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15B1 -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15B1
KR101541315B1 KR1020140064350A KR20140064350A KR101541315B1 KR 101541315 B1 KR101541315 B1 KR 101541315B1 KR 1020140064350 A KR1020140064350 A KR 1020140064350A KR 20140064350 A KR20140064350 A KR 20140064350A KR 101541315 B1 KR101541315 B1 KR 10154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conditioning
air
top side
top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정재영
최은영
신민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은,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공조실이 마련되는 제1 탑사이드 모듈;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제2 탑사이드 모듈; 및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제2 탑사이드 모듈을 상호 연결하며, 공조실의 공기를 제2 탑사이드 모듈로 공급하여 공조실을 서로 공유시키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된 공조설비를 다른 탑사이드 모듈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가진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설치 또는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설치된 해상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계류 또는 정박된 상태에서 해저에 매장되어 있는 OIL 또는 GAS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그 종류는 OIL-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으로 주로 Oil 또는 Gas를 생산),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최근에 유가의 상승, 육상에서의 석유자원 고갈 및 청정연료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심해(Deep Sea) 해저에서 석유 및 가스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공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은 심해 해저에 매장되어있는 Gas 또는 Oil을 채굴하여 1차 정제(Oil, Gas, Water를 분리)를 담당하며, 해수면에 떠있는 하부 선체는 상부 모듈에서 생산된 Oil 또는 Gas를 저장하거나 운송선이 접안하면 저장된 Oil 또는 Gas를 운송선에 적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탑사이드 모듈에는 전술한 정제 작업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전기 설비가 마련되고, 전기 설비가 마련된 탑사이드 모듈을 포함한 각각의 탑사이드 모듈에는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조 설비가 마련된다.
즉 각각의 탑사이드 모듈에는 공조 설비가 마련되는 데, 공조 설비는 히팅, 벤팅(ventilation), 에어 컨디셔닝(air conditioning) 등의 기능을 하므로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공간 부족으로 공조 설비를 설치할 수 없고, 공조 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탑사이드 모듈이 공조실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공조실을 이용하여 공조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탑사이드 모듈의 공기를 조화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005588호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1999. 09. 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공간 부족으로 공조 설비를 설치할 수 없고, 공조 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탑사이드 모듈이 공조실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공조실을 이용하여 공조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탑사이드 모듈의 공기를 조화 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공조실이 마련되는 제1 탑사이드 모듈;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제2 탑사이드 모듈; 및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공조실의 공기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공조실을 서로 공유시키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조 덕트 브리지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선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되는 배치되는 브리지; 및 상기 브리지에 마련되어 상기 공조실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로 공급시키는 공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일측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배치되며, 트러스트 구조물인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부인 상기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부인 상기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베어링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프 프레임에는 윙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윙 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베이프 프레임의 상승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조 덕트에는 플렉시블 조인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는 전기 설비(electrical building)가 마련되고, 상기 전기 설비의 공기 조화는 상기 공조실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양 구조물은 FPSO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탑사이드 모듈을 공조 덕트가 구비된 공조 덕트 브리지부로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된 공조실의 공기를 다른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로 상기 공조 덕트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탑사이드 모듈 사이에 서로를 연결하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된 공조실을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별도의 공조실을 마련하지 않고 공기 조화를 할 수 있어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탈출 통로, 물체의 핸들링 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탑사이드 모듈에서 부족한 공간 및 하중 증가를 최소화시켜 탑사이드 모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서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제2 탑사이드 모듈의 사이에 공조 덕트 브리지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리지의 베이스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해양 구조물은 OIL-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으로 주로 Oil 또는 Gas를 생산),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서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제2 탑사이드 모듈의 사이에 공조 덕트 브리지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공조실(110, HVAC room)이 마련되는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이격 배치되는 제2 탑사이드 모듈(200)과,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을 상호 연결하며 공조실(110)의 공기를 제2 탑사이드 모듈(200)로 공급하여 공조실(110)을 서로 공유시키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를 구비한다.
제1 탑사이드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갑판(UD)에 마련되며, 본 실시 예에서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는 공조실(110)이 마련될 수 있다. 공조실(110)은 내부에 마련된 공기조화 장치(냉,난방 장치 등)에서 발생 된 덥거나 차가운 공기를 덕트(D)를 통해 수요처로 공급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공조실(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사이드 모듈(100)의 전 면적에 걸쳐 마련될 수 있고, 공조실(110)의 공기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의 공조 덕트(350)를 통해 제2 탑사이드 모듈(2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이격 되도록 상부 갑판(UD)에 마련되며, 본 실시 예에서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는 전기 설비(21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마련되는 전기 설비(210)는 오일 생산 공정, 가스 생산 공정, 물 생산 공정 등을 포함하며 전반적인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력 수요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전기 설비(210)는 전력 수요처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의 전 면적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는 공조실(110)과 같은 공기 조화 장치를 설치할 여유 공간이 없다. 전기 설비(210)가 마련된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공기 조화 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전기 설비(210)의 온도가 80℃ 이상으로 상승 되어 작동 불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 후술하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를 마련하고,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를 통해 공조실(110)의 공기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의 전기 설비(210)로 공급하여 해결할 수 있다.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제2 탑사이트 모듈을 연결하여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마련된 공조실(110)에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의 전기 설비(210)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는 작업자의 이동 통로, 탈출 통로, 물체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제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을 서로 연결하며 선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되는 배치되는 브리지(310)와, 브리지(310)에 마련되어 공조실(110)에서 정화된 공기를 제2 탑사이드 모듈(200)로 공급시키는 공조 덕트(350)를 포함한다.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의 브리지(310)는, 공조 덕트(350)가 설치되는 장소로 제공되며, 좌측부는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배치되고 우측부는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배치되며 트러스트 구조물인 베이스 프레임(320)과,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을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포함하며, 브리지(31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의 공조 덕트(350)는,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마련되는 공조실(110)의 덕트(D)와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마련되는 전기 설비(210)의 덕트(D)를 서로 연결하여 공조실(110)의 공기를 전기 설비(210)의 덕트(D)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공조 덕트(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공조 덕트(350)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조인트(351)가 마련되어 선체의 요동시 수축 또는 이완되어 각각의 공조 덕트(35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운동은 선체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대한 전후동요(surging, 서징), 선체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대한 회전동요(rolling, 롤링), 선체의 횡방향 수평축을 따라 움직이는 좌우동요(swaying, 스웨잉), 선체의 횡방향 수평축에 대한 회전운동(pitching, 피칭), 선체의 연직축 방향으로의 상하동요(heaving, 히빙) 및 선체의 연직축 방향으로 한 회전동요(yawing, 요잉) 등의 6방향 운동으로 구별된다.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 계류된 채 대부분의 작업을 하지만, 작업 중에 해류나 해풍에 의해 선체가 동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선체의 동요시 공조 덕트(350)에 가해지는 충격을 복수의 플렉시블 조인트(351)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플렉시블 조인트(351)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1110호(2011.12.01)에 개시된 플렉시블 덕트가 채택될 수 있다. 다만 이외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플렉시블 덕트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조 덕트 브리지부(300)의 브리지(310)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리지의 베이스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브리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부는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배치되고 우측부는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배치되며 트러스트 구조물인 베이스 프레임(320)과, 제1 탑사이드 모듈(100)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을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20)은, 브리지(31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3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 프레임(321)이 마련될 수 있고, 보강 프레임(321)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 사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320)은 베이스 프레임(320)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2층으로 마련하여 공조 덕트(35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프레임(320)을 3층, 4층 등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베이프 프레임의 하측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프레임(322)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20)의 걸림 프레임(322)은 베이스 프레임(320)이 길이 방향(도 5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마련된 제1 걸림지지프레임(120, 도 5 참조)과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마련되는 제2 걸림지지프레임(220, 도 7 참조)에 걸려서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320)에는, 도 4,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 플레이트(323)가 마련되고, 윙 플레이트(323)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랜지(333)에 눌림 지지 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의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플랜지(333)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330)는, 선체의 유동 시 베이스 프레임(320)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지지부(331)와, 베이스 프레임(320)의 우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지지부(332)와, 제1 지지부(331)와 제2 지지부(332)에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의 상승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랜지(333)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3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모서리 상측부를지지하는 제1 스토퍼(331a)와, 그 하측부를 지지하는 제2 스토퍼(331b)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스토퍼(331a)와 제2 스토퍼(331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윙 플레이트(323)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랜지(333)가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스토퍼(331a)와 제2 스토퍼(331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스토퍼(331a)와 제2 스토퍼(331b) 사이의 제1 탑사이드 모듈(100)에는 제1 플레이트(130)가 마련되어 제1 탑사이드 모듈(100)의 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제1 탑사이드 모듈(100)의 표면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다층으로 마련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는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3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하측부에도 마련될 수 있고, 이때에 전술한 제1 스토퍼(331a)와 제2 스토퍼(331b)는 배치 위치가 서로 바뀐다.
제2 지지부(3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모서리 상측부를 지지하는 제3 스토퍼(332a)와, 그 하측부를 지지하는 제4 스토퍼(332b)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스토퍼(332a)와 제4 스토퍼(332b)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윙 플레이트(323)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랜지(333)가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20)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3 스토퍼(332a)와 제4 스토퍼(332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 마련될 수 있고, 제3 스토퍼(332a)와 제4 스토퍼(332b) 사이의 제2 탑사이드 모듈(2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베어링 패드(2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어링 패드(230)는 제2 탑사이드 모듈(200)의 표면에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240)의 표면에 결합 될 수 있다. 결합 방법으로는 볼트 결합, 접착제 결합 등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3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20)의 하측부에도 마련될 수 있고, 이때에 전술한 제3 스토퍼(332a)와 제4 스토퍼(332b)는 배치 위치가 서로 바뀐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탑사이드 모듈 사이에 서로를 연결하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된 공조실을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별도의 공조실을 마련하지 않고 공기 조화를 할 수 있어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탈출 통로, 물체의 핸들링 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탑사이드 모듈에서 부족한 공간 및 하중 증가를 최소화시켜 탑사이드 모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해양 구조물 100 : 제1 탑사이드 모듈
110 : 공조실 120 : 제1 걸림지지프레임
130 : 제1 플레이트 200 : 제2 탑사이드 모듈
210 : 전기 설비 220 : 제2 걸림지지프레임
230 : 베어링 패드 240 : 제2 플레이트
300 : 공조 덕트 브리지부 310 : 브리지
320 : 베이스 프레임 330 : 지지부
350 : 공조 덕트 D : 덕트
UD : 상부 갑판

Claims (10)

  1.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공조실이 마련되는 제1 탑사이드 모듈;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이격 배치되는 제2 탑사이드 모듈; 및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공조실의 공기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공조실을 서로 공유시키는 공조 덕트 브리지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 브리지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선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되는 배치되는 브리지; 및
    상기 브리지에 마련되어 상기 공조실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로 공급시키는 공조 덕트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일측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배치되며, 트러스트 구조물인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과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부인 상기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부인 상기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베어링 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윙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윙 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베이프 프레임의 상승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에는 플렉시블 조인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사이드 모듈에는 전기 설비(electrical building)가 마련되고,
    상기 전기 설비의 공기 조화는 상기 공조실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양 구조물은 FPS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10.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이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탑사이드 모듈을 공조 덕트가 구비된 공조 덕트 브리지부로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에 마련된 공조실의 공기를 다른 하나의 탑사이드 모듈로 상기 공조 덕트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KR1020140064350A 2014-05-28 2014-05-28 해양 구조물 KR10154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50A KR101541315B1 (ko) 2014-05-28 2014-05-28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50A KR101541315B1 (ko) 2014-05-28 2014-05-28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315B1 true KR101541315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50A KR101541315B1 (ko) 2014-05-28 2014-05-28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82B1 (ko) * 2016-10-21 2018-07-05 삼성중공업(주) 탑 사이드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10B1 (ko) 2011-06-30 2011-12-09 (주)네오마린 선박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261B1 (ko) 2011-12-22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10B1 (ko) 2011-06-30 2011-12-09 (주)네오마린 선박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261B1 (ko) 2011-12-22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82B1 (ko) * 2016-10-21 2018-07-05 삼성중공업(주) 탑 사이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62430A (ja) デッキ置きタンク構造およびその据え付け方法
CN101111428B (zh) 房屋结构、船、建筑物以及用于构造房屋结构的方法
US11034416B2 (en) Floating catamaran production platform
US11034417B2 (en) Floating catamaran production platform
JP2007245867A (ja) 船舶用の区画モジュール
KR20110116804A (ko)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CN107521630A (zh) 半潜式支持平台
KR101541315B1 (ko) 해양 구조물
JP4443268B2 (ja) 大型客船内のキャビン・デッキ配置および配置方法
JP2017095000A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設計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設計方法
RU2738439C1 (ru) Модуль поверхностно-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CN206494083U (zh) 一种公务船的上层建筑槽型内围壁结构形式
US11689023B2 (en) HVDC modular platform design
KR20140025698A (ko) 해양 구조물의 이중 바닥 시스템
US10640179B2 (en) Turret mooring system arrangement
US20150027358A1 (en) Frame shaped submersible deck box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structural module
CN205675183U (zh) 一种船舶的防火舱壁结构
KR101066308B1 (ko)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EP1558490B1 (en) Method of installing and connecting prefabricated room units to a ship or other watercraft
KR20170139846A (ko) 해양 플랜트
KR100736135B1 (ko) 선박건조방법
KR101873982B1 (ko) 탑 사이드 모듈
KR20120040303A (ko) 선박용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포설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그선
ES2544684A2 (es) Mejoras en el sistema de construcción de instalaciones marinas flotantes fondeadas, mediante módulos normalizados interconectables
Szarnik et al. Application of steel sandwich panels to hull structure of two-segment inland navigation passenger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