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06B1 -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 Google Patents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06B1
KR101524106B1 KR1020137009702A KR20137009702A KR101524106B1 KR 101524106 B1 KR101524106 B1 KR 101524106B1 KR 1020137009702 A KR1020137009702 A KR 1020137009702A KR 20137009702 A KR20137009702 A KR 20137009702A KR 101524106 B1 KR101524106 B1 KR 10152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mode
proxy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804A (ko
Inventor
장원 이
오루푼밀로아 오. 아오니위
숨야 다스
사미르 에스. 솔리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프록시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신규한 전력 보존 방식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단거리 통신들을 위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와의 장거리 통신들을 위한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통보하지 않으면서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전력차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여전히 활성이라고 가정한다.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셧 오프하기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액세스 포인트와의 그의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외부 프록시 디바이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한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를 검출하면, 그 프록시 디바이스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데이터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Description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ING PROXY DEVICE}
다양한 피처(feature)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피처는, 2차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포워딩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신호들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랩탑 컴퓨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디바이스들, 모바일 또는 셀룰러 전화기들, 또는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점점 인기가 있어지고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전력공급이며,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의 양은 제한된다. 클라이언트 단말들 상에서 구동하는 전력-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들, 특히 엔터테이먼트 미디어 및 이미징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에 있어서,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수 개의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는 다양한 타입들의 "접속" 모드들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 상태들 - 셀 전용 채널 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 FACH, 셀 페이징 채널 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등록 영역(URA) 페이징 채널 PCH) 및 유휴(idle) 모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접속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또는 데이터 호들 또는 세션들)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기지국들, 노드 B, 펨토 셀 등)을 통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접속 모드에서, 종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회로를 유지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 유휴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메시지들을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채널(PCH)과 같은 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그러한 페이징 메시지들은, 인커밍 데이터 메시지(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 또는 세그먼트), 및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시스템 정보 및 다른 정보를 운반하는 제어/오버헤드 메시지들의 발생에 대해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휴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접속 모드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지만, 메시지가 수신되면, 회로에 전력공급하고 유휴 모드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재설정하는데 더 긴 지연이 존재한다. 이러한 지연은 (예를 들어, 접속 모드에서의 지연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길며, 사용자 경험에 현저하게 영향을 줄 것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수신할 시에 현저한 지연, 드롭된 메시지, 전송자로부터의 증가된 재시도들 등). 따라서, 접속 모드에서 무선 단말을 유지하는 것은, 더 신속한 고갈 또는 소모를 초래하지만, 유휴 모드로의 스위칭은 현저한 렉(lag) 또는 지연을 초래한다.
따라서, 전력-보존 모드 동작과 통상적으로 연관된 현저한 지연들을 회피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나의 피처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비활성, 및/또는 낮은 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피처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모드에서 동작되며, 여기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진다. 후속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은, 자신이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비활성화가 시간의 임계양을 초과하면,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제 2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요청을 프록시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자, 채널 식별자, 및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그 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후속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제 2 모드로부터 제 1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대되면, 제 2 모드로부터 제 1 모드로 스위칭된다.
선택적인 피처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wake-up)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기상 신호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다가올 것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상 신호의 결과로서 제 1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 1 모드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의 접속 모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모드는 셀 전용 채널(Cell_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Cell_FACH), 셀 페이징 채널(Cell_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URA_P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모드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에서 접속해제 모드 또는 유휴 모드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1 모드는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 모드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접속 모드는 활성 모드이다. 제 2 모드는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해제 모드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접속해제 모드는 중지 모드, 유휴 모드,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일 구현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인터페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a)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져 있음 -; (b)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요청을 프록시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c)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음 -; 및/또는 (d)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의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큰 대역폭을 갖는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제 1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채널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컴플리안트(compliant) 인터페이스이고,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이다.
또 다른 피처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프록시로서 동작하기 위한 요청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다. 응답으로,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프록시 리스트에 부가할 수도 있고, 요청을 수용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 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 채널 상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한다. 후속하여,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통신 프로토콜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2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도 있다. 그 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 포워딩, 또는 중계한다. 일 예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데이터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 것에 응답하여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확인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한 이후에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imminent)하는지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하다면,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 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주어진 데이터 메시지 사이즈에 대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해 프록시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프록시로서 동작하고 있을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기대되는 것과는 상이함을 유의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그것이 클라이언트 단말과 직접 통신하고 있다고 믿고 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접속해제되어 있다. 일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에서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모드는, 셀 전용 채널(Cell_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Cell_FACH), 셀 페이징 채널(Cell_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URA_P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실,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에서 접속해제 모드 또는 유휴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여기서, 접속 모드는 활성 모드이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실,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해제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여기서, 접속해제 모드는 중지 모드, 유휴 모드,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다.
프록시 디바이스의 일 구현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적응된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적응된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되거나 그들 사이에 존재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a)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프록시로서 동작하기 위한 요청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b)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 상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고; 및/또는 (c)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피처들의 특성들, 속성, 및 이점들은 도면과 함께 취해졌을 때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전반에 걸쳐 대응적으로 식별한다.
도 1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상이한 무선 통신 표준들에 대한 동작 모드들의 2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보존을 위해 구성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5(도 5a 및 도 5b를 포함함)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보존을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해 프록시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프록시 디바이스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실시형태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주어진다. 그러나, 실시형태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회로들은 불필요하게 상세하여 실시형태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블록도들로 도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회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실시형태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도시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한 용어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형태들의 특정한 피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라는 용어는 통신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무선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액세스 포인트" 라는 용어는 기지국들, 노드-B 디바이스들,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 이라는 용어는 모바일 전화기들, 페이저들, 무선 모뎀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 개인 정보 관리기(PIM)들, 팜탑 컴퓨터들, 랩탑 컴퓨터들,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모바일 통신/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프록시 디바이스" 라는 용어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및/또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러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의도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메시지" 라는 용어는 다양한 타입들의 콘텐츠, 정보, 커맨드들, 명령들, 페이징 정보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운반 또는 전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관
하나의 피처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비활성, 접속해제, 및/또는 낮은-전력 상태로(예를 들어,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 스위칭되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인커밍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1차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장거리 또는 높은 대역폭 인터페이스), 및 인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단거리(예를 들어, 몇 피트, 또는 일 마일 미만)에 걸쳐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또는 단거리 또는 낮은 대역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1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CDMA 컴플리안트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2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1차 및 2차 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하나의 차이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1차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1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높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고, 2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낮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높은 전력" 및 "낮은 전력" 이라는 용어들이 상대적인 용어들이며, 특정한 레벨의 전력 소모를 암시하지는 않음이 명확해야 한다. 즉, 낮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는 간단히, 높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낮은 전력을 소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전력공급하는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공급될 수도 있다. 동작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하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지시 또는 명령들 하에서 또는 스스로 다양한 접속 모드들(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 상태들 - Cell DCH, Cell FACH, Cell PCH, 및 URA PCH)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 접속 모드 상에 있는 것으로 기대하며, 그 접속 모드에 대해 특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러나 내부 전원의 유용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예를 들어, 전력 보존 모드 또는 낮은-전력 모드)에 실제로 진입하도록 하나의 피처가 제공될 수도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채널 상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외부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동안,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에 전력공급을 중단(power off)한다.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결정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단독 재량(sole discretion)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실제로는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 있더라도 그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 모드에 있다고 믿고 있다. 전력 보존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포인트가 클라이언트 단말이 여전히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믿게 함으로써 접속 모드 성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 모드 - 데이터 채널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될 수도 있음 - 로부터 전력 절약 모드(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 - 데이터 채널이 모니터링되지 않거나 빈번하지 않게 모니터링됨 - 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프록시 디바이스를 설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그의 송신 범위 내에서, 로컬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스캐닝할 수 있다. 일단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들이 검출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프록시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그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단거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의 송신 범위 내에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결정할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프록시로서 서빙하도록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 협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측정 또는 인지된 바와 같은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최상의 또는 가장 강한 단거리 링크를 갖는지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프록시" 로서 서빙하도록 하나의 프록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채널들을 청취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채널들 및/또는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개시된 또는 전송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데이터 채널들 상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프록시는,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 또는 수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셧 오프된 1차 통신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가 그것이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메시지를 검출할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포워딩할 수도 있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의 수신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지가 다수의 패킷들을 포함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한 기상 신호 하에서 또는 스스로 접속 모드로 다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
도 1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통신 네트워크(108)의 일부일 수도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106)(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등)에 걸쳐 통신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각각, 제 1 무선 링크(118) 및 제 2 무선 링크(122)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106)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1차 (예를 들어, 높은 전력 또는 장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또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제 3 무선 링크(120)를 통해 직접 서로 통신하기 위한 2차 (예를 들어, 낮은 전력 또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또는 트랜시버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무선 링크들(118 및 122)이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지만, 제 3 무선 링크(120)가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과는 상이한 또는 별개의 제 2 주파수 대역 또는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일 구현에서, 낮은 전력 인터페이스로서 또한 지칭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높은 전력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 "높은 전력" 및 "낮은 전력" 이라는 용어들이 상대적인 용어들이며, 특정한 레벨의 전력 소모를 암시하지는 않음이 명확해야 한다.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4 및 116)은 간단히, 동등한 동작 모드들(예를 들어, 접속 모드들)에서의 주어진 시간의 동작 동안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0 및 112)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이것은 단지, 더 낮은 대역폭 및/또는 더 짧은 거리 인터페이스들이 더 높은 대역폭 및/또는 더 긴 거리 인터페이스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것임을 인식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내부(제한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공급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제 1 (또는 접속) 모드 및 제 2 (또는 접속해제/비활성/낮은-전력)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호/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06)와 통신하도록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속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의 데이터 채널을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접속해제/비활성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할 수도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6)에 의해 전송된 페이징 메시지들에 대해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또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동작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6) 또는 다른 엔티티로 통신되고 및/또는 그들에 의해 셋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접속 모드(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 상태 - Cell DCH, Cell FACH, Cell PCH, 또는 URA PCH)를 알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포인트(106)는, 무선 단말(102)이 그의 기대된 동작 모드에 따라 응답하는 것(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 기간 내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에 회답 등)을 기대한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액세스 포인트(106)에 통지하지 않으면서, 접속 모드로부터 비활성, 접속해제 및/또는 낮은-전력 모드(예를 들어, 유휴 또는 슬립 모드)로 그의 동작 모드(또는 적어도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동작 상태)를 일방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동작 모드에서의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턴 오프되며, 그에 의해 전력을 보존한다. 접속 모드로부터 디스에이블/슬립 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액세스 포인트(106)와의 그의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의 프록시로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작동하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예를 들어, 공통 무선 채널을 통한 프록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또는 (예를 들어, 프록시 디바이스들의 존재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 상에서 스캐닝함으로써 로컬 또는 근방의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발견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해제, 비활성, 및/또는 낮은-전력 모드로 스위칭할 경우 (예를 들어, 여기서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턴 오프됨) 그 인터페이스가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될 인터페이스이므로,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스캐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스캔을 수행할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2차 통신 인터페이스 양자를 갖는 잠재적인 프록시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것은,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의도된 액세스 포인트(106)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의도된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그들을 포워딩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록시 디바이스들이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의해 식별될 경우, 그 단말은, 어느 이용가능한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에서 측정 또는 인지된 바와 같은 최상의 또는 가장 강한 단거리 링크를 갖는지에 기초하여, 그의 "프록시" 로서 서빙할 하나의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선택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데이터 채널 파라미터들과 함께 프록시 요청을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록시 디바이스들과의 안전한 관계를 사전-설정할 수도 있다. 안전한 관계를 사전-설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검출한 인커밍 데이터 메시지들을 포워딩할 것으로 그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신뢰할 수도 있다.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 및 클라이언트 단말(102) 양자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106)를 청취하고 있는 구현들에서, 그들의 클록들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청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미 동기화되어 있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클록 정보를 대신 제공할 수도 있어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그 자신의 클록을 그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일단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식별 및 선택되면, 통신 링크는 클라이언트 단말(102) 및 프록시 디바이스(110)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 및 116)를 통해 각각 설정 또는 셋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가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이면, 프록시 디바이스(1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들 각각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116 및 114)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프록시 디바이스(112)는 홉(hop) 시퀀스 또는 주파수 홉 시퀀스로 지칭되는 의사-랜덤 시퀀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단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한 프록시로서 설정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이어서, 1차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에 통보하지 않으면서, 그의 동작 모드를 (예를 들어,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비활성 모드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비활성 모드로 변경할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의 모두 또는 일부를 전력차단(power down)(또는 턴 오프)할 수도 있으며,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셧 오프하고 (또는 그의 동작 상태를 낮춤),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해 인커밍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사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2)에 걸쳐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의도된 임의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14)에 포워딩한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 각각의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들을 의도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포워딩함으로써, 그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해 "프록시" 로서 유사하게 작동할 수도 있다.
일 피처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프록시 디바이스(104) 사이의 프록시 방식은 무선 네트워크 및 액세스 포인트(106)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나머지에 투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접속해제/비활성 모드로 변경했다고 통보받는 것이 아니라, 그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따라서, 프록시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106)에 투명하며, 그 액세스 포인트(106)가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통신하는 방식 또는 그의 동작들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또 다른 피처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프록시로서 작동하기 위한 범위 내에 여전히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핑(ping)을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된 시간의 양이 핑에 대한 프록시 디바이스(104)로부터의 응답 없이 경과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범위 밖에 있고 더 이상 그의 프록시로서 작동하지 않는다고 가정되므로, 액세스 포인트(106)로부터 직접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전력공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프록시 디바이스가 송신 범위 내에서 검출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새로운 프록시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전력공급을 중단하며, 새로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말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기지국,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들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고, 그들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스테이션, 컴퓨터, 랩탑, 모바일 전화기, 셀룰러 전화기,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고, 그들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은 액세스 포인트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동작 모드들 -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전력 보존은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비활성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는 상이한 무선 통신 표준들에 대한 동작 모드들의 2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접속 모드" 는,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리소스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인에이블, 활성화 또는 전력공급된(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전력공급된, 주기적으로 전력공급된, 순간적으로 전력공급된) 동작 상태를 지칭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접속해제 모드", "비활성 모드" 및/또는 "낮은-전력 모드"(예를 들어, "유휴 또는 슬립 모드들")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리소스들로의 액세스를 갖지 않도록, 그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전력공급 중단된(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전력공급 중단된, 주기적으로 전력공급 중단된, 순간적으로 전력공급 중단된) 동작 상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는, 다양한 동작 모드들을 정의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를 특정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UMTS RRC 상태들(202)은 접속 모드(204) 및/또는 유휴 모드(206)를 정의한다. 접속 모드(204)는, Cell DCH(212), Cell FACH(214), Cell PCH(216), 및 URA PCH(218)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접속 모드들에서, 무선 리소스들로의 액세스가 무선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유휴 모드(206)(예를 들어, 비활성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턴 오프되므로), 가장 낮은 전력 소모를 갖는다. 일 예에서, Cell FACH(214)는 CELL DCH(212)의 전력의 대략 오십 퍼센트를 소모하고, CELL PCH(216)는 Cell DCH(212)의 전력 소모의 단지 몇몇 퍼센트를 소모한다.
유사하게, 에볼루션-데이터 전용(EVDO)은 CDMA2000 표준 패밀리(family)의 일부이며, 활성 모드(222), 중지 모드(224), 유휴 모드(226), 슬립 모드(228), 및 오프 모드(230)를 포함하는 복수의 EVDO 동작 상태들(220)을 정의한다.
예시적인 1차 통신 인터페이스 - 1차 통신 인터페이스(110/112)의 일 예는 W-CDMA 컴플리안트 트랜시버와 같은 장거리, 높은 전력, 및/또는 높은 대역폭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그러한 높은 전력 인터페이스는 W-CDMA, cdma2000, GSM, WiMax, 및 WLAN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현대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2차 통신 인터페이스 - 2차 통신 인터페이스(114/116)의 일 예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방식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트랜시버와 같은 단거리, 낮은 전력, 및/또는 낮은 대역폭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는 동기식 방식으로 교대로 송신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것은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들로 하여금, 피코넷으로 종종 지칭되는 애드혹 방식으로 통신하게 한다.
여기에 설명된 전력 보존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용성(Wi-Max)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은 광대역 CDMA(W-CDM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구현할 수도 있다. RAT는 오버-디-에어(over-the-air) 통신을 위해 사용된 기술을 지칭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RAT를 구현할 수도 있다.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은, RAT들로서 W-CDMA 및 GSM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며,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로 명칭된 콘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칭된 콘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헌들은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접속 모드에서 사용된 데이터 채널이 접속해제 모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과는 상이하거나 별개임을 유의한다. 특히, 데이터 채널은 다양한 타입들의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연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모니터링된다. 한편, 시그널링/제어 채널은 데이터를 운반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페이징 신호들에 대해) 단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된다.
도 3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6), 프록시 디바이스(104), 및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채널에 대한 클라이언트 식별자(ID) 및/또는 데이터 채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프록시 디바이스(104)가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데이터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를 보유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전력을 보존하기를 원할 경우, 그 단말은, 그의 데이터 채널(들) 및 클라이언트 ID 및/또는 다른 데이터 채널 파라미터들을 전송함으로써 그의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프록시 디바이스(104)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302). 예를 들어, 그러한 데이터 채널 파라미터들은 채널 식별자 및/또는 채널 디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클라이언트 ID(및/또는 채널 식별자 및 채널 디코딩 파라미터들)를 사용하여,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의 프록시 리스트에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식별자를 부가하고(304), 정보의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확인응답(306)을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전송한다. 확인응답(306)을 수신한 이후, 통신 링크가 클라이언트 단말(102)과 프록시 디바이스(104) 사이에 효율적으로 셋업된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셧 다운(또는 전력차단)(예를 들어,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비활성 모드로 스위칭)하면서(308), 프록시 디바이스(104)와 통신하기 위해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310).
액세스 포인트(106)는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를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킷 송신들로서) 브로드캐스팅/전송할 수도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314). 일단 브로드캐스트가 수신되면,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데이터 메시지가 그의 프록시 리스트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해 의도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316).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데이터 메시지가 프록시 디바이스(104)의 프록시 리스트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도되면,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를 특정된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포워딩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메시지의 수신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 단말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한다(320). 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지가 그것이 완료된다는 것(예를 들어, 추가적인 데이터 패킷들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프록시 디바이스(104)에 간단히 전송할 수도 있으며, 그 후, 그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그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106)에 포워딩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완료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 대안적으로, 큰 양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도래할 많은 패킷들 중 단지 하나의 패킷이면),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후속 데이터 메시지들(예를 들어, 나머지 패킷들)을 수신할 수도 있도록,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대한 1차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예를 들어, 접속 모드로 스위칭)된다(322). 몇몇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2)은 그의 1차 통신 포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결정을 스스로 행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도래할 것이라고 결정할 시에) 프록시 디바이스(104)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기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그 신호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게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2)이 그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1차 통신 인터페이스(326)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6)와의 접속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메시지의 확인응답은, 프록시 디바이스(104)를 통해(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1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클라이언트 단말(102)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324).
몇몇 구현들에서, 프록시 디바이스의 기능은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서빙될 단말들과 통신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및 서빙될 단말들에 대한 2차 통신 인터페이스와 호환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 양자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한 구성에서, 2차 인터페이스가 (풍부한 전원을 통상적으로 갖는) 액세스 포인트 상에 위치되므로, 그것은, 그러한 전력 인터페이스들의 통상적인 송신 범위를 넘어서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 송신 범위를 부스트(boost)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그의 2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1차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셧 오프하는 서빙된 단말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대응하는 2차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데이터 메시지들을 포워딩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단말
도 4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보존을 위해 구성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작은 및/또는 낮은-전력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싱 회로(4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클라이언트 단말(402)로 하여금,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로의 링크(412)를 통해 제 1 무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게 하는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이를 테면, CDMA-컴플리안트 네트워크를 통한 장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높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프록시 디바이스(408)로의 직접 무선 링크와 같이, 제 2 무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에 클라이언트 단말(402)을 통신적으로 커플링시키는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406)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는, 이를 테면, 블루투스-컴플리안트 네트워크를 통한 단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낮은 전력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배터리-전력공급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의 양은 제한된다.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커밍 데이터 또는 페이징 메시지들을 청취하기 위해 연속적으로(예를 들어, 접속 모드에서 연속하여 모니터링함) 또는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유휴 모드로부터 스위칭할 경우) 전력공급되어, 클라이언트 단말(402)의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으로부터 전력을 고갈시킨다.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은, 동기식 방식(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시간-슬롯들) 또는 비동기식 방식(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모든 송신들을 스캐닝하여, 어느 송신이 클라이언트 단말에 어드레싱되는지를 결정함)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클라이언트 단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것이 단말-특정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도 있는 특정한 프레임들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그러한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불연속적인 수신 동작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그 단말은 연속적이기보다는 주기적으로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불연속 수신 동작에 있는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특정한 시간 간격들로 인커밍 메시지들에 대해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도,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미리-결정된 간격들로 여전히 전력공급되며, 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내부 배터리를 고갈시킨다.
동작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 모드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완전히 전력공급됨 - 와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예를 들어, 유휴 모드 또는 슬립 모드)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전력공급 중단됨 -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접속 모드 또는 접속해제 모드)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또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에 알려져 있다.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그 액세스 포인트가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 메시지들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는지 또는 그 액세스 포인트가 데이터 채널을 통한 통신 링크가 인커밍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셋업되어야 한다는 것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통지하도록 제어/시그널링 채널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게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가 통상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진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외부 또는 별도의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된 전력 절약들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그의 프로세싱 회로(404),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 및/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 스위칭하는 동안, 그의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의 프록시로서 프록시 디바이스가 작동하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데이터 채널에 대하여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턴 오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유휴/슬립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로 다시 스위칭하는 것과 연관된 시동(startup) 또는 셋업 지연들을 효율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의 동작 모드들에서의 변경을 액세스 포인트에게 통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접속 모드에 여전히 있다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데이터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계속 동작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 스위칭할 경우, 그 클라이언트 단말은 데이터 채널을 더 이상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데이터 채널과는 별개인 페이징 채널(예를 들어, 시그널링/제어 채널)만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그 후, 프록시를 할당받은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데이터 메시지를 포워딩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데이터 메시지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 상에서 수신되면,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그것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40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부가적인 부분들을 갖지 않거나 후속 데이터 메시지들의 표시가 존재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 있고,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의 수신만을 확인응답하며,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오프로 유지한다. 한편,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도래한다는 것을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표시하면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도래할 복수의 패킷들 내의 단지 제 1 패킷이면), 클라이언트 단말(402)은 접속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고, 수신된 부가적인 메시지들에 대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접속 모드로 스위칭하고,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에 대한 회로에 전력공급하고, 액세스 포인트로의 데이터 채널을 통한 통신들을 재설정할 때까지, 클라이언트 단말(402)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406)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들을 계속 수신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몇몇 구현에서, 프록시 디바이스는, 다수의 데이터 메시지들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402)로 전송되고 있고, 따라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410)로 하여금 데이터 채널을 통한 수신을 위해 활성화되게 하는 기상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402)에 전송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다.
도 5(도 5a 및 도 5b를 포함함)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보존을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초기에,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모드(예를 들어,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진다(502).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장거리 또는 높은 전력일 수도 있으며, 제 1 모드는 접속 또는 활성 모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MTS RRC 상태들 - Cell DCH, Cell FACH, Cell PCH, URA PCH). 이러한 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것이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액세스 포인트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접속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것이 전력 절약 제 2 모드로 진입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504). 예를 들어, 시간의 임계 양 동안 데이터 채널 상에서 활성도가 관측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어느 패킷도 최종 x 초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을 보존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먼저 프록시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506). 그렇다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을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프록시로서 작동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요청, 또는 통지를 그 프록시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508).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프록시 디바이스로의 요청, 메시지, 또는 통지는,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단말, 클라이언트 단말의 데이터 채널(들), 및/또는 데이터 채널 디코딩 파라미터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제 1 모드(예를 들어, 접속 모드)에서의 데이터 채널이 제 2 모드(예를 들어,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시그널링/제어 채널들과는 상이하거나 별개일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특히, 데이터 채널은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운반할 수도 있고, 계속 또는 빈번하게 모니터링된다. 한편, 시그널링/제어 채널은 데이터를 운반하지 않으며, 단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요청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그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509).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적으로 접속해제(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비활성화, 접속해제, 또는 통신하지 않음)되지만,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지지 않는다(510).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 모드로부터 접속해제 또는 비활성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지만, 동작 모드에서의 이러한 변경은 통신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1 모드에 있었던 것처럼 계속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로 송신할 수도 있음).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한다(512). 제 2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 채널과는 상이한 채널을 이용함을 유의한다.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가 수신되면(514),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516).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은, 그것이 제 1 동작 모드로 다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518).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 또는 패킷들이 도래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 1 모드로 스위칭하며,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이 된다(520).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522).
예시적인 프록시 디바이스
도 6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한 프록시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프록시 디바이스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프로세싱 회로(604),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606), 및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6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606)는 제 1 무선 통신 링크(61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프록시 디바이스(602)를 통신적으로 커플링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606)는, 이를 테면, CDMA-컴플리안트 네트워크를 통해서 장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높은 전력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608)는 프록시 디바이스(602)를 클라이언트 단말(614)에 커플링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인터페이스(608)는, 이를 테면, 블루투스-컴플리안트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거리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더 낮은 전력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606)를 통해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614) 상에서 식별된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해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해 프록시로서 작동하도록 동의할 수도 있다. 그러한 프록시 모드에서,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그 디바이스가 프록시로서 작동하도록 동의됐던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606)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메시지가 페이징 채널에서 수신되면,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612)로의 링크를 통해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608)를 통하여 데이터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도 있다. 데이터 메시지를 포워딩할 시에, 프록시 디바이스(602)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606)와 연관된) 제 1 프로토콜로부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608)와 연관된) 제 2 프로토콜로 그 메시지를 변환할 수도 있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 정보 및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고, 프록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프록시로서 동작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요청/통지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702). 데이터 채널 정보는 특정한 데이터 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라미터들 및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요청/통지는 프록시 디바이스의 제 1(예를 들어, 1차)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제 2(예를 들어, 2차)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그 후,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들) 정보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프록시 디바이스 상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에 부가될 수도 있다(704). 그 후, 효율적으로,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록시 디바이스는 요청을 수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확인응답 회답을 전송할 수도 있다(705). 그러한 확인응답은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요청이 수용된다는 것을 알게 하며, 그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오프하게 한다.
그 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들) 상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청취 또는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706). 프록시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프록시 리스트 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708). 프록시 리스트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들) 상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계속 청취할 수도 있다(706). 프록시 디바이스가 프록시 리스트 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의도되는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데이터 메시지를 포워딩한다(710).
몇몇 선택적인 피처들에 따르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기대되는 임의의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712).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도래할 복수의 패킷들 중 제 1 패킷을 포함하면, 프록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그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직접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모드-스위치 신호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714). 즉, 모드-스위치 신호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로의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게 할 수도 있다. 일단 데이터 메시지가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포워딩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록시 디바이스의 클라이언트 프록시 리스트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716).
도 1, 2, 3, 4, 5, 6, 및/또는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단계들, 피처들 및/또는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재배열될 수도 있고 및/또는 단일 컴포넌트, 단계, 피처 또는 기능으로 결합되거나 수 개의 컴포넌트들, 단계들, 또는 기능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부가적인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은 또한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부가될 수도 있다. 도 1, 3, 4, 및/또는 6에 도시된 장치,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도 2, 3, 5, 및/또는 7에 설명된 방법들, 피처들, 또는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신규한 알고리즘들은 또한 소프트웨어로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들이 플로우차트, 흐름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된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플로우차트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동작들을 설명할 수도 있지만, 동작들의 대부분은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그의 동작이 완료될 경우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기능,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가 기능에 대응할 경우, 그의 종료는 그 기능의 호(calling) 기능 또는 메인(main) 기능으로의 리턴에 대응한다.
또한, 저장 매체는, 판독-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들, 광학 저장 매체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들,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을 표현할 수도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 라는 용어들은 휴대용 또는 고정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또는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머신-판독가능 매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머신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될 경우,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저장부(들)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표현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또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정보,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기재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프로세싱 유닛, 프로그래밍 명령들, 또는 다른 지시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일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어서,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의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피처들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이한 시스템들에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이 단지 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그로서, 본 발명의 교시들은 다른 타입들의 장치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많은 대안들, 변형들, 및 변경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56)

  1.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프록시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range)를 가짐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된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하고 - 상기 요청은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intended)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요청하고,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함 -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고; 그리고,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큰 대역폭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클라이언트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채널을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지 않는, 클라이언트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컴플리안트(compliant)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인, 클라이언트 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비활성도가 시간의 임계양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대되면,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wake-up)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기상 신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이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다가올 것이라는 것을 표시함 -; 그리고,
    상기 기상 신호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14.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단계;
    프록시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짐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제 2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비활성도가 시간의 임계양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대되면,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상 신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들이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다가올 것이라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기상 신호의 결과로서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자, 채널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의 접속 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는, 셀 전용 채널(Cell_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Cell_FACH); 셀 페이징 채널(Cell_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URA_P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의 접속해제 모드 또는 유휴(idle) 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 모드이며,
    상기 접속 모드는 활성 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해제 모드이며,
    상기 접속해제 모드는 중지 모드, 유휴 모드,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26.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갖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고;
    프록시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 상기 요청은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에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한 데이터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함으로써 프록시로서 동작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짐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메시지들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게 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짐 - ;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적으로 접속됨 ―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 상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며 - 상기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함 -;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함 ―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29. 삭제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프록시 디바이스.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블루투스 컴플리안트 인터페이스인, 프록시 디바이스.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프록시 리스트에 부가하고; 그리고,
    상기 요청을 수용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3. 삭제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데이터 메시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프록시 리스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제거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통신 프로토콜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2 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변환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식별자, 데이터 채널 식별자,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포워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imminent)하는지 결정하고; 그리고,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39. 삭제
  40.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적으로 접속됨 ―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 상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함 -; 및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음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지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통신 프로토콜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연관된 제 2 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주어진 데이터 메시지 사이즈에 대해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부가적인 데이터 메시지들이 임박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기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6. 삭제
  47.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프록시 리스트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을 수용하는 확인응답 회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48. 삭제
  49.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의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는, 셀 전용 채널(Cell_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Cell_FACH); 셀 페이징 채널(Cell_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URA_P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실상,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내의 접속해제 모드 또는 유휴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5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상기 접속 모드는 활성 모드인,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실상,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EVDO) 표준 내의 접속해제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해제 모드는 중지 모드, 유휴 모드,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54.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갖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프록시로서 동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적으로 접속됨 ―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 상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게 하고 - 상기 데이터 채널은 시그널링 채널 또는 제어 채널과는 상이함 -; 그리고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고 ―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적으로 접속해제되지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음 ― ,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보다 더 긴 범위를 가지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55. 삭제
  56. 삭제
KR1020137009702A 2010-09-16 2011-09-15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KR10152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3,489 US8588120B2 (en) 2010-09-16 2010-09-16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ing proxy device
US12/883,489 2010-09-16
PCT/US2011/051738 WO2012037332A1 (en) 2010-09-16 2011-09-15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ing prox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804A KR20130069804A (ko) 2013-06-26
KR101524106B1 true KR101524106B1 (ko) 2015-05-29

Family

ID=447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702A KR101524106B1 (ko) 2010-09-16 2011-09-15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8120B2 (ko)
EP (1) EP2617242B1 (ko)
JP (1) JP5453576B2 (ko)
KR (1) KR101524106B1 (ko)
CN (1) CN103125135B (ko)
WO (1) WO2012037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532B1 (ko) * 2011-06-22 2017-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모드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5273214B2 (ja) 2011-06-30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US9141169B2 (en) * 2012-01-20 2015-09-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conserve power in an access network without loss of service quality
KR102036579B1 (ko) 2012-11-09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889034B (zh) * 2012-12-19 2017-09-29 联想(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接收移动通信网络信息的方法及移动终端
MY184333A (en) * 2013-04-15 2021-04-01 Ericsson Telefon Ab L 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saving during idle to connected mode transitions
US9037145B2 (en) * 2013-06-28 2015-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iority and quality of service across multi-user devices
US9958924B2 (en) 2013-08-28 2018-05-01 Cisco Technology, Inc. Configuration of energy savings
CN103699409B (zh) * 2013-12-19 2017-05-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设备切入唤醒状态的方法、装置和系统
FR3016100B1 (fr) * 2013-12-26 2017-03-17 Sagemcom Broadband Sas Systeme de transmission comprenant des premier et second dispositifs ponts
US10741041B2 (en) * 2014-01-06 2020-08-11 Binatone Electronics International Limited Dual mode baby monitoring
US11012939B2 (en) 2014-01-08 2021-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ways on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5307267A (zh) * 2014-06-26 2016-02-03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寻呼方法及设备
CN104168171B (zh) * 2014-08-12 2017-12-01 深信服科技股份有限公司 接入点的访问方法及装置
EP3177097B1 (en) * 2014-08-22 2020-04-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by means of wps, and mobile wi-fi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686818B2 (en) * 2014-09-02 2017-06-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power efficient Wi-Fi
CN107431936A (zh) * 2015-01-08 2017-12-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针对收集设备的波束成形
US20160262205A1 (en) * 2015-03-06 2016-09-08 Apple Inc. Cloud support for discovery and data transfer for mobile client devices
JP6477133B2 (ja) 2015-03-27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EP3338483B1 (en) * 2015-08-21 202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 operation of the idle mode in a cellular device
CN105263131A (zh) * 2015-08-31 2016-01-20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发现方法和装置
US10470160B2 (en) 2015-12-10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between linked devices
JP6126196B1 (ja) * 2015-12-25 2017-05-10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WO2017173158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IP Corporation Radio access network (ran)-originated paging messaging
US20170295556A1 (en) * 2016-04-11 2017-10-12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ing signaling messages from two or more communication networks associated wit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to a user equipment
WO2017195823A1 (ja) * 2016-05-13 2017-11-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JP2019533321A (ja) * 2016-09-23 2019-11-14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JP6540646B2 (ja) * 2016-09-28 2019-07-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代理応答システム
CN106790639B (zh) * 2017-01-11 2020-07-10 杭州腾展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系统
US20200069044A1 (en) * 2017-03-29 2020-03-05 Otto M. DUNKER Bathroom stand for computing device
CN108924913A (zh) * 2017-03-31 2018-11-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发送、信道监听处理方法及装置
US11696219B2 (en) * 2017-04-28 2023-07-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CN109548086B (zh) * 2017-09-22 2022-09-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站点设备和接入点设备
WO2020089484A1 (en) 2018-11-02 2020-05-07 Assa Abloy Ab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control
US20200221542A1 (en) 2019-01-09 2020-07-09 Altair Semiconductor Ltd. Collaboration among wireless devices operating over both long-range and short-range networks
EP3683637B1 (de) * 2019-01-16 2023-03-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idirektionalen verbindung zwischen einem gerät, insbesondere einem feldgerät, und einer applikation in einer zentralen einrichtung
WO2020193577A1 (en) 2019-03-25 2020-10-01 Assa Abloy Ab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with localization-based intent detection
EP3928299A1 (en) 2019-03-25 2021-12-29 Assa Abloy Ab Ultra-wide band device for access control reader system
CN112449383A (zh) * 2019-08-28 2021-03-05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设备、方法和存储介质
KR20230084609A (ko) 2019-09-26 2023-06-13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물리적 액세스 제어 시스템을 위한 초광대역 안테나 구성
US11875209B2 (en) 2019-10-01 2024-01-16 Assa Abloy Ab Connection and service discovery for fine ranging applications
WO2021155593A1 (zh) * 2020-02-07 2021-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消息的监听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40147419A1 (en) * 2021-02-24 2024-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aging methods and apparatuses, and storage media
CN113141621B (zh) * 2021-04-09 2023-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代理配置方法、代理配置装置和电子设备
EP4181580A1 (en) * 2021-11-10 2023-05-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idle mode activities from one user equipment to anoth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778A1 (en) * 2004-10-27 2006-05-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proxy system
US20090221303A1 (en) * 2008-03-03 2009-09-0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6007A (en) 1995-10-18 1998-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ctivity control for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30933B2 (en) * 2002-04-17 2007-06-12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idle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ed battery operated device
CN100379312C (zh) * 2002-08-27 2008-04-02 高通股份有限公司 空闲模式小区的重新获取和重新选择
US7269629B2 (en) 2002-12-30 2007-09-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notification among cooperating devices and device channels
US7697893B2 (en) * 2004-06-18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hoc mesh networking
EP1613003A1 (en) * 2004-06-30 2006-01-04 Alcatel Air interface protocols for a radio access network with ad-hoc extension
JP4727371B2 (ja) 2005-09-29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864742B2 (en) * 2006-03-22 2011-01-04 Broadcom Corporation Cell network using friendly relay communication exchanges
US7567785B2 (en) * 2006-05-15 2009-07-2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aging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EP1926283A1 (en) * 2006-11-27 2008-05-28 France Télécom Data communications
US9167504B2 (en) * 2006-12-04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Inter-technology handoff
US20080192666A1 (en) * 2007-02-12 2008-08-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utilizing a peer network to extend battery life
EP2048908A1 (en) 2007-10-09 2009-04-1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s method
US8934404B2 (en) * 2008-03-03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with proxy functionality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9402277B2 (en) * 2008-03-03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8744367B2 (en) * 2010-08-31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ail optimization protocol for cellular radio resource allo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778A1 (en) * 2004-10-27 2006-05-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proxy system
US20090221303A1 (en) * 2008-03-03 2009-09-0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5135B (zh) 2016-10-12
US20120069827A1 (en) 2012-03-22
KR20130069804A (ko) 2013-06-26
JP5453576B2 (ja) 2014-03-26
WO2012037332A1 (en) 2012-03-22
EP2617242B1 (en) 2016-10-19
EP2617242A1 (en) 2013-07-24
CN103125135A (zh) 2013-05-29
JP2013541284A (ja) 2013-11-07
US8588120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106B1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보존
US8934404B2 (en) Access point with proxy functionality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9402277B2 (en)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8478360B2 (en)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KR101543709B1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에서의 전력 절약 및 시스템 레이턴시 감소
KR1015712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전력 보존을 위한 데이터 재개 표시자
US8639273B2 (en) Partitioned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