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84B1 -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84B1
KR101539084B1 KR1020140116091A KR20140116091A KR101539084B1 KR 101539084 B1 KR101539084 B1 KR 101539084B1 KR 1020140116091 A KR1020140116091 A KR 1020140116091A KR 20140116091 A KR20140116091 A KR 20140116091A KR 101539084 B1 KR101539084 B1 KR 10153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line
cylinder
hydraulic pressur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환
Original Assignee
부림자동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림자동화(주) filed Critical 부림자동화(주)
Priority to KR102014011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84B1/ko
Priority to CN201510552745.3A priority patent/CN10538702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55Testing of fluid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압공급라인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유량계에 연결되어서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압탱크와 피시험실린더 사이에 설치된 유량계에 의해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의 흐름과 적산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며,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유량계에 의해 피시험실린더의 쿠션성능,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장치가 매우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고장의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들 뿐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된다.

Description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Cushion efficiency and stroke measuring equipment and the measuring method that use flow meter}
본 발명은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측정장치가 매우 단순화되고, 피시험실린더의 시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시험실린더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시험실린더의 쿠션 부품의 가공 불량, 쿠션 부품의 오조립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로 유체를 투입하고, 그 투입된 유압의 힘으로 피스톤을 밀어 피스톤이 움직이면, 이러한 피스톤의 움직임을 로드로 전달받아 기계적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기계 요소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는 다양한 장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고소 작업차를 비롯하여, 지게차, 굴삭기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피스톤로드가 신장되거나 압축되면서 작동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작업이 수행된다.
피스톤로드가 신장 및 압축될 때에 피스톤은 실린더본체의 내부에서 왕복이송되는데, 실린더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피스톤의 이송이 감속된 후 정지되는 부분인 쿠션부가 존재한다.
유압실린더의 쿠션부 성능은 유압실린더의 동작시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압력 및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형태나 감속율을 보고 판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압실린더의 완충성능 시험방법은 피스톤로드가 전후진되면서 측정되는데, 이때 실린더본체에는 30~50톤 정도의 유압이 작동되며, 이에 따라 실린더본체는 공급되는 유압의 힘 때문에 유동된다. 따라서 실린더본체의 유동으로 인해 피스톤로드의 이송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였으며, 결국 종래의 시험방법으로는 변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유압실린더의 완충성능 시험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60495호)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험장치는, 테스트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측에는 제2스케일 인디케이터가 설치된 측정실린더가 설치되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압축시 테스트실린더의 쿠션이 작동하기 전까지의 스트로크 속도와, 테스트실린더의 쿠션이 작동하는 동안의 스트로크 속도를 측정한 후 컴퓨터에 전송한다. 테스트실린더의 실린더본체 단부 측에는 제1스케일 인디케이터가 설치된 스트로크실린더가 설치되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압축시 테스트실린더의 실린더본체가 유동되면 그 변위를 측정하여서 컴퓨터에 전송한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제1스케일 인디케이터로부터 전달된 측정값 및 제2스케일 인디케이터로부터 전달된 측정값을 연산처리하므로 테스트실린더의 유동을 보상한 후 테스트실린더의 쿠션 성능을 디스플레이하며, 이에 따라 실린더본체의 유동에 관계없이 정확한 쿠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험장치는 테스트실린더를 시험하기 위해 작업대에 안착시키고, 시험을 마친 테스트실린더를 작업대에서 이송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즉, 중량의 테스트실린더를 작업대에 안착시키고, 작업대에 안착된 테스트실린더를 이동시키려면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서 테스트실린더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시험 작업의 연속성을 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테스트실린더가 이송될 때마다 크레인에 테스트실린더를 연결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시험장치는 테스트실린더 로드의 신장 스트로크 및 압축 스트로크를 측정하기 위해 제2스케일 인디케이터 및 측정실린더가 설치되고, 테스트실린더의 유동값을 측정하기 위해 제1스케일 인디케이터 및 스트로크실린더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장비에 두개의 스케일 인디케이터 및 두개의 실린더가 설치되므로 고가의 부품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 및 설비 비용이 증가되며, 유지 보수 비용이 그만큼 증가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332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6049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장치가 매우 단순화되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시험실린더의 시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시험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램프나 피시험실린더의 유동을 상쇄하기 위한 별도의 상쇄수단 없이도 피시험실린더의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시험실린더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작업대나 이송컨베이어 없이도 생산되는 물류 상태로도 곧바로 시험할 수 있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시험실린더의 쿠션 부품의 가공 불량, 쿠션 부품의 오조립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는,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는 작업대; 작업대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 유압탱크 및 피시험실린더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 유압탱크 및 피시험실린더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의 유압이 유압탱크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 유압탱크와 피시험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 유압탱크와 피시험실린더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 유압공급라인, 유압회수라인, 제1유압라인, 제2유압라인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이 제1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이 유압회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이 제2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이 유압회수라인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 유압공급라인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유량계에 연결되어서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과 유압회수라인에는 연결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유량계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과 연결라인에는 유압조절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라인 및 유압조절라인에는 보조방향절환밸브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방향절환밸브 및 유압회수라인 사이의 연결라인에는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유량계와 컴퓨터 사이에는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로의 유량의 흐름 여부를 계측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달하도록 유량지시계가 설치되어 있고, 유량계와 컴퓨터 사이에는 피시험실린더로 공급된 유량의 적산량을 확인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달하도록 적산유량지시계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은, 작업대 상에 시험할 피시험실린더를 안착시키고, 피시험실린더의 양측에 제1유압라인 및 제2유압라인을 각각 연결하는 대기단계; 대기단계 후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도록 하는 신장단계; 피시험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는 동안 유량지시계 및 적산유량지시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 패턴,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단계; 제1디스플레이단계 후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단계; 피시험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압축되는 동안 유량지시계 및 적산유량지시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의 다른 특징은, 신장단계 또는 압축단계에서, 유압공급라인에 과압이 작용할시 보조방향절환밸브 및 압력조절밸브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으로 배출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탱크와 피시험실린더 사이에 설치된 유량계에 의해 유압탱크에서 피시험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의 흐름과 적산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며,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유량계에 의해 피시험실린더의 쿠션성능,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장치가 매우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고장의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들 뿐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은 피시험실린더에 제1유압라인 및 제2유압라인을 연결하고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면 피시험실린더의 쿠션성능과 행정거리가 곧바로 측정된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를 구동시켜서 측정하기 전에 행해진 여러 작업들, 예를 들면, 클램핑 작업, 피시험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헤드 단부에 측정편을 밀착시키는 세팅작업 등이 생략되므로 피시험실린더의 시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계에 의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가 측정되며, 이에 따라 피시험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속이 빠르거나 공급 유량이 많아도 시험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스톤로드의 진행속도가 빠른 피시험실린더를 측정할 때에도 적합하며, 피시험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램프나 피시험실린더의 유동을 상쇄하기 위한 별도의 상쇄수단 없이도 피시험실린더의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시험실린더를 클램핑하지 않아도 되고, 피시험실린더의 시험시 발생된 변위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이송컨베이어에 복열 이상으로 배열시킨 후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시험실린더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시험실린더를 클램핑하지 않아도 되고, 피시험실린더의 시험시 발생된 변위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피시험실린더의 이송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 즉,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하나 또는 복열 이상으로 배열된 피시험실린더를 안착시키고 피시험실린더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험실린더를 클램핑장치나 변위상쇄수단이 필요 없고, 피시험실린더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피시험실린더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대나 이송컨베이어에 안착시킬 필요가 없으며, 생산되는 물류 상태로도 곧바로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연속성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유량계를 통해서 감속패턴의 표준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속패턴의 표준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한 후, 양산 생산품의 측정치와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의 쿠션 부품의 가공 불량, 쿠션 부품의 오조립 등을 모니터를 통해서 쉽게 확인하여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종방향 이송컨베이어 상에 복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복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8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3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9는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4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10은 정상 가공된 쿠션링 및 불량 가공된 쿠션링을 보인 단면도들
도 11은 정상 조립된 쿠션링 및 역조립된 쿠션링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13은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14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15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방향 이송컨베이어 상에 복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7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복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은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3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9는 횡방향 이송테이블 상에 4열의 피시험실린더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10은 정상 가공된 쿠션링 및 불량 가공된 쿠션링을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정상 조립된 쿠션링 및 역조립된 쿠션링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는, 작업대(10), 유압탱크(20),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 방향절환밸브(80), 유량계(90),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업대(10)는,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된다. 이러한 작업대(10)는 피시험실린더(1)를 안착시켜서 시험하는데 사용되지만, 별도의 작업대(10) 없이 피시험실린더(1)의 생산라인 상에서 곧바로 시험할 수도 있다.
유압탱크(20)는,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한다.
유압탱크(20)에는 유압공급라인(30)의 일단이 진입되어 있으며, 유압탱크(20) 내의 오일을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한다. 유압공급라인(30)에는 유압탱크(20)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1)로 펌핑하도록 유압펌프(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압펌프(21)는 연결커플링(25)으로 전기모터(24)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탱크(20)에 내장된 유압공급라인(30)의 일단에는 흡입필터(22)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필터(22) 상측의 유압공급라인(30)에는 유압탱크(20)에서 유압펌프(21)로 공급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스톱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공급라인(30)은,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유압회수라인(40)은,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연결라인(50)이 연결되어 있다.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연결라인(50)에는 유압조절라인(51)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라인(50) 및 유압조절라인(51)에는 보조방향절환밸브(52)가 연결되어 있다. 보조방향절환밸브(52) 및 유압회수라인(40) 사이의 연결라인(50)에는 압력조절밸브(5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유압라인(60)은,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제2유압라인(70)은,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방향절환밸브(80)는,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된다.
유량계(90)는,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한다.
컴퓨터(100)는,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된다.
유량계(90)와 컴퓨터(100) 사이에는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의 유량의 흐름 여부를 계측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전달하도록 유량지시계(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량계(90)와 컴퓨터(100) 사이에는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된 유량의 적산량을 확인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전달하도록 적산유량지시계(9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작업대(10) 상에 시험할 피시험실린더(1)를 안착시키고, 피시험실린더(1)의 양측에 제1유압라인(60) 및 제2유압라인(70)을 각각 연결하는 대기단계(S10)를 갖는다.
대기단계(S10) 후 유압펌프(21)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20)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2)가 신장되도록 하는 신장단계(S20)를 갖는다.
피시험실린더(1)의 피스톤로드(2)가 신장되는 동안 유량지시계(91) 및 적산유량지시계(9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 패턴, 피스톤로드(2)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단계(S30)를 갖는다.
제1디스플레이단계(S30) 후 유압펌프(21)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20)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2)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단계(S40)를 갖는다.
신장단계(S20) 또는 압축단계(S40)에서, 유압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할시 보조방향절환밸브(52) 및 압력조절밸브(53)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피시험실린더(1)의 피스톤로드(2)가 압축되는 동안 유량지시계(91) 및 적산유량지시계(9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2)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S50)를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파워(control power)를 온(on)시키고 컴퓨터(100)를 켠다. 컴퓨터(100)에서 시험할 기종을 선택한다. 제품의 모델명, 시험압력, 유량, 스트로크, 시간을 세팅한다.
유량 설정시에는 보조방향절환밸브(52)를 온(on)시키고 유량계(90)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량을 측정하면서 유량을 설정한다. 이 설정은 피시험실린더(1)의 모델 설정시 최초에 한번만 설정하면 된다. 쿠션 시험 등의 시험항목을 선택한다.
시험할 피시험실린더(1)를 시험위치인 종방향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안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시험이 완료된 피시험실린더(1)는 종방향 이송컨베이어(110)에 의해 언로딩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시험위치로 이송된 피시험실린더(1)에 제1유압라인(60) 및 제2유압라인(70)을 연결한다. 오토 스타트(auto start)버튼을 눌러서 시험을 시작한다.
작동시험을 작동시험을 통상 5회 실시하는데, 그 중 3회째에 쿠션 시험 및 행정 시험을 병행하여 실시한다. 이때 유량이 공급되는 양으로서 피시험실린더(1) 이동 속도 및 쿠션부에서의 감속을 알아낼 수 있으며, 감속되는 패턴까지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쿠션 시험 및 행정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시험 장비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일정하게 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압력조절밸브(53)를 유량계(90)의 전단과 후단에 연결시키고,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하기 위한 보조방향절환밸브(52)를 설치한다.
유량 설정시에는 보조방향절환밸브(52)를 온(on)시켜서 유량계(90)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량을 측정하면서 유량을 설정한다. 이 설정은 피시험실린더(1)의 모델 설정시 최초에 한번만 설정하면 된다.
여기서 감속패턴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은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에 관련된 부품의 가공상태 및 조립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즉, 감속패턴은 진입 초기에 감속이 많이 발생되거나, 쿠션부 중간에서 많이 발생되거나, 쿠션부 마지막에서 많이 발생되는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관련 부품의 가공 상태 및 조립이 양호한 제품의 경우 감속패턴을 표준으로 하여 피시험실린더(1)를 비교함으로써, 쿠션 관련 부품의 가공상태 및 조립 상태의 이상 유무를 아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쿠션링(3)의 조립 및 쿠션링(3)의 역방향 조립 등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유량이 공급되는 양으로서, 피시험실린더(1)의 감속을 읽어낼 수 있으며, 피시험실린더(1) 내의 체적과 공급한 유량의 적산량을 비교 계산함으로써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여러 장치가 필요없이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작업대(10) 상에는 종방향 이송컨베이어(110)가 설치되어서 피시험실린더(1)가 시험전 대기위치, 시험위치, 시험후 언로딩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4는 종방향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2열의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열 이상의 피시험실린더(1)를 이송컨베이어(1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측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횡방향 이송테이블(120) 상에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어서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테이블(120) 상에서 피시험실린더(1)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횡방향 이송테이블(120) 상에 2열의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열의 피시험실린더(1)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은 횡방향 이송테이블(120) 상에 3열의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열의 피시험실린더(1)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횡방향 이송테이블(120) 상에 4열의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어서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4열의 피시험실린더(1)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정상 가공된 쿠션링(3) 및 불량 가공된 쿠션링(3)을 보인 단면도들이다. 컴퓨터(100)에는 유량계(90)를 통해서 측정된 감속패턴의 표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정상 가공된 쿠션링(3)을 피시험실린더(1)에 장착시킨 후 시험하게 되면, 측정치와 컴퓨터(100)에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이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반면에, 불량 가공된 쿠션링(3)을 피시험실린더(1)에 장착시킨 후 시험하게 되면, 측정치가 컴퓨터(100)에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을 벗어나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링(3)의 가공 불량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서 판정할 수 있다.
도 11은 정상 조립된 쿠션링(3) 및 역조립된 쿠션링(3)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이다. 정상 조립된 쿠션링(3)을 피시험실린더(1)에 장착시킨 후 시험하게 되면, 측정치와 컴퓨터(100)에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이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반면에, 역방향으로 조립된 쿠션링(3)을 피시험실린더(1)에 장착시킨 후 시험하게 되면, 측정치가 컴퓨터(100)에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을 벗어나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링(3)의 오조립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서 판정할 수 있다.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성능을 평가하는 방식은 압력방식과 스트로크 방식 외에 본 발명과 같이 유량을 이용하여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아래의 표들을 통해 유량계(90)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방법
시험벤치에 피시험실린더(1)를 장착한 후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 압축 행정을 실시하여 유량계(90)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기록한 후 유량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스트로크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여서 유량 측정 방식이 가능함을 증명한다.
시험사양
피시험실린더(1) 사양 -
피시험실린더(1)의 내경 : 100mm
피시험실린더(1)의 스트로크 : 1500mm
시험조건
시험압력 : 72bar
시험유량 : 54ℓ/min
측정항목 : 유량, 적산유량, 스트로크
시험분석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1
[표 1]은 시험완료 후 전체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2
[표 2]는 유량데이터의 쿠션성능 분석 및 행정거리 확인을 보인 그래프이다.
피시험실린더(1)는 양쪽에 쿠션이 있으므로 피시험실린더(1)가 신장할 때와 압축할 때에 2곳에서의 쿠션성능을 구한다.
상기 그래프에서는 신장시에 쿠션 구간과 압축시의 쿠션 구간을 각각 표시하였다. 신장 및 압축 2곳의 스트로크 데이터와 유량데이터의 쿠션성능 비교 분석을 통해서 쿠션성능 분석으로의 유량 데이터의 활용여부를 판단한다.
유량데이터의 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쿠션성능은 아래의 4가지와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이다.
1, 쿠션 시간 : 감속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감속 속도가 "0"이 되는 구간까지의 시간
2, 쿠션감속패턴 : 감속구간 그래프에 상한치 값과 하한치 값을 준 다음 같은 모델의 피시험실린더(1)를 시험할 경우 해당 범위 안에서 감속이 진행되는지를 판단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한다.
3, 쿠션거리(쿠션 스트로크) : 감속이 시작되는 스트로크에서 감속이 종료된 스트로크까지의 거리
4, 쿠션 감속률 : 스트로크 데이터의 등속구간과 변속구간의 데이터를 구하여 계산한다.
등속 : 실린더 스트로크의 30%~80% 사이의 속도를 구한다.
변속 : 쿠션거리/쿠션시간으로 구한다.
5, 실린더의 행정거리 계산 : 피시험실린더(1) 내부에 유입된 기름의 량을 누적한 것을 피시험실린더(1) 단위 길이당 유입되는 기름의 량으로 나누면 피시험실린더(1) 스트로크를 구할 수 있으며 실제 스트로크 데이터와 비교, 확인해 봄으로서 가능한지를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3
[표 3]은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쿠션시간 분석을 보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4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5
[표 4]는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쿠션구간 유량곡선 분석을 보인 그래프이다.
양품인 실린더를 시험한 후 신장시 쿠션구간의 유량 선도에 오차범위를 적용한다. 같은 모델의 다른 일련번호 실린더로 쿠션 성능을 시험할 경우, 측정된 쿠션구간이 아래와 비슷한 모양의 유량곡선을 나타내는지에 따라서 쿠션성능의 합불을 판정한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6
[표 5]는 쿠션구간의 유량곡선 불량 판정 예시를 보인 그래프이다.
같은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링(3)을 역으로 조립한 후, 쿠션시험을 실시한 결과 데이터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7
[표 6]은 같은 피시험실린더(1)에 쿠션테이퍼부(4)의 길이가 길게 가공된 불량품 쿠션링(3)을 장착하여서 쿠션시험을 실시한 결과 데이터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8
[표 7]은 피시험실린더(1)의 압축시 쿠션시간 분석 그래프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09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0
[표 8]은 피시험실린더(1)의 압축시 쿠션구간의 유량곡선 분석 그래프이다.
양품인 피시험실린더(1)를 시험한 후 압축시 쿠션구간의 유량선도에 오차범위를 적용한다. 같은 모델의 다른 일련번호 실린더로 쿠션성능시험을 할 경우, 측정된 쿠션구간이 아래와 비슷한 모양의 유량곡선을 나타내는지에 따라서 쿠션성능의 합불을 판정한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1
[표 9]는 적산유량으로 쿠션시간, 거리, 감속율 및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 계산을 한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스트로크 데이터와 적산유량데이터를 비교함으로서 최대 스트로크 지점과 적산유량 데이터가 유사한 모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2
[표 10]은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 완료 후 데이터로 계산한 적산유량 데이터의 확대 그래프이다.
적산유량에 의한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스트로크) 계산
피시험실린더(1)의 내경 : 100mm
적산유량 : 11.88ℓ
1mm 거리의 체적 = (π*[100]^2)/4*1mm=7850[mm]^3=0.00785ℓ
피시험실린더(1)의 스트로크 = 11.88ℓ/0.00785ℓ = 1513mm
스트로크 센서로 측정한 결과값(1502mm)과 적산유량으로 계산된 스트로크값(1513mm)은 약 1% 미만의 오차를 가진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를 측정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3
[표 11]은 적산유량에 의한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시간, 거리, 감속율을 계산하여 스트로크 데이터와 적산유량 데이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4
[표 12]는 스트로크 데이터를 확대한 그래프로서, 스트로크 데이터에서 감속이 시작되는 구간을 쿠션 시작 부분으로 볼 수 있고, 감속이 완료된 구간을 쿠션완료로 볼 수 있다.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스트로크 데이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시간 = 쿠션완료시간 - 쿠션시작시간
쿠션시작시간 : 9.13sec
쿠션완료시간 : 9.53sec
쿠션시간 : 0.40sec
쿠션거리 = 쿠션완료거리 - 쿠션시작거리
쿠션시작 : 1473mm
쿠션완료 : 1502mm
쿠션거리 : 29mm
감속률
변속 = 쿠션거리/쿠션시간
변속 = 29mm/0.40sec*0.001=0.0725m/s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5
[표 13]은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등속구간을 보인 그래프이다.
등속 = 등속거리/등속시간
등속은 피시험실린더(1) 스트로크의 30%~80% 구간의 거리와 시간을 구하여 계산한다.
감속율 계산
a) 피시험실린더(1)의 길이 : 1500mm
b) 피시험실린더(1)의 30% 구간 : 스트로크 450mm, 시간 3.000sec
c) 피시험실린더(1)의 80% 구간 : 스트로크 1200mm, 시간 7.500sec
d) 등속 = (1200-450)mm/(7.5-3.0)sec*0.001=0.167m/sec
e) 감속률 = ((0.167-0.0725))/0.167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 신장시의 감속률은 56.6%이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6
[표 14]는 적산유량 데이터를 확대한 그래프이다. 이 적산유량 데이터에서 감속이 시작되는 구간을 쿠션시작 부분으로 볼 수 있고, 감속이 완료되는 구간을 쿠션완료로 볼 수 있다.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적산유량 데이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시간 = ℓ쿠션완료시간 - 쿠션시작시간
a) 쿠션시작시간 : 9.2sec
b) 쿠션완료시간 : 9.6sec
c) 쿠션시간 : 0.4sec
적산유량에 의한 쿠션시간은 0.4sec로 스트로크 데이터에 의한 0.4sec와는 차이가 없다.
쿠션거리 = (쿠션완료적산유량 - 쿠션시작적산유량)*실린더체적
a) 피시험실린더(1) 내경 : 100mm
b) 적산유량 : 11.86ℓ
c) 1mm 거리의 체적 = (π*[100]^2)/4*1mm = 78850[mm]^3 = 0.00785ℓ
d) 쿠션시작석산유량 : 11.62ℓ
e) 쿠션완료적산유량 : 11.86ℓ
f) 쿠션완료적산유량 - 쿠션시작적산유량 : 0.24ℓ
g) 쿠션거리 : 0.24/0.00785ℓ = 30.6mm
적산유량에 의한 쿠션거리는 30.6mm로 스트로크 데이터에 의한 30mm 와는 2% 이내의 차이로 사용상 문제가 없다.
감속률
변속 = 쿠션거리/쿠션시간
변속 = 30.6mm/0.4sec*0.001=0.0765m
등속 = 등속거리/등속시간
등속은 피시험실린더(1) 적산유량의 30%~80% 구간의 거리와 시간을 구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4083816195-pat00017
[표 15]는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시 등속구간을 보인 그래프이다.
적산유량을 이용하여 30%, 80% 구간의 스트로크를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시험 적산값 : 11.86ℓ
피시험실린더(1) 30% 구간 : 적산유량 3.6ℓ, 시간 3.2sec
피시험실린더(1) 80% 구간 : 적산유량 9.6ℓ, 시간 7.7sec
적산유량계산 스트로크 30% : 3.6ℓ/0.00785 = 458mm
적산유량계산 스트로크 80% : 9.6ℓ/0.00785 = 1222mm
등속 = (1222-458)mm/(7.7-3.2)sec*0.001=0.169m/sec
감속률 = ((0.169-0.0765))/0.169
적산유량에 의한 피시험실린더(1) 신장시의 감속률은 54.7%로 스트로크 데이터에 의한 감속율 56.6%와 5% 이내의 차이가 있으며 사용상 문제가 없다.
유량데이터의 쿠션성능 결과
피시험실린더(1)의 신장, 압축시의 쿠션성능을 분석함에 있어서, 유량데이터와 스크로크 데이터의 비교 결과, 데이터값의 오차범위가 매우 미미하며, 유량데이터만으로도 쿠션성능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쿠션구간의 유량 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같은 모델의 피시험실린더(1) 제품을 테스트할 경우 기준값으로 설정된 유량 특성 곡선(감속패턴)의 모양과 비교하므로 또 다른 방법(감속패턴 방식)으로의 쿠션성능 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피시험실린더(1)가 신장 완료된 후에 측정된 적산유량값을 계산식에 도입하여 시험 대상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 센서 없이도 피시험실린더(1)의 행정거리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 사이에 설치된 유량계(90)에 의해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의 흐름과 적산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100)로 전송하며, 컴퓨터(10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2)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유량계(90)에 의해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성능,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장치가 매우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고장의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들 뿐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된다.
둘째, 본 발명은 피시험실린더(1)에 제1유압라인(60) 및 제2유압라인(70)을 연결하고 유압펌프(21)를 구동시키면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성능과 행정거리가 곧바로 측정된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를 구동시켜서 측정하기 전에 행해진 여러 작업들, 예를 들면, 클램핑 작업, 피시험실린더(1)의 로드 단부와 헤드 단부에 측정편을 밀착시키는 종래의 세팅작업 등이 생략되므로 피시험실린더(1)의 시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셋째, 본 발명은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계(90)에 의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가 측정되며, 이에 따라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속이 빠르거나 공급 유량이 많아도 시험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스톤로드(2)의 진행속도가 빠른 피시험실린더(1)를 측정할 때에도 적합하며, 피시험실린더(1)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램프나 피시험실린더(1)의 유동을 상쇄하기 위한 별도의 상쇄수단 없이도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시험실린더(1)를 클램핑하지 않아도 되고, 피시험실린더(1)의 시험시 발생된 변위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이송컨베이어(110)에 복열 이상으로 배열시킨 후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시험실린더(1)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피시험실린더(1)를 클램핑하지 않아도 되고, 피시험실린더(1)의 시험시 발생된 변위를 상쇄하기 위한 상쇄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피시험실린더(1)의 이송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 즉, 횡방향 이송테이블(120) 상에 하나 또는 복열 이상으로 배열된 피시험실린더(1)를 안착시키고 피시험실린더(1)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피시험실린더(1)를 클램핑장치나 변위상쇄수단이 필요 없고, 피시험실린더(1)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피시험실린더(1)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대(10)나 이송컨베이어(110)에 안착시킬 필요가 없으며, 생산되는 물류 상태로도 곧바로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연속성을 꾀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유량계(90)를 통해서 감속패턴의 표준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속패턴의 표준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저장한 후, 양산 생산품의 측정치와 저장된 표준 감속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험실린더(1)의 쿠션 부품의 가공 불량, 쿠션 부품의 오조립 등을 모니터를 통해서 쉽게 확인하여 판정할 수 있다.
도 13은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험유량 설정시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량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실제로 쿠션 및 행정 측정시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압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도 14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 및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험유량 설정시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 및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량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 및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실제로 쿠션 및 행정 측정시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압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도 15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가 연결되어 있다.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1파일럿체크밸브(59a) 및 압력조절밸브(53)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제1파일럿체크밸브(59a) 및 압력조절밸브(53) 사이의 제2연결라인(56)에는 유압조절라인(51)이 연결되어 있고, 유압조절라인(51)에는 제2파일럿체크밸브(59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는 제1파일럿체크밸브(59a) 및 제2파일럿체크밸브(59b)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험유량 설정시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량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2파일럿체크밸브(59b)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실제로 쿠션 및 행정 측정시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유압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1파일럿체크밸브(59a)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커버의 내주면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커버의 내주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커버의 내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커버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커버의 내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커버의 내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커버의 내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커버의 내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커버의 내주면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커버의 내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커버의 내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커버의 내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커버의 내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의 내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커버의 내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한편, 작업대(10)의 상부면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작업대(10)의 상부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작업대(10)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작업대(10)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대(10)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작업대(1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작업대(10)가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작업대(10)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커버의 내주면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대(10)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커버의 내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작업대(10)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작업대(10)가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대(10)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작업대(10)가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연결라인(50), 유압조절라인(51), 제1연결라인(54), 제2연결라인(56),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 등의 호스는 열가소성 고무(thermal plastic rubber)로 성형된 내압 호스의 내면에 폴리부틸렌(polybuthylene)을 이중압출한 내부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층을 갖는 내압 호스는 금속 직조에 의해 보호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압 호스의 내면에 이중압출되는 폴리부틸렌의 내부층의 도포 두께는 0.3mm~0.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0.3mm 미만으로 되면 열가소성 고무의 표면 도막 효과가 작을 뿐 아니라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0.5mm를 초과하면 경도의 차이로 인한 호스의 꺾임 현상이 빈발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경도(Shore A) 55도인 열가소성 고무 소재의 호스를 외층으로 하였을 때, 용융지수(MI)가 4g/100min인 폴리부텐-1으로 0.1mm의 두께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 호스가 곡반경 20mm의 일정한 굽힘에도 꺾임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EPDM 호스의 곡반경 15mm와 거의 대등한 곡반경(휨반경)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시블 내압 호스는 종래의 가교제를 사용한 고분자 화합물로 성형된 내압용 호스의 내면에 일정한 비율로 폴리부틸렌을 이중압출 성형한 내부층에 의해 내압용 호스의 재질의 표면으로부터 탄소가 용출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특히 성형성이 우수하고 유연성을 유지하여 호스가 꺾이는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 장소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내압 호스는 낮은 경도 재질의 호스의 내부에 일정한 경도 일상의 재질을 일정한 두께로 이중압출 성형에 의해 이중 층 구조의 호스가 급격하게 꺾여버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1 : 피시험실린더 2 : 피스톤로드
3 : 쿠션링 10 : 작업대
20 : 유압탱크
21 : 유압펌프 23 : 스톱밸브
24 : 전기모터 25 : 연결커플링
30 : 유압공급라인 40 : 유압회수라인
50 : 연결라인 51 : 유압조절라인
52 : 보조방향절환밸브 53 : 압력조절밸브
54 : 제1연결라인 55 : 제1압력조절밸브
56 : 제2연결라인 57 : 제2압력조절밸브
58 : 제1보조방향절환밸브 59 : 제2보조방향절환밸브
59a : 제1파일럿체크밸브 59b : 제2파일럿체크밸브
60 : 제1유압라인 70 : 제2유압라인
80 : 방향절환밸브 90 : 유량계
91 : 유량지시계 92 : 적산유량지시계
100 : 컴퓨터

Claims (8)

  1.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는 작업대(10);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2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3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4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6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70);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80);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90);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연결라인(50)이 연결되어 있고,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연결라인(50)에는 유압조절라인(51)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라인(50) 및 유압조절라인(51)에는 보조방향절환밸브(52)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방향절환밸브(52) 및 유압회수라인(40) 사이의 연결라인(50)에는 압력조절밸브(5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2. 삭제
  3.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는 작업대(10);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2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3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4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6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70);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80);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90);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4.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는 작업대(10);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2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3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4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6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70);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80);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90);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1압력조절밸브(55)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 및 제2압력조절밸브(5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5.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는 작업대(10);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2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30);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4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60);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70);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80);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90);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량계(90)를 통과하기 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1연결라인(5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연결라인(54)에는 제1보조방향절환밸브(58) 및 제2보조방향절환밸브(59)가 연결되어 있으며,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회수라인(40)에는 제2연결라인(56)이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라인(56)에는 제1파일럿체크밸브(59a) 및 압력조절밸브(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량계(90)를 통과한 후의 유압공급라인(30)과 제1파일럿체크밸브(59a) 및 압력조절밸브(53) 사이의 제2연결라인(56)에는 유압조절라인(51)이 연결되어 있고, 유압조절라인(51)에는 제2파일럿체크밸브(59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량계(90)와 컴퓨터(100) 사이에는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로의 유량의 흐름 여부를 계측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전달하도록 유량지시계(91)가 설치되어 있고,
    유량계(90)와 컴퓨터(100) 사이에는 피시험실린더(1)로 공급된 유량의 적산량을 확인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전달하도록 적산유량지시계(9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7. 피시험실린더(1)가 안착되는 작업대(10)와, 작업대(10)에 안착된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20)와,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유압탱크(20)의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라인(30)과, 유압탱크(20) 및 피시험실린더(1)에 연결되어서 피시험실린더(1)의 유압이 유압탱크(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회수라인(40)과,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피시험실린더(1) 내부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유압라인(60)과, 유압탱크(20)와 피시험실린더(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 또는 압축시 유압이 유압탱크(20)로 배출되거나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유압라인(70)과, 유압공급라인(30), 유압회수라인(40), 제1유압라인(60),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1유압라인(60)에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70)이 유압회수라인(40)이 연결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2)의 압축시 유압공급라인(30)이 제2유압라인(70)에 연결되고, 제1유압라인(60)이 유압회수라인(40)에 연결되도록 절환되는 방향절환밸브(80)와, 유압공급라인(30)에 설치되어서 유압탱크(20)에서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90)와, 유량계(90)에 연결되어서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데이터가 전달되는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를 이용하여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작업대(10) 상에 시험할 피시험실린더(1)를 안착시키고, 피시험실린더(1)의 양측에 제1유압라인(60) 및 제2유압라인(70)을 각각 연결하는 대기단계(S10);
    대기단계(S10) 후 유압펌프(21)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20)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2)가 신장되도록 하는 신장단계(S20);
    피시험실린더(1)의 피스톤로드(2)가 신장되는 동안 유량지시계(91) 및 적산유량지시계(9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 패턴, 피스톤로드(2)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단계(S30);
    제1디스플레이단계(S30) 후 유압펌프(21)를 구동시켜서 유압탱크(20) 내의 유압을 피시험실린더(1) 측으로 공급하므로 피스톤로드(2)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단계(S40);
    피시험실린더(1)의 피스톤로드(2)가 압축되는 동안 유량지시계(91) 및 적산유량지시계(9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컴퓨터(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유량의 흐름, 감속패턴, 피스톤로드(2)의 행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신장단계(S20) 또는 압축단계(S40)에서,
    유압공급라인(30)에 과압이 작용할시 보조방향절환밸브(52) 및 압력조절밸브(53)가 열리면서 세팅압보다 증가된 과압의 유압을 유압회수라인(40)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방법.
  8. 삭제
KR1020140116091A 2014-09-02 2014-09-02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53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91A KR101539084B1 (ko) 2014-09-02 2014-09-02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201510552745.3A CN105387023B (zh) 2014-09-02 2015-09-01 利用流量计来测量缓冲性能和行程距离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91A KR101539084B1 (ko) 2014-09-02 2014-09-02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084B1 true KR101539084B1 (ko) 2015-07-23

Family

ID=5387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91A KR101539084B1 (ko) 2014-09-02 2014-09-02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9084B1 (ko)
CN (1) CN1053870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06B1 (ko) 2015-09-03 2016-12-02 부림자동화(주) 회수라인에 설치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EP4082748A1 (de) 2021-04-29 2022-11-02 Wittmann Battenfeld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des hydraulischen versorgungssystems ein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2085A (zh) * 2016-10-17 2017-02-15 陕西晟思智能测控有限公司 一种类磁栅液压缸集成位移传感器信号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417A (ja) * 1999-09-16 2001-03-27 Nisshin Steel Co Ltd 流体圧シリンダの移動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KR100916915B1 (ko) * 2002-09-13 2009-09-09 주식회사 포스코 유압실린더 검사장치
KR20110085610A (ko) * 2010-01-21 2011-07-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유압 실린더 테스트 장치
KR101437487B1 (ko) * 2014-05-20 2014-09-03 부림자동화(주) 유압실린더의 완충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03B1 (ko) * 1999-12-22 2005-05-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조작 스위치에 의한 휠로더 작업장치 조종 시스템
CN1812718A (zh) * 2003-07-09 2006-08-02 巴斯福股份公司 杀真菌混合物
CN203009424U (zh) * 2012-11-21 2013-06-19 中国铁建重工集团有限公司 截割滚筒对称伸缩行程控制装置
CN103217261B (zh) * 2013-03-23 2018-02-27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管路泄漏的在线检测方法
CN103760087B (zh) * 2014-01-21 2016-01-06 盐城工学院 用于岩体渗流试验的可持续加压的渗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417A (ja) * 1999-09-16 2001-03-27 Nisshin Steel Co Ltd 流体圧シリンダの移動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KR100916915B1 (ko) * 2002-09-13 2009-09-09 주식회사 포스코 유압실린더 검사장치
KR20110085610A (ko) * 2010-01-21 2011-07-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유압 실린더 테스트 장치
KR101437487B1 (ko) * 2014-05-20 2014-09-03 부림자동화(주) 유압실린더의 완충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06B1 (ko) 2015-09-03 2016-12-02 부림자동화(주) 회수라인에 설치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EP4082748A1 (de) 2021-04-29 2022-11-02 Wittmann Battenfeld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des hydraulischen versorgungssystems ein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87023A (zh) 2016-03-09
CN105387023B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084B1 (ko)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682106B1 (ko) 회수라인에 설치된 유량계를 이용한 쿠션성능 및 행정거리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437487B1 (ko) 유압실린더의 완충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JP6011875B2 (ja) アクチュエータの異常検出システム
CA2527764C (en) An apparatus for thermal spraying
TWI421160B (zh) Closed kneading machine
CN109420987A (zh) 便携式空化喷丸方法和装置
KR102456226B1 (ko)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 방법
CN101977695A (zh) 涂装机器人和所属的运行方法
US8205807B2 (en) Automatic atomizing spray gun
US20120111378A1 (en) High pressure hose
US20220220625A1 (en) Anodizing device
US9126220B2 (en) Paint material switching path and colour changer
CN201347917Y (zh) 一种液压工作缸
KR101635370B1 (ko) 유압실린더 내부누유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104551275A (zh) 具备检测液压的机构的线放电加工机
CN105215991A (zh) 为粘性流体喷涂应用确定构件相关的时延的系统和方法
KR20040072551A (ko) 인-프로세스형 유압서보밸브의 성능진단방법
JP4992470B2 (ja) 塗料供給装置及び塗料供給装置において磨耗したピグの交換時期の判断方法
KR100999630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합형 확인장치
CN212446380U (zh) 一种高精度的穿刺焊接机构
CN108421837B (zh) 监测成型工具上的成形齿布置的功能状态的方法和装置
CN112791984A (zh) 铝管出品合格率快速检测装置及方法
EP0866233A3 (de) Vorrichtung zur Funktionsüberwachung und Stillsetzung für eine Luftlager-Schlittenführung
CN219670571U (zh) 一种限型淬火压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