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117B1 -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117B1
KR101544117B1 KR1020130064722A KR20130064722A KR101544117B1 KR 101544117 B1 KR101544117 B1 KR 101544117B1 KR 1020130064722 A KR1020130064722 A KR 1020130064722A KR 20130064722 A KR20130064722 A KR 20130064722A KR 101544117 B1 KR101544117 B1 KR 10154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washing water
water
kim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941A (ko
Inventor
송동근
홍원석
신완호
김한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김망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김망을 이송하는 김망 이송부;
상기 김망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세척수에 공기를 혼합시켜 생성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상기 김망으로 분사하는 미세 기포생성부; 상기 김망 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김망을 세척한 폐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조; 및 상기 세척수회수조의 세척수로부터 김을 분리하고, 분리된 김을 회수하는 김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LAVER NET WASHING APPARATUS USING MICRO AND/OR NANO BUBBLE WATER}
본 발명은 김망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김양식에 사용된 김망을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김망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양식은 10월부터 채묘한 김발을 바다에 설치하여 양식하고 이듬해 5월경에 종어기가 되면 김발을 다시 육상으로 철거한다. 이 때, 철거한 김발은 폐사한 김과 각종 잡해조류와 유해세균 등이 많이 붙어 있다. 이러한 김발을 다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표면에 부착된 김과 유해한 갯병균을 잘 세척해야한다.
종래 김망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0)로부터 세척수를 김망(A)으로 분사하여 표면에 부착된 김과 같은 이물질(B)을 분리시켰다. 그런데, 분사노즐(10)로부터 일반적인 세척수를 분사할 경우 이물질(B)에 일정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이물질(B)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크지 않아 세척 효율이 높이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9-0071514호 "김양식용 김발 세척 시스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해수를 이용하여 김발을 세척할 수도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전해수를 이용할 경우 세척효율은 높을 수 있으나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이 높아 영세 김양식업자가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김망에 부착된 이물질로 미세기포 함유수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격량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김망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용량에 따라 확장과 축소가 용이한 김망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 구축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보급하여 사용될 수 있는 김망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망세척장치는, 김망을 이송하는 김망 이송부; 상기 김망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세척수에 공기를 혼합시켜 생성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상기 김망으로 분사하는 미세 기포생성부; 상기 김망 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김망을 세척한 폐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조; 및 상기 세척수회수조의 세척수로부터 김을 분리하고, 분리된 김을 회수하는 김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는 미세 기포생성부가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여 김망으로 분사하므로, 김망 표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김망 이송부와 김망이송채널의 확장과 축소가 용이하여 김망 처리용량에 따라 규모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로부터 김을 분리하고, 순환하여 사용하므로 전체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분사노즐을 이용한 김망세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세정채널과 기포발생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세정채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김망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김망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미세 기포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미세 기포생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의 미세기포 함유수가 이물질을 세척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김망(A)은 김포자를 채묘한 후 바다속에 배치되고, 김 양식이 완료된 후 수거되어 세척된다. 김망세척장치(100)는 김양식에 사용된 김망을 재사용하기 위해 표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이물질은 김과 잡해조류, 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김망(A)은 김포자의 채묘와 양식에 용이하도록 표면에 미세 메쉬홈(a)이 관통형성된 메쉬망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100)는 미세기포 함유수(MB)를 김망(A) 표면으로 분사하여 이물질(B)을 탈락시키고 표면을 세척한다.
이를 위해 김망세척장치(100)는 김망(A)이 이송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김망이송채널(110)과, 김망(A)이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김망 이송부(120)와, 김망이송채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김망(A)을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채널받침조(130)와, 채널받침조(130)와 연결되며 세척수가 회수되는 세척수회수부(140)와, 세척수(W)로부터 김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김회수부(150)와, 김이 분리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수순환부(160)와, 세척수에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김망(A)으로 분사하는 미세 기포생성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세기포 함유수(MB)는 마이크로 버블/나노버블 사이즈의 기포를 함유한 세척수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마이크로 버블/나노버블'이라고 함은 '마이크로 버블 및/또는 나노버블"을 의미하고, 마이크로 버블은 1㎛ ~ 999㎛의 직경을 가진 버블을 의미하고, 나노 버블은 1㎚ ~ 999㎚의 직경을 가진 버블을 의미한다.
세척수(W)는 산소 함유량이 높은 산소 용존수가 사용된다. 산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공기의 혼합에 의해 기포 생성이 원활하기 때문이다.
도 3은 김망이송채널(110)과 김망(A) 및 미세 기포생성부(200)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김망이송채널(110)은 김망(A)이 미세기포 함유수(MB)와 접촉될 수 있는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김망이송채널(110)은 양단이 개구된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김망이송채널(110)은 바닥면을 따라 김망(A)이 이송되도록 김망(A)을 지지한다. 김망(A)은 김망 이송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김망이송채널(110) 내부를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김망이송채널(110)은 상부에 배치된 미세 기포생성부(200)로부터 분사되는 미세기포 함유수(MB)가 내부로 유입되고, 김망(A)을 세척한 세척수를 하부의 채널받침조(130)로 유출될 수 있도록 메쉬망 형태로 형성된다.
김망이송채널(110)은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김망(A)에 포함된 수분과 상부에서 분사되는 미세기포 함유수(MB)가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김망이송채널(110)의 크기는 양식에 사용되는 김망(A)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망이송채널(110)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한 개의 김망(A)이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망이송채널(110a)는 내부로 복수개의 김망(A)이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김망이송채널(110a)은 내부를 복수개의 이송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111,113)이 결합된다.
한편, 도5a와 도 5b는 김망이송채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김망이송채널(110)은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김망(A)이 수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나 변형예에 따른 김망이송채널(100b,100c)는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김망(A)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김망(A)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미세기포 함유수(MB)가 김망(A)의 전 영역을 모두 세척할 수 있도록 김망이송채널(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최소 네 방향 이상에 미세 기포생성부(2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망이송채널(110)의 형상과 개수는 세척될 김망(A)의 개수를 고려하여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할 수 있다.
김망 이송부(120)는 김망(A)이 김망이송채널(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김망 이송부(120)는 경사지게 배치된 김망이송채널(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 6은 김망 이송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김망 이송부(120)는 구동부(12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23)와, 구동롤러(12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피동롤러(125)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3)와 피동롤러(125)는 서로 접촉되게 배치되고,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롤러(123)와 피동롤러(125)가 서로 접촉되는 닙(nip) 영역으로 김망(A)이 유입되어 이송된다. 구동롤러(123)와 피동롤러(125) 사이에 김망(A)이 유입될 때, 구동롤러(123)의 회전력에 의해 김망(A)이 견인되어 김망이송채널(110)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구동롤러(123)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12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피동롤러(125)는 아이들 회전되게 구비되고, 구동롤러(123)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망 이송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망 이송부(120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망 이송부(120a)는 구동부(121)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롤러(127)로 구비된다. 회전롤러(127)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견인돌기(127a)가 구비된다. 견인돌기(127a)는 회전롤러(127)의 회전시 김망(A) 표면에 관통형성된 메쉬(a)에 삽입되며 김망(A)을 견인하게 된다.
채널받침조(130)는 김망이송채널(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김망(A)으로 분사된 미세기포 함유수(MB)와 김망(A)으로부터 탈락된 이물질(B)이 혼합된 폐세척수(W)를 집수한다. 채널받침조(130)는 김망이송채널(110)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된다.
채널받침조(130)는 연결관(141)과 연결되어 폐세척수(W)를 세척수회수부(140)로 공급한다.
세척수회수부(140)는 폐세척수(W)를 저장하고, 김회수부(150)로 폐세척수(W)를 공급한다. 김회수부(150)는 원심분리조, 하이드로사이클론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회수부(140)의 폐세척수(W)가 김회수부(150)로 공급되고, 김회수부(150)는 세척수(W)와 김을 분리한 후 김은 별도의 김저장조(미도시)로 공급되고 세척수(W)는 세척수순환관(161)으로 공급된다.
세척수순환부(160)는 김이 분리된 세척수(W)가 다시 김망(A)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순환시킨다. 세척수순환부(160)는 김회수부(150)와 세척수저장조(170) 사이를 연결한다.
세척수순환부(160)는 세척수순환관(161)과, 세척수순환관(16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63)과, 드레인관(163)으로 배출된 세척수량만큼 세척수를 보충하는 보충관(165)을 포함한다.
세척수순환관(161)은 세척수순환관(161)은 김회수부(150)와 세척수저장조(170)를 연결하여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한다. 세척수순환관(161)에는 순환펌프(162)가 구비되어 세척수(W)를 순환시킨다. 드레인관(163)은 일정 횟수 동안 순환되며 오염도가 증가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드레인관(163)에는 드레인밸브(164)가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되거나 일정시간 또는 일정 순환횟수 별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보충관(165)은 드레인관(163)으로 세척수(W)가 배출된 만큼 세척수(W)가 보충되도록 한다. 보충관(165)에도 보충밸브(166)가 구비되어 보충관(165)을 개폐시킨다. 드레인밸브(164)와 보충밸브(166)는 함께 작동되어 순환관(161)을 따라 이동되는 세척수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세척수저장조(170)는 세척수순환관(161)을 따라 이동된 세척수(W)가 저장된다. 세척수저장조(170)는 세척수를 미세 기포생성부(200)로 공급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미세 기포생성부(2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미세 기포생성부(200)는 세척수저장조(170)에 연결되며, 세척수(W)에 공기를 유입시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여 김망(A)으로 분사한다.
미세 기포생성부(200)은 세척수저장조(170)에 연결되는 전단노즐(230), 미세기포 함유수(MB)를 김망(A)으로 분사하는 후단노즐(210)을 포함한다. 전단노즐(230)은 내부에 전단유로(235)가 형성되며, 전단유로(235)의 양단에 전단유입구(237) 및 전단배출구(236)가 형성된다.
전단노즐(230)의 전단유입구(237)는 세척수저장조(170)에 연결되고, 전단유입구(237)를 통해 전단노즐(230)에 유입된 세척수(W)는 전단배출구(236)를 통해 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단유로(235)의 직경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단노즐(23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W)는 내부유로(235)에서 직경이 점차 작아지브로 전단배출구(236)쪽으로 흐를수록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후단노즐(210)은 내부에 후단유로(217)를 갖는 원통형의 부재이며, 후단유입구(216) 및 후단배출구(215)를 가진다. 후단유입구(216)의 직경은 전단배출구(236)의 직경보다 크고 후단배출구(215)의 직경은 후단유입구(216)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후단노즐(210)은 후단유입구(216)에서 후단배출구(215)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후단유로(217)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전단노즐(230)과 후단노즐(21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노즐(210)의 후단유입구(216)의 주위 둘레에 단차가 있는 돌출부(218)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18)가 전단노즐(230)의 전단배출구(236)의 외측을 둘러쌈으로서 전단노즐(230)과 후단노즐(21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전단노즐(230)의 전단배출구(236)와 후단노즐(210)의 후단유입구(216)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 이격된 간극 사이로 외부에서 공기(G)가 들어갈 수 있도록 후단노즐(210)의 표면에 공기유입공(213)이 형성된다. 공기유입공(213)은 공기공급관(220)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G)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단배출구(236)를 통해 전단노즐(230)에서 배출된 세척수(W)가 후단노즐(210)의 후단유입구(216)로 유입될 때 외부의 공기(G)도 공기공급관(220) 및 공기유입공(213)를 통해 후단유입구(216)에 같이 유입된다.
따라서 후단유입구(216)로 들어온 세척수(W)와 공기(G)가 후단노즐(210) 내에서 혼합되고 후단유로(217)를 지나면서 기포 형태의 미세기포 함유수(MB)가 되어 후단배출구(215)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부(200a)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생성부(200)는 공기공급관(220)이 후단노즐(210)의 공기유입공(213)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G)가 후단유입구(216)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부(200a)는 후단유입구(216)의 내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공기유입공(213)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관(220a)이 전단노즐(230)과 후단노즐(210)의 결합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전단노즐(230)과 후단노즐(210)의 결합영역에는 외주면에 대해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공기유동로(216b)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유입관(220a)을 통해 유입된 공기(G)가 공기유동로(216b)를 따라 이동되고, 복수개의 공기유입공(216a)를 통해 후단유로(217)로 유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로(216b)가 전단노즐(230)과 후단노즐(210)의 결합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공기유입공(216a) 각각은 모두 공기유동로(216b)와 공기가 흐르도록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노즐(23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W)와 공기(G)가 혼합되어 기포 형태의 미세기포 함유수(MB)가 되어 후단배출구(215)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생성부(200)는 김망이송채널(110)의 상부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김망이송채널(110)의 측면과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가 김망이송채널(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선단에 배치된 복수개의 미세 기포생성부(200)와 후단에 배치된 복수개의 미세 기포생성부(200)의 배치각도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100)의 김망세척과정을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김망(A)의 선단을 김망 이송부(120)로 이송한다. 이 때, 김망(A)의 이송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거나, 별도의 견인수단(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김망(A)의 선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23)와 피동롤러(125) 사이로 이동되면, 김망(A)이 김망이송채널(110) 내부로 이동된다.
한편, 세척수저장조(170)에 저장된 세척수(W)는 전단노즐(230)로 유입되고, 전단노즐(230)의 전단배출구(236)를 통해 후단노즐(210)로 유입된다. 후단노즐(210)로 유입된 세척수(W)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220)과 공기유입공(213)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후단유입구(216)로 함께 유입되고, 후단유로(217)에서 혼합되며 미세기포 함유수(MB)로 변환된다. 미세기포는 마이크로 사이즈 또는 나노 사이즈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미세기포 함유수(M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노즐(210)의 후단배출구(215)를 통해 김망이송채널(110)로 분사된다. 미세기포 함유수(MB)는 김망이송채널(110) 표면의 메쉬망을 통해 김망(A) 표면으로 공급된다.
도 11은 김망(A) 표면으로 미세기포 함유수(MB)가 분사되는 과정을 확대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포 함유수(MB)는 마이크로 사이즈 또는 나노 사이즈 형태의 기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김망(A) 표면의 이물질로 공급되지 않고 작은 크기로 불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미세기포가 불규칙적으로 이물질(B)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도 12는 미세기포 함유수(MB)가 이물질(B)로 전달하는 충격압(P)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포 함유수(MB)가 일정패턴을 형성하며 계속하여 충격압(P)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세척수(W) 만으로 김망(A)을 세척하던 것과 비교할 때 세척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미세기포 함유수(MB)가 김망(A)과 접촉하며 김망(A) 표면을 세척하면, 김망(A)은 김망 이송부(120)의 이송력에 의해 김망이송채널(1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미세기포 함유수(MB)는 김망(A)과 접촉하며 세척을 완료하고, 채널받침조(130)로 낙하된다. 채널받침조(130)에 집수된 폐세척수(C)는 김망(A)으로부터 탈락된 김과 해조류 등을 포함한다.
폐세척수(C)는 세척수회수부(140)로 연결관(141)에 의해 집수되고, 김회수부(150)에 의해 김과 세척수(W)로 분리된다. 세척수(W)는 세척수순환관(161)을 통해 세척수저장조(170)로 재공급된다. 이 때, 세척수(W)의 오염도 또는 순환횟수를 고려하여 김이 분리된 세척수(W)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드레인밸브(164)를 개방하여 세척수(W)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보충밸브(166)를 개방하여 보충관(165)을 통해 깨끗한 세척수(W)를 보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망세척장치는 미세 기포생성부가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여 김망으로 분사하므로, 김망 표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김망 이송부와 김망이송채널의 확장과 축소가 용이하여 김망 처리용량에 따라 규모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로부터 김을 분리하고, 순환하여 사용하므로 전체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김망세척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김망세척장치 110 : 김망이송채널
120 : 김망 이송부 121 : 구동부
123 : 구동롤러 125 : 피동롤러
127: 회전롤러 130 : 채널받침조
140 : 세척수회수부 141 : 연결관
150 : 김회수부 160 : 세척수순환부
161 : 순환관 162 : 순환펌프
163 : 드레인관 164 : 드레인밸브
165 : 보충관 166 : 보충밸브
170 : 세척수저장조 200 : 미세 기포생성부
210 : 후단노즐 211 : 후단노즐본체
213 : 공기유입공 215 : 후단배출구
216 : 후단유입구 217 : 후단유로
218 : 돌출부 220 : 공기공급관
230 : 전단노즐 231 : 전달노즐본체
233 : 삽입관 235 : 전단유로
236 : 전단배출구 237 : 전단유입구

Claims (12)

  1. 김망을 이송하는 김망 이송부;
    상기 김망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세척수에 공기를 혼합시켜 생성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상기 김망으로 분사하는 미세 기포생성부;
    상기 김망 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김망을 세척한 폐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조;
    상기 세척수회수조의 세척수로부터 김을 분리하고, 분리된 김을 회수하는 김회수부; 및
    상기 김망과 상기 미세 기포생성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김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함유수가 유동될 수 있는 메쉬형태로 형성된 김망이송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망이송채널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김망이송채널을 복수개의 독립된 이송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김회수부에 의해 김이 분리된 세척수를 상기 미세 기포생성부로 재순환시키는 세척수순환부; 및
    상기 세척수순환부로부터 회수된 세척수가 저장되고, 상기 미세 기포생성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순환부는,
    상기 세척수회수조와 상기 세척수저장조 사이를 연결하는 세척수순환관과;
    상기 세척수순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정횟수 동안 순환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드레인관과;
    상기 세척수순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깨끗한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순환관으로 보충하는 세척수보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김망 이송부는,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김망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피동롤러 사이의 닙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김망 이송부는,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김망의 메쉬홈에 삽입되어 상기 김망으로 견인력을 공급하는 견인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생성부는,
    상기 세척수저장조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저장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전단노즐과;
    상기 전단노즐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단노즐에서 배출된 상기 세척수를 유입받아 미세기포를 함유한 미세기포 함유수로 상기 김망으로 배출하는 후단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노즐에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노즐은 전단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단노즐은 후단유입구로부터 후단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은 상기 전단노즐의 전단유출구와 상기 후단노즐의 후단유입구의 경계영역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유입구의 내벽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공기유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단노즐과 상기 후단노즐의 결합영역에는 상기 공기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동로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망세척장치.
KR1020130064722A 2013-06-05 2013-06-05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KR10154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722A KR101544117B1 (ko) 2013-06-05 2013-06-05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722A KR101544117B1 (ko) 2013-06-05 2013-06-05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941A KR20140142941A (ko) 2014-12-15
KR101544117B1 true KR101544117B1 (ko) 2015-08-12

Family

ID=5246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722A KR101544117B1 (ko) 2013-06-05 2013-06-05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16B1 (ko) 2018-10-23 2019-03-29 남궁일선 양식장용 김발 세척장치
KR20230027710A (ko) * 2021-08-20 2023-02-28 최무성 마이크로 버블발생 노즐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60B1 (ko) * 2017-05-25 2017-12-06 김문환 일반 세탁과 집중 세탁이 가능한 세탁장치
KR102168081B1 (ko) * 2019-08-08 2020-10-20 (주)대림냉열이엔지 김발장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김 건조 시스템
KR102407853B1 (ko) * 2020-04-07 2022-06-15 (주)유니팩시스템즈 불린 쌀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788B2 (ja) 1992-09-03 2002-08-05 富士通株式会社 クリーン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005356B1 (ko) * 2010-05-22 2011-01-06 광해영어조합법인 정치망 세척장치
JP2011036815A (ja) * 2009-08-13 2011-02-24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788B2 (ja) 1992-09-03 2002-08-05 富士通株式会社 クリーン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2011036815A (ja) * 2009-08-13 2011-02-24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洗浄装置
KR101005356B1 (ko) * 2010-05-22 2011-01-06 광해영어조합법인 정치망 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16B1 (ko) 2018-10-23 2019-03-29 남궁일선 양식장용 김발 세척장치
KR20230027710A (ko) * 2021-08-20 2023-02-28 최무성 마이크로 버블발생 노즐조립체
KR102630426B1 (ko) 2021-08-20 2024-01-29 최무성 마이크로 버블발생 노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941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117B1 (ko) 미세기포 함유수를 이용한 김망세척장치
US9392775B2 (en) Fish culturing system
KR101507052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JP4647038B1 (ja) 食品洗浄装置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EP3046688B1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37959A (ko) 수중의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및 세정 설비
KR101686377B1 (ko) 해조류 세척장치
AU2014338818B2 (en) Pool-cleaning apparatus having a removable filtration device
KR101121141B1 (ko) 과일 및 야채 세척기
KR20120120738A (ko) 와류형 나물세척장치
KR20080105939A (ko) 순환 유수식 양어장
ES2911263T3 (es) Dispositivo para la cría de insectos
US7270746B2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animal feeding facility
KR101818219B1 (ko) 분무 수경 재배 장치
JP2003235391A (ja) エビの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KR20170120961A (ko) 야채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채 세정 시스템
KR101801910B1 (ko) 밀폐 순환형 고속 유기물 발효장치
KR20220008587A (ko) 어패류 양식 시스템
TWI528896B (zh) Container farming and container farming systems
US20070271693A1 (en) Movable Floor Pool and Method of Cleaning Movable Floor Pool
JPH08239A (ja) 食品殺菌装置
JP2007228981A (ja) 果菜食品等の手洗い機
KR101964802B1 (ko) 새우 양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