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090B1 -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090B1
KR101545090B1 KR1020140054652A KR20140054652A KR101545090B1 KR 101545090 B1 KR101545090 B1 KR 101545090B1 KR 1020140054652 A KR1020140054652 A KR 1020140054652A KR 20140054652 A KR20140054652 A KR 20140054652A KR 101545090 B1 KR101545090 B1 KR 10154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shift
hole
rai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5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록플레이트(100)의 쉬프트가이드홀(110)에 디텐트레일(120) 및 디텐트홀(121,122)이 형성되고, 변속 쉬프팅시 쉬프트핑거의 이동에 의해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디텐트홀에 결합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쉬프트스토퍼(200)가 구비된다. 쉬프트스토퍼(200)에 의해 쉬프트핑거가 구속됨으로써 점프아웃 현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JUMP OUT PREVENTION DEVICE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상태에서 쉬프트핑거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점프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자동차 기술의 연구개발은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동향에 따라 변속기 부문에서도 연비 개선을 위해서 토크컨버터를 이용하는 자동변속기 대신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및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 Dual Clutch Transmission)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변속 액츄에이터는 쉬프트핑거를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쉬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케이스(10)에는 변속 액츄에이터와 쉬프트레일(20)에 장착된 쉬프트러그(30)의 연결을 위한 개구홀(11)이 형성되고, 개구홀(11)의 주변에는 변속 액츄에이터의 장착을 위한 장착면(12)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홀(11)의 하부에는 쉬프트러그(30)들이 정렬되어 있으며, 장착면(12)에 변속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샤프트(40)에 스플라인 체결되어 셀렉트 방향(직선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및 쉬프트 방향(곡선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쉬프트핑거(50)의 하단부가 쉬프트러그(30)의 상단 전후에 형성된 걸림턱(31)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어신호에 따른 변속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쉬프트핑거(50)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한 뒤, 변속하고자 하는 단수에 해당되는 걸림턱(31)을 쉬프트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주면, 해당 쉬프트러그(30)와 쉬프트레일(20)이 이동하여, 쉬프트레일(20)에 장착된 쉬프트포크(미도시)가 싱크로나이저의 슬리브를 이동시켜 변속기 메인샤프트와 변속기어를 동기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엔진 외에 저속구간 구동용 모터를 더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시스템(Hybrid drive system)이 적용된 차량은 감속시 모터를 역회전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그런데,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과, 차량의 관성과, 메인샤프트에 변속기어를 고정하는 스냅링의 고정상태 불량 등을 이유로 변속기어와 클러치기어가 분리되면서 변속 위치에 있는 쉬프트핑거(50)가 중립 위치로 빠지는 점프아웃(Jump out) 현상이 발생한다.
점프아웃 현상이 발생하면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행 상황에 따라서는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급작스런 기어의 분리는 변속기의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 위치에 있는 쉬프트핑거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되어 점프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변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변속기케이스의 개구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인터록플레이트와,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의 쉬프트가이드홀 양측면에 형성된 디텐트레일과, 상기 디텐트레일의 전후 양단에 형성된 디텐트홀과, 상기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쉬프트핑거에 밀려서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디텐트홀과 결합함으로써 쉬프트핑거의 위치를 구속하는 쉬프트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디텐트레일은 쉬프트가이드홀 양측면의 전후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디텐트레일의 전후 단부에 상기 디텐트홀이 형성된다.
상기 쉬프트스토퍼는 쉬프트핑거가 관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관부재와, 관부재에 내장된 스프링 및 관부재의 양단에서 몸체의 일부가 돌출되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된 디텐트볼을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볼이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디텐트홀에 삽입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은 전방과 후방의 가로부재와, 이들 가로부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세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과 후방의 가로부재에 상기 관부재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디텐트레일의 폭과 디텐트홀의 지름과 디텐트볼의 지름은, 디텐트레일의 폭 < 디텐트홀의 지름 < 디텐트볼의 지름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관부재에 인접하여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프레임의 양측 가로부재에 양단이 장착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되는 원통형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록플레이트에 쉬프트스토퍼가 구비되어, 변속 위치에 있는 쉬프트핑거를 쉬프트스토퍼가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인터록플레이트와 쉬프트스토퍼의 결합력에 의해 쉬프트핑거의 위치가 구속됨으로써 구동모터 역회전, 차량 관성, 스냅링 고정력 불량 등의 여러 요인이 발생하여도 쉬프트핑거가 중립 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점프아웃 현상이 방지된다.
점프아웃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주행중 불시에 구동 불가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급작스런 기어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변속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변속 액츄에이터 장착용 개구홀과 장착면이 형성된 변속기케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변속 액츄에이터의 쉬프트핑거와 쉬프트러그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쉬프트스토퍼가 장착된 인터록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쉬프트스토퍼가 구비된 인터록플레이트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5는 인터록플레이트에 형성된 디텐트레일과, 이를 이용한 쉬프트스토퍼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6은 쉬프트스토퍼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쉬프트스토퍼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쉬프트스토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롤러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쉬프트스토퍼가 장착된 인터록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인터록플레이트(100)의 중앙에 쉬프트 방향(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쉬프트가이드홀(110)에 그 쉬프트가이드홀(110)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고, 변속위치에서 소정의 고정력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쉬프트스토퍼(200)가 설치된다.
인터록플레이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케이스(10)에 형성된 변속 액츄에이터 설치용 개구홀(11)의 전후부에 형성된 차단플레이트(14a,14b)의 사이에 셀렉트 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변속 액츄에이터의 쉬프트핑거(50; 도 7참조)는 쉬프트스토퍼(200)를 관통하여 쉬프트러그들의 전후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쉬프트핑거(50)의 셀렉트 방향 이동에 따라 인터록플레이트(100)가 동시 이동하게 되고, 인터록플레이트(100)는 선택되지 않은 쉬프트러그의 쉬프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인터록플레이트(100)는 쉬프트핑거(50)의 쉬프트러그에 대한 이중 걸림을 방지하여 목적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만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도 4에서 미설명 부호 12는 개구홀(11) 주변에 형성된 변속 액츄에이터의 장착면이고, 13은 그 장착면에 변속 액츄에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플레이트(100)의 쉬프트가이드홀(110) 양쪽 측면에는 디텐트레일(120)이 형성되고, 디텐트레일(120)의 쉬프트 방향 전후 단부에는 디텐트홀(121,122)이 형성된다. 디텐트레일(120)은 쉬프트가이드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길이가 긴 홀이다.
이후 설명할 쉬프트스토퍼(200)의 구조에 대응하여 디텐트레일(120)은 쉬프트가이드홀(110) 양쪽 측면의 쉬프트 방향 전후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즉, 좌우 2개씩 총 4개의 디텐트레일(120)이 형성되고, 각 디텐트레일(120)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는 각각 디텐트레일(120)의 폭보다 확장된 지름을 갖는 디텐트홀(121,122)이 형성된다. 단, 디텐트홀(121,122)의 지름은 이후 설명할 쉬프트스토퍼(200)의 디텐트볼(261,262)(263,264) 지름보다 크지 않다. 즉, 디텐트레일(120)의 폭보다 디텐트홀(121,122)의 지름이 크고, 디텐트홀(121,122)의 지름보다 디텐트볼(261,262)(263,264)의 지름이 큰 관계에 있다.
따라서, 디텐트볼은 디텐트레일에 일부 삽입되어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디텐트홀에서는 삽입되는 양이 늘어 필요한 만큼의 위치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스토퍼(200)는 쉬프트핑거(5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된 관부재(220,230)와, 관부재(220,230)에 내장되는 스프링(240,250)과, 스프링(240,250)에 탄지되어 관부재(220,230)의 외측으로 밀려지는 디텐트볼(261,262,263,264)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틀 형상의 부품으로서, 쉬프트 방향으로 전방과 후방 부분을 구성하는 가로부재(211)와, 전방과 후방 가로부재(211)의 양단을 세로로 연결하여 셀렉트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 부분을 구성하는 세로부재(212)로 이루어진다. 설치 상태에서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쉬프트핑거(50)가 삽입되어 쉬프트핑거(50)의 하단부가 쉬프트러그의 걸림턱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210)의 전방과 후방의 가로부재(211)에는 각각 관부재(220,2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전방 관부재(220)와 후방 관부재(230) 각각에는 스프링(240,250)이 내장되고, 전방 관부재(220)와 후방 관부재(230) 각각의 양단부에는 스틸 재질의 디텐트볼(261,262)(263,264)이 구비된다. 디텐트볼(261,262)(263,264)은 스프링(240,250)의 양단부에 의해 항상 관부재(220,230)의 외측으로 밀려지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관부재(220,230)의 양단부는 디텐트볼(261,262)(263,264)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어서, 디텐트볼(261,262)(263,264)은 몸체의 일부가 관부재(220,2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관부재(220,230)의 외부로 이탈될 수는 없도록 되어 있다.
쉬프트스토퍼(20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인터록플레이트(100)의 쉬프트가이드홀(110) 상부에서 쉬프트스토퍼(200)을 하방으로 밀어 넣는다. 초기 단계에서 디텐트볼(261,262)(263,264)이 쉬프트가이드홀(110) 양측면의 상부 모서리에 걸리면서 관부재(220,23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감으로써 쉬프트스토퍼(200)를 쉬프트가이드홀(11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후 곧 디텐트볼(261,262)(263,264)이 디텐트레일(120)에 삽입되면서 결합력이 발생하여 쉬프트스토퍼(20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설치 상태에서 쉬프트스토퍼(200)는 디텐트레일(120)을 따라 전후 방향(쉬프트 방향과 동일)으로 이동할 수 있다. 쉬프트스토퍼(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디텐트볼(261,262)(263,264)이 디텐트레일(120)을 따라 전방으로 구름 이동하다가 전방 디텐트홀(121)에 이르면 관부재(220,230)로부터 더 돌출되면서 전방 디텐트홀(121)에 안착되고, 쉬프트스토퍼(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디텐트볼(261,262)(263,264)이 디텐트레일(120)을 따라 후방으로 구름 이동하다가 후방 디텐트홀(122)에 이르면 관부재(220,230)로부터 더 돌출되면서 후방 디텐트홀(121)에 안착된다.
디텐트홀(121,122)에 디텐트볼(261,262)(263,264)이 안착되면 디텐트홀과 디텐트볼의 걸림 작용에 의해 쉬프트스토퍼(200)의 고정력이 강화되어 그 상태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조립이 완료된 사용 상태에서 쉬프트핑거(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스토퍼(200)를 관통하고 있다.
기어 중립 상태에서 쉬프트스토퍼(200)의 관부재(220,230)는 디텐트레일(120)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변속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쉬프트핑거(50)가 변속단 셀렉팅 후, 전방으로 쉬프팅되면, 쉬프트핑거(50)에 의해 쉬프트스토퍼(200)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며, 변속 완료 위치에서 디텐트볼(261,262)(263,264)이 전방 디텐트홀(121)에 삽입 안착된다.
또한, 변속단 셀렉팅 후 중립 상태에서 쉬프트핑거(50)가 후방으로 쉬프팅되면, 쉬프트스토퍼(200)가 후방으로 밀려 이동되고, 변속 완료 위치에서 디텐트볼(261,262)(263,264)은 후방 디텐트홀(122)에 삽입 안착된다.
디텐트볼(261,262)(263,264)이 디텐트홀(121,122)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스프링(240,250)의 탄발력에 의해 디텐트볼(261,262)(263,264)과 디텐트홀(121,122)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홀(121,122)은 쉬프트핑거(50)가 완전한 변속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쉬프트핑거(50)와 함께 이동한 쉬프트스토퍼(200)의 디텐트볼(261,262)(263,26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한 변속 작동이 종료된 시점 즉, 변속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디텐트볼(261,262)(263,264)은 각각의 대응하는 디텐트홀(121,122)에 삽입 안착된다. 따라서, 변속 완료 상태에서 쉬프트스토퍼(200)에 위치 고정력이 발생하고, 쉬프트핑거(50)가 쉬프트스토퍼(20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쉬프트핑거(50)가 중립 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점프아웃 현상이 방지된다. 단, 쉬프트스토퍼(200)에 의한 위치 고정력은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한 정상적인 조작력 보다는 작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정상적인 변속 작동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점프아웃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주행 중 차량이 불시에 구동 불가 상태에 빠지지 않게 되며, 이에 사고 발생의 위험이 크게 감소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급작스런 기어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각종 기어, 싱크로나이저, 샤프트 등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하고, 누적 피로가 감소되어, 변속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쉬프트스토퍼(2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270)는 쉬프트스토퍼(200)의 프레임(210)에 설치되는데, 전방 및 후방의 가로부재(2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양 측부의 세로부재(212)에 양단이 장착된다.
완충부재(2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71)의 외주에 원통형의 롤러(272)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샤프트(271)는 양단이 프레임(210)의 양측 세로부재(212)에 장착될 수 있는 길이 및 지름을 갖는다. 롤러(272)는 샤프트(27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완충부재(270)는 완충부재(270) 전체가 회전되도록 즉, 샤프트(271)가 프레임(2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샤프트(271)는 고정되고, 샤프트(271)에 대해 롤러(272)만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롤러(272)는 이에 접촉되는 쉬프트핑거(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쉬프트스토퍼(200)에 회전 가능한 완충부재(270)가 설치될 경우, 변속 조작(쉬프팅)시 쉬프트핑거(50)가 완충부재(270)의 롤러(272)에 접촉하여 이를 밀게 되고, 이때 쉬프트핑거(50)는 컨트롤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미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쉬프트핑거(50)와 롤러(27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롤러(272)가 회전된다. 즉, 롤러(272)의 회전에 의해 쉬프트핑거(50)와 쉬프트스토퍼(200)간 접촉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접촉 충격 및 진동이 감소되어, 보다 부드럽게 쉬프트스토퍼(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롤러(272)가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된 경우, 쉬프트핑거(50)가 쉬프트스토퍼(200)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작동 소음의 감소에도 도움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변속기케이스 11 : 개구홀
12 : 장착면 50 : 쉬프트핑거
100 : 인터록플레이트 110 : 쉬프트가이드홀
120 : 디텐트레일 121,122 : 디텐트홀
200 : 쉬프트스토퍼 210 : 프레임
211 : 가로부재 212 : 세로부재
220,230 : 관부재 240,250 : 스프링
261,262,263,264 : 디텐트볼 270 : 완충부재
271 : 샤프트 272 : 롤러

Claims (9)

  1. 변속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변속기케이스의 개구홀에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인터록플레이트와;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의 쉬프트가이드홀 양측면에 형성된 디텐트레일과;
    상기 디텐트레일의 단부에 형성된 디텐트홀과;
    상기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쉬프트핑거에 밀려서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디텐트홀과 결합함으로써 쉬프트핑거의 위치를 구속하는 쉬프트스토퍼;
    를 포함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레일은 쉬프트가이드홀 양측면의 쉬프트 방향 전후 부분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디텐트레일의 쉬프트 방향 전후 단부에 상기 디텐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스토퍼는 쉬프트핑거가 관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쉬프트 방향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관부재와, 관부재에 내장된 스프링 및 관부재의 양단에서 몸체의 일부가 돌출되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된 디텐트볼을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볼이 디텐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디텐트홀에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쉬프트 방향 전방과 후방의 가로부재와, 이들 가로부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방향 전방과 후방의 가로부재에 상기 관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레일의 폭과 디텐트홀의 지름과 디텐트볼의 지름은,
    디텐트레일의 폭 < 디텐트홀의 지름 < 디텐트볼의 지름
    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쉬프트 방향 전방과 후방 부분에 상기 관부재에 인접하여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프레임의 양측 가로부재에 양단이 장착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되는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KR1020140054652A 2014-05-08 2014-05-08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KR10154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2A KR101545090B1 (ko) 2014-05-08 2014-05-08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2A KR101545090B1 (ko) 2014-05-08 2014-05-08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090B1 true KR101545090B1 (ko) 2015-08-18

Family

ID=5406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652A KR101545090B1 (ko) 2014-05-08 2014-05-08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75A (ko) 2019-11-22 2021-06-0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점프아웃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0328A (ja) 2007-04-10 2008-10-30 Aisin Ai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ストッパー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0328A (ja) 2007-04-10 2008-10-30 Aisin Ai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ストッパー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75A (ko) 2019-11-22 2021-06-0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점프아웃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3528B (zh) 变速装置
JP4608298B2 (ja) 変速制御装置、変速制御方法及び鞍乗型車両
JP4875302B2 (ja) ドグクラッチ
EP2180213B1 (en) Manual transmission
KR10243247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02818016A (zh) 控制车辆的双离合器变速器的方法
JP5630578B2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JP2008045663A (ja) 変速装置
TW201540992A (zh) 變速控制裝置
KR101545090B1 (ko) 변속기의 점프아웃 방지장치
JP5874651B2 (ja) 手動変速機
KR101601376B1 (ko) 차량용 변속장치
JP2008045664A (ja) 変速装置
KR101519229B1 (ko) 수동변속기 오조작 방지 장치
JP2012202482A (ja) 変速装置
JP2012026480A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4583390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2007016949A (ja) 変速制御装置の非常操作機構
JP5439555B2 (ja) 変速機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JP7288975B2 (ja) 変速機
JPH07127738A (ja) 電子制御変速機
KR20150015312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684498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JP6251102B2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