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208B1 - 다이캐스팅 금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208B1
KR101545208B1 KR1020140117627A KR20140117627A KR101545208B1 KR 101545208 B1 KR101545208 B1 KR 101545208B1 KR 1020140117627 A KR1020140117627 A KR 1020140117627A KR 20140117627 A KR20140117627 A KR 20140117627A KR 101545208 B1 KR101545208 B1 KR 10154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cam
cavity
inner cor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주)재승금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승금형 filed Critical (주)재승금형
Priority to KR102014011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별도의 후가공 없이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2b)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c)에 슬랑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내부코어(10)와, 상기 내부코어(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20)이 구비되므로, 한번의 작업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 금형{Die casting mold}
본 발명은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별도의 후가공 없이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비철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하여 정밀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치수가 정확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어서, 자동차 부품이나 전자기기의 케이스 등을 제작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다이캐스팅에 사용되는 다이캐스팅 금형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접면에 캐비티(3)가 형성된 상하부금형(1,2)과, 상기 상부금형(1) 또는 하부금형(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코어(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4)는 상기 상부금형(1) 또는 하부금형(2)의 둘레면에서 상부금형(1) 또는 하부금형(2)의 캐비티(3)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품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나 관통공(6) 또는 오목홈 등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금형(1,2)과 코어(4)를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3)와 코어(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용융된 비철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하고, 주입된 금속이 냉각된 후 상기 상하부금형(1,2)과 코어(4)를 상호 분리함으로써, 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나 관통공 또는 오목홈 등이 형성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2)에는 완성된 제품을 상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쉬바(2a)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다이캐스팅 금형은 상기 코어(4)가 상기 상부금형(1)이나 하부금형(2)의 둘레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상부금형(1)이나 하부금형(2)의 둘레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구성됨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난 제품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좌측단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판(5)에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6)은 좌측단의 지름이 작고 우측단의 지름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관통공(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의 우측둘레부에서 하부금형(2)의 내부 좌측으로 길게 연장된 코어(4)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4)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단의 지름이 작고 우측단의 지름이 큰 관통공(6)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코어(4)가 상기 하부금형(2)에 구비된 푸쉬바(2a)나 구조물에 간섭됨으로, 하부금형(2)의 우측 둘레부에서 하부금형(2)의 내부 좌측까지 연장되는 코어(4)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코어(4)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열팽창에 의한 코어(4)의 변형율 역시 커지게 되어 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 이와 같은 형태의 관통공(6)이 형성된 제품을 생산할 때는, 상부금형(1)이나 하부금형(2)의 좌측에 구비된 코어(4)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6) 좌우측단의 내경이 동일한 반제품을 먼저 제작한 후,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상기 관통공(6)의 우측단 내경을 목적하는 크기 또는 형태로 확대시켰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반제품을 제작한 후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완제품을 생산할 경우,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경우, 제품의 내부에 다수의 미세한 기공이 발생되는데,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된 제품을 후가공을 통해 연삭 또는 절삭할 경우, 제품의 내부서 발생된 기공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5)에 연장판(5)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이 형성된 제품 뿐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5)의 우측면에 오목홈(7)이 형성된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67015호 등록특허 10-053749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별도의 후가공 없이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이캐스팅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접면에 캐비티(3)가 형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금형(1,2)과, 상기 상부금형(1) 또는 하부금형(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코어(4)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는 오목부(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b)의 일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b)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2c)를 통해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내부코어(10)와, 상기 내부코어(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단부에는 캠홀(11)이 상하면을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상기 캠홀(11)에 결합된 캠부재(21)와, 상기 캠부재(2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캠부재(2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코어(10)의 후측단에는 캠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유닛(23)에 의해 상기 캠부재(21)와 함께 승강되며 전면에는 상기 캠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된 보조캠부재(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캠부재(22)는 후측면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캠면(12)의 경사각(θ1)은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에 의해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가 상승되면,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가 상기 캠홀(11)과 캠면(12)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2b)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c)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내부코어(10)와, 상기 내부코어(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20)이 구비되므로, 한번의 작업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어려운 제품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어려운 제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에서 내부코어와 출몰구동수단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내부코어와 출몰구동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을 도시한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좌측단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판(5)에 연장판(5)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6)은 좌측단의 지름이 작고 우측단의 지름이 크게 구성된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다이캐스팅 금형은 인접면에 캐비티(3)가 형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금형(1,2)과, 상기 상부금형(1) 또는 하부금형(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코어(4)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코어(4)는 상기 하부금형(2)의 양측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구성되어, 도시 안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b)의 내부에는 내부코어(10)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코어(10)는 출몰구동수단(20)이 연결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목부(2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에 형성된 캐비티(3)에서, 상기 제품의 연장판(5)을 형성하는 부위의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c)는 상기 오목부(2b)와 캐비티(3)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코어(1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c)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측으로 전진시 좌측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진시 선단부가 좌측에 구비된 코어(4)의 우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 즉 좌측단부는 상기 관통공(6)의 우측단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단부에는 캠홀(1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캠홀(11)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코어(10)의 후측단에는 상기 캠홀(11)과 평행하게 경사진 캠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상기 캠홀(11)에 결합된 캠부재(21)와, 상기 캠면(12)에 밀착되는 보조캠부재(22)와, 상기 캠부재(21) 및 보조캠부재(22)에 연결되어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23)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캠부재(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1a)와, 상기 수직부(21a)의 상단에서 상기 캠홀(11)에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1b)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부(21b)가 상기 캠홀(11)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캠부재(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전면 상단에는 상기 캠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면(22a)이 상기 캠면(12)에 밀착됨과 동시에 후측면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은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강블록(23a)과, 상기 승강블록(23a)에 연결되어 승강블록(23a)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3b)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3b)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블록(23a)을 승강시키면,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가 동시에 승강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을 이용하여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를 하강시키면, 상기 캠부재(21)의 경사부(21b)와 상기 캠홀(11)의 작용에 의해 상기 내부코어(10)가 우측으로 후퇴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을 이용하여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를 상승시키면, 상기 캠부재(21)의 경사부(21b)와 상기 캠홀(11), 그리고, 캠면(12)과 상기 보조캠부재(22)의 경사면(22a) 사이의 작용에 의해 상기 내부코어(10)가 좌측으로 전진되어 상기 코어(4)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2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유닛(23)에 의해 캠부재(21)가 상승되면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상기 고정홈(2d)에 삽입되어 캠부재(21)의 상단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30은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캐스팅 금형은 상기 하부금형(2)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2b)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c)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내부코어(10)와, 상기 내부코어(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20)이 구비되므로, 한번의 작업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코어(4)는 하부금형(2)의 둘레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됨으로, 도 3에 나타난 제품의 관통공(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부금형(2)의 우측에서 좌측까지 연장된 긴 코어(4)를 이용하여야 함으로,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하부금형(2)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부(2b)에 내부코어(10)를 구비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코어(10)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코어(1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내부코어(10)가 하부금형(2)의 다른 부분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상기 내부코어(10)를 이용하여 제품의 좌측에 구비된 연장판(5)에 좌측단의 지름이 작고 우측단의 지름이 큰 관통공(6)을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상기 관통공(6)의 형태를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단부에는 캠홀(11)이 상하면을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상기 캠홀(11)에 결합된 캠부재(21)와, 상기 캠부재(2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캠부재(2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2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을 이용하여 상기 캠부재(21)를 승강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캠작용에 의해 상기 내부코어(10)가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출몰구동수단(2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출몰구동수단(2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캠부재(21)와 캠홀(11)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코어(10)가 우측으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상기 내부코어(10)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3)의 내부에 용융된 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할 경우,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에 압력이 가해져 내부코어(10)가 우측으로 후퇴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캠부재(21)가 상기 캠홀(11)의 내부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우측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 상기 캐비티(3)의 내부에 용융된 금속을 주입할 때 내부코어(10)가 후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홈(2d)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전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을 이용하여 상기 캠부재(21)를 상승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상기 고정홈(2d)에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21)가 상승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3)에 용융된 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할 때, 상기 캠부재(21)의 상단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내부코어(10)가 후퇴되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코어(10)의 후측단에는 캠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유닛(23)에 의해 상기 캠부재(21)와 함께 승강되며 전면에는 상기 캠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된 보조캠부재(22)가 구비됨으로, 상기 캐비티(3)의 내부에 용융된 금속을 주입할 때, 상기 보조캠부재(22)가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단부를 지지하여, 내부코어(10)가 후퇴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캠부재(22)는 후측면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내부코어(10)에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보조캠부재(22)가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내부코어(1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판(5)에 관통공(6)이 형성된 제품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5)의 우측면에 오목홈(7)이 형성된 제품을 제작하거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캠면(12)의 경사각(θ1)은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에 비해 큰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부재(21)의 경사부(21b)의 경사각과, 상기 보조캠부재(22)의 경사면(22a)의 경사각은 상기 캠면(12)과 캠홀(11)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캠면(12)의 경사각(θ1)은 수직선에 비해 18°경사로 구성되고,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은 12°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캐스팅 금형은 상기 캠면(12)의 경사각(θ1)이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에 비해 큰 경사각을 갖게 됨으로, 상기 캠홀(11)의 내부 후측면과 상기 캠면(12)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쐐기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21)와 보조캠부재(22)가 상승되면, 상기 캠홀(11)의 내부 후측면과 상기 캠면(12)이 상기 캠부재(21)의 후측면과 보조캠부재(22)의 경사면(22a)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3)에 용융된 비철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할 때, 상기 내부코어(10)가 후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캠면(12)의 경사각(θ1)은 수직선에 비해 18°경사로 구성되고,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은 12°경사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캠면(12)의 경사각(θ1)과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상부금형 2. 상부금형
10. 내부코어 20. 출몰구동수단

Claims (5)

  1. 캐비티(3)가 형성된 상부금형(1);
    상기 상부금형(1)에 대향하는 면에는 캐비티(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1)의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1)과 상호 결합되되, 하측에는 오목부(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b)의 일측에는 상기 캐비티(3)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2c)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상측면에는 고정홈(2d)이 형성된 하부금형(2);
    상기 상부금형(1) 또는 상기 하부금형(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코어(4);
    상기 개구부(2c)를 통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2c)를 통해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돌출되는 내부코어(10); 및
    상기 내부코어(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코어(10)의 선단부가 상기 캐비티(3)의 내부로 출몰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코어(10)의 후단부에 상하면이 경사지게 관통되도록 형성된 캠홀(11)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홈(2d)에 삽입 결합되는 캠부재(21)와, 전면에는 상기 내부코어(10)의 후측단에 형성된 캠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후측면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밀착되는 보조캠부재(22)와, 상기 캠부재(21) 및 상기 보조캠부재(22)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캠부재(21) 및 상기 보조캠부재(2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23)을 포함하는 출몰구동수단(20); 을 포함하되,
    상기 캠부재(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1a)와, 상기 수직부(21a)의 상단에서 상기 캠홀(11)에 대응되도록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캠홀(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정홈(2d)에 결합되는 경사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캠부재(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고, 전면 상단에는 상기 캠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22a)이 상기 캠면(12)에 밀착됨과 동시에 후측면이 상기 오목부(2b)의 내부 후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승강구동유닛(23)은 상기 캠부재(21)와 상기 보조캠부재(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강블록(23a)과, 상기 승강블록(23a)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록(23a)을 승강시켜 상기 캠부재(21)와 상기 보조캠부재(22)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3b)를 포함하고,
    상기 캠면(12)의 경사각(θ1)은 상기 캠홀(11)의 경사각(θ2)에 비해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구동유닛(23)에 의해 상기 캠부재(21)와 상기 보조캠부재(22)가 상승되면, 상기 캠홀(11)의 내부 후측면과 상기 캠면(12)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쐐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캠부재(21)와 상기 보조캠부재(22)가 상기 캠홀(11)과 캠면(12)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내부코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17627A 2014-09-04 2014-09-04 다이캐스팅 금형 KR10154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27A KR101545208B1 (ko) 2014-09-04 2014-09-04 다이캐스팅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27A KR101545208B1 (ko) 2014-09-04 2014-09-04 다이캐스팅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208B1 true KR101545208B1 (ko) 2015-08-18

Family

ID=5406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627A KR101545208B1 (ko) 2014-09-04 2014-09-04 다이캐스팅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485B1 (ko) 2009-02-26 2011-06-01 제임스강 측면 홀 동시 가공이 가능한 비정질 합금용 슬라이드 다이캐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485B1 (ko) 2009-02-26 2011-06-01 제임스강 측면 홀 동시 가공이 가능한 비정질 합금용 슬라이드 다이캐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152B1 (ko)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의 제품취출용 이젝터 장치
JP2011152548A (ja) 閉塞鍛造用金型装置
JP2008212942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545208B1 (ko) 다이캐스팅 금형
US10130990B2 (en) Casting mold
JP2007098740A (ja) 樹脂成形金型装置
JP5708263B2 (ja) 鋳型造型金型及び同金型段替え方法
JP2013086119A (ja) 砂中子造形金型押出し機構
JP6390367B2 (ja) 成形金型、及び金型段取り方法
CN103600445B (zh) 一种具有内缩式行位结构的模具
CN107443686A (zh) 四面同时抽芯模具
CN106424646B (zh) 一种模具及带有模具的压铸机
CN102700048B (zh) 一种无塞块式箱体发泡模具
JP2019089075A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
CN102161075B (zh) 金属模构造和铸造方法
JP5398147B2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104416118B (zh) 一种射蜡模模具旋出结构
JP2008155265A (ja) 成形用金型
CN204604776U (zh) 注塑模具t型槽式斜顶侧抽芯机构
JP2015123637A (ja) エジェクタ装置および成形金型
JP5836837B2 (ja) 鋳造用金型
JP4794586B2 (ja) ダイカスト金型及びダイカスト法
CN207449000U (zh) 注塑模具塑料件边缘斜孔抽芯机构
JP5480646B2 (ja) 真空鋳造用金型
CN216032276U (zh) 一种大型油缸抽芯止退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