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709B1 -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 Google Patents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709B1
KR101543709B1 KR1020137009536A KR20137009536A KR101543709B1 KR 101543709 B1 KR101543709 B1 KR 101543709B1 KR 1020137009536 A KR1020137009536 A KR 1020137009536A KR 20137009536 A KR20137009536 A KR 20137009536A KR 101543709 B1 KR101543709 B1 KR 10154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access node
proxy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502A (ko
Inventor
소움야 다스
사미르 에스. 솔리만
니시트 차우베이
앤드류 티. 헌터
파울 비. 맥칼리스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8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전력을 절약하고 무선 시스템들에서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계획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노드와의 통신들을 위한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록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액세스 노드에 나타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노드에 통지하지 않고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오프할 수 있다.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오프하기에 앞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하고 액세스 노드와의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할 프록시 디바이스를 배정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메시지를 검출하는 즉시,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 메시지를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한다.

Description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AND SYSTEM LATENCY REDUCTION USING A PROXY DEVICE}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일부 특징들은, 2차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메시지들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절약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조장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신호들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들, 이를 테면, 랩톱 컴퓨터들, 개인 디지털 보조기 디바이스들, 모바일 또는 셀룰러 전화들, 또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가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동작 모드들을 위한 다양한 채널들을 활용한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실행되고 그리고 종종 거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액세스를 필요로 하는 전력 집약형(power-intensive)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소비자들로 인해, 대역폭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보존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종종 제한된 전원(예를 들어, 재충전되는 배터리 팩)을 구비하고, 결과적으로, 재충전 중에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활성" 모드 및 "유휴" 모드를 비롯한 여러 가지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활성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들, 노드 B, 펨토 셀 등)과 활발하게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또는 데이터 호들 또는 세션들)를 교환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메시지들을 페이징하기 위해 페이징 채널(PCH)과 같은 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징 메시지들은 인입하는 음성 또는 데이터 호의 발생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경보하는 메시지들과, 시스템 정보 및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다른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오버헤드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는 활성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보다는 실질적으로 적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은, 페이징 채널(들)을 모니터링하는데 필요로 되는 회로소자를 지속시키기 위해서 계속해서 전력을 소모한다. 통상적으로, 유휴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페이징 메시지들이, 지정된 시각들에 페이징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페이징 채널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대신, 클라이언트 단말은 불연속 수신 모드(예를 들어, DRX)에서 동작함으로써 페이징 채널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업하고, "어웨이크" 상태에 진입하고 메시지들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프로세스하고, 그리고 추가적인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슬립 상태로 다시 되돌아 간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슬립 상태에서 통신 회로소자가 파워 다운된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파워 오프된) 상태로 상당한 양의 시간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절전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슬립 상태는 클라이언트 단말로의 통신들을 확립(또는 재확립)에 있어서 추가 지연을 부과하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의 반응성이 더 악화될 수 있다. 시스템 반응성의 저하는 슬립 사이클들의 지속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즉, 긴 슬립 사이클들을 가진 시스템들에서, 전력 절약이 실질적으로 향상되지만, 시스템 반응성은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수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짧은 슬립 사이클들을 가진 시스템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더 빠른 전력 고갈 또는 소모를 경험하지만, 시스템 반응성은 향상된다. 따라서, 시스템 엔지니어들은 불량한 전력 절약과 불량한 반응성 간의 트레이드-오프에 직면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도 반응성 또한 증가시키는 해법이 요구된다.
다양한 구현들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청취할 것이라는 것을 네트워크에 알림으로써,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청취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력 절약과 시스템 반응성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포함한다.
일 특징은 전력 절약과 개선된 시스템 반응성을 조장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록시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그리고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수신지로 하는(intended for)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으며, 이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를 수신지로 하여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로의 메시지는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액세스 노드가 여전히, 클라이언트 단말이,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여기는 동안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고, 그리고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약 50 밀리초 내지 100 밀리초의 사이클 레이트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 뒤에,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또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될 경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다시 파워 온되기 전에 푸시-투-토크 호를 개시하게 한다.
등가의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들의 경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일례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 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턴 오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긴 사이클 레이트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긴 사이클 레이트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길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짧은 사이클 레이트 보다 더 긴 인터벌 동안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절약과 시스템 반응성을 동시에 조장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액세스 노드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또한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가 여전히, 클라이언트 단말이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여기는 동안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파워 다운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특징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과 시스템 반응성을 동시에 조장하기 위한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록시 디바이스는 액세스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클라이언트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등가의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들의 경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고 그리고/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고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프로세싱 회로가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해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이라는 확인응답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진 사이클 레이트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사이클 레이트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사이클 레이트가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된다. 일례로,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되는 사이클 레이트는 지속적인 것(예를 들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일 수 있다. 대안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된 사이클 레이트는, 예를 들어, 5.12 초 미만, 1.28 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액세스 노드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요청은 클라이언트 식별자,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사이클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액세스 노드에 통신된 사이클 레이트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입하는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하는 메시지의 수신 시,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
일 특징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전력 절약과 시스템 반응성을 동시에 조장하기 위한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의 동작 방법들이 제공된다.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해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제어 채널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진 사이클 레이트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이 사이클 레이트는 또한 액세스 노드에 통신되어,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그 사이클 레이트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특징들, 본질 및/또는 이점들은, 동일 참조 부호들이 전반적으로 대응하도록 식별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볼 때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강화된 시스템 반응성을 동시에 조장할 수 있다.
도 2는, 프록시 디바이스가 강화된 시스템 반응성 및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둘 모두를 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강화된 시스템 반응성 및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둘 모두를 조장하는 다른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에 호 요청을 전송하고 호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호 개시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하고 레이턴시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일 예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은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조장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위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프록시 디바이스의 예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을 조장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력 절약을 개선하고 호 셋업에서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푸시-투-토크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호 셋업 시의 레이턴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도 9의 흐름도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다.
도 11은 호 셋업 시의 레이턴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도 9의 흐름도에 대한 또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된 구현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이 주어진다. 그러나, 이 구현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세부사항으로 구현들이 불명료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회로들은 블록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회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구현들이 불명료해지지 않게 상세하게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현들의 특정한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특정 용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용어 "액세스 노드"는 통신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한)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용어 "액세스 노드"는 기지국들, 노드-B 디바이스들,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클라이언트 단말"은 모바일 전화들, 페이저들, 무선 모뎀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 개인 정보 관리기들(PIM들), 팜탑 컴퓨터들, 랩탑 컴퓨터들,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모바일 통신/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용어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지인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가진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은 액세스 노드에 통합될 수 있다.
개관
일 특징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예를 들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하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을 대신하여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절약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장거리, 고 전력 인터페이스)를 그리고 인근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단거리(예를 들어, 수(a few) 피트, 또는 1 마일 미만)에 걸쳐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또는 단거리, 저 전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고 요청하는 메시지를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 반응성을 개선시키기 (즉,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비교적 짧은 사이클 레이트로 또는 심지어 지속적으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노드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보다 빈번하게, 또는 지속적으로,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수신하는데 이용가능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1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파워 다운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유휴 모드 또는 파워 오프보다 더 낮은 전력 소모를 가짐).
프록시 디바이스는 액세스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노드들에 의해 개시되거나 또는 전송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상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청취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록시는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청취, 또는 수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셧 오프되었던 1차 통신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프록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이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메시지를 검출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입하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할 수 있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은 자력으로(on its own) 또는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증가된 시스템 반응성을 조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통신 네트워크(108)의 일부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액세스 노드들(106)(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등)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108)를 통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내부의 (제한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1차(예를 들어, 높은 전력 또는 장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또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은 각각, 오버-디-에어 송신들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조장하는 제 1 무선 전송기/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로 하여금, 통신 네트워크(108)와의 통신을 위해 각각, 제 1 무선 링크(118) 및 제 2 무선 링크(112)를 통해 무선 액세스 노드(106)와 직접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112)의 일 예는 W-CDMA 컴플라이언트 트랜시버와 같은 장거리, 고 전력, 및/또는 고 대역폭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이러한 높은 전력 인터페이스는 W-CDMA, cdma2000, GSM, WiMax, 및 WLAN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현시대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또한, 제 3 무선 링크(120)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기 위한 2차 (예를 들어, 저 전력 또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또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은 각각, 오버-디-에어 송신들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조장하는 제 2 무선 전송기/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무선 링크들(118 및 122)이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반면 제 3 무선 링크(120)는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과는 상이하거나 또는 구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일 구현에서, 저 전력 인터페이스로도 또한 지칭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고 전력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용어들 "고 전력" 및 "저 전력"은 상대적인 용어들이고 특정 레벨의 전력 소모를 암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해야한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은 단순히, 등가의 동작 모드들(예를 들어, 유휴 모드들)에서의 주어진 동작 시간 동안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이는 단지, 더 낮은 대역폭 및/또는 더 짧은 범위의 인터페이스들이 더 높은 대역폭 및/또는 더 긴 범위의 인터페이스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것이라는 것을 인지한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116)의 일 예는 단거리, 낮은 전력, 및/또는 낮은 대역폭 통신 인터페이스, 이를 테면 시분할 듀플렉스(TDD) 방식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컴플라이언트 트랜시버일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는 동기식 방식으로 교대로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이, 종종 피코넷으로 지칭되는 애드 훅(ad hoc)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제 1 모드 및 제 2(또는 프록시) 모드를 비롯한 다양한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활성 모드 또는 유휴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활성 모드에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액세스 노드(106)와 통신하기 위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사용하여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전송하기 위한 호/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주기적으로 턴 온(예를 들어, 어웨이크 상태)하여 액세스 노드(106)에 의해 전송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들)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후, 추가적인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예를 들어, 슬립 상태)를 턴 오프할 수 있다. 프록시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슬립 상태 또는 일부 다른 낮은 전력 상태로 파워 다운(예를 들어, 턴 오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유휴 모드의 슬립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 사이에서 순환하는 빈도는 액세스 노드(106)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로 통신되거나 그리고/또는 액세스 노드(106)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유휴 모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시그널링/제어 채널 사이클 레이트를 종래의 순환 빈도(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들의 경우 5.12초, UMTS(WCDMA)네트워크들의 경우 1.28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노드(106)는, 무선 단말(102)의 예상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무선 단말(102)이 응답하는 것(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 기간 내에 페이지 메시지들에 회신하는 것 등)을 예상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일부 클라이언트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사이클 레이트(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들의 경우 5.12초 마다, 또는UMTS(WCDMA) 네트워크들의 경우 1.28초 마다)는 수용가능하지 않은 시스템 반응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투-토크(PTT)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QChat)에서, 긴 사이클 레이트는 호 셋업 동안 수용가능하지 않은 레이턴시를 발생시킨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반응성 요건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102) 또는 액세스 노드(106)는 실질적으로 더 큰 빈도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이클 레이트를 실질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더 짧은 사이클 레이트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더욱 빈번하게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턴 온하고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턴 오프되어 있는 시간은 더 적게 들이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동작 모드(또는 적어도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동작 상태)를 제 1 (유휴) 모드로부터 제 2 (프록시) 모드로 일방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의 이 변경으로 인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파워 다운(예를 들어, 턴 오프되거나 또는 낮은 전력 모드에 둠)될 수 있고, 이로써 전력이 절약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짧은 사이클 레이트 및 장기 사이클 레이트는 상대적인 용어들이고 특정 사이클 타이밍을 암시하지 않는다. 장기 사이클 레이트는 단순히,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사이클 빈도이다. 예시로서, 적어도 일부의 구현들의 경우, 짧은 사이클 레이트는 지속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내지 약 5.12초 또는 1.28초 사이의 사이클 레이트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짧은 사이클 레이트는 대략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의 사이클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속적인" 또는 "지속적으로"가 사이클 레이트에 대한 값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들이 온과 오프 사이에서 순환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오히려, 본원에서 "지속적인" 또는 "지속적으로"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턴 오프되지 않고 있는 시간 기간 동안 온(on)인 채로 있는 구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변경하기에 앞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프록시 디바이스(104)에게 액세스 노드(106)와의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관해 스캐닝하는 것(예를 들어, 공통 무선 채널을 통한 프록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것) 그리고/또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에 관해 스캐닝하는 것(예를 들어, 프록시 디바이스들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 하는 것)에 의해 로컬 또는 인근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찾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프록시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 인터페이스가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될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프록시 디바이스들에 대해 스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의 실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2차 통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구비한 잠재적인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식별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인입하는 메시지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액세스 노드(106)로부터의 페이지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이들을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수신지인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포워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록시 디바이스들이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어느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에서 측정된 또는 지각된 것으로서 최선의 또는 가장 강한 단거리 링크를 갖는지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록시"로서 역할을 할 하나의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그널링/제어 채널 파라미터들과 함께,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프록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록시 디바이스들과의 보안 관계를 사전에 확립할 수 있다. 보안 관계를 사전에 확립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검출한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포워딩하는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신뢰할 수 있다.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와 클라이언트 단말(102) 둘 모두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액세스 노드(106)를 청취하고 있는 구현들에서, 이들의 클록들은 이미 동일한 액세스 노드를 청취함으로써 이미 동기화되었다.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에 대한 클록 정보를 대신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임의의 관련 시그널링/제어 채널 사이클 레이트에 대해 동기화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그 자신의 클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일단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식별되고 선택되었다면, 각각,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10)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을 통해 통신 링크가 확립되거나 또는 셋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가 블루투스 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인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112)는 홉 시퀀스 또는 주파수 홉 시퀀스로 지칭되는 의사-랜덤 시퀀스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프록시 디바이스(1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들의 각각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6 및 114)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위한 프록시로서 확립되었다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무선 네트워크 및 액세스 노드(106)에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비-제한적인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지속적으로 또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 예를 들어, 약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무선 네트워크 및 액세스 노드(106)에 나타낼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위한 프록시로서 확립되었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106))에 통지하지 않고 그의 동작 모드를 (예를 들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추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록시 모드로의 변경 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워 다운(또는 턴 오프)할 수 있고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통해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활성화할 수 있다.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 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함에 따라, 적어도 상대적으로 긴 인터벌들 동안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파워 다운하는 것(또는 그의 동작 상태를 저하시키는 것(lowering)) 그리고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해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이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에서의 전력 절약을 조장한다.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지속적으로 또는 액세스 노드(106)에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 114)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임의의 메시지들을 포워딩한다. 무선 네트워크 및 액세스 노드(106)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지속적으로 또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통지받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는, 다음 모니터링 사이클까지 대기하는 대신, 메시지들의 수신 시 더욱 신속하게 메시지들(예를 들어, PTT 어나운스 호 메시지)을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지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음을,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액세스 노드(106)에 나타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노드(106)는, 메시지들의 수신 시, 메시지들을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들, 이를 테면, 페이지 메시지들을 더욱 신속하게 (예를 들어, 즉시 또는 실질적으로 즉시) 전송하는 것은 시스템에서의 레이턴시의 감소를 조장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 반응성이 개선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에서의) 전력 절약이 동시에 증가된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각각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메시지들을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수신지인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한 "프록시"로서 비슷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프록시 디바이스(104) 사이의 프록시 방식은, 무선 네트워크 및 액세스 단말(106)을 비롯한, 나머지 통신 시스템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프록시 모드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통지받지 못하고, 여전히, 액세스 노드가 자력으로 유휴 모드에서 동작 중에 있다고 여기게 된다. 따라서, 프록시 방식은 액세스 노드(106)에 대해 투명하고, 액세스 노드(106)가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통신하는 방법 또는 그의 동작들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원에 기술된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감소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이를 테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서 구현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광대역 CDMA(W-CDMA),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을 구현할 수 있다. RAT는 오버-디-에어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지칭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RAT를 구현할 수 있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W-CDMA 및 GSM을 RAT들로서 사용하는 시스템이며,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되는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되는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3GPP 및 3GPP2 문헌들은 공중이 이용가능하다.
본원에 기술된 일부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의 기능은 단말기 또는 액세스 노드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는, 서빙되는 단말들과 통신하는 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와, 서빙되는 단말들을 위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과 호환가능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이 특정 구성에서, 2차 인터페이스가 액세스 노드(이는 통상적으로 풍부한 전원을 가짐)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세스 노드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 송신 범위를 이러한 전력 인터페이스들의 통상적인 송신 범위를 초과하여 증가(boost)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액세스 노드는, 수신된 메시지들(예를 들어, 페이지 메시지들)을 액세스 노드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셧 오프한 서빙된 단말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대응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로 포워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빈번한 또는 지속적인 채널 모니터링
도 2는, 프록시 디바이스가 개선된 시스템 반응성 및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을 조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102), 프록시 디바이스(104), 및 액세스 노드(106)가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채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정보 및/또는 클라이언트 식별자(ID)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프록시로서 동작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전력을 절약하면서 반응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증가시키기 원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ID를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나타낼 수 있다(202). 이후, 클라이언트 ID를 이용하여,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식별자를 그의 프록시 리스트에 추가하고(204), 확인응답(206)을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전송하여 정보의 수신에 확인응답한다. 확인응답(206)을 수신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프록시 디바이스(104)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통신 링크가 셋업되었다.
통상적으로,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페이지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액세스 노드에서 수신되는 경우, 액세스 노드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게 될 시기에, 메시지가 수신지인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스케줄링해야한다. 종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수명을 절약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사이클들 간의 시간 기간이 실질적으로 길 수 있는데, 이는 액세스 노드가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기 전에 상당한 대기 시간을 유발시키고, 통신 시스템에 추가 지연(또는 레이턴시)을 도입시킨다.
이러한 지연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심지어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지속적으로 또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106)로 전달할 수 있다(208). 예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약 5.12초 또는 그 미만의 사이클 레이트에서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예를 들어, 약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의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평균 대기 시간은 통상적으로 사이클 레이트의 약 절반이다. 따라서, 약 5.12초의 종래의 사이클 레이트는 평균 약 2.56초의 지연 시간을 유발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약 300 밀리초의 짧은 사이클 레이트는 약 150 밀리초의 평균 지연 시간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반면,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통신 시스템에 대한 추가 지연 시간이 실질적으로 거의 없는 것 내지 전혀 없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종래의 5.12초 미만인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5.12초의 사이클 레이트에 의해 일반적으로 소모되는 1 ㎃의 전류보다 상당히 더 많은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고-전력 1차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셧 다운(또는 파워 다운)(예를 들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전환)하는 한편 그의 저-전력 2차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활성으로 유지하여 프록시 디바이스(104)와 통신함으로써 상당한 양의 전력을 절약한다.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페이지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212). 예를 들어, 일 구현에서,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PTT(예를 들어, QChat)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의해 나타내어진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브로드캐스트/전송될 수신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지 메시지, 이를테면, PTT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프로세스할 수 있다. 즉, 액세스 노드(106)는, 나타내어진 사이클 레이트(즉,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게 될 시기에)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전송될 메시지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사이클까지의 시간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을 것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지속적이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메시지를 즉시 브로드캐스트/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메시지를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킷 송신들로서) 브로드캐스트/전송할 수 있고(214),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216). 일단 브로드캐스트가 수신되었다면,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인입하는 메시지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록시 리스트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18).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104)의 프록시 리스트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경우, 인입하는 메시지를,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포워딩할 수 있다(220).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입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시킬 수 있다(222). 일부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하여금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게 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때, 액세스 노드(106)로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106)와의 연결을 재확립할 수 있다(224).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이후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수락 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226).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PTT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수락 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106)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 PTT 단말에 의한 호 수락 메시지의 수신 시,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발신 PTT 단말은 2개의 단말들 사이에서 매체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도 3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페이지 메시지와 같은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다른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은 도 2에서 예시되고 상술된 것과 유사하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상세한 설명은 주로, 도 2와 상이한 그러한 특징들에 관련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사용할 수 있고(예를 들어, 302-306),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이러한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액세스 노드(106)에 나타낼 수 있다(308).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셧 다운(또는 파워 다운)할 수 있다(310). 액세스 노드(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인입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지 메시지, 이를 테면, PTT 어나운스 호 메시지 등)을 수신하고 프로세스하고(312),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전송할 수 있다(314).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고(316), 메시지가 그의 프록시 리스트 내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수신지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318), 메시지를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특정된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포워딩할 수 있다(320). 일부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하여금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게 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포워딩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이후 액세스 노드(106)로 확인응답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비롯된 레이턴시는,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사용하여 확인응답을 액세스 노드(106)로 전송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324)시키는 동안,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 대신 확인응답을 액세스 노드(106)로 전송할 수 있다(322).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324)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106)와의 연결을 재확립할 수 있다(326).
예를 들어, PTT 구현(예를 들어, QChat)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위해 액세스 노드(106)로부터 브로드캐스트/전송된 어나운스 호 메시지는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의해 수신된다. 어나운스 호 메시지의 수신 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02) 대신 수락 호 메시지를 액세스 단말(106)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 PTT 단말에 의해 수락 호 메시지를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발신 PTT 단말은 2개의 단말들 사이에서 매체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 지원을 이용한 호 개시
도 4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 호 요청을 전송하고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호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는 호 개시의 예를 도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 2 및 3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채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정보 및/또는 클라이언트 식별자(ID)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프록시로서 동작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ID를 전송함으로써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나타낼 수 있다(402). 클라이언트 ID를 이용하여, 이후,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식별자를 그의 프록시 리스트에 추가하고(404), 정보의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해서 확인응답을 클라이언트 단말(102)로 전송한다(406). 확인응답의 수신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프록시 디바이스(104) 사이에서 통신 링크가 실질적으로 셋업되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프록시 디바이스(104)와의 통신을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의 저-전력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으로 유지하는 동안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고-전력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셧 다운(또는 파워 다운)(예를 들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408).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는 동안,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을 이용하여 호를 개시할 수 있다(4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어드레스(예를 들어, 전화 번호, PTT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고 발신 버튼을 누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호를 개시할 경우, 2개의 단말들 사이에서 호 셋업을 요청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될 호 요청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된 이후, 호 요청 메시지의 전송 전에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상당한 양의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파워 다운되어 있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대신, 활성 상태인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호 요청 메시지를 프록시 디바이스(104)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412). 호 요청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동안에(416) 또는 이 활성화 이전에,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의해 네트워크(또는 액세스 노드(106))로 포워딩되고(414),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106)와의 연결을 재확립할 수 있다(418).
호 요청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102)로부터 프록시 디바이스(104)로 전송하기 위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106)로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시간으로부터 종래의 단말들에 의해 경험된 지연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 지원을 이용한 예시적인 푸시 -투-토크 구현
도 9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력 절약을 개선하고 호 셋업 시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푸시-투-토크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이용하여 프록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은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과의 푸시-투-토크(PTT)를 개시하고 확립하기를 원한다.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과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 사이의 통신들은, 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 등) 및 멀티포인트 제어 유닛(MCU)(906)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록시 디바이스(903)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프록시 모드(예를 들어, 1차 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유휴 모드에서 보다 더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프록시 모드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그의 1차(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파워 오프되도록 그의 1차(또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낮은 전력 모드일 수 있다.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의 사용자는, 그 사용자가 통신하기 원하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의 어드레스(예를 들어, 전화 번호)를 선택할 수 있고 푸시-투-토크 버튼을 눌러 통신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908). 이후,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이 호 요청을 지역 디스패처(904)로 전송한다(910). 지역 디스패처(904)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에서 통신하고 통신들을 MCU(906)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된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 디스패처(904)에 의한 호 요청의 수신 시, 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에서 실행된 QChat 애플리케이션 서버(QAS)는 호 프로세싱(912)을 실시할 수 있고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에 의해 나타내어진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전송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진술되었던 바와 같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호 요청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 대신에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이용하고 있더라도,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또는 심지어 지속적으로 이러한 페이지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지역 디스패처(904)에게 광고해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지역 디스패처(904)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에 의해 광고된 사이클 레이트에 의존하여,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을 수신지로 하는 호 어나운스먼트 메시지를 비교적 더 신속하게 또는 수신 즉시 브로드캐스트/전송할 수 있다(914).
이 예에서, 프록시 디바이스(903)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 대신에 호 어나운스먼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지역 디스패처(904)가,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여기는 동안, 사실상,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더 긴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거나 또는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전혀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는다. 지역 디스패처(904)가,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 따라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여기는 동안, 호 어나운스먼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 대신 프록시 디바이스(903)를 이용하는 것은 QAS 호 프로세싱(912)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지역 디스패처(904)가, 이것이 비교적 더 긴 사이클 레이트에 따르는 것보다 비교적 더 신속하게 (평균적으로) 호 어나운스먼트를 브로드캐스트(914)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 대신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프록시 디바이스(903)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을 수신지로 하는 호 어나운스먼트를 수신할 수 있고 그 어나운스먼트를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로 포워딩할 수 있다(916). 호 어나운스먼트를 수신할 때(916),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를 들어, 프록시 모드로부터 연결 또는 유휴 모드로) 활성화시키고 수락 호 메시지를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역 디스패처(904)로 전송할 수 있다(918). 이후, 발언권 승인(Floor Grant)이 네트워크(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로부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로 전송될 수 있다(920). 이후,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902)이, 호 요청이 수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를 위한 토크 톤을 재생할 수 있고(922), 사용자는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과 자유롭게 대화를 시작한다(926).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네트워크(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에 대해 투명하거나 또는 알려지지 않는 프록시 모드에서 동작하며,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의 관점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제어/신호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를 유지한다. 이는, 네트워크가 보다 신속하게 QAS 호 프로세싱(912)을 실시하게 하고, 초기 PTT 레이턴시(TA)(924)를 실질적으로 또는 상당하게 감소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짧은 제어/신호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의 사용은 레이턴시를 예를 들어, 약 85 내지 90 밀리초까지 감소시키는 초기 PTT 레이턴시(TA)(924)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호 셋업 시 레이턴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도 9의 흐름도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다. 이 대안적인 접근에서,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프록시 디바이스(903)에게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요청할 때,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그것이 제어/신호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QChat 애플리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에서 동작하고 있음)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지역 디스패처(904)는, 그것이 (예를 들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의 페이징 사이클을 대기하는 지연 없이) 호 어나운스먼트를 즉시 전송하거나 또는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914), QAS 호 프로세싱(912)(도 9)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평균적으로, 이런 점에서 페이징 사이클 지연의 절반이 제거될 수 있다. 짧은 제어/신호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의 이용은, 예를 들어, 대략 추가 15 내지 20 밀리초까지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초기 PTT 레이턴시(TB)(1024)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은 호 셋업 시의 레이턴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도 9의 흐름도에 대한 또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이 대안적인 접근에서, 도 10의 접근법과 유사하게,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이 프록시 디바이스(903)에게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요청할 때,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이것이 제어/신호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QChat 애플리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지역 디스패처(904)에서 동작하고 있음)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지역 디스패처(904)는, 그것이 (예를 들어,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의 페이징 사이클을 대기하는 지연 없이) 호 어나운스먼트를 즉시 전송하거나 또는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914), QAS 호 프로세싱(912)(도 9)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호 어나운스먼트를 수신하는 즉시(914), 프록시 디바이스(903)는 호 어나운스먼트를 타겟 단말(901)로 포워딩할뿐만 아니라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을 대신하여 수락 호 메시지를 지역 패스패처(904)로도 또한 전송한다(1118). 이 접근법에서, 타겟 클라이언트 단말(901)은, 프록시 디바이스(903)가 그것을 대신하여 수락 호를 전송(1118)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따라서 수락 호 메시지를 그 스스로 전송할 필요가 없다. 짧은 제어/신호 채널 모니터링 사이클 레이트의 사용은, 예를 들어, 대략 추가 100 밀리초까지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초기 PTT 레이턴시(TC)(1124)를 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단말
도 5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하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일 예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프로세싱 회로(504), 이를 테면, 작은 그리고/또는 낮은-전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502)로 하여금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508)로의/네트워크 액세스 노드(508)로부터의 링크를 통해 제 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게 하는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5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는, 이를 테면 CDMA-컴플라이언트 네트워크를 통한, 장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높은 전력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502)을, 프록시 디바이스(512)로의 직접 무선 링크와 같은, 제 2 무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과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는, 이를 테면, 블루투스-컴플라이언트 네트워크를 통한, 단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낮은 전력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량은 제한된다.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입하는 메시지들(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들)에 대해 청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예를 들어, 유휴 모드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 또는 (예를 들어, 슬롯팅된 유휴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활성(또는 파워 온)이며, 이때에, 클라이언트 단말의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으로부터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제어 채널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단말-특정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는 특정 프레임들이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될 수 있는 동시적인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클라이언트 단말들 중에서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불연속 수신 동작(예를 들어, DRX)에 진입할 수 있고 이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들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불연속 수신 동작에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슬립"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 사이에서 순환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할당된 프레임보다 먼저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하고, 어웨이크 상태에 진입하고, 그의 할당된 프레임 동안 메시지들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프로세스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추가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의 더 긴 사이클 레이트(즉, 할당된 프레임들 사이의 더 긴 시간)는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하지만, 액세스 노드가 임의의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다음 할당된 프레임까지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무선 시스템에 추가적인 레이턴시를 도입시킨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예를 들어, 5.12초 마다의) 종래의 사이클 레이트들은 추가적인 레이턴시로 인해 수용가능하지 않은 시스템 반응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투-토크(PTT)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적응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긴 사이클 레이트는 호 셋업동안 수용가능하지 않은 레이턴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반응성 요건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액세스 노드는 실질적으로 더 많은 빈도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이클 레이트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더 짧은 사이클 레이트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더 자주 파워 온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의 내부 배터리의 소모를 증가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외부 또는 별개의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절전들을 개선하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절전들의 개선 및 레이턴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세싱 회로(504),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 및/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들을 실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클라이언트 단말(502)이 유휴 모드로부터 프록시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요청함으로써 절전들을 개선할 수 있다. 프록시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를 파워 다운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메시지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들(506)을 턴 오프하는 것, 또는 액세스 노드에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비교적 더 긴 사이클 레이트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를 온과 오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2)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파워 다운한 경우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클라이언트 단말(502)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또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로서, 적어도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PTT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PTT 호 요청을 클라이언트 단말(502)로 전송할 때부터 사용자가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할 수 있을 때까지 사용자가 경험하는 통상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이, 액세스 단말(502)이 약 5.12 초 미만의 짧은 사이클 레이트로 관련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PTT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예를 들어,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의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록시가 배정되고 그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짧은 사이클 레이트가 액세스 노드(또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에 나타내어지면,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된 임의의 메시지들에 대해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적어도 몇몇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시로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약 50과 100 밀리초 사이의 사이클 레이트에서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선택적인 특징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호 개시 메시지를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종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사용자가 다른 단말로 전화(예를 들어, PTT 호)를 걸 것을 선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은 호 개시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또는 제 1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전에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업하고 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호 개시 메시지가 액세스 노드로 전송되기 전, 이러한 파워 업과 연결 프로세스는 상당한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502)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506)를 파워 업(예를 들어, 프록시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의 전환)하기 전이나 또는 파워 업하는 동안 호 개시 메시지를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에 따라 200 밀리초까지 레이턴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해 프록시로서 동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602).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식별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604). 적어도 몇몇 구현들에서, 액세스 노드로의 메시지는 약 5.12초 미만 또는 약 1.28초 미만부터의 사이클 레이트들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액세스 노드로의 메시지는, 예를 들어, 약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또는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의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은, 이것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매 1초, 800 밀리초, 500 밀리초, 300 밀리초, 200 밀리초, 100 밀리초 마다, 지속적으로, 또는 대략 그 사이 즈음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액세스 노드에 나타낼 수 있다.
이후, 클라언트 단말은, 액세스 단말에 나타낸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인터벌 동안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할 수 있다(606). 몇몇 구현들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페이지 메시지 또는 웨이크-업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파워 오프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사이클 레이트로 온과 오프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순환시킬 수 있다. 예시로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약 5.12초 또는 더 긴 시간을 포함하는 인터벌 동안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위해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608). 적어도 몇몇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가 온과 오프 사이에서 전환되는 사이클에서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시로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약 50 내지 100 밀리초의 사이클 레이트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610),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업하고(612),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로 연결될 수 있다(614).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는 경우 호 요청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616).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업(612)하기 전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업하고 있을 때와 동시에, 호 요청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록시 디바이스는 호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록시 디바이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감소 둘 모두를 조장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위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프록시 디바이스의 예의 블록도이다.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프로세싱 회로(704),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706), 및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7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는 프록시 디바이스(702)를 제 1 무선 통신 링크(710)를 통해 액세스 노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는, 이를 테면 CDMA-컴플라이언트 네트워크를 통한, 장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높은 전력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708)는 프록시 디바이스(702)를 클라이언트 단말(712)에 결합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708)는, 이를 테면 블루투스-컴플라이언트 네트워크를 통한, 단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더 낮은 전력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동작 모드에서,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714) 상에서 식별된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위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를 통해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위해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동의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록시 모드에서,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그것이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동의한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연관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액세스 노드에 나타내어진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한다.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를 나타내는, 액세스 노드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메시지가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메시지를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708)를 통해 링크를 경유하여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712)로 포워딩할 수 있다. 메시지의 포워딩에 있어서,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와 연관된) 제 1 프로토콜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708)와 연관된)제 2 프로토콜로 이 메시지를 트랜슬레이트할 수 있다.
몇몇 선택적인 특징들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해 수신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확인응답(예를 들어, PTT 호 수락 메시지)을 액세스 노드로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확인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약 100 밀리초 만큼의 레이턴시가 회피될 수 있으며, 이 레이턴시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출력(full power)(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웨이크 업, RF 웜 업(warm up), 액세스 노드로의 연결)로 진행하는 시간과 연관된다.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 개시 메시지(예를 들어, PTT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702)는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706)를 통해 액세스 노드로 호 개시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출력으로 진행하기 위한 시간과 연관된 레이턴시(약 200 밀리초 정도)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업되고 있는 동안 호 개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회피된다.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전력 절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한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을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시그널링/제어 채널 및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802). 이러한 요청은 프록시 디바이스의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요청의 컨퍼메이션이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803), 이때에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할 수 있다. 이후, 클라언트 단말과 연관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804). 실질적으로, 프록시 디바이스는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액세스 노드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상의 메시지들에 대해 청취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806). 프록시 디바이스는, 수신된 메시지가 프록시 리스트 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808). 프록시 리스트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위한 메시지들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상의 메시지들에 대해 계속해서 청취할 수 있다(806). 프록시 디바이스가, 프록시 리스트 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목적지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 메시지를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한다(810).
몇몇 선택적인 특징들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812). 예를 들어, 수신된 메시지가 PTT 어나운스 호 메시지와 같은 페이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수락-호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 스스로 수락-호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연관된 레이턴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록시 디바이스는 호 개시 메시지(예를 들어, PTT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814).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호 개시 메시지를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816).
도 1, 2, 3, 4, 5, 6, 7, 8, 9, 10 및/또는 11에 도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 단계들, 특징들 및/또는 기능들은 하나의 컴포넌트, 단계, 특징 또는 기능으로 재배열되고 그리고/또는 결합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 단계들, 또는 기능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이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추가될 수 있다. 도 1, 5 및/또는 7에 도시된 장치,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도 2, 3, 4, 6, 8, 9, 10 및/또는 11에서 기재된 방법들, 특징들, 또는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신규한 알고리즘들은 또한 소프트웨어에서 효율적으로 구현되고 그리고/또는 하드웨어에 수록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몇몇의 구현들은 플로우차트, 흐름도, 구조 다이어그램,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되는 프로세스로서 설명되었다는 것을 주목한다. 플로우차트는 동작들을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설명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많은 것은 병렬로 또는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의 동작들이 완료되는 경우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함수,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하는 경우, 그의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주요 함수로의 함수의 복귀에 대응한다.
더욱이, 실시형태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에서 구현되는 경우, 필수 작업들을 실시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저장소(들)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수 작업들을 실시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문(program statement)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컨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프로세싱 유닛, 프로그래밍 명령들 또는 다른 지시(direction)들의 형태로,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단일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더욱이, 저장 매체는, 판독-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들, 광학 저장 매체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들,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용어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매체들, 이를 테면 휴대용 또는 고정식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또는 이송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방법들은, "머신-판독가능 매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머신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둘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전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원에 설명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교시들은 다른 타입들의 장치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고 많은 대안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Claims (47)

  1.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액세스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프록시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수신지로 하는(intended for) 메시지를 전송하고 ― 상기 메시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포함함 ―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액세스 노드를 수신지로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노드가 상기 표시되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고; 그리고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컴플라이언트(compliant)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인, 클라이언트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로의 메시지는 지속적으로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지만,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턴 오프하지 않는, 클라이언트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긴 사이클 레이트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상기 긴 사이클 레이트는 상기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클라이언트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push-to-talk Announce Call) 메시지를 포함하는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는 경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약 50 밀리초 내지 100 밀리초의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1.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액세스 노드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액세스 노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표시되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가 프록시로서 동작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제어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이클 레이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에 대한 상기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한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지만,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턴 오프하지 않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단계는 상기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인터벌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2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의 사이클 레이트로 온과 오프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는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한 후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9.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액세스 노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표시되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어 있는 동안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것은 상기 짧은 사이클 레이트보다 더 긴 인터벌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하는 것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22.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력을 절약하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갖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로부터 인입하는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게 하고 ―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액세스 노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표시되는 짧은 사이클 레이트에서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게 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어 있는 동안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에 결합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할 것이라는 확인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사이클 레이트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상기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사이클 레이트가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됨 ― ;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25. 삭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 컴플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인, 프록시 디바이스.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액세스 노드로 통신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5.12 초 미만인, 프록시 디바이스.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액세스 노드로 통신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300 밀리초 미만인, 프록시 디바이스.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액세스 노드로 통신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지속적인 것인, 프록시 디바이스.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상기 액세스 노드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상기 요청은 클라이언트 식별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상기 사이클 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노드로 통신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입하는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3.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4.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사이클 레이트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상기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사이클 레이트가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됨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식별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그널링/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상기 사이클 레이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5.12 초 미만인,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300 밀리초 미만인,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사이클 레이트는 지속적인 것인,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푸시-투-토크 어나운스 호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확인응답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2.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고 있는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한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사이클 레이트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 1 통신 수단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상기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사이클 레이트가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됨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인입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수단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수단은 상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확인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45.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을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갖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자신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파워 다운하는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위한 프록시로서 동작해달라는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사이클 레이트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제어 채널 상의 인입하는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게 하고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파워 다운되더라도, 상기 시그널링/제어 채널이 상기 사이클 레이트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사이클 레이트가 또한 액세스 노드로 통신됨 ―;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포워딩하게 하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46. 제 45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푸시-투-토크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스 노드로 포워딩하게 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47. 제 45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수신지로 하는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입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대신 확인응답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게 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09536A 2010-09-16 2011-09-15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KR101543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3,467 2010-09-16
US12/883,467 US8515500B2 (en) 2010-09-16 2010-09-16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and system latency reduction using a proxy device
PCT/US2011/051806 WO2012037381A1 (en) 2010-09-16 2011-09-15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and system latency reduction using a prox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02A KR20130082502A (ko) 2013-07-19
KR101543709B1 true KR101543709B1 (ko) 2015-08-11

Family

ID=4477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536A KR101543709B1 (ko) 2010-09-16 2011-09-15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15500B2 (ko)
EP (1) EP2617251B1 (ko)
JP (1) JP5784735B2 (ko)
KR (1) KR101543709B1 (ko)
CN (1) CN103181225B (ko)
IN (1) IN2013CN02048A (ko)
WO (1) WO2012037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4658B2 (en) * 2011-01-05 2014-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bernation during meetings
KR101796532B1 (ko) * 2011-06-22 2017-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모드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5863368B2 (ja) * 2011-10-04 2016-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該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50827A1 (en) * 2012-03-20 2013-09-2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odifying performance attributes based on device capabilities
JP5932543B2 (ja) * 2012-07-26 2016-06-0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テザ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
JP5527830B2 (ja) 2012-08-30 2014-06-2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主装置間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それを含む主装置システム及び主装置間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US9591679B2 (en) 2012-09-17 2017-03-07 Blackberry Limited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826381B2 (en) 2012-09-18 2017-11-21 Blackberry Limited Device handshake/discovery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82895B2 (en) 2012-09-21 2015-03-17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014113B2 (en) * 2012-09-21 2015-04-21 Blackberry Limited User equipment architecture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154467B2 (en) 2012-09-26 2018-12-11 Blackberry Limited Transmit power adjustment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37836B2 (en) 2012-10-15 2015-09-15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communication authorization and data sniff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744182B1 (en) * 2012-12-13 2016-11-23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9363772B2 (en) * 2013-05-21 2016-06-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all setup delay
US10741041B2 (en) * 2014-01-06 2020-08-11 Binatone Electronics International Limited Dual mode baby monitoring
KR102152671B1 (ko) * 2014-08-22 2020-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착신 전환 제어 방법
US9686818B2 (en) * 2014-09-02 2017-06-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power efficient Wi-Fi
US10027573B2 (en) * 2014-10-10 2018-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virtualization mechanism
KR102306804B1 (ko) * 2015-01-21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CN107409379B (zh) * 2015-04-09 2021-08-24 索尼公司 终端设备、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程序
JP6491575B2 (ja) * 2015-09-02 2019-03-27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79883B2 (ja) * 2015-09-24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62535B2 (en) * 2016-04-22 2019-07-23 Kodiak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ush-to-talk (PTT) key one-touch calling
CN107666454B (zh) 2016-07-28 2022-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下行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18046450A (ja) * 2016-09-15 2018-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2745B2 (ja) * 2017-08-02 2022-01-20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省電力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端末間協調方法
CN109547945B (zh) * 2017-09-22 2021-11-16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接入点设备和站点设备
AU2019225452B2 (en) * 2018-02-23 2023-09-21 Agsensio Pty Ltd Power conserving local wireless network
CN112351418B (zh) * 2019-08-09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能力信息的上报方法及终端
FI4014471T3 (fi) 2019-08-14 2023-12-28 Signify Holding Bv Menetelmä ja järjestely palvelimella viestintää varten keskenään yhdistettyjen solmulaitteiden verkon solmulaitteen kanssa
US11908291B2 (en) * 2020-07-21 2024-02-20 Freeus, Llc Reconfigurable power modes
US11895493B1 (en) * 2021-02-18 2024-02-06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a device that operates in a monitor mode
US11930548B2 (en) 2021-06-23 2024-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multiple infrastructure connections to multiple access points via a single wireless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CN114726665B (zh) * 2022-04-02 2024-04-09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掉电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303A1 (en) * 2008-03-03 2009-09-0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20100203905A1 (en) 2009-02-06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Partitioned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6525B (en) 2002-12-17 2006-05-03 Motorola Inc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dle state support therefor
JP2005072649A (ja) * 2003-08-22 2005-03-17 Ntt Docomo Inc 中継ノード、ユーザノード、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230314B2 (ja) * 2003-08-28 2009-02-25 京セラ株式会社 移動局
US7289822B2 (en) 2004-06-21 2007-10-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using a signaling channel to set up a call request for a push-to-talk communicat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349355B2 (en) * 2004-10-27 2008-03-25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proxy system
US8880126B2 (en) * 2005-12-21 2014-11-04 Ntt Docomo, Inc.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AN network detection
US20080071391A1 (en) * 2006-09-06 2008-03-20 Busby James B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US8363560B2 (en) 2006-11-01 2013-01-29 Inceptia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roxy component
US8199770B2 (en) * 2007-12-17 2012-06-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 operation in a network node in an energy efficient ethernet network
JP4926139B2 (ja) * 2008-08-04 2012-05-09 Kddi株式会社 ユーザが体感する発信時間を短くする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303A1 (en) * 2008-03-03 2009-09-0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20100203905A1 (en) 2009-02-06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Partitioned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4452A (ja) 2013-12-12
US20120072751A1 (en) 2012-03-22
KR20130082502A (ko) 2013-07-19
CN103181225B (zh) 2016-11-23
EP2617251A1 (en) 2013-07-24
US8515500B2 (en) 2013-08-20
EP2617251B1 (en) 2014-12-10
IN2013CN02048A (ko) 2015-08-21
CN103181225A (zh) 2013-06-26
WO2012037381A1 (en) 2012-03-22
JP5784735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709B1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US8478360B2 (en)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9402277B2 (en)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8934404B2 (en) Access point with proxy functionality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KR101524106B1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US8639273B2 (en) Partitioned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