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89B1 -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89B1
KR101544689B1 KR1020150038145A KR20150038145A KR101544689B1 KR 101544689 B1 KR101544689 B1 KR 101544689B1 KR 1020150038145 A KR1020150038145 A KR 1020150038145A KR 20150038145 A KR20150038145 A KR 20150038145A KR 101544689 B1 KR101544689 B1 KR 10154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ttery
glaze
ceram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원모
Original Assignee
손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원모 filed Critical 손원모
Priority to KR102015003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백자토 100중량부에 청자토 15∼20중량부가 혼합된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를 900℃ 의 온도에서 초벌 소성하는 단계와, 도자기안료 100중량부에 발수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발수성안료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수성안료를 사용하여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장식문양을 그려 표현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문양이 표현된 도자기를 1일동안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물 100중량부에 장석 50∼55중량부, 백운석 25∼30중량부, 카올린 20중량부, 석회석 5∼6중량부, 규석 5∼6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무광택 균열유약에 침지시켜 시유하는 단계와, 상기 시유된 도자기를 1,220℃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먹물을 발라 균열문양으로 스며들게 한후 깨끗하게 닦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문양과 균열문양의 발현이 우수하여 도자기의 장식미와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MAKING METHOD OF POTTERY}
본 발명은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식문양과 균열문양의 발현이 우수하여 장식미와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유약의 종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그릇이나 다양한 가재도구 등으로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희귀성 및 작품성에 따라 장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도자기는 통상적으로 성형, 건조, 1차 소성(초벌구이), 문양장식, 유약 처리, 2차 소성(재벌구이)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한 통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서 도자기의 미련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문양장식 과정을 통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도자기의 표면에 도자기안료를 사용하여 그림이나 글씨 등 다양한 문양을 그려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문양장식 이후에는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하는 시유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시유과정을 통해 도포된 유약은 재벌구이과정을 통해 녹으면서 도자기의 표면에 융착되어 그 표면을 피복 처리함으로써 도자기의 강도를 더하고 심미감을 높이게 된다.
이렇게 도자기의 표면에 도포되는 상기 유약은 광택을 내는 광택유약과 광택을 내지 않는 무광택유약으로 나뉘게 되고, 이러한 유약의 사용에 따라 광택도자기와 무광택도자기로 분류될 수 있는데, 특히 종래 무광택도자기의 경우에는 상기의 문양장식과정을 통해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이 표현되더라도 표현된 문양 위에 무광택유약이 융착되면서 무광택유약층을 형성함으로써 표현된 문양이 유약층에 의해 가려져 선명하게 발현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무광택 유약처리를 하는 무광택 도자기의 경우에는, 문양장식과정을 통해 도자기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더라도 그 위에 층을 형성하는 무광택 유약이 문양을 가리는 작용을 하게 되어 표현된 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되지 못하고 흐릿한 느낌만을 표출하게 되는 바, 종래 무광택 도자기의 경우에는 다양한 문양을 선명하게 발현시킴으로써 장식적 심미감을 높이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30035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종래에도 소지와 유약의 열팽창 차이를 이용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균열문양을 생성하는 제조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데,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균열문양을 균일하게 형성하기가 어렵고, 특히나 생성된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되지 못하여 균열문양이 갖는 독창적인 심미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00357호 (공고일자: 2013년08월28일) 등록특허 제10-1094718호 (공고일자: 2011년12월1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에 표현된 장식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될 수 있음과 함께 균일하게 생성된 균열문양 또한 선명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미감과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백자토 100중량부에 청자토 15∼20중량부가 혼합된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를 900℃의 온도에서 초벌 소성하는 초벌소성단계와, 도자기안료 100중량부에 발수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발수성안료를 형성하는 발수성안료 형성단계와, 상기 발수성안료를 사용하여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장식문양을 그려 표현하는 장식문양 표현단계와, 상기 장식문양이 표현된 도자기를 1일동안 건조시키는 장식문양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물 100중량부에 장석 50∼55중량부, 백운석 25∼30중량부, 카올린 20중량부, 석회석 5∼6중량부, 규석 5∼6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무광택 균열유약에 침지시켜 시유하는 시유단계와, 상기 시유된 도자기를 1,220℃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는 재벌소성단계와, 상기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먹물을 발라 균열문양으로 스며들게 한후 깨끗하게 닦아 세척함으로써 균열문양에 스며든 먹물만 잔존시켜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균열문양 표현단계를 포함하는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자기에 장식문양과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됨으로써 도자기의 장식미와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를 일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를 보여주기 위한 시편도자기의 제조공정에 따른 단계별 예시도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은, 성형단계(S100)와, 초벌 소성단계(S200)와, 발수성안료 형성단계(S300)와, 장식문양 표현단계(S400)와, 장식문양 건조단계(S500)와, 시유단계(S600)와, 재벌 소성단계(S700)와, 균열문양 표현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조공정에 따라 단계별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성형단계(S100)에서는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소지(素地)는 도자기의 재료가 되는 흙이나 기타 암석성분이 조합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무광택 균열유약과의 관계에서 도자기에 균열이 규칙적이고 섬세하게 생성될 수 있도록 백자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청자토를 15∼20중량부 혼합하여 소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물레성형기, 코일성형기, 성형틀 등을 사용하여 상기 형성된 소지로 원하는 형상의 도자기를 성형한다.
만약, 성형된 도자기에 조각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3∼4일동안 자연건조를 시킨 후 조각작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초벌 소성단계(S200)가 진행되며, 본 단계(S200)에서는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도자기를 가마에 넣어 900℃ 의 온도에서 8∼10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초벌 소성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초벌 소성이 이루어지면, 초벌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다양한 장식문양을 표현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도자기안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새롭게 발수성안료를 형성하여 장식문양을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초벌 소성 후에는 발수성안료를 형성하는 단계(S300)가 진행되는 바, 본 단계(S300)에서는 통상의 도자기안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를 1∼5중량부 혼합하여 발수특성을 갖는 발수성안료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수제로는 발수(water repellent) 특성을 갖는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신에츠사(ShinEtsu)의 Polon-C와 같은 소듐메틸 실리케이트(Sodium methyl silicate) 또는 실리콘 오일을 에멀젼화한 것 등의 실리콘계 발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성안료가 형성되면, 다음으로 장식문양 표현단계(S400)가 진행되며, 본 단계(S400)에서는 붓 등을 사용하여 초벌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상기 발수성안료를 핸드페인팅함으로써 원하는 다양한 장식문양을 표현한다.
그리고 장식문양의 표현이 완료되면, 도자기를 1일동안 18 ~ 25℃의 실온상태에서 자연 건조시킨다.(S500)
만약, 상기 장식문양으로 표현된 발수성안료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으면 이후의 시유단계(S600)에서 발수성안료의 발수성이 저하되어 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1일동안 충분히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문양의 건조단계(S500)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자기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단계(S600)가 진행된다.
시유방법으로는 담금법(dipping method), 흘림법(pouring method), 분무법(spraying method), 도장법(brushingmethod)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지만, 도자기를 유약에 침지시켜 고르게 도포하는 담금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시유단계(S600)에서 사용되는 유약으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장석 50∼55중량부, 백운석 25∼30중량부, 카올린 20중량부, 석회석 5∼6중량부, 규석 5∼6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무광택 균열유약이 사용된다.
이러한 시유단계(S600)를 거치게 되면, 도자기의 표면에는 고르게 도포된 유약층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때 발수성안료가 칠해진 장식문양 부분에서는 발수성안료의 발수기능에 의하여 유약이 도포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표현된 장식문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유약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약을 도포하는 시유단계(S600)가 완료되면, 도자기를 가마에 넣어 1,220℃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는 재벌 소성단계(S700)가 진행된다.
본 재벌 소성단계(S700)를 통해 도포된 유약이 녹으면서 도자기의 표면에 융착되어 표면을 피복 처리하게 되는데, 이 때 장식문양 부분에는 유약이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광택유약에 의해 장식문양이 전혀 가려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특히 표현된 장식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됨과 함께 표면이 칠해진 상태 그대로 거칠게 경화되면서 조각한 것과 같은 입체감을 발현하게 된다.
또한, 본 재벌 소성단계(S700)를 통해 소지와 유약 사이의 열팽창의 차이에 따라 도자기의 표면에는 균일하고 섬세한 균열문양의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는 도자기에 생성된 상기 균열문양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균열문양 표현단계(S800)가 진행된다.
상기 재벌 소정을 통해 생성된 도자기에는 전술한 것처럼 균열문양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균열문양은 육안으로 볼 때 잘 보이도록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균열문양의 심미감이 보다 잘 발현되도록 균열문양 표현단계(S800)를 더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균열문양 표현단계(S800)에서는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먹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먼저 먹물을 스펀지에 묻혀 도자기의 표면에 발라준다.
그러면 먹물이 균열문양의 균열속으로 스며들게 되고, 이후 도자기의 표면을 깨끗하게 닦아 세척해주면 균열문양에 스며든 먹물만 그대로 잔존하게 됨으로써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자기의 일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 도 2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무광택도자기는 도자기의 표면에 장식문양이 선명하면서도 입체감있게 발현되고, 더불어 균열문양 또한 선명하게 발현되므로, 도자기의 장식미를 향상시키고 희소성에 의한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백자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청자토 17중량부를 혼합한 소지로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은 납작한 접시형태의 시편도자기를 성형한 후, 900℃ 의 온도에서 9시간동안 가열하여 초벌 소성하였다.
그리고, 도자기안료 20g에 발수제로 신에츠사의 Polon-C 0.6g을 첨가하여 발수성안료를 형성하였고, 상기 발수성안료를 사용하여 핸드프린팅방법으로 상기 시편도자기의 표면에 난초모양의 장식문양을 표현한 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켰다.(도 3의 시편도자기에서 오른쪽(②번)에 예시됨.)
이후, 물 100중량부에 대해 장석 53중량부, 백운석 27중량부, 카올린 20중량부, 석회석 6중량부, 규석 6중량부를 혼합하여 무광택 균열유약을 조성한 후, 상기 무광택 균열유약에 상기 장식문양이 표현된 도자기시편을 침지시켜 시유 처리하였다.(도 4의 시편도자기에서 오른쪽(②번)에 예시됨.)
이후, 1,220℃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여 재벌하였다.(도 5의 시편도자기에서 오른쪽(②번)에 예시됨.)
이후, 먹물을 스펀지에 묻혀 도자기시편에 고르게 바른 후, 깨끗하게 닦아냄으로써 시편도자기의 제조를 완료하였다.(도 6의 시편도자기에서 오른쪽(②번)에 예시됨.)
<비교예>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성형 및 초벌 소성된 동일한 시편도자기에 도자기안료만을 사용하여 핸드프린팅방법으로 난초모양의 장식문양을 표현하였다.(도 3의 시편도자기에서 왼쪽(①번)에 예시됨.)
이후, 시유단계 및 재벌 소성단계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도 4 및 도 5의 시편도자기에서 각각 왼쪽(①번)에 예시됨.)
상기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보면, 동일한 시편도자기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도자기안료만을 사용하여 장식문양을 표현한 비교예의 경우(도 3의 왼쪽(①번) 문양)와, 본 발명의 발수성안료를 사용하여 장식문양을 표현한 실시예의 경우(도 3의 오른쪽(②번) 문양)에, 시유처리를 하게 되면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의 장식문양(왼쪽(①번)은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장식문양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실시예의 장식문양(오른쪽(②번)은 발수작용에 의해 유약이 도포되지 않아 장식문양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차이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후 재벌 소성을 거치게 되면,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의 장식문양(왼쪽(①번)은 피복처리된 무광택 유약층에 의해 가려지면서 장식문양이 선명하게 발현되지 않고 흐릿한 형태로 드러나는 반면에, 실시예의 장식문양(오른쪽(②번)은 유약층이 없으므로 장식문양이 표현된 느낌 그대로 선명하면서 뚜렷하게 발현됨으로써, 비교예보다 장식문양의 발현이 매우 우수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재벌 소성을 거친 도 5의 시편도자기에는 균열문양이 육안으로 볼 때 잘 드러나지 않지만,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먹물을 묻히는 균열문양 표현단계를 거치게 되면,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도자기에 생성된 균열문양 또한 보다 선명하게 발현되어 균열문양이 잘 드러나지 않는 도 5와 비교할 때 장식미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Claims (1)

  1. 백자토 100중량부에 청자토 15∼20중량부가 혼합된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도자기를 900℃의 온도에서 초벌 소성하는 초벌소성단계;
    도자기안료 100중량부에 발수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발수성안료를 형성하는 발수성안료 형성단계;
    상기 발수성안료를 사용하여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장식문양을 그려 표현하는 장식문양 표현단계;
    상기 장식문양이 표현된 도자기를 1일동안 건조시키는 장식문양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도자기를 물 100중량부에 장석 50∼55중량부, 백운석 25∼30중량부, 카올린 20중량부, 석회석 5∼6중량부, 규석 5∼6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무광택 균열유약에 침지시켜 시유하는 시유단계;
    상기 시유된 도자기를 1,220℃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는 재벌소성단계;
    상기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먹물을 발라 균열문양으로 스며들게 한후 깨끗하게 닦아 세척함으로써 균열문양에 스며든 먹물만 잔존시켜 균열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균열문양 표현단계;를 포함하는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0150038145A 2015-03-19 2015-03-19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54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45A KR101544689B1 (ko) 2015-03-19 2015-03-19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45A KR101544689B1 (ko) 2015-03-19 2015-03-19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689B1 true KR101544689B1 (ko) 2015-08-13

Family

ID=5406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45A KR101544689B1 (ko) 2015-03-19 2015-03-19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2149A (zh) * 2015-10-14 2016-01-27 德化恒忆陶瓷艺术股份有限公司 高白度瓷瓷泥及其制作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8B1 (ko) 2011-06-17 2011-12-16 이용석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357B1 (ko) 2010-11-18 2013-08-28 김복한 귀갑 문양 균열 도자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357B1 (ko) 2010-11-18 2013-08-28 김복한 귀갑 문양 균열 도자기 제조방법
KR101094718B1 (ko) 2011-06-17 2011-12-16 이용석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2149A (zh) * 2015-10-14 2016-01-27 德化恒忆陶瓷艺术股份有限公司 高白度瓷瓷泥及其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7599B (zh) 一种牡丹瓷的制作工艺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CN101121601B (zh) 骨质瓷釉下彩工艺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KR101544689B1 (ko) 문양발현이 우수한 무광택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110310B1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ITRM20000465A1 (it) Metodo per fabbricazione di piani ceramici da utilizzare come materiale da costruzione di finitura e prodotti ricavati mediante tale metodo.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138140B1 (ko)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CN103271597B (zh) 一种大规格陶瓷寄花和彩绘装饰的镜框生产方法
KR101692878B1 (ko) 흑자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060104458A (ko) 도자기 표면장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도자기
KR20020092500A (ko)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CN103360120B (zh) 内外表面不同颜色的陶瓷锅快速生产方法
JP4200726B2 (ja) 陶磁器用濃青色系装飾釉およびこれを用いた衛生陶器
CN105272366A (zh) 一种彩喷陶瓷板装饰画的制备方法
CN112159252B (zh) 一种带有凸出图案擦彩陶瓷器的制备方法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KR101692879B1 (ko)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RU2077430C1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фарфора
KR100508854B1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10012721A (ko) 상감자기 케이스를 가진 필기구 및 필기구 케이스용 상감자기 제조방법
CN107521278A (zh) 立体瓷雕与大漆结合的工艺品及其制备工艺
KR20150073496A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
CN109435560A (zh) 一种陶瓷多层注浆工艺以及陶瓷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