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개의 하우징(10) 각각의 측면(12)의 걸림면(42a)에 걸림되어 설치될 수 있다.
측면(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면(42b)은 측면(12)의 끝단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30)은 걸림면(42a)에 걸림되는 동시에 돌출면(42b)에 맞닿을 수 있다. 여기서 걸림면(42a)은 전술한 지지부(42a)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확산판(30)은 두 개의 하우징(10) 중 하나의 하우징(10)에 형성된 돌출면(42b)과 다른 하나의 하우징(10)에 형성된 돌출면(42b) 사이에 끼워져 좌우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면(42b)은 전술한 이동구속부(42b,43b)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서 확산판(30)을 안정감 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LED광원(20)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LED광원(20)이 하우징(10) 외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제2외부확산판설치부(43)는 상기 한 쌍의 측면(12)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4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하우징(10)은 평행하게 배치되되, 두 개의 하우징(10)의 개구부 모두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판(30)은 하나의 하우징(10)의 측면(12)과 다른 하나의 하우징(10)의 측면(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확산판(30)은 하나의 하우징(10)의 측면(12)에 형성된 요홈(43)과 다른 하나의 하우징(10)의 측면(12)에 형성된 요홈(43)에 각각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요홈은 3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산판(30)은 그 중 하나의 면에 걸림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면은 전술한 지지부(43a)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확산판(30)의 끝단이 요홈의 바닥에 위치한 면에 접촉하여 좌우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요홈의 바닥에 위치한 면은 전술한 이동구속부(43b)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하우징(10)이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나의 하우징(10)은 개구부가 측방을 향하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10)은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판(30)의 일측은 개구부가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하우징(10)의 측면(12)의 걸림면(42a)에 걸림되고, 타측은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하우징(10)의 측면(12)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에 걸림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 확산판(30)이 하우징(10)과 하우징(10) 사이뿐만 아니라, 하나의 하우징(10)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LED광원(20)은 하나의 하우징(10)의 바닥면(11)의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직접조명은 확산판(30)이 라이트가 조사되는 경로(P) 상에 설치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간접조명은 확산판(30)이 라이트가 조사되는 경로(P)의 주변에 설치된 경우 즉, 확산판(30)이 라이트가 조사되는 경로(P)와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LED광원(20)이 하나의 하우징(10)의 내면과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는 모두 확산판(30)이 라이트가 조사되는 경로(P) 상에 배치되는 경우로서 직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LED광원(20)이 하나의 하우징(10)의 내면에 설치되는 경우는 간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고,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는 직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LED광원(20)이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하우징(10)의 내면에 설치된 경우는 직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고, 개구부가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하우징(10)의 내면에 설치된 경우는 간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LED광원(20)이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는 직접조명을 발산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LED광원(20)은 하나의 하우징(10)의 내면 또는 두 개의 하우징(10) 사이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이 두 개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은 두 개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하우징(10)이 사각형 형태 또는 격자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20);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30); 및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12)과, 상기 한 쌍의 측면(12) 각각의 단부에 상기 확산판(30)이 설치되는 확산판설치부(40)를 가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설치부(40)는 상기 한 쌍의 측면(12)의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1면이 상기 바닥판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2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3면이 상기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제2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돌출부(41)는 제2면 각각에 2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4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내부확산판설치부(41)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돌출부(41)는 제2면 중에서 상기 제3절곡부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30)은 돌출부(41)의 일면에 걸림되어 안착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면 사이에서 좌우 이동이 구속되어 안정감 있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1)의 외면에는 복수의 방열핀(50)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의 하우징(1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방열핀 구조 및 하우징 재질에 의하여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LED광원(20)은 상기 한 쌍의 측면(12)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설치부(40)는 상기 제4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4면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1외부확산판설치부(42)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면의 두께는 상기 한 쌍의 측면(12)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그럼으로써 확산판(30)이 제4면에 걸림되어 설치됨에 있어서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절곡부로부터 한 쌍의 측면(12)이 돌출된 돌출방향으로 돌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30)은 이 돌출부(41)와 제4면 사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고정 연결하는 브라켓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5(a)는 브라켓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제2실시형태를, 도 5(c)는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브라켓에 의하여 4개의 하우징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조명 프레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하우징과 하우징이 브라켓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실시예와 제2연결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하우징과 하우징이 브라켓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실시예와 제4연결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하우징과 하우징이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7(b)는 제2연결실시예를, 도 8(a)는 제3연결실시예를, 도 8(b)는 제4연결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2 이상의 하우징(10)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될 수 있으며,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 사이를 연결하는 또 다른 2 이상의 하우징(1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병렬로 배치된 2 이상의 하우징(10)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2 이상의 하우징(10)이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과 하우징(10)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결되기 위하여 브라켓(50)을 사용할 수 있다.
브라켓(50)은 실시예에 따라서 여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브라켓(50)의 제1실시형태(50a)는 중앙부가 만곡 또는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즉, 중앙부에 4개의 절곡부가 있는 형상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체결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0)의 제2실시형태(50b)는 플레이트의 넓은 면이 한 번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50)의 제3실시형태(50c)는 넓은 면을 바라볼 때 "ㄱ"자의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의 일단부측의 넓은 면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브라켓의 형상은 열거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a)을 참고하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제1연결실시예는 브라켓(50)의 제1실시형태(50a) 한 쌍이 하우징(10)의 양 측면(12)에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제2연결실시예는 브라켓(50)의 제2실시형태(50b) 하나가 하우징(10)의 바닥면(11)에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제3연결실시예는 브라켓(50)의 제3실시형태(50c)와 제1실시형태(50a)가 함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브라켓(50)의 제3실시형태(50c)가 하우징(10)의 측면(12)에 설치되고, 브라켓(50) 제1실시형태(50a)가 하우징(10)의 바닥면(11)에 설치되는 형태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제4연결실시예는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10) 중 한쪽에는 브라켓(50)의 제1실시형태(50a) 한 쌍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는 브라켓(50)의 제1실시형태(50a)와 제3실시형태(50c)가 조합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하우징(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조명장치
10: 하우징
20: LED광원
30: 확산판
40: 확산판설치부
50: 브라켓

Claims (11)

  1.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확산판설치부를 가지는 2 이상의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확산판설치부와, 상기 2 이상의 하우징 중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상기 확산판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확산판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이 상기 한 쌍의 측면이 돌출되는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외부확산판설치부와 상기 돌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확산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확산판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이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끝단과 상기 돌출면을 연결하는 걸림면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은 상기 돌출면과 상기 걸림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부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은 상기 요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전원을 공급받고, 일방향으로 라이트를 조사하는 LED광원;
    상기 라이트를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의 단부에 상기 확산판이 설치되는 확산판설치부를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1면이 상기 바닥면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2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제3면이 상기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외면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은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설치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절곡부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40000455A 2014-01-02 2014-01-02 Led 조명장치 KR10154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55A KR101545689B1 (ko) 2014-01-02 2014-01-02 Led 조명장치
PCT/KR2014/005597 WO2015102182A1 (ko) 2014-01-02 2014-06-24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55A KR101545689B1 (ko) 2014-01-02 2014-01-02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872A KR20150080872A (ko) 2015-07-10
KR101545689B1 true KR101545689B1 (ko) 2015-08-19

Family

ID=5349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455A KR101545689B1 (ko) 2014-01-02 2014-01-02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5689B1 (ko)
WO (1) WO2015102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41A1 (ko)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인산리튬의 제조방법, 수산화리튬의 제조방법, 및 탄산리튬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658A (ja) 2005-09-20 2007-04-0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面照明装置
JP2007157398A (ja) 2005-12-01 2007-06-21 Nissei Electric Co Ltd 照射ヘッド
KR101163965B1 (ko) 2012-03-15 2012-07-09 김동준 조명등 본체에 결합되는 확산판 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서 조명등 본체에 바로 탈부착할 수 있는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834B2 (en) * 2001-12-21 2005-02-08 Joseph A. Leysath Light emitting diode lamp having parabolic reflector and diffuser
US8789966B2 (en) * 2010-12-16 2014-07-29 Abl Ip Holding Llc LED lighting assembly for fluorescent light fixtures
US20130294059A1 (en) * 2012-05-04 2013-11-07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Led light fix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658A (ja) 2005-09-20 2007-04-0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面照明装置
JP2007157398A (ja) 2005-12-01 2007-06-21 Nissei Electric Co Ltd 照射ヘッド
KR101163965B1 (ko) 2012-03-15 2012-07-09 김동준 조명등 본체에 결합되는 확산판 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서 조명등 본체에 바로 탈부착할 수 있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872A (ko) 2015-07-10
WO2015102182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443B2 (en) Horizontal light guide based lighting fixture
JP5331143B2 (ja) 照明装置
EP2752617B1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JP5254138B2 (ja) Led照明器具
JP2017059416A (ja) Led照明装置
KR101545689B1 (ko) Led 조명장치
JPWO2014050336A1 (ja) 光源装置
JP2016212992A (ja)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KR101961936B1 (ko) 형광등 대체용 led 램프
JP2014029816A (ja) Ledランプ。
CN103775859A (zh) Led三防灯及其导热散热方法
KR101120998B1 (ko) 자성체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JP5740569B2 (ja) 照明器具
US9804322B1 (en) Linear edgelit lighting system with heat sink base and clamp coupled together with a fastener
US20140009939A1 (en)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unit and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assembling unit
JP2015021645A (ja) 天井パネル
JP3179317U (ja) 多方向照射の発光ダイオード灯具
JP5717095B2 (ja) 看板用直管蛍光灯型ledランプ
JP5568165B2 (ja) 照明装置
EP2813747A1 (en) Straight tube lamp and luminaire
US20180216792A1 (en) Recessed light fixture
KR20150042130A (ko) 조명 기구
KR20200047215A (ko) 천장등 장착장치
CN211853601U (zh) 极窄发光宽度的线条灯
JP3178617U (ja) 環状型照明装置と照明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