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200B1 -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200B1
KR101539200B1 KR1020150023395A KR20150023395A KR101539200B1 KR 101539200 B1 KR101539200 B1 KR 101539200B1 KR 1020150023395 A KR1020150023395 A KR 1020150023395A KR 20150023395 A KR20150023395 A KR 20150023395A KR 101539200 B1 KR101539200 B1 KR 10153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air
inle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근
영 진 이
Original Assignee
최병근
영 진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근, 영 진 이 filed Critical 최병근
Priority to KR102015002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휴대용가방(1)과; 휴대용가방(1)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판(2)과; 안내판(2)의 일측부위에 장착되는 인입포터(3)와; 인입포터(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해 안내판(2)의 타측부위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10) 및 조작스위치(20)와; 인입포터(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진공포터(4)와;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탱크(30)와; 조작스위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탱크(3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1, 2, 3작동밸브(40, 50, 60)와;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2, 3체크밸브(6, 7, 8)와; 진공포터(4)와 탱크(30)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발생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A portable type for vacuum genera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은 진공을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성형작업이나 진공압착작업 또는 진공흡착작업이 필요한 개별 현장 편리하게 이동하여 진공을 생성하고 생성된 진공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된 섬유에 액상의 수지를 함침시켜 보트 등과 같은 성형제품을 제조할 때, 적층된 섬유 내부에 공기가 잔존한 상태로 경화되면 제품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를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용융된 수지를 적층된 섬유에 함침시키기 이전 단계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섬유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즉, 개방구조의 몰드(210)에 섬유(11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진공백(220)을 이용하여 몰드(210) 상부를 밀폐하고, 진공백(220)과 연결되는 진공펌프(240)를 작동시켜 잔존하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진공백(220)과 몰드(210) 사이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후, 수지공급기(140)가 작동하면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고, 이에 따라 몰드(210)에 적층된 섬유(110)가 함침되면서 몰드(210) 형상의 성형제품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진공백과 몰드 사이공간을 보다 완전한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해 관련업계는 통상적으로 대용량의 진공펌프를 작업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대용량의 진공펌프를 작업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전력소모가 극심함은 물론 소음으로 인한 작업환경이 매우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물을 흡착하는 진공흡착기구의 경우에도 대동소이하게 적용되는 것으로서 관련업계는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시급히 요청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23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3698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성형작업 이나 진공압착작업 또는 진공흡착작업이 필요한 현장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진공형성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휴대용가방(1)과;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과 일정 수직높이를 유지하며 휴대용가방(1)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판(2)과; 안내판(2)의 일측부위에 장착되는 인입포터(3)와; 인입포터(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해 안내판(2)의 타측부위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10)와; 메인스위치(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메인스위치(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조작스위치(20)와; 인입포터(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진공포터(4)와;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탱크(30)와; 조작스위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탱크(3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1작동밸브(40)와; 조작스위치(20)와 제1작동밸브(4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체크밸브(6)와; 탱크(3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1작동밸브(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작동밸브(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2작동밸브(50)와; 탱크(30)와 제2작동밸브(5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체크밸브(7)와; 제2작동밸브(5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2작동밸브(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일시 제한하기 위해 제2작동밸브(5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3작동밸브(60)와; 진공포터(4)와 탱크(30)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발생기(70)와;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3체크밸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스위치(2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와, 상기 유입구(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2배출구(24, 26)가 마련되며; 상기 제1작동밸브(40)에는 조작스위치(20)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로(42)와, 상기 제1유입로(4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2배출로(44, 46)와, 상기 제1유입로(42) 및 제1, 2배출로(44, 46)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유로단속수단(41)이 마련되며; 상기 제2작동밸브(50)에는 제1작동밸브(40)의 제2배출로(4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로(52)와, 상기 제2유입로(5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 4배출로(54, 56)와, 상기 제2유입로(52) 및 제3, 4배출로(54, 56)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유로단속수단(51)이 마련되며; 상기 제3작동밸브(60)에는 상기 제2작동밸브(50)의 제4배출로(5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로(62)와, 상기 제3유입로(62)와 연통되는 제5배출로(64)와, 상기 제3유입로(62) 및 제5배출로(64)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3유로단속수단(6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20) 일측에는 보조조작스위치(20′)가 구비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되, 상기 보조조작스위치(20′)에는 상호 연통되는 보조유입구(22′) 및 보조배출구(2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포터(3)와 메인스위치(10) 사이에는 공기압게이지(83)가 마련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에는 진공압게이지(84)가 마련되어 안내판(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포터(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하기 편리한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최소한의 공기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최대한의 진공압력을 형성하되 일정시간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진공을 신속하게 형성하고 매우 안정적인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으로 인한 작업현장의 폐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생성유지장치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생성유지장치의 개략적인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생성유지장치의 개략적인 연결구성도.
도 4a 내지 도 4f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생성유지장치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5는 종래 섬유강화플라스틱로서 성형제품을 제조할 때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생성유지장치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내부구성도, 그리고 연결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가방(1) 및 휴대용가방(1) 내부에 마련되는 진공생성유지장치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휴대용가방(1)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개폐가 가능한 통상적인 가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가방(1)의 크기는 작업자가 들고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가방(1) 내부에는 안내판(2)이 설치된다. 안내판(2)에는 각종 장치들이 장착되며, 장착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명칭이나 작동범위가 표시될 수 있다. 안내판은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생성유지장치는, 인입포터(3) 및 진공포터(4), 제1, 2, 3체크밸브(6, 7, 8), 메인스위치(10) 및 조작스위치(20), 탱크(30), 제1, 2, 3작동밸브(40, 50, 60), 진공발생기(70)를 포함한다.
인입포터(3)는 작업현장에 위치하는 고압탱크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안내판(2)의 일측부위에 장착된다. 진공포터(4)는 작업현장에 위치하는 진공호스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진공호스의 타단부위는 미도시된 진공백 또는 진공흡착기구와 연결된다. 진공포터(4)는 인입포터(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진공포터(4)가 2개 이상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메인스위치(10)는 인입포터(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이며, 안내판(2)의 타측부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인입포터(3)와 메인스위치(10) 사이에 공기압게이지(83)가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공기압게이지(83)는 인입포터(3)와 메인스위치(10) 사이의 안내판(2)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압게이지는 아나로그게이지 또는 디지털게이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스위치(20)는 메인스위치(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며, 메인스위치(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된다. 조작스위치(2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와, 상기 유입구(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2배출구(24, 26)가 마련된다. 조작스위치(20)가 OFF 상태이면 유입구(22)와 제1배출구(24)가 연통되며, 조작스위치(20)가 ON 상태이면 유입구(22)와 제2배출구(26)가 연통된다. 조작스위치는 푸쉬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조작스위치(20)와는 별도로 보조조작스위치(20′)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보조조작스위치(20′)는 조작스위치(20)가 ON 상태임도 불구하고 작동되지 않을 경우을 대비한 수단으로서, 제1배출구(24)와 연결되는 보조유입구(22′) 및 보조유입구(22′)와 연통되는 보조배출구(24′)가 마련된다. 보조조작스위치(20′)가 ON 상태이면 보조유입구(22′)와 보조배출구(24′)는 연통된다.
이를 통해, 보조조작스위치(20′)가 ON 되면, 공기가 조작스위치(20)를 거쳐 보조조작스위치(20′)로 유입되고, 이후 공기는 분지되어 일부는 제2체크밸브(7)를 통해 탱크(30)를 채우게 되고, 일부는 진공발생기(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관련된 진공발생기(70)의 작동구성은 후술한다.
탱크(30)는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된다. 탱크(30)의 용량은 휴대용가방(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탱크(30)를 설치함에 있어 도면에 개시된 것과 별도의 고정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안내판(2)이 아닌 휴대용가방(1)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구성들 역시 고정판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고정판은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작동밸브(40)는 조작스위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탱크(3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된다. 제1작동밸브(40)는 진공유지밸브와 유사하게 기능하며, 제1유입로(42), 제1, 2배출로(44, 46), 제1유로단속수단(41)이 마련된다.
제1유입로(42)는 조작스위치(20)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제1, 2배출로(44, 46)은 제1유입로(42)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제1유로단속수단(41)은 제1유입로(42)를 제1배출로(44)와 연결한다. 제1유로단속수단(41)이 작동하지 않으면 제1유입로(42)는 제2배출로(46)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나, 제1유로단속수단(41)이 작동하면 제1유입로(42)는 제1배출로(44)와 연결된다.
제2작동밸브(50)는 탱크(3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1작동밸브(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작동밸브(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된다. 제2작동밸브(50)는 지연밸브와 유사하게 기능하며, 제2유입로(52), 제3, 4배출로(54, 56), 제2유로단속수단(51)이 마련된다.
제2유입로(52)는 제1작동밸브(40)의 제2배출로(4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3, 4배출로(54, 56)은 제2유입로(52)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제2유로단속수단(51)은 제2유입로(52)를 제3배출로(54)와 연결한다. 제2유로단속수단(51)이 작동하지 않으면 제2유입로(52)는 제4배출로(56)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나, 제2유로단속수단(51)이 작동하면 제2유입로(52)는 제3배출로(54)와 연결된다.
제3작동밸브(60)는 제2작동밸브(5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2작동밸브(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일시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작동밸브(5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된다. 제3작동밸브(60)는 리셋밸브와 유사하게 기능하며, 제3유입로(62), 제5배출로(64), 제3유로단속수단(51)이 마련된다.
제3유입로(62)는 제2작동밸브(50)의 제4배출로(5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5배출로(64)는 제3유입로(62)와 연통된다. 제3유로단속수단(61)은 제3배출로(5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제3유입로(62) 및 제5배출로(64) 사이의 연결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3유로단속수단(61)이 작동하지 않으면 제3유입로(62)와 제5배출로(64)는 연결되지 않으며, 제3유로단속수단(61)이 작동되면 제3유입로(62)와 제5배출로(64)는 연결된다.
진공발생기(70)는 진공포터(4)와 탱크(30) 사이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진공을 발생시킨다. 진공발생기(70)는 진공포터(4)와 연결된다. 즉, 진공발생기(7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면, 진공포터(4)와 연결되는 진공호스의 타단부위 내부공간(예로 진공백과 몰드 사이공간이나 진공흡착기구와 작업대상물 표면의 사이공간으로서 이하 동일)과 진공발생기(70) 사이의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내부공간에 잔존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내부공간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에 진공압게이지(84)가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진공압게이지(84)는 진공포터(4) 및 진공발생기(70) 각각과 연결된 상태로 안내판(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압게이지는 아나로그게이지 또는 디지털게이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체크밸브(6)는 조작스위치(20)와 제1작동밸브(40)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한다. 제2체크밸브(7)는 탱크(30)와 제2작동밸브(50)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한다. 제3체크밸브(8)는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각 부분의 설명 및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이 필요한 작업현장으로 휴대용가방(1)을 운반한 다음, 도 4a와 같이 휴대용가방(1)을 열고 인입포터(3) 및 진공포터(4) 각각을 고압탱크 및 진공백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스위치(10)을 ON 하면, 고압탱크의 공기가 인입포터(3), 메인스위치(10)를 순차적으로 거쳐 조작스위치(20)로 이동한다.
이때, 조작스위치(20)는 OFF 상태로서, 조작스위치(20)로 이동한 공기는 유입구(22)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24)를 거쳐 제1작동밸브(40)로 이동한다. 제1, 2, 3작동밸브(40, 50, 60) 각각에 있어 제1, 2, 3유로단속수단(41, 51, 61)은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는,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입로(42) 및 제2배출로(46)와,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입로(52) 및 제4배출로(56)를 이동한 다음 제3작동밸브(60)의 제3유입로(52) 부근에서 정체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스위치(20)가 ON 되면, 도 4b와 같이 조작스위치(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배출구(26)를 통해 이동하게 되며, 이후 공기는 분지되어 일부는 제1체크밸브(6) 방향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제3작동밸브(6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3작동밸브(60)의 제3유로단속수단(61)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서, 제3작동밸브(60)로 이동한 공기는 제5배출로(64) 부근에서 정체된다.
한편, 제1체크밸브(6)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는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로단속수단(41)을 강하게 압박한다(①). 이에 따라 도 4c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유로단속수단(41)이 작동하여 제1유입로(42)와 제1배출로(44)를 연결하면, 공기는 분지되어 일부는 제2체크밸브(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부는 진공형성기(70)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체크밸브(7)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는 탱크(30)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채우고, 여분의 공기는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로단속수단(51)으로 이동한다. 한편, 진공형성기(70)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는 진공형성기(70)를 통해 순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진공형성기(70)의 내부와 진공백의 내부공간은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진공백의 내부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는 점선방향으로 진공형성기(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진공백의 내부공간은 진공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조작스위치(20)가 ON 되는 짧은 시간동안 제1체크밸브(6)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가 모두 소진되어 더 이상 제1유로단속수단(41)이 작동하지 않을 때까지 유지된다. 소요시간은 수초 이내이며 이는 튜브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조작스위치(20)는 자연스럽게 OFF 된다. 조작스위치(20)가 OFF 됨에 따라 유입구(22)는 제2배출구(26)와의 연결이 단절되고, 제1배출구(2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압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더 이상 진공형성기(7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짧은 시간동안 필요한 만큼의 공기만을 사용하여 진공을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종래와 달리 지속적으로 진공펌프를 구동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대용량의 진공펌프가 전혀 필요치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고압공기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작은 용량의 압축기를 이용하더라도 의도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 소음으로 인한 작업현장의 폐해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조작스위치(20)가 OFF 되어 제1체크밸브(6) 방향으로의 공기 유입이 단절되어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로단속수단(41)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으면 본 발명은 도 4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단지 메인스위치(10)만이 ON 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4a와 유사하게, 조작스위치(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입로(42) 및 제2배출로(46)를 거쳐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입로(52)로 이동한다.
하지만, 도 4a의 경우와 달리 탱크(30)에는 일정양의 공기가 존재하며, 이 공기는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면서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로단속수단(51)을 가압한다(②). 이에 따라,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입로(52)와 제3배출로(54)가 연결되고, 제3배출로(54)를 빠져나간 공기는 제3작동밸브(60)으로 이동하여 제3유로단속수단(61) 부근에서 정체된다. 이 상태는 탱크(30) 내부의 공기가 소진될 때까지 유지되며, 전적으로 탱크(30)의 용량에 의존한다. 공기의 소진은 연결튜브와 개별 장치가 연결되는 링크부위에서 발생한다.
탱크(30) 내부의 공기가 모두 소진되면, 제2유로단속수단(51)은 작동이 정지되며 이때의 상태가 도 4e에 개시되어 있다. 즉, 조작스위치(2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입로(42) 및 제2배출로(46)를 거쳐, 제2작동밸브(50)의 제2유입로(52) 및 제4배출로(56)로 이동한 다음 제3작동밸브(60)의 제3유입로(62) 근처로 유입된다.
이때, 제3유로단속수단(61)이 작동하면서, 제3유입로(62)는 제5배출로(64)와 연통된다(③). 즉, 메인스위치(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조작스위치(20) 및 제1, 2, 3작동밸브(40, 50, 60)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제1체크밸브(6)로 이동한다. 제3유로단속수단(61)은 제2작동밸브(50)의 제3배출로(54)와 제3작동밸브(60)의 제3유로단속수단(61) 사이의 연결튜브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소진될 때까지 작용한다.
공기가 제3작동밸브(60)를 통해 제1체크밸브(6)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4f와 같이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로단속수단(41)을 압박하게 되고(④), 제1작동밸브(40)의 제1유입로(42)는 제1배출로(4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배출로(44)를 지나면서 분지되어, 일부는 제2체크밸브(7)를 통해 탱크(30)로 유입되어 탱크 내부를 채우게 되고, 일부는 진공형성기(70)를 통해 배출되면서 진공백의 내부공간을 반복해서 진공상태를 만든다. 이후에는 전술한 4d 및 도 4e 각각의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진공백의 내부공간이 진공상태가 된 이후에도 최소한의 공기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반복해서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후 이어지는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휴대용가방 2 : 안내판
3 : 인입포터 4 : 진공포터
6 : 제1체크밸브 7 : 제2체크밸브
8 : 제3체크밸브 10 : 메인스위치
20 : 조작스위치 20′: 보조조작스위치
30 : 탱크 40 : 제1작동밸브
50 : 제2작동밸브 60 : 제3작동밸브
70 : 진공형성기 83 : 공기압게이지
84 : 진공압게이지

Claims (5)

  1.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휴대용가방(1)과;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과 일정 수직높이를 유지하며 휴대용가방(1)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판(2)과;
    안내판(2)의 일측부위에 장착되는 인입포터(3)와;
    인입포터(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해 안내판(2)의 타측부위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10)와;
    메인스위치(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메인스위치(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조작스위치(20)와;
    인입포터(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진공포터(4)와;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탱크(30)와;
    조작스위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탱크(3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1작동밸브(40)와;
    조작스위치(20)와 제1작동밸브(4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체크밸브(6)와;
    탱크(3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1작동밸브(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작동밸브(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2작동밸브(50)와;
    탱크(30)와 제2작동밸브(5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체크밸브(7)와;
    제2작동밸브(5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2작동밸브(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일시 제한하기 위해 제2작동밸브(5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휴대용가방(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제3작동밸브(60)와;
    진공포터(4)와 탱크(30)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발생기(70)와;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의 공기 이동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제3체크밸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2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와, 상기 유입구(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2배출구(24, 26)가 마련되며; 상기 제1작동밸브(40)에는 조작스위치(20)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로(42)와, 상기 제1유입로(4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 2배출로(44, 46)와, 상기 제1유입로(42) 및 제1, 2배출로(44, 46)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유로단속수단(41)이 마련되며; 상기 제2작동밸브(50)에는 제1작동밸브(40)의 제2배출로(4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로(52)와, 상기 제2유입로(5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 4배출로(54, 56)와, 상기 제2유입로(52) 및 제3, 4배출로(54, 56)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유로단속수단(51)이 마련되며; 상기 제3작동밸브(60)에는 상기 제2작동밸브(50)의 제4배출로(56)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로(62)와, 상기 제3유입로(62)와 연통되는 제5배출로(64)와, 상기 제3유입로(62) 및 제5배출로(64)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3유로단속수단(6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20) 일측에는 보조조작스위치(20′)가 구비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되, 상기 보조조작스위치(20′)에는 상호 연통되는 보조유입구(22′) 및 보조배출구(2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포터(3)와 메인스위치(10) 사이에는 공기압게이지(83)가 마련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포터(4)와 진공발생기(70) 사이에는 진공압게이지(84)가 마련되어 안내판(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터(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KR1020150023395A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KR10153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95A KR101539200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95A KR101539200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200B1 true KR101539200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395A KR101539200B1 (ko) 2015-02-16 2015-02-16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2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05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마스터 실린더용 부스터의 진공 생성 장치
JPH1126553A (ja) * 1997-07-09 1999-01-29 Fujitsu Ltd 吸着コレット
KR101463698B1 (ko) * 2013-11-14 2014-12-04 최병근 휴대용 진공흡착 작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05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마스터 실린더용 부스터의 진공 생성 장치
JPH1126553A (ja) * 1997-07-09 1999-01-29 Fujitsu Ltd 吸着コレット
KR101463698B1 (ko) * 2013-11-14 2014-12-04 최병근 휴대용 진공흡착 작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3824B2 (ja) 樹脂トランスファ成形方法のためのツール
JP6541489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
KR0170018B1 (ko) 탱크실을 가진 블록밸브
EP2521208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ic solution
JP6133250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9086079B2 (en) Two-stage air control valve
KR20120123038A (ko) 주형 조형기에 있어서의 샌드탱크의 급배기 장치 및 급배기 방법
WO2006027909A1 (ja) 薬液供給用ポンプユニット
KR101539200B1 (ko) 휴대용 진공생성유지장치
JP5550613B2 (ja) Pfダイカスト装置用減圧・酸素充填装置
US8132797B2 (en) Floating-type clamping device
US303426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US9713898B2 (en) Blowing station with compressed air-operated mold clamp, and method for holding together a blow mold of multipiece design
CN201959652U (zh) 一种水气分离真空箱及抽真空装置
KR20060133572A (ko) 유체 계수 및 계수 일체형 집적 유닛
JP6655887B2 (ja) 格納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対象物を駆動または移動するための組立体、タイヤ用の昇降装置、格納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車輪またはタイヤを昇降するための方法
CN108637920B (zh) 一种射流清洗方法
TW201312011A (zh) 液壓控制系統
KR102316839B1 (ko) Rtm 성형장치
KR101517586B1 (ko) 사출성형용 배기장치
CN201277178Y (zh) 矿用空气压缩机气路集成控制器
CN205991212U (zh) 一种高压阀组装置
CN216371735U (zh) 一种喷砂阀组
JP6684626B2 (ja) サイクルパージユニット
CN210411400U (zh) 一种气压供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