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846A - 해양 플랜트 - Google Patents

해양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846A
KR20170139846A KR1020160072311A KR20160072311A KR20170139846A KR 20170139846 A KR20170139846 A KR 20170139846A KR 1020160072311 A KR1020160072311 A KR 1020160072311A KR 20160072311 A KR20160072311 A KR 20160072311A KR 20170139846 A KR20170139846 A KR 2017013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platform
disposed
deck
platform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846A/ko
Publication of KR2017013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34Arrangements for separat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는, 선박에 배치된 갱웨이(gangway)에 의해 상기 선박과 연결되며,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거주 공간인 리빙 모듈, 해상 플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틸리티 모듈, 리빙 모듈 또는 유틸리티 모듈에 배치되며, 선박의 접안 시 갱웨이가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유틸리티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저에서 채취한 원유를 가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및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플랜트{OFFSHORE PLANT}
본 발명은 해양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에서 원유 등을 채취하는 해양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해양 플랜트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원유를 탐사하거나, 채취할 수 있다. 해저 석유 또는 가스 개발은 비교적 낮은 천해역에서 진행되어왔다. 오랜 시간 천해역에서의 해저 개발로 인해, 천해역의 석유 또는 가스가 고갈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저 석유 또는 가스 개발은 300m 또는 500m 이상의 심해로 옮겨가고 있다. 석유 또는 가스 채취를 위한 해저 개발이 심해로 바뀜에 따라 대형 해양 플랜트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해양 플랜트는 비상 시, 작업자가 대피하거나,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예컨대, 해양 플랜트의 일부에서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시, 작업자는 비상통로를 통해 대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작업자는 종래 해양 플랜트에 배치되는 랜딩 플랫폼으로 이동하여 선박과 연결된 갱웨이(gangway)를 통해 선박으로 대피할 수 있다. 그러나, 해양 플랜트가 대형화 됨에 따라, 해양 플랜트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거리가 매우 길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 위치에 따라 선박으로 대피 또는 탈출 가능한 공간으로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연결을 위해, 갱웨이는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갱웨이는 특정한 설치 요구 조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갱웨이의 일단은 선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선박과 해양 플랜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갱웨이의 타단은 해양 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회동되어 랜딩 플랫폼에 안착된다. 한편,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위치 변동에 의하여, 갱웨이의 타단은 갱웨이의 일단을 중심으로 랜딩 플랫폼 상에서 평면상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 플랜트의 랜딩 플랫폼은 갱웨이의 설치 요구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해양 플랜트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랜딩 플랫폼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제 1 랜딩 플랫폼과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며, 제 1 랜딩 플랫폼과 제 2 랜딩 플랫폼은 대피 루트를 통해 연결된 해양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이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된 해양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이 탈출 대기 플랫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해양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박에 배치된 갱웨이(gangway)에 의해 상기 선박과 연결되며,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는, 작업자의 거주 공간인 리빙 모듈, 상기 해상 플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틸리티 모듈, 상기 리빙 모듈 또는 상기 유틸리티 모듈에 배치되며, 상기 선박의 접안 시 상기 갱웨이가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상기 유틸리티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저에서 채취한 원유를 가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랜딩 플랫폼,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이 배치되며, 해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데크, 상기 제 1 데크에 배치되며, 비상 시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대피 루트, 및 상기 대피 루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탈출 대기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탈출 대기 플랫폼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대피 루트는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랜딩 플랫폼은 리빙 모듈 또는 유틸리티 모듈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은 적어도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서, 제 1 랜딩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업자가 제 2 랜딩 플랫폼으로 대피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피할 수 있다.
한편, 제 2 랜딩 플랫폼은 탈출 대기 플랫폼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탈출 대기 플랫폼에 위치하거나, 탈출 대기 플랫폼으로 향하는 작업자는 인접한 제 2 랜딩 플랫폼을 통해 해양 플랜트로부터 선박 등으로 탈출이 가능하다. 또한, 탈출 대기 플랫폼의 상하 또는 평면상 주위로 해양 플랜트에 배치되는 장비 등이 거의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 2 랜딩 플랫폼의 배치가 용이하다. 특히, 제 1 랜딩 플랫폼만을 포함하는 해양 플랜트의 건조 중에 제 2 랜딩 플랫폼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설계를 변경 하는 경우, 추가적인 제 2 랜딩 플랫폼의 배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해양 플랜트는, 상기 제 1 데크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데크, 및 상기 제 2 데크의 상부에 배치된 제 3 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2 데크 및 상기 제 3 데크와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평면상 적어도 6m * 6m의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은 제 1 데크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은 제 2 및 제 3 데크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갱웨이는 선박에 배치된 일단을 중심으로 해양 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자유롭게 회동되어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해양 플랜트의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에 안착된 갱웨이는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위치 변동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갱웨이는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 3 랜딩 플랫폼과 제 4 랜딩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랜딩 플랫폼은 상기 대피 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 플랜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데크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프레임 중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테이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양 플랜트는 하중의 분배가 중요하므로, 추가적인 제 2 랜딩 플랫폼의 배치는 해양 플랜트의 하중 분배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랜딩 플랫폼의 하부에 테이퍼를 가지는 프레임을 배치하여, 제 2 랜딩 플랫폼의 추가로 인한 해양 플랜트의 하중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플랜트에 의하면, 제 1 랜딩 플랫폼은 리빙 모듈 또는 유틸리티 모듈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은 적어도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서, 제 1 랜딩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업자가 제 2 랜딩 플랫폼으로 대피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피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은 제 1 데크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은 제 2 및 제 3 데크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갱웨이는 선박에 배치된 일단을 중심으로 해양 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자유롭게 회동되어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해양 플랜트의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에 안착된 갱웨이는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위치 변동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갱웨이는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플랜트와 선박을 갱웨이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모듈의 평면상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의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이퍼를 갖는 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플랜트(10)와 선박(11)을 갱웨이(13)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데크(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10)는 다수의 모듈(100), 제 1 랜딩 플랫폼(200) 및 제 2 랜딩 플랫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모듈(100)은 해저로부터 수면을 향하여 연장된 재킷(15, jacket)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재킷(15)는 다수의 모듈(100)을 지지한다. 다수의 모듈(100)은 리빙 모듈(110), 유틸리티 모듈(120) 및 프로세스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모듈(100)은 유정 모듈(160, well head module)과 드릴링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모듈(100)의 평면상 배치도이다.
도 1 및 4를 참조하면, 리빙 모듈(110)은 해양 플랜트(10)에서 생활하는 작업자가 거주하는 공간이다. 유틸리티 모듈(120)은 전원을 생산하여 리빙 모듈(110) 등을 포함하는 해양 플랜트(10)에 공급한다. 드릴링 모듈(130)은 해저에서 시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스 모듈(140)은 드릴링 모듈(130)에 의해 시추된 원유를 가공한다. 유정 모듈(160)은 해저의 유정으로부터 시추된 원유나 가스를 채취하거나, 유정의 공동화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정에 해수나, 가스, 진흙 등을 주입할 수 있다.
소각탑(150)은 긴급 상황에서 가스를 연소한다. 소각탑(150)은 리빙 모듈(110)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소각탑(150)에서 발생되는 열이 리빙 모듈(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소각탑(150)과 리빙 모듈(110)은 적어도 프로세스 모듈(1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유틸리티 모듈(120)은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모듈(140)과 리빙 모듈(11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10)는 갱웨이(13)를 통해 선박(11)과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갱웨이(13)를 통해 선박(11)과 해양 플랜트(10)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갱웨이(13)의 일단은 선박(11)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갱웨이(13)는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갱웨이(13)는 제 1 갱웨이와 제 2 갱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갱웨이는 제 2 갱웨이에 삽입되거나, 제 2 갱웨이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 갱웨이에 삽입된 제 1 갱웨이의 위치에 따라, 갱웨이(13)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갱웨이(13)는 카본 스틸과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갱웨이(13)는 최장 45.5 m, 최단 30.5 m 를 가질 수 있다.
갱웨이(13)는 선박(11)에 배치된 갱웨이(13)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선박(11)과 해양 플랜트(10)를 연결하기 위해서, 갱웨이(13)의 타단은 후술할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갱웨이(13)의 타단은 갱웨이(13)의 일단을 중심으로 해양 플랜트(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회동하여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에 안착될 수 있다. 선박(11)과 해양 플랜트(10)의 위치 변동에 따라, 갱웨이(13)는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 상에서 평면상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갱웨이(13)는 선박에 배치된 갱웨이(13)의 일단을 중심으로 좌우 45ㅀ를 회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 1 랜딩 플랫폼(200)은 유틸리티 모듈(1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랜딩 플랫폼(200)은 리빙 모듈(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유틸리티 모듈(1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빙 모듈(110)에 거주하는 작업자들이 비상 시 제 1 랜딩 플랫폼(200)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적어도 프로세스 모듈(140)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20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서, 제 1 랜딩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업자가 제 2 랜딩 플랫폼으로 대피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피할 수 있다.
한편, 해양 플랜트(10)는 해수면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데크(400), 제 1 데크(400)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데크(500), 및 제 2 데크(500)의 상부에 배치된 제 3 데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데크(400)에는 변압기, 소방 펌프 등의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데크(500)에는 통제실, 비상발전기, 열교환기, 물 탱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데크(600)에는 헬리데크, 크레인, 구명보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랜딩 플랫폼(200)과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제 1 데크(4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랜딩 플랫폼(200)과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제 2 데크(500) 및 제 3 데크(600)와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로써, 갱웨이(13)가 제 1 또는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에 설치될 때, 갱웨이(13)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 플랜트(10)의 복잡한 구조상, 제 1 랜딩 플랫폼(200)과 제 2 랜딩 플랫폼(300)의 배치는 용이한 것이 아니다. 특히, 제 2 랜딩 플랫폼(300)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해양 플랜트(10)의 어느 위치에 제 2 랜딩 플랫폼(300)을 배치할 것인가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프로세스 모듈(140)을 사이에 두고 제 1 랜딩 플랫폼(2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제 1 데크(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제 1 데크(40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선박(11)이 해양 플랜트(10)에 용이하게 접안할 수 있다.
제 1 데크(400)의 모서리의 상부에 특정 장비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데크(400)의 모서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관 등은 경로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데크(500) 및 제 3 데크(600)는 제 2 랜딩 플랫폼(300)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갱웨이(13)는 제 2 랜딩 플랫폼(300)의 상부에서 이동이 자유롭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데크(400)는 대피 루트(410)와 탈출 대기 플랫폼(430)을 포함할 수 있다. 대피 루트(410)는 제 1 데크(400) 상에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대피 루트(410)는 제 1 데크(400) 상에 종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대피 루트(410)는 제 1 데크(400) 상에 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작업자는 비상 시, 대피 루트(4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탈출 대기 플랫폼(430)은 대피 루트(410)를 통해 이동한 작업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가진다. 작업자들은 탈출 대기 플랫폼(430)에서 대기하거나, 탈출 대기 플랫폼(430)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갱웨이(13)의 설치 요구 조건에 따라 제 2 랜딩 플랫폼(300)의 상부로 특정 구조물이 배치될 수 없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적어도 6m * 6m의 면적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갱웨이(13)의 설치 요구 조건을 고려하여,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탈출 대기 플랫폼(4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랜딩 플랫폼(300)은 탈출 대기 플랫폼(430)의 공간을 활용하여 손쉽게 갱웨이(13)의 설치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탈출 대기 플랫폼(430)에 대기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 2 랜딩 플랫폼(300)으로 이동하여 해양 플랜트(10)를 탈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플랜트(10)는 제 3 랜딩 플랫폼(미도시)과 제 4 랜딩 플랫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랜딩 플랫포과 제 4 랜딩 플랫폼은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랜딩 플랫폼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랜딩 플랫폼은 대피 루트(4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 플랜트(10)상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는 제 1 내지 제 4 랜딩 플랫폼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의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45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이퍼를 갖는 프레임(45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200, 300)의 하부에는 다수의 프레임(45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450)은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300, 30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 2 랜딩 플랫폼(300)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해양 플랜트(10)의 하중 분배를 위해 제 2 랜딩 플랫폼(300)의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450)은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테이퍼를 갖는 프레임(450)은 다수의 프레임(45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랜딩 플랫폼(300)이 추가로 배치되더라도, 해양 플랜트(10)의 하중 불균일이 초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해저에서 원유 등을 채취하는 해양 플랜트에 관한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10 : 해양 플랜트
100 : 모듈
200 : 제 1 랜딩 플랫폼
300 : 제 2 랜딩 플랫폼
400 : 제 1 데크
500 : 제 2 데크
600 : 제 3 데크

Claims (6)

  1. 선박에 배치된 갱웨이(gangway)에 의해 상기 선박과 연결되며,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 플랜트에 있어서,
    작업자의 거주 공간인 리빙 모듈;
    상기 해상 플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틸리티 모듈;
    상기 리빙 모듈 또는 상기 유틸리티 모듈에 배치되며, 상기 선박의 접안 시 상기 갱웨이가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상기 유틸리티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저에서 채취한 원유를 가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랜딩 플랫폼;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이 배치되며, 해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데크;
    상기 제 1 데크에 배치되며, 비상 시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대피 루트; 및
    상기 대피 루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탈출 대기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탈출 대기 플랫폼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대피 루트는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을 연결하는 해양 플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플랜트는,
    상기 제 1 데크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데크; 및
    상기 제 2 데크의 상부에 배치된 제 3 데크;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2 데크 및 상기 제 3 데크와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해양 플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 3 랜딩 플랫폼과 제 4 랜딩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랜딩 플랫폼은 상기 대피 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해양 플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과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평면상 적어도 6m * 6m의 면적을 가지는 해양 플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플랜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데크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해양 플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 중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테이퍼를 가지는 해양 플랜트.
KR1020160072311A 2016-06-10 2016-06-10 해양 플랜트 KR20170139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311A KR20170139846A (ko) 2016-06-10 2016-06-10 해양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311A KR20170139846A (ko) 2016-06-10 2016-06-10 해양 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46A true KR20170139846A (ko) 2017-12-20

Family

ID=6093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311A KR20170139846A (ko) 2016-06-10 2016-06-10 해양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122A1 (ja) * 2021-06-10 2022-12-15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液化炭酸ガス圧入システムおよび液化炭酸ガス圧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122A1 (ja) * 2021-06-10 2022-12-15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液化炭酸ガス圧入システムおよび液化炭酸ガス圧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1927B (zh) 半潜式海洋多功能工程船
US8807874B2 (en) Dry-tree semi-submersible production and drilling unit
US11034416B2 (en) Floating catamaran production platform
EP3046830B1 (en) Twin-hull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an interconnecting central deck
US11034417B2 (en) Floating catamaran production platform
EP2388189B1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US8534213B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CN101870435B (zh) 直升机平台的翻转式吊装方法
US20200063530A1 (en) Apparatus and Method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WO2019069076A1 (en) SEMI-SUBMERSIBLE SHIP
KR20170139846A (ko) 해양 플랜트
CN106321028A (zh) 一种水下采油树的安装方法和系统
KR20130051311A (ko) 반잠수식 시추선
KR20180077562A (ko) 드릴쉽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US8770131B2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KR20160004519U (ko) 해양구조물
KR101551798B1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20170048837A (ko) 캔틸레버 데릭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 플랜트
KR20220137987A (ko) 라이저 문풀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계류 선박
US9469384B2 (en) Variable stable drilling barge for shallow water service (inland and offshore)
AU2010216203B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20170000254U (ko) 드릴쉽 드릴플로어 상부의 파이어 파이팅용 파이프 배치구조 및 그 파이어 파이팅용 파이프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20160124505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