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504B1 -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504B1
KR101540504B1 KR1020120044485A KR20120044485A KR101540504B1 KR 101540504 B1 KR101540504 B1 KR 101540504B1 KR 1020120044485 A KR1020120044485 A KR 1020120044485A KR 20120044485 A KR20120044485 A KR 20120044485A KR 101540504 B1 KR101540504 B1 KR 10154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roller
heating
fixing
conn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953A (ko
Inventor
슈따로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제2 회전체가 상기 제1 회전체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회전체가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회전체 및 상기 히터를 일체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압력의 인가 하에서, 상기 히터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와 전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접속편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와이어의 단면에서의 상기 전기 접속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동작 시의 상기 전기 접속편의 이동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가 45°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기 접속편의 방향이 설정된다.

Description

정착 장치{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벨트 또는 롤러를 이동시켜 기록재의 가열 닙부를 형성 및 해방(elimination)시킬 수 있는 화상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롤러 또는 이동 지지 롤러의 회전 중심축에 대한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한 전극 부재와 외부의 번들 와이어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성을 높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너 화상을 형성해서 기록재에 전사한 후에, 기록재를 협지 반송하면서 화상 가열 장치(정착 디바이스)의 가열 닙부에서 토너 화상을 가열 가압함으로써,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또는 완전히 정착된 화상이 기록재를 화상 가열 장치(광택 처리 디바이스)의 가열 닙부에서 협지 반송하여 기록재의 표면 특성을 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실용화되어 있다. 화상 가열 장치에서는, 제1 회전체(벨트 또는 롤러)와 제2 회전체(벨트 또는 롤러)를 서로 압접하여 기록재의 가열 닙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착탈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록재의 가열 닙부의 형성과 해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1469호 공보에는, 램프 히터를 회전 중심축에 설치한 가압 롤러를, 램프 히터를 회전 중심축에 설치한 정착 롤러 쪽으로 및 정착 롤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화상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가열 장치에서는, 가열 닙부를 해방시키고, 정착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상이한 표면 온도로 온도 제어된 상태로 대기시켜, 기록재가 반송되어 오기 직전에 정착 롤러에 가압 롤러를 압접해서 기록재의 가열 닙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9064호 공보에는, 램프 히터를 회전 중심축에 설치한 가압 롤러를, 전자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 벨트 쪽으로 및 정착 벨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화상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4366호 공보에는, 정착 롤러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하게 2개의 램프 히터를 설치한 화상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길이 방향에 대해 발열량 분포가 다른 2개의 램프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길이 방향에 대한 정착 롤러의 온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1469호 공보에 개시된 화상 가열 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의 접속 형태에 관해서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 롤러(102)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램프 히터(104)가 설치되어 있다. 램프 히터(104)의 양단은 상당히 높은 온도에 노출되므로, 내열성 번들 와이어[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106)가 내열성 압착 전기 접속편을 이용하여 램프 히터(104)의 단자(전기 접속편)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 롤러가 화상 형성의 1매의 용지마다 상하 이동을 반복하면, 산화가 진행된 번들 와이어(106)가 압착 전기 접속편과의 접속부에서 절곡되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접속부의 수명이 짧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접속편과 번들 와이어의 접속부의 내절곡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2 회전체가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되었을 때에도, 전기 접속편과 번들 와이어의 접속부의 수명을 길게 확보할 수 있는 화상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와 전기 와이어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상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록재 상의 화상을 가열하는 닙부를 형성하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제2 회전체가 상기 제1 회전체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회전체가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회전체 및 상기 히터를 일체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압력의 인가 하에서, 상기 히터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와 전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접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와이어의 단면에서의 상기 전기 접속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동작 시의 상기 전기 접속편의 이동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가 45°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기 접속편의 방향이 설정되는, 화상 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의 설명도.
도 2는 정착 디바이스의 구조의 설명도.
도 3의 (a) 및 (b)는 롤러 단부의 배선 구조의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할로겐 램프 히터와 번들 와이어 사이의 접속부의 구조의 설명도.
도 5의 (a) 및 (b)는 가압 롤러의 착탈에 수반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의 자세의 변화의 설명도.
도 6은 압착된 번들 와이어의 단면 2차 모멘트와 히터 전기 접속편의 경사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의 (a) 및 (b)는 압착된 번들 와이어의 단면 2차 모멘트와 응력 집중 사이의 관계를 각각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의 (a) 및 (b)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롤러 단부의 배선 구조의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할로겐 램프 히터와 번들 와이어 사이의 접속부의 구조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가압 롤러의 착탈에 수반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의 자세의 변화의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롤러 부재의 배선의 굽힘(절곡) 방향이 압착 단면의 길이 방향으로 규제되는 한, 각각의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 대안적인 구성으로 치환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할로겐 램프 히터를 이용하는 화상 가열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항 가열 및 전자 유도 가열을 이용한 화상 가열 장치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롤러 부재를 서로 직접 압접해서 가열 닙부를 형성하는 롤러 가열 방식의 화상 가열 장치뿐만 아니라, 롤러 부재에 의해 지지된 벨트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연결된 벨트 가열 방식 또는 벨트 반송 방식의 화상 가열 장치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각각에 대한 화상 형성부(200Y, 200M, 200C, 200K)가 중간 전사 벨트(125)를 따라 배열된 중간 전사 방식의 탠덤형 풀 컬러 프린터이다.
화상 형성부(200Y)에서는, 감광 드럼(120Y)에 옐로우 토너 화상이 형성되어 중간 전사 벨트(125)에 전사된다. 화상 형성부(200M)에서는, 감광 드럼(120M)에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되어 중간 전사 벨트(125)에 전사된다. 화상 형성부(200C, 200K)에서는, 각각 감광 드럼(120C, 120K)에 시안 토너 화상과 블랙 토너 화상이 형성되어 중간 전사 벨트(125)에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25)에 전사된 4색의 토너 화상은 2차 전사부 T2로 반송되어 기록재 P에 전사된다.
기록재 카세트(150)로부터 인출된 기록재 P는 분리 롤러(151)에 의해 1매씩 분리되고, 레지스트 롤러(152)들 사이에서 대기하고, 레지스트 롤러(152)에 의해 2차 전사부 T2로 보내진다. 토너 화상이 2차 전사된 기록재 P는 반송 벨트(158)에 의해 정착 디바이스(1)로 반송되고, 가열 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 후에, 배출 롤러(159)에 의해 프린터 외부의 트레이(160)로 배출된다.
또한, 양면 인쇄를 행할 경우, 기록재 P는 양면 반송 경로(140)에서 반송되고 표리 반전(upside-down) 상태에서 다시 2차 전사부 T2로 반송되어, 1회째의 표면과 반대측의 기록재 P의 표면에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 후에, 1회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재 P가 정착 디바이스(1)로 반송되어, 기록재 P의 표면에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또한,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부(200K)만을 작동시켜서, 중간 전사 벨트(12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기록재 P에 전사된다.
화상 형성부(200Y, 200M, 200C, 200K)는 현상 디바이스(123Y, 123M, 123C, 123K)에서 이용되는 토너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부(200Y)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화상 형성부(200M, 200C, 200K)에 대해서는, 화상 형성부(200Y)의 구성 부재(수단)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심볼)의 첨자 Y를 M, C, K로 읽어 관련 구성 부재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200Y)는 감광 드럼(120Y)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200Y)에 있어서, 감광 드럼(120Y)의 주위에, 대전 롤러(121Y), 노광 디바이스(122Y), 현상 디바이스(123Y), 1차 전사 롤러(124Y) 및 드럼 클리닝 디바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감광 드럼(120Y)은 외주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실린더로 구성되고, 소정의 프로세스 속도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 롤러(121Y)에, 직류 전압에 교류 전압을 중첩한 형태의 진동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120Y)의 표면이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노광 디바이스(122Y)는 레이저 빔을 회전 미러를 통해 감광 드럼 표면에 주사함으로써 감광 드럼(120Y)에 화상의 정전 화상을 기입(형성)한다.
현상 디바이스(123Y)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2 성분 현상제로 정전 화상을 현상하여, 감광 드럼(120Y)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1차 전사 롤러(124Y)는 중간 전사 벨트(125)의 내측 표면을 압박하여 감광 드럼(120Y)과 중간 전사 벨트(125) 사이에 1차 전사부를 형성한다. 1차 전사 롤러(124Y)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120Y)의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25)에 1차 전사된다. 드럼 클리닝 디바이스는 감광 드럼(120Y)을 클리닝 블레이드로 문질러서, 감광 드럼(120Y)의 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한다.
중간 전사 벨트(125)는 장력 롤러(155), 구동 롤러(156) 및 대향 롤러(154) 둘레에 걸려 있다. 장력 롤러(155)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5)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고, 중간 전사 벨트(125)는 구동 롤러(15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벨트 클리닝 디바이스(157)는 중간 전사 벨트(125)를 클리닝 블레이드로 문질러서 중간 전사 벨트(125)의 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한다.
<정착 디바이스>
도 2는 정착 디바이스(1)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롤러 단부의 배선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감광 드럼(120Y)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고,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재 P에 전사시킨다. 다음으로, 정착 디바이스(1)에서, 토너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여 기록재 P의 표면에 정착시켜서, 기록재 P에 화상을 형성한다. 정착 디바이스(1)는, 히터가 설치된 정착 롤러에 가압 롤러를 압접하여 가열 닙부 N을 형성하고 정착을 행하는 롤러 정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되는 정착 디바이스에서는, 다수의 경우에서 롤러 정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의 일례인 정착 롤러(101)는 기록재 상의 화상을 가열한다. 가열 디바이스의 일례인 히터의 일례인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제2 회전체의 일례인 가압 롤러(102)를 가열한다.
정착 디바이스(1)는, 할로겐 램프 히터(103)에 의해 가열되어 소정의 표면 온도로 유지된 정착 롤러(101)와, 정착 롤러(101)에 압접되고 탄성을 갖는 가압 롤러(102) 사이의 가열 닙부 N에 기록재 P를 도입한다. 기록재 P는 가열 닙부 N에서 협지 반송되는 중에 미정착 토너 화상이 표면에 열정착된다.
가압 롤러(102)는 하방으로부터 정착 롤러(101)에 압접되어 기록재 P의 가열 닙부 N을 형성한다. 정착 롤러(101)와 가압 롤러(102)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가변 축간 거리를 갖는 기어 열(166)에 의해 연결되고, 동일한 표면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165)는 기어 열(166)을 통해 정착 롤러(101)와 가압 롤러(102)를 구동시켜 이들 롤러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정착 롤러(101)의 코어 금속(101a)의 내부에는, 한 쌍의 할로겐 램프 히터(103)가 발열 요소로서 배치되어, 정착 롤러(101)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정착 롤러(101)의 표면 온도는 정착 롤러(101)에 접촉 가능한 서미스터(167)에 의해 검출된다.
온도 컨트롤러(169)는 서미스터(167)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할로겐 램프 히터(103)를 턴 온 및 오프하여 할로겐 램프 히터(103)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정착 롤러(101)의 표면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로 제어한다.
가압 롤러(102)의 코어 금속(102a)의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가 발열체로서 배치되어, 가압 롤러(102)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가압 롤러(102)의 표면 온도는 가압 롤러(102)에 접촉 가능한 서미스터(168)에 의해 검출된다.
온도 컨트롤러(169)는 서미스터(168)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할로겐 램프 히터(104)를 턴 온 및 오프하여 할로겐 램프 히터(104)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가압 롤러(102)의 표면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로 제어한다.
정착 롤러(101)의 코어 금속(101a)의 표면에는 300㎛ 두께의 실리콘 고무의 탄성층이 형성되고, 탄성층의 표면은 불소 함유 수지의 이형층으로 덮어져 있다. 가압 롤러(102)의 코어 금속(102a)의 표면에는 100㎛ 두께의 실리콘 고무의 탄성층이 형성되고, 탄성층의 표면은 불소 함유 수지의 이형층으로 덮어져 있다.
이동 기구의 일례인 승강 캠(162)은,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가압 롤러(102)와 할로겐 램프 히터(104)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 롤러(102)의 양단은 베어링(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130)은 회전 샤프트(회전 이동 샤프트)(111)를 회전 중심(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는 압박 부재(10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압박 부재(105)는, 압박 부재(105)의 압박부와 회전 샤프트(111)를 회전 중심으로 하는 지지 부재(170)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61)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지지 부재(170)의 회전 단부는 승강 캠(162)에 의해 밀어 올려져 코일 스프링(161)을 통해 가압 롤러(102)를 상승시켜서,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압접된다. 이에 의해, 정착 롤러(101)와 가압 롤러(102) 사이에 가열 닙부 N이 형성된다.
컨트롤러(164)는 모터(163)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 캠(162)을 회전시켜서, 정착 롤러(101)에 대한 가압 롤러(102)의 접촉과 정착 롤러(101)로부터의 가압 롤러(102)의 이격을 제어함으로써, 가압 및 가압 해제(해방)를 행한다. 컨트롤러(164)는, 승강 캠(162)의 캠 샤프트에 설치된 센서 플래그의 위상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태가 가압 상태인지 가압 해제 상태인지 여부의 판단을 실행한다.
가압 롤러(102)는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소정의 속도에서 회전하면서 기록재를 대기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롤러(101) 및 가압 롤러(102)는 복사 또는 인쇄 등의 통상 동작 시에는 압접 상태로 되어 있고, 압력 및 열에 의해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정착 롤러(101)와 가압 롤러(102)의 압접 상태를 장시간 방치해 두면, 가압부에 변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압접 상태를 장시간 방치한 후 화상 형성된 기록재에 화상을 곧바로 정착시키면, 정착 화상의 표면에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줄이 생성되거나 불균일한 광택이 생김으로써,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잡을 준비하고있는 슬립 모드 시 또는 전원 오프 시에는, 정착 롤러(101)로부터 가압 롤러(102)를 이격시키는 이격 동작에 의해 압력(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정착 롤러(101) 및 가압 롤러(102)는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압접 상태가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화상 형성 장치의 고속화에 수반하여, 기록재의 반송에 의해 정착 롤러의 열량이 빼앗기면, 기록재로부터 정착 롤러 상에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 버리는 소위 콜드 오프셋(cold offset) 등의 정착 부족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착 디바이스(1)에서는, 기록재의 반송에 의한 열량의 저하에 대한 대책으로서 가압 롤러(102)에도 할로겐 램프 히터(104)를 설치하고,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여, 과잉의 온도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착 디바이스(1)에서,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번들 와이어(106) 및 커넥터(107)를 필요로 한다.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커넥터(107)는 정착 디바이스(1)의 프레임측에 고정된 유지부(113)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대해 착탈 동작을 행하는 경우,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커넥터(107)는 정착 디바이스(1)의 프레임측의 유지부(1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번들 와이어(106)에 굽힘(절곡) 작용이 작용한다. 가압 롤러(102)를 정착 롤러(101)로부터 착탈시켰을 때, 번들 와이어(106)에 굽힘 작용이 작용한다. 번들 와이어(106)에 대한 굽힘 작용에 대해서는, 번들 와이어(106) 전체로서 변형량을 흡수한다. 그러나, 번들 와이어(106) 내에 국소적으로 강성이 낮은 부분이 존재할 경우, 착탈 동작에 의한 번들 와이어(106)의 변형의 대부분이 강성이 낮은 부분에 집중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압 롤러(102)의 착탈 시의 굽힘 작용에 의한 번들 와이어(106)의 피로가 할로겐 램프 히터(104)로서의 내구성을 크게 손상시킨다. 정착 디바이스(1)의 수명 연장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굽힘력에 대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단부에서 압착 전기 접속편의 번들 와이어가 평탄화되는 길이 방향이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에 근접하게 하여, 가압 롤러(102)의 이동에 수반하는 번들 와이어(106)의 굽힘도를 저감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
도 4의 (a) 및 (b)는 할로겐 램프 히터와 번들 와이어 사이의 접속부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가압 롤러의 착탈에 수반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의 자세의 변화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압착된 번들 와이어의 단면 2차 모멘트와 히터 전기 접속편의 경사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의 (a) 및 (b)는 압착된 번들 와이어의 단면 2차 모멘트와 응력 집중 사이의 관계를 각각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에서, (a)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개략 구성이고, (b)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와 번들 와이어(106) 사이의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접속편 부분의 일례인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압착에 의해 할로겐 램프 히터(104)에 전기 와이어의 일례인 번들 와이어(10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압착 동안 압착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번들 와이어(106)를 분산시키는 방식의 압착 전기 접속편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의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번들 와이어(106) 및 커넥터(107)를 포함한다. 커넥터(107)는 정착 디바이스(1)의 프레임측의 유지부(113)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113)는 압박 부재(105)에 의해 회전 이동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의 할로겐 램프 히터(104)와 번들 와이어(106)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결합된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전기 에너지 공급 전기 접속편과 번들 와이어(106)를 압착 전기 접속편을 이용해서 결합시킨다.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가압 롤러(102)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전기 에너지 공급 전기 접속편을 지지하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인 단부 캡(114)은,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단부에 고정된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단부 캡(114)의 관통 구멍에 유격(공차)을 갖고 유지되어, 가압 롤러(102)의 이동에 수반하여,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의 접속부에서 번들 와이어(106)의 응력 분포를 평균화(균일화)하는 방향으로, 유격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자세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번들 와이어(106)의 일부에 응력이 집중해서 피로 파괴(균열)의 개시점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압착 공구를 이용해서 가압 하에서 번들 와이어(106)와 일체로 평탄화되고, 따라서 단부 캡(114)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서, 관통 구멍 내에 회전 구속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단부 캡(114)과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세라믹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평탄화되어 결합된 후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윤곽은, 평탄화된 폭 방향에 대한 폭이 약 1㎜이고, 평탄화되어 확대된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가 약 3㎜이다. 또한, 결합 후의 상태에서,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유지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평탄화 방향인 폭 방향과, 번들 와이어(106)가 평탄화되어 확대된 방향인 길이 방향을 갖는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단부 캡(114)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관통 구멍에 유지된다. 단부 캡(114)의 관통 구멍에서,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하고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폭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회전이 방지된다. 단부 캡(114)은 회전 방지부(114a)를 구비한다. 회전 방지부는 위치 규제 부재(112)의 개구와 결합하여, 단부 캡(114)의 회전을 방지한다.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각도 자세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평탄화된 번들 와이어의 단면의 길이 방향이 가압 롤러(102)의 착탈 방향에 일치하도록 회전 방지부(114a)에 의해 규제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가압 롤러(102)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위치 규제 부재(112) 및 회전 방지부(114a)는, 압착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의 길이 방향과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방향을 규제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위치는 P1이다.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압접하고 있는 상태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위치는 P2이다.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할로겐 램프 히터(104)가 상하 이동하더라도,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유지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의 길이 방향이 승강 방향에 일치하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각도 자세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지부(114a) 및 위치 규제 부재(112)에 의해 할로겐 램프 히터(104)의 회전 자세가 규제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원 궤적의 접선 방향(롤러 착탈 방향 C)과,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0°이다. 가압 롤러(102)의 착탈에 의한 회전 샤프트(111)의 회전 각도를 α라고 하면, 이격시(P1)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과 접촉시(P2)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α이다.
그러나, 각도 α의 회전에 따라, 전기 접속편 단면이 각도 α만큼 경사져서, 이동 개시점에서의 경사각이 0°일 때에도, 이동의 종점에서 번들 와이어(106)의 압착된 단면의 길이 방향과 승강 캠(162)에 의한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α가 된다. 즉, 단면 2차 모멘트는 약간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저하를 고려하여, 이동 프로세스 동안의 각 시각에서의 이동의 접선 방향과의 사이의 최대 각도가 45° 이하가 되도록, 번들 와이어의 압착된 단면(전기 접속편 단면)의 방향이 설정된다.
여기에서, 번들 와이어(106)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이 고정 단부이고 하중 W가 자유 단부에 가해지는 외팔보라고 가정한다. 번들 와이어(106)의 휨량(만곡량)은 하중 W에 비례하고,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 및 영률에 반비례한다. 또한,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접속부에는 최대의 굽힘 응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번들 와이어(106)가 그 단부로부터 기부까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더라도,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 번들 와이어(106) 사이의 접속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반복 하중 인가에 의해 피로 파괴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외팔보에 작용하는 하중 W는, 커넥터(107)의 위치, 번들 와이어(106)의 길이 및 가압 롤러(102)의 이동량에 의해 결정되며 일정하다. 영률은 번들 와이어(106)의 특성값이며, 번들 와이어(106)가 동일 재료로 형성되면 일정하다.
그러나, 단면 2차 모멘트는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형상과 그 각도 자세에 따라 변화한다. 번들 와이어(106)의 휨(변형)의 용이성은 단면 2차 모멘트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 번들 와이어(106) 사이의 접속부에서의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는 압착되지 않은 인접부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접속부의 응력 집중을 회피하고, 휨을 번들 와이어(106)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윤곽이 길이 방향에 대해 3㎜의 길이와 폭 방향에 대해 1㎜의 폭을 갖는 경우에서,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 번들 와이어(106) 사이의 접속부의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는 계산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예(실시예 1)와 같이,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0°로 규제되는 경우에, 단면 2차 모멘트는 최대이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과 착탈 방향 C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커지면,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점차로 저하하고,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90°이면, 단면 2차 모멘트가 최대값의 1/9로 감소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대해 번들 와이어(106)가 압착되는 프로세스에서,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으로 전기 와이어의 일례인 번들 와이어(106)를 분산시키는 방식의 압착 전기 접속편이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은, 그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에서, 금속편으로 번들 와이어를 둘러싸서 2개(상하)의 공간으로 번들 와이어를 분할하도록 평탄화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에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압착된 번들 와이어(106)의 길이 방향에 대해 도 6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들 와이어(106)가 착탈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의 접속부에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최대로 되어, 접속부의 번들 와이어(106)는 변형되기 어렵다. 단면 2차 모멘트가 클 경우, 접속부의 번들 와이어(106)에 대한 응력 집중이 회피되므로, 가압 롤러(102)의 접촉 동작에 의한 번들 와이어(106)의 변형은 번들 와이어(106) 전체로 흡수된다. 그 결과,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에서의 번들 와이어(106)의 변형 각도는 작아지고,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응력은 경감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들 와이어(106)를 착탈 방향으로 평탄화되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에 의해 압착했을 경우, 히터 전기 접속편(108)과의 접속부에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가 되어, 접속부의 번들 와이어(106)가 변형되기 쉽다. 단면 2차 모멘트가 클 경우, 가압 롤러(102)의 접촉 동작에 의한 번들 와이어(106)의 변형은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에서 국소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번들 와이어(106)에 큰 굽힘 작용이 가해져서 번들 와이어(106)에 응력을 부여한다.
번들 와이어의 길이가 100㎜이고 커넥터(107)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롤러(102)를 착탈 방향 C로 7㎜만큼 이동시켰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90°로 규제되면,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의 변형 각도는 약 5°이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0°로 규제되면,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의 변형 각도는 약 0.6°이다. 90°로 규제된 경우와 비교하여, 번들 와이어(106)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의 경계부에서의 변형 각도를 12%까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0°로 규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0°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 변형량이 커지는 90°의 조건과 비교하여 각도가 (45° -α)로 규제되면, 가압 롤러(102)의 착탈 동작 동안의 어느 자세에서도, 90°의 조건 하에서보다 2배 이상의 변형량 억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롤러(102)가 회전 샤프트(111)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이동하는 구성이 채용되었지만, 가압 롤러(102)의 이동은 회전 이동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병진(평행 변위)일 수 있다. 이 때, α가 0°이고, 따라서 착탈 방향 C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45° 이하로 규제되면, 2배 이상의 변형량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롤러(102)의 열원은 할로겐 램프 히터(104)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원이 번들 와이어(106)를 가지면, 열원은 전자 유도 코일 조립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107)는 정착 디바이스(1)의 프레임측에 고정되기만 하면 되며, 예를 들어 커넥터(107)가 나사로 전기 접속편에 체결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8의 (a) 및 (b)는 실시예 2의 롤러 단부의 배선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할로겐 램프 히터와 번들 와이어 사이의 접속부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가압 롤러의 착탈에 수반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의 자세의 변화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2는, 가압 롤러의 회전 중심에 평행하게 2개의 할로겐 램프 히터가 제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실시예 1)와 도 8 및 도 9(실시예 2)에서 공통인 구성 요소(부재)는 도 3 및 도 4와 동일한 도면부호(심볼)로 나타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의 고속화 및 대응해야 할 기록재의 종류의 증가에 의해, 반송 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으로 사이즈가 작은 기록재의 용지를 연속해서 정착했을 경우에,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의 용지 비통과 영역에서 초과 온도 상승이 발생하기 쉬워졌다. 또한, 한편 용지 비통과 영역에서의 온도 저하가 발생하면, 얇은 기록재를 정착했을 때에 기록재의 후단에서 측방향 시프트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의 길이 방향의 전기 접속편 분포의 문제에 대하여,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4366호에서는, 상이한 발열량 분포 특성을 갖는 한 쌍의 할로겐 램프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였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 램프 히터(104)는 가압 롤러(102)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위치 규제 부재(112) 및 회전 방지부(114a)는 압착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의 길이 방향과 가압 롤러(102)의 이동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방향을 규제한다.
위치 규제 부재(112)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에 의해 압착된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의 길이 방향에 따라 가압 롤러(102)가 이동하도록 번들 와이어(106)의 회전 각도를 위치 결정하여 유지한다. 단부 캡(114)의 회전 방지부(114a)가 위치 규제 부재(112)의 개구와 결합하여, 단부 캡(114)의 회전이 방지된다. 가열 닙부 형성 상태 및 가열 닙부 해방 상태에서도, 히터 전기 접속편(108a)은 회전 방지부(114a) 및 위치 규제 부재(112)에 의해 위치가 규제된다. 이 때문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a)의 원 궤적의 접선 방향(롤러 착탈 방향 C)과 히터 전기 접속편(108a)의 단면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0°이다. 또한,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하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c)의 원 궤적의 접선 방향(롤러 착탈 방향 C)과 히터 전기 접속편(108c)의 단면의 길이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0°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대하여 압접되면, 가압 롤러(102)와 정착 롤러(101) 사이에 기록재의 가열 닙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되면, 가압 롤러(102)와 정착 롤러(101) 사이의 가열 닙부가 해방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2)는 2개의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를 갖는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는, 각각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에 의해 번들 와이어(106)에 결합된다. 전기 와이어의 일례인 번들 와이어(106)는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실시예 2)에서는, 중앙부에 높은 발열 영역을 갖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a)와, 단부에 높은 발열 영역을 갖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c)가 가압 롤러(102)(도 8) 내에서 조합되어 합체된다. 상황에 따라서,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가 독립해서 턴 온/오프되어, 가압 롤러(102)의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를 중앙부 고온 패턴 또는 단부 고온 패턴으로 제어한다.
전기 접속편의 일례인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은 제2 회전체의 일례인 가압 롤러(102)의 회전 샤프트에 대하여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다.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은, 번들 와이어(106)를 압착(평탄화)하여 가열 디바이스의 일례인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에 대한 전기 접속을 확보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의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이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회전 샤프트(111), 히터 전기 접속편(108a) 및 히터 전기 접속편(108c)은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동일한 (직선) 라인 상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전기 접속편(108a)으로부터 커넥터(107)까지의 번들 와이어(106)의 길이와, 히터 전기 접속편(108c)으로부터 커넥터(107)까지의 번들 와이어(106)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할로겐 램프 히터(104a)의 히터 전기 접속편 위치는 P1이며, 할로겐 램프 히터(104c)의 히터 전기 접속편 위치는 Q1이다. 한편,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압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할로겐 램프 히터(104a)의 히터 전기 접속편 위치는 P2이며, 할로겐 램프 히터(104c)의 히터 전기 접속편 위치는 Q2이다. 회전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가 상하 이동하더라도,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에 의해 유지된 번들 와이어(106)(도 9)의 단면의 길이 방향이 승강 방향에 일치하도록, 히터 전기 접속편(108)의 각도 자세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한 위치에서 평행하게 할로겐 램프 히터(104a, 104c)가 배치되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번들 와이어(106)의 압착 작업을 방해한다. 그러한 경우,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은 또한 표리 관계(back to back)로 배치할 수 있다. 각 히터 전기 접속편(108a, 108c)은 외측으로부터 번들 와이어(106)의 단면을 둘러싸도록 관련된 금속편을 내측으로 굽힘으로써 번들 와이어(106)를 압착하여, 압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압 롤러(102)가 정착 롤러(101)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되는 구성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의 관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정착 부재인 정착 롤러와, 정착 롤러의 표면에 접촉해서 정착 롤러를 가열하는 히터를 내부에 갖는 외부 가열 부재 사이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외부 가열 부재가 정착 롤러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되는 구성에서, 외부 가열 부재의 내부 히터의 전기 접속편과 외부 가열 부재의 이동 방향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압 롤러 이외에,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고 외주면에 벨트 부재가 걸려 있도록 사용되는 롤러 부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상세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7)

  1. 기록재 상의 토너 화상을 닙부에서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가능한 정착 부재와,
    회전가능한 가열 부재와, 상기 가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부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를 포함하는 가열 유닛과,
    상기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에너지 공급부와,
    상기 히터에 접속된 전기 와이어의 일 단부와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접속된 전기 와이어의 일 단부를, 상기 전기 와이어의 단부들 간의 중첩부를 압착시킴으로써, 접속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정착 부재가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위치와 상기 가열 부재가 상기 정착 부재로부터 이동 방향으로 후퇴되는 대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착 부재 및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대해 상기 가열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중첩부의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 이하인, 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열 유닛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이동 동작 동안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가열 유닛의 회전의 접선 방향과 상기 중첩부의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 이하인, 정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기 접속부의 길이 방향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와, 상기 이동 동작 동안 상기 전기 접속부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되는 정착 닙부를 협력하여 형성하는, 정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기록재 상에 정착되는 정착 닙부를 상기 정착 부재와 협력하여 형성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정착 부재의 외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착 부재를 가열하는, 정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에 설치된 제2 히터와,
    상기 제2 히터에 접속된 제3 전기 와이어의 일 단부와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접속된 제4 전기 와이어의 일 단부를, 상기 제3 전기 와이어 및 상기 제4 전기 와이어의 단부들 간의 제2 중첩부를 압착시킴으로써,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2 전기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중첩부의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 이하인, 정착 장치.
KR1020120044485A 2011-04-28 2012-04-27 정착 장치 KR101540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1455 2011-04-28
JP2011101455A JP5751918B2 (ja) 2011-04-28 2011-04-28 画像加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53A KR20120122953A (ko) 2012-11-07
KR101540504B1 true KR101540504B1 (ko) 2015-07-29

Family

ID=4604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485A KR101540504B1 (ko) 2011-04-28 2012-04-27 정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79335B2 (ko)
EP (1) EP2518572A3 (ko)
JP (1) JP5751918B2 (ko)
KR (1) KR101540504B1 (ko)
CN (1) CN1027598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1977B2 (en) 2011-11-01 2015-07-28 Canon Kabushiki Kaisha Heater with insulated substrate having through holes and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heater
JP2013142780A (ja) 2012-01-11 2013-07-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記録材冷却装置、及び記録材加熱冷却システム
JP6061608B2 (ja) * 2012-10-17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2014106320A (ja) * 2012-11-27 2014-06-09 Canon Inc 画像加熱装置
JP6265691B2 (ja) 2013-11-08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41396B2 (ja) 2014-05-29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06487A (ja) 2014-05-29 2016-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3366B2 (ja) 2014-05-29 2019-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047591B2 (ja) * 2015-01-16 2016-12-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9150B2 (ja) * 2016-09-01 2021-0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
JP6410785B2 (ja) 2016-12-09 2018-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10768569B2 (en) 2017-02-10 2020-09-08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52006B2 (en) 2017-03-01 2019-10-22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store a guiding member from a retracted position to a guiding position when a cover closes
US10379471B2 (en) 2017-03-31 2019-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having a pressure removal mechanism including a camshaft and a regulating portion that regulates flexure of the camshaft
US10379468B2 (en) * 2017-07-04 2019-08-13 Fuji Xerox Co., Ltd. Hea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009100B2 (ja) 2017-07-24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07478A (ja) * 2018-12-27 2020-07-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ヒータ
CN115228929B (zh) * 2022-07-29 2024-09-13 广西广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带钢生产的温度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952A (ja) 2005-05-27 2006-12-0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管型白熱ヒータ、定着装置
JP2009258407A (ja) 2008-04-17 2009-11-05 Ricoh Co Ltd 装置ユニッ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077A (ja) * 1982-01-22 1983-07-25 Canon Inc 定着装置
KR100561469B1 (ko) * 2003-10-17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JP2006184366A (ja) 2004-12-27 2006-07-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79064A (ja) 2005-09-13 2007-03-29 Canon Inc 画像加熱装置
JP5247504B2 (ja) 2009-02-03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3500A (ja) * 2010-09-29 2012-04-1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管状ヒーターおよび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952A (ja) 2005-05-27 2006-12-0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管型白熱ヒータ、定着装置
JP2009258407A (ja) 2008-04-17 2009-11-05 Ricoh Co Ltd 装置ユニッ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33996A (ja) 2012-11-29
KR20120122953A (ko) 2012-11-07
CN102759876A (zh) 2012-10-31
EP2518572A2 (en) 2012-10-31
US8779335B2 (en) 2014-07-15
JP5751918B2 (ja) 2015-07-22
EP2518572A3 (en) 2013-03-27
CN102759876B (zh) 2016-05-04
US20120273478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504B1 (ko) 정착 장치
US929196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581948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2954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89037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05250B2 (en) Fix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of endless rotary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10042295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7216906B2 (ja) 温度検知部材、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16481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a refl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778794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529310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US20170364000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80454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6744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23736B2 (en) Heater and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00103814A1 (en)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71729B2 (en) Heater,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er
US20150338805A1 (en) Heater and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886134B2 (en)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2038705B2 (en) Nip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947296B2 (en) Nip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6067915A1 (ja) 画像加熱装置
JP2016114850A (ja) 画像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