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600B1 -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600B1
KR101540600B1 KR1020150045137A KR20150045137A KR101540600B1 KR 101540600 B1 KR101540600 B1 KR 101540600B1 KR 1020150045137 A KR1020150045137 A KR 1020150045137A KR 20150045137 A KR20150045137 A KR 20150045137A KR 101540600 B1 KR101540600 B1 KR 10154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urea
epoxy composition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석
조용인
김민성
김미정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텍정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텍정밀화학 filed Critical (주) 에이텍정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4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2Polyu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20Mixtures of bitumen and aggregate defined by their production temperatures, e.g. production of asphalt for road or pavement applic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가 혼합된 주제와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가 혼합된 경화제가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Polyurea epoxy composition and pavement method using Polyurea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공공건물, 오피스텔 또는 백화점, 할인 마트와 같은 상업시설 등의 건축물 지하주차장이나, 창고나 각종 공장 바닥에는 바닥재가 시공되어 있고, 이 바닥재는 통상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도료형 바닥재가 타제품 대비 시공비가 저렴하면서 기능이 우수하여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바닥용 방수 도료는 공정상 일반적으로 하도(프라이머), 중도 및 상도로 분류된다.
여기서, 하도는 모체의 소지면과 후속도장인 중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고, 중도는 모체의 소지면의 요철과 크랙보수 또는 소지면이 평활해지도록 도막을 두껍게 도포하면서 콘크리트의 기공을 통한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공정이며, 상도는 내수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및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최종 마감 공정이다.
이와 같은 방수 도료를 이용한 종래의 방수 시공공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모체인 콘크리트의 소지면에 대략 8%이하가 되도록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 작업을 한다.
건조 작업이 완료되면, 시너(thinner) 성분이 함유된 용제(solvent)용의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모체의 기공을 제거하기 위해 우레탄을 도포하여 우레탄층을 형성한다.
우레탄층이 형성되면,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 우레아 또는 폴리 우레탄을 도포하여 폴리 우레아 또는 폴리 우레탄층을 형성한다.
우레탄층이 형성되면, UV자외선을 차단하는 등의 탑코팅층을 형성하여 방수공사를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포장공정은 동절기시 낮은 온도에 의해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아 동절기시 코팅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정과 공정사이에 경화시간을 두고 시공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공정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시공이후 경화시간 동안 먼지등 이물질이 포함되어 부착불량 , 시공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시공이후 경화 기간동안 수분과의 접촉시 시공불량으로 나타나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13-00638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물 내 지면의 포장을 단 시간내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내 콘크리트 지면과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작업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온경화가 가능하여 동절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가 혼합된 주제와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가 혼합된 경화제가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은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50~80중량부와 솔벤트 20~50중량부가 혼합되고,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 38~55중량부와 에폭시레진 2~5중량부와 점도조절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한 상기 아민은 3,5 Diethyltoluene-2,4/2,6-diamine 30~40중량부와 4,4bis[2-chloroaniline] 5~10중량부와 4,4'-methylene Bis[N-(1-methylpropyl)benzenamine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를 혼합하여 제조된 주제와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경화제를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한 후 90~100℃의 온도에서 60~90분간 반응시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콘크리트 지면에 1차 분사하고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이 상기 콘크리트 지면에 침투되기까지 10~30분간 대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 1분사완료단계; 상기 제 1분사완료단계 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상기 1차 분사시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에 분사하고, 10~30분간 대기하여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2분사완료단계; 상기 제 2분사완료단계 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상기 1차분사시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평탄화층에 분사하고, 10~30분간 대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분사완료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3분사완료단계 후에는 표면 보호용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제 4분사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분사완료단계 및 제 3분사완료단계가 진행될때에는 건물 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림막을 설치한 후 상기 폴리우레아를 콘크리트 지면에 분사하여 물 평형 원리에 따라 건물 지면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분사완료단계로부터 제 3분사완료단계를 통해 형성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도포층은 건조 후 상기 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1~2mm의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은 건물 내 지면의 포장을 단 시간내에 진행할 수 있으며, 건물 내 콘크리트 지면과 포장 조성물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작업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겨울철 시공이 불가한 조건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은 주제와 주제와 동일 비율로 혼합된 경화제를 포함한다.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가 혼합되며, 경화제는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은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50~80중량부와 솔벤트 20~50중량부가 혼합되고,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 38~55중량부와 에폭시레진 2~5중량부와 점도조절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며,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된다.
이때, 아민은 3,5 Diethyltoluene-2,4/2,6-diamine 30~40중량부와 4,4bis[2-chloroaniline] 5~10중량부와 4,4'-methylene Bis[N-(1-methylpropyl)benzenamine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에폭시레진은 '4,4'-(1-methylethylidene)bisphenol polymer with (chloromethyl)oxirane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민 조성물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과의 화학반응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화학반응 속도보다 수십 배 내지 수백 배 빠른 경화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폴리우레아민 조성물이 건물 내의 지면에 분사될 경우 대략 1시간에서 2시간 이내에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약 1~2mm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지면 포장 공정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아민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물 내 지면을 포장하게 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도를 따라 진행된다.
건물 내의 지면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우레아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공정에서는 건물 내 지면의 포장면적이 모두 다른 관계로 g이나 kg 또는 ml나 L로 기재하지 않고 각 조성물의 중량비로 기재하였다.
폴리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를 각각 50~80중량부와 20~50중량부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한다.
주제가 제조되면,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게 된다.
경화제는 아민 38~55중량부와 에폭시레진 2~5중량부와 점도조절제 40~6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제조되면,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한다.
주제와 경화제는 모두 액상이며, 90~100℃의 온도에서 60~90분간 반응시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이 제조되면, 건물 내 포장될 위치에 건 스프레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분사하게 된다. 1차 분사시에는 콘크리트 표면에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는 정도의 양을 분사한다.
1차 분사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지면에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이 침투되기까지 약 10~30분 가량 대기하여 콘크리트 지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한다.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한 후에는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1차 분사시보다 많은 양으로 프라이머층 상면에 분사한다. 즉, 2차 분사시에는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의 분사를 통해 표면 평탄화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시공 시 모체에 발생된 기공을 막아 코팅층에 발생되는 핀혼을 제거함으로써, 코팅공사의 결합으로 나타나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의 2차 분사가 완료되면, 다시 10~30분간 대기하여 평탄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한다.
2차분사완료단계가 마무리되면, 다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평탄화층 상면에 3차 분사한다. 3차 분사량은 1차분사량 보다 많으며, 2차 분사량보다 같거나 적을 수 있다.
3차 분사량의 경우에는 표면 보호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포되는 것이며, 평탄화층보다 비교적 얇은 두께를 형성하도록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3차 분사가 완료되면, 다시 10~30분간 대기하여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제 1차 분사완료단계부터 제 3차분사완료단계를 모두 거치게 되면, UV 안정성을 위해 탑코트 공정인 보호층이 추가 될 수도 있으며, 두께는 1~2mm정도가 된다.
즉, 제 3차분사완료단계에서 형성된 보호층에는 표면을 얇게 코팅시켜 포장할 수 있도록 제 4분사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코팅층은 별도의 코팅액을 건스프레이를 통해 분사시킬 수 있으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보호층 상면에 분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방법은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반복적으로 분사할 경우 1일 이내의 단시간내에 콘크리트 포장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시공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50~80중량부와 솔벤트 20~50중량부가 혼합되고,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 38~55중량부와 에폭시레진 2~5중량부와 점도조절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아민은 3,5 Diethyltoluene-2,4/2,6-diamine 30~40중량부와 4,4bis[2-chloroaniline] 5~10중량부와 4,4'-methylene Bis[N-(1-methylpropyl)benzenamine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3. 삭제
  4.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를 혼합하여 제조된 주제와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경화제를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한 후 90~100℃의 온도에서 60~90분간 반응시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콘크리트 지면에 1차 분사하고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이 상기 콘크리트 지면에 침투되기까지 10~30분간 대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 1분사완료단계;
    상기 제 1분사완료단계 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상기 1차 분사시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에 분사하고, 10~30분간 대기하여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2분사완료단계;
    상기 제 2분사완료단계 후 상기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상기 1차분사시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평탄화층에 분사하고, 10~30분간 대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분사완료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사완료단계 후에는 표면 보호용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제 4분사단계가 더 진행되는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사완료단계로부터 제 4분사완료단계를 통해 형성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도포층은 건조 후 상기 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1~2mm의 두께로 형성된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KR1020150045137A 2015-03-31 2015-03-31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KR10154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37A KR101540600B1 (ko) 2015-03-31 2015-03-31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37A KR101540600B1 (ko) 2015-03-31 2015-03-31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600B1 true KR101540600B1 (ko) 2015-07-30

Family

ID=5387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137A KR101540600B1 (ko) 2015-03-31 2015-03-31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26A (ko) * 2019-05-21 2020-12-01 (주) 에이텍정밀화학 콘크리트 구조물의 긴급 보수보강용 초속경 폴리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43B1 (ko) * 2009-12-31 2010-11-10 성림산업(주) 상수도관 내부코팅용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도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상수도관 내부코팅막의 형성 방법
KR101174108B1 (ko) * 2012-01-13 2012-08-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철강재 및 목재 등의 구조재용 신속경화형 폴리우레아계 표면 코팅 조성물
KR101221321B1 (ko) * 2011-07-27 2013-01-11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강관의 내,외부 코팅용 폴리우레아수지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1524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43B1 (ko) * 2009-12-31 2010-11-10 성림산업(주) 상수도관 내부코팅용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도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상수도관 내부코팅막의 형성 방법
KR20130011524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KR101221321B1 (ko) * 2011-07-27 2013-01-11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강관의 내,외부 코팅용 폴리우레아수지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108B1 (ko) * 2012-01-13 2012-08-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철강재 및 목재 등의 구조재용 신속경화형 폴리우레아계 표면 코팅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26A (ko) * 2019-05-21 2020-12-01 (주) 에이텍정밀화학 콘크리트 구조물의 긴급 보수보강용 초속경 폴리머 조성물
KR102290254B1 (ko) * 2019-05-21 2021-08-20 (주)에이텍정밀화학 콘크리트 구조물의 긴급 보수보강용 초속경 폴리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24693A5 (ko)
KR101267433B1 (ko) 환경 친화적 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면의 방수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932890B1 (ko) 공원내에 설치되는 무기계 수성 폴리머 몰탈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바닥면 시공방법
KR101573298B1 (ko) 폴리우레아 바탕조정제 및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215403B1 (ko) 방수물의 부풀음 및 핀홀현상의 방지를 위한 기능성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0977160B1 (ko)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16209B1 (ko) 경질금속시트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조립식 복합방수구조
KR102213274B1 (ko) 주차장바닥 에폭시 및 우레탄 보수보강공법
KR101540600B1 (ko)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 및 폴리우레아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지면 포장방법
KR101557134B1 (ko)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US4689268A (en) Coated concrete surface and process for coating
KR102264245B1 (ko) 콘크리트 바닥 마감 구조 및 방법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1777092B1 (ko) 비스페놀 a형과 아크릴수첨수지가 포함된 표면강화재
KR101241795B1 (ko) 미끄럼 방지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101876806B1 (ko) 초속경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1088315B1 (ko) 복합형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102583913B1 (ko) 작업 공기 단축이 가능한 지하 주차장 바닥 에폭시 재시공 공법
KR20170131068A (ko) 무기질안료가 포함된 컬러 도막 강화제
JP2664846B2 (ja) 樹脂舗装表面の仕上げ方法
KR101791134B1 (ko) 친환경 무용제 에폭시 프라이머 조성물
KR20160150224A (ko)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328229A (ja) アスファルト舗装表面の塗布材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表面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