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827B1 -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27B1
KR101544827B1 KR1020130121905A KR20130121905A KR101544827B1 KR 101544827 B1 KR101544827 B1 KR 101544827B1 KR 1020130121905 A KR1020130121905 A KR 1020130121905A KR 20130121905 A KR20130121905 A KR 20130121905A KR 101544827 B1 KR101544827 B1 KR 10154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omposition
sample
cleaning
group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817A (ko
Inventor
푸 위-츠
짜이 원-짜이
루 밍-후이
창 쑹-위안
Original Assignee
유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82Cleaning product to be clea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01L21/02074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the processing being a planarization of conductiv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3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09Amines or imines with one to four nitrogen atoms;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45Amino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22Organic solvents containing oxygen
    • C11D2111/22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 및 물을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CLEANING COMPOSITION AND CLEANING METHOD}
본 발명은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대형 집적회로(VLSI) 제조공정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CMP) 공정은 웨이퍼 표면의 광역 평탄화(global planarization)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이 초미세(sub-micron) 영역에 진입한 후 화학적 기계적 연마법은 더욱더 필요한 기술이다.
CMP공정에서의 모든 측정효율 항목에서 결함의 존재 여부가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이다.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에서의 결함은 유기 잔여물, 작은 과립, 미세한 긁힘 및 부식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정 단계에서 연마에 의해 연마패드 또는 웨이퍼 상에 발생한 잔여물 또는 흔적 등 오염물을 깨끗하게 세정하지 않으면 연마패드의 효능이 떨어지고, 막층 제거율의 균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소자의 전기적 효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을 함유하는 세정액을 사용하여 웨이퍼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이 독성이 있어 조작할 때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웨이퍼 표면의 잔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웨이퍼 표면의 평탄성 및 조작 상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세정액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습윤능력 및 세정 효과가 우수한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정을 마친 웨이퍼가 양호한 표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 및 물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은 예를 들어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triamine pentaacetic acid)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은 예를 들어, 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및 트리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tr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의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2-메톡시에탄올(2-methoxyethanol), 2-에톡시에탄올(2-ethoxyethanol), 2-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2-이소프로폭시에탄올(2-isopropoxyethanol),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2-페녹시에탄올(2-phenoxyethanol),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2-(2-methoxyethoxy)ethanol),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2-(2-butoxyethoxy)ethanol), 2-이소부톡시에탄올(2-isobutoxyethanol), 1,2-프로필렌 글리콜(1,2-propylene glycol), 1,3-프로필렌 글리콜(1,3-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1,5-펜탄디올(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1,7-헵탄디올(1,7-heptanediol), 2,3-디메틸-2,3-부탄디올(2,3-dimethyl-2,3-butanediol)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용매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은 화학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3092495917-pat00001
식 중, R2, R3, R4, R5, Rα, Rβ 및 RN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70 중량% ~ 99.997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pH값은 예를 들어 8 ~ 12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하는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방법이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거친 상기 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세정 조성물은 양호한 습윤능력 및 세정 효과를 가진다. 그 외에,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세정방법은 상기 제공한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함으로써 세정을 거친 웨이퍼의 표면 거칠기가 낮고, 양호한 표면 형상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장점을 더 명확하고 쉽게 이해하기 위해 실시예과 도면을 결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등 반도체 제조공정을 거친 후 웨이퍼, 기판 및 연마패드 등 소자의 세정 과정에 적용되는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세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과 적어도 하나의 용매와 적어도 하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 및 물을 포함한다. 이하, 세정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은 예를 들어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이다.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은 예를 들어 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및 트리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의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그 외에,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15 중량%이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은 예를 들어 화학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1)
Figure 112013092495917-pat00002
식 중, R2, R3, R4, R5, Rα, Rβ 및 RN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이다. 그 외에,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은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은 0.3 중량% ~ 1.8 중량%이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의 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은 세정 조성물이 알칼리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조성물의 pH값은 8 ~ 12이다.
용매는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상기 용매는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프로폭시에탄올, 2-이소프로폭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페녹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2-이소부톡시에탄올,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2,3-디메틸-2,3-부탄디올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또한,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용매의 함유량이 약 0.001 중량% ~ 10 중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용매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2 중량% ~ 5 중량%이다.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70 중량% ~ 99.997 중량%이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샘플 1 내지 샘플 9의 세정 조성물의 조성성분, 중량비 및 pH값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샘플 1과 샘플 4는 비교예이며, 샘플 1은 2-부톡시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고, 샘플 4는 펜에틸아민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샘플 1 내지 샘플 6의 세정 조성물은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DTPA), 2-부톡시에탄올, 펜에틸아민 및 물을 포함하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을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으로 하고, 2-부톡시에탄올을 용매로 한다. 또한, 샘플 7은 치환된 펜에틸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샘플 6과 동일한 성분으로 제조된다. 한편, 샘플 8과 샘플 9는 폴리아미노카복실산의 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샘플 6과 동일한 성분으로 제조된다.
샘플 성분 pH값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wt%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칼륨
wt%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암모늄
wt%
2-부톡시에탄올
wt%
펜에틸아민
wt%
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
wt%
샘플1 0.15 0.0 0.0 0.0 0.5 0.0 10
샘플2 0.15 0.0 0.0 2.0 0.5 0.0 10
샘플3 0.15 0.0 0.0 5.0 0.5 0.0 10
샘플4 0.15 0.0 0.0 2.0 0.0 0.0 8.8
샘플5 0.15 0.0 0.0 2.0 0.3 0.0 9
샘플6 0.15 0.0 0.0 2.0 1.8 0.0 12
샘플7 0.15 0.0 0.0 2.0 0.0 0.6 10
샘플8 0.0 0.15 0.0 2.0 0.5 0.0 10
샘플9 0.0 0.0 0.15 2.0 0.5 0.0 10
(1) 습윤능력(wetting force) 테스트
정적드롭법(static sessile drop method)으로 샘플 1 내지 샘플 7의 세정 조성물의 습윤능력을 측정한다.
사용한 웨이퍼, 측정기기 및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웨이퍼: 8인치의 구리 코팅 웨이퍼, 구리의 두께는 5000Å이다. 8인치의 낮은 유전계수의 블랙 다이아몬드II(BD2) 코팅 웨이퍼.
측정기기: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eter)
실험방법: 접촉각 측정기를 이용하여 샘플 1 내지 샘플 7의 세정 조성물의 구리 코팅 웨이퍼 및 BD2웨이퍼 상에서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그 접촉각 측정결과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샘플 구리박막상의 접촉각
(도)
BD2박막상의 접촉각
(도)
샘플1 57.6 59.3
샘플2 41.3 51.2
샘플3 42.1 52.5
샘플4 52.5 55.3
샘플5 43 51.4
샘플6 42.3 52.3
샘플7 41.5 51.1
샘플8 41.4 51.1
샘플9 41.2 51.3
표 2에 의하면, 샘플 1 내지 샘플 3의 세정 조성물의 접촉각 측정결과로부터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지 않은 샘플 1이 큰 접촉각을 가지며, 샘플 1에 비해, 샘플 2와 샘플 3은 각각 2 중량% 및 5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기 때문에, 샘플 2와 샘플 3은 비교적 작은 접촉각을 가지며, 따라서 습윤 능력이 비교적 우수하다. 그 외에, 2-부톡시에탄올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이 작아지고, 함유량이 2 중량%일 때 접촉각이 제일 작으며, 함유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접촉각이 커진다. 또한, 샘플 2, 샘플 4 내지 샘플 6의 세정 조성물의 접촉각 측정결과로부터 펜에틸아민을 함유하지 않은 샘플 4의 접촉각이 크고,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이 작아지며, 함유량이 0.5 중량%일 때 접촉각이 제일 작고, 함유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접촉각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치환된 펜에틸아민(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을 사용한 샘플 7의 세정 조성물의 접촉각도 매우 작고, 마찬가지로 습윤 능력이 비교적 우수하다. 그 외에,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칼륨을 사용한 샘플 8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암모늄을 사용한 샘플 9의 세정 조성물의 접촉각도 매우 작으며, 마찬가지로, 습윤 능력이 비교적 우수하다.
상기에 근거해, 2-부톡시에탄올 함유량 2중량%는 접촉각 측정에서의 하나의 전환점이기 때문에 용매의 함유량을 2중량%로 높이면 구리박막 및 BD2박막 상에서의 세정 조성물의 습윤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 근거해, 펜에틸아민 함유량 0.5중량%는 접촉각 측정에서의 하나의 전환점이기 때문에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을 0.5 중량%로 높이면 구리박막 및 BD2박막 상에서의 세정 조성물의 습윤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용매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한 세정 조성물이 웨이퍼에 대한 습윤 능력이 비교적 양호하기 때문에 웨이퍼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에 근거해, 용매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할 경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염을 사용한 세정 조성물이 웨이퍼에 대해서도 비교적 양호한 습윤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웨이퍼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2) 구리 표면 거칠기 테스트
사용한 웨이퍼, 측정기기 및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웨이퍼: 8인치의 패턴화 웨이퍼
연마액: 구리제조공정 연마액
측정기기: 원자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AFM)
실험방법: 먼저, 연마기계(Mirra, 제품명)를 이용하여 구리제조공정 연마액으로 패턴화 웨이퍼를 연마하여 구리박막 및 배리어 박막을 제거한다. 그 다음, CMP세정기(Ontrak, 제품명)를 이용하여 표 1의 샘플 1 내지 표 7의 세정 조성물로 200ml/분의 속도로 패턴화 웨이퍼를 지속적으로 50초간 2번 세정한 다음, 패턴화 웨이퍼를 회전시켜 건조한다. 그 다음, 원자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패턴화 웨이퍼에 대해 0.18/0.18㎛ 선폭/선간격 위치에서 측정한 3개의 구리 표면 거칠기의 평균 값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샘플 1차 세정시간
(초)
2차 세정시간
(초)
구리표면 거칠기
(Å)
샘플1 50 50 6.82
샘플2 50 50 4.42
샘플3 50 50 4.58
샘플4 50 50 5.7
샘플5 50 50 4.51
샘플6 50 50 4.47
샘플7 50 50 4.4
샘플8 50 50 4.43
샘플9 50 50 4.41
표 3에 의하면, 샘플 1 내지 샘플 3의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구리 표면 거칠기 측정결과로부터 웨이퍼가 높은 거칠기를 가지도록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지 않은 샘플 1로 세정하고, 샘플 1에 비해 샘플 2와 샘플 3이 각각 2 중량% 및 5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기 때문에 샘플 2와 샘플 3을 사용하면 거칠기가 비교적 낮고, 따라서 비교적 양호한 웨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2-부톡시에탄올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웨이퍼의 표면 거칠기가 낮아지고, 함유량이 2 중량%일 때 거칠기가 가장 낮으며, 함유량이 계속하여 증가할 경우 거칠기가 높아진다. 또한, 샘플 2, 샘플 4 내지 샘플 6의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구리 표면 거칠기의 측정결과로부터 웨이퍼가 높은 거칠기를 가지도록 펜에틸아민을 함유하지 않는 샘플 4로 세정하고,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거칠기가 낮아지고, 함유량이 0.5 중량%일 때 거칠기가 제일 낮고, 함유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거칠기가 높아진다. 그 외에, 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7의 세정 조성물로 세정하여도 마찬가지로 웨이퍼 표면 거칠기가 낮아진다. 한편,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칼륨을 함유한 샘플 8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암모늄을 함유한 샘플 9의 세정 조성물로 세정하여도 웨이퍼 표면의 거칠기가 낮아진다.
상기에 근거해, 2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 및 0.5 중량%의 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2를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하여 구리 표면 거칠기가 제일 낮은 웨이퍼를 얻고, 2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 및 0.6 중량%의 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7을 사용하여도 양호한 구리 표면 거칠기를 얻는다. 따라서, 웨이퍼 표면 형상이 개선될 수 있도록 용매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한 세정 조성물로 세정한다. 또한, 상기에 근거해, 용매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한 경우, 마찬가지로 웨이퍼 표면 형상이 개선될 수 있도록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칼륨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암모늄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한다.
(3) 유기 잔여물 테스트
사용한 웨이퍼, 측정기기 및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웨이퍼: 구리 웨이퍼
시제: 1wt%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BTA) 용액
측정기기: 비행시간형 2차이온 질량분광법(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ToF-SIMS)
실험방법: 먼저, 건조한 구리 웨이퍼를 1wt%의 벤조트리아졸 용액에 10분간 침지하여 웨이퍼의 구리 박막에 예를 들어 CuC6H5N3, CuOC6H5N3 및 CuC12H8N6 등 대량의 Cu-BTA유기물질을 생성한다. 그 다음, 비행시간형 2차이온 질량분광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Cu-BTA유기물질을 함유한 구리 웨이퍼에 대해 유기물질 농도를 측정한다. 그 다음, 상기 웨이퍼를 표 1의 샘플 1 내지 샘플 7의 세정 조성물로 세척한 후 다시 비행시간형 2차이온 질량분광법으로 처리를 한 웨이퍼에 대해 Cu-BTA유기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세정효율은 세정 전의 농도 값에서 세정 후의 농도값을 뺀 값 대비 세정 전의 농도값의 비로 정의된다. 각 샘플의 각 물질의 세정 효과를 계산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샘플 유기 잔여물 세정효과 (%)
C6H4N3 CuC6H5N3 CuOC6H5N3 CuC12H8N6
샘플1 70.1 62.5 58.6 85.4
샘플2 90.5 95.4 99.5 99.1
샘플3 90.1 95.0 98.0 98.8
샘플4 79.1 80.5 74.2 85.6
샘플5 87.9 90.2 88.7 93.4
샘플6 90.3 95.0 99.0 98.9
샘플7 90.4 95.7 99.7 99.0
샘플8 90.4 95.4 99.5 99.2
샘플9 90.5 95.5 99.4 99.1
표 4에 의하면, 샘플 1 내지 샘플 3의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로부터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지 않은 샘플 1로 세정하면 유기 잔여물에 대한 세정 효과가 낮고, 샘플 1에 비해, 샘플 2와 샘플 3이 각각 2 중량% 및 5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을 함유하기 때문에 샘플 2와 샘플 3을 사용하면 비교적 양호한 세정 효과가 얻어진다. 그 외에, 2-부톡시에탄올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 잔여물의 세정 효과가 높아지고, 함유량이 2 중량%일 때 가장 양호한 세정 효과가 얻어지며, 함유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세정 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샘플 2, 샘플 4 내지 샘플 6을 사용한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로부터, 펜에틸아민을 함유하지 않은 샘플 4로 세정하면 유기 잔여물에 대한 세정 효과가 낮고,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정 효과가 높아지고, 함유량이 0.5 중량%일 때 가장 양호한 세정 효과가 얻어지며, 함유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세정 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7의 세정 조성물로 웨이퍼를 세정하면 마찬가지로 비교적 양호한 유기 잔여물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칼륨을 함유한 샘플 8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암모늄을 함유한 샘플 9의 세정 조성물로 웨이퍼를 세정해도 비교적 양호한 유기 잔여물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근거해, 2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 및 0.5 중량%의 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2를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하면 가장 바람직한 유기 잔여물 제거 효과를 얻고, 2 중량%의 2-부톡시에탄올 및 0.6 중량%의 3,4-디히드록시펜에틸아민을 함유한 샘플 7을 사용하여도 비교적 양호한 유기 잔여물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용매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한 세정 조성물로 세정하면 유기 잔여물 세정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근거해, 용매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을 함께 사용한 경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칼륨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암모늄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여도 유기 잔여물 세정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은 CMP 후의 웨이퍼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습윤 능력과 세정 효과를 가지며, 웨이퍼 상의 잔여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세정 후의 웨이퍼가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한다. 그 외에, 세정 조성물이 알칼리성을 가질 경우, 웨이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조성물이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세정 처리 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영역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동 및 수정 가능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 및
    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이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triamine pentaacet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이 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및 트리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tr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의 염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폴리아미노폴리카복실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이 0.001 중량%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2-메톡시에탄올(2-methoxyethanol), 2-에톡시에탄올(2-ethoxyethanol), 2-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2-이소프로폭시에탄올(2-isopropoxyethanol),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2-페녹시에탄올(2-phenoxyethanol),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2-(2-methoxyethoxy)ethanol),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2-(2-butoxyethoxy)ethanol), 2-이소부톡시에탄올(2-isobutoxyethanol), 1,2-프로필렌 글리콜(1,2-propylene glycol), 1,3-프로필렌 글리콜(1,3-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1,5-펜탄디올(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1,7-헵탄디올(1,7-heptanediol), 2,3-디메틸-2,3-부탄디올(2,3-dimethyl-2,3-butanediol)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용매의 함유량이 0.001 중량%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이 화학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15016723177-pat00003

    식 중, R2, R3, R4, R5, Rα, Rβ 및 RN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에틸아민의 함유량이 0.001 중량%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물의 함유량이 70 중량% ~ 99.99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의 pH값이 8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KR1020130121905A 2012-10-16 2013-10-14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KR10154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38102A TWI572711B (zh) 2012-10-16 2012-10-16 半導體製程用的清洗組成物及清洗方法
TW101138102 201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817A KR20140048817A (ko) 2014-04-24
KR101544827B1 true KR101544827B1 (ko) 2015-08-17

Family

ID=5044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905A KR101544827B1 (ko) 2012-10-16 2013-10-14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5760B2 (ko)
JP (1) JP5852624B2 (ko)
KR (1) KR101544827B1 (ko)
CN (1) CN103725455B (ko)
SG (1) SG2013076633A (ko)
TW (1) TWI5727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438B2 (ja) 1996-04-04 1999-11-15 株式会社金竜食品産業 乾燥天ぷら
KR101696119B1 (ko) * 2015-12-23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US11028322B2 (en) 2015-12-18 2021-06-08 Posco Composition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method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by using same, and steel plate obtained thereby
US9856440B2 (en) 2016-03-02 2018-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 a solvent comprising butanediol
US9896648B2 (en) 2016-03-02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thoxylated diol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diols
US9840684B2 (en) 2016-03-02 2017-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 sulfates and/or alkoxylated alkyl sulfates and a solvent comprising a diol
US9790454B2 (en) 2016-03-02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 sulfates and/or alkoxylated alkyl sulfates and a solvent comprising a diol
KR101966808B1 (ko) 2016-09-30 2019-04-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세정 조성물,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20210129049A (ko) * 2019-02-19 2021-10-2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세륨 화합물 제거용 세정액, 세정 방법 및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0112A1 (en) 2009-12-25 2011-06-30 Uwiz Technology Co., Ltd. Cleaning composition
US20120027699A1 (en) 2010-07-29 2012-02-02 Conopco, Inc., D/B/A Unilever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monoamin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353A (en) 1996-10-11 1999-11-23 Mallinckrodt Baker, Inc. Cleaning wafer substrates of metal contamination while maintaining wafer smoothness
US6896826B2 (en) 1997-01-09 2005-05-2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copper-specific corrosion inhibitor for cleaning inorganic residues on semiconductor substrate
IL147235A0 (en) * 1999-08-13 2002-08-14 Cabot Microelectronics Cor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6723691B2 (en) 1999-11-16 2004-04-20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Post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CMP) cleaning composition
US6498131B1 (en) 2000-08-07 2002-12-24 Ekc Technology, Inc. Composition for cleaning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apparatus
MY143399A (en) * 2001-07-09 2011-05-13 Avantor Performance Mat Inc Microelectronic cleaning compositons containing ammonia-free fluoride salts for selective photoresist stripping and plasma ash residue cleaning
US8003587B2 (en) * 2002-06-06 2011-08-23 Ekc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process residue removal composition and process
TWI227271B (en) 2002-10-04 2005-02-01 Merck Kanto Advanced Chemical Post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cleaning solution
WO2004042811A1 (ja) 2002-11-08 2004-05-21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洗浄液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AU2003277621A1 (en) 2002-11-08 2004-06-07 Fujimi Incorporated Polishing composition and rinsing composition
US7435712B2 (en) 2004-02-12 2008-10-14 Air Liquide America, L.P. Alkaline chemistry for post-CMP cleaning
US7498295B2 (en) 2004-02-12 2009-03-03 Air Liquide Electronics U.S. Lp Alkaline chemistry for post-CMP cleaning comprising tetra alkyl ammonium hydroxide
US20050205835A1 (en) * 2004-03-19 2005-09-22 Tamboli Dnyanesh C Alkaline post-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leaning compositions
CN101356629B (zh) * 2005-11-09 2012-06-06 高级技术材料公司 用于将其上具有低k介电材料的半导体晶片再循环的组合物和方法
TWI516573B (zh) * 2007-02-06 2016-01-11 安堤格里斯公司 選擇性移除TiSiN之組成物及方法
JP5575420B2 (ja) * 2008-04-25 2014-08-2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基板用洗浄剤
JP5476388B2 (ja) * 2008-10-09 2014-04-23 アバントール パフォーマンス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酸化銅エッチ残渣除去および、銅電着の防止のための水性の酸性洗浄用組成物
JP5553985B2 (ja) * 2008-12-11 2014-07-2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電子材料用洗浄剤
JP5565939B2 (ja) * 2009-01-26 2014-08-06 化研テック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用原液、洗浄剤組成物、および洗浄方法
JP5792284B2 (ja) * 2010-04-15 2015-10-07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老朽化したプリント回路基板のリサイクル方法
JP5471957B2 (ja) * 2010-08-10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洗浄液兼充填液、並びに該洗浄液兼充填液を収容したカートリッジ
US8889609B2 (en) * 2011-03-16 2014-11-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leaning formula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cleaning formulations
JP6066552B2 (ja) * 2011-12-06 2017-01-25 関東化學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用洗浄液組成物
US9536730B2 (en) * 2012-10-23 2017-01-0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leaning formul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0112A1 (en) 2009-12-25 2011-06-30 Uwiz Technology Co., Ltd. Cleaning composition
US20120027699A1 (en) 2010-07-29 2012-02-02 Conopco, Inc., D/B/A Unilever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monoam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0614A (ja) 2014-05-08
KR20140048817A (ko) 2014-04-24
US9165760B2 (en) 2015-10-20
TWI572711B (zh) 2017-03-01
TW201416435A (zh) 2014-05-01
US20140107008A1 (en) 2014-04-17
CN103725455A (zh) 2014-04-16
CN103725455B (zh) 2016-02-10
JP5852624B2 (ja) 2016-02-03
SG2013076633A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27B1 (ko) 세정 조성물 및 세정방법
KR101331747B1 (ko) 반도체 기판 처리 조성물
EP1888735B1 (en) Copper passivating post-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1874556B1 (ko) 구리 부식 억제 시스템
JP5379441B2 (ja) 基板処理用アルカリ性水溶液組成物
US20080076688A1 (en) Copper passivating post-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4804986B2 (ja) 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の洗浄液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KR101707155B1 (ko) 포토레지스트 제거용 스트리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의 박리방법
JP6568198B2 (ja) Cmp後の洗浄組成物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CN108473918B (zh) 用于化学机械抛光后清洁的组合物
KR20140008995A (ko) 반도체 기판의 세정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기판의 세정 방법
JP4375991B2 (ja) 半導体基板洗浄液組成物
US8063006B2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opper processing
JP5702075B2 (ja) 銅配線半導体用洗浄剤
KR102113995B1 (ko) 화학적 기계적 연마 후 반도체 디바이스 기판 세정용 세정 조성물 및 방법
JP2002020787A (ja) 銅配線半導体基板洗浄剤
JP6812567B2 (ja) 化学的機械的研磨後の洗浄用組成物
EP2687589A2 (en) Copper passivating post-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8067352B2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opper processing
TWI244499B (en)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hydrophobic substrate and cleaning method therewith
TWI295076B (en) Washing liquid for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US20090170742A1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WO2019176652A1 (ja) ドライエッチング残渣を除去するための洗浄液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20150054471A (ko) 화학적 기계적 연마 후 세정용 조성물
JP2012216690A (ja) 銅配線半導体用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