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074B1 -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074B1
KR101537074B1 KR1020130094439A KR20130094439A KR101537074B1 KR 101537074 B1 KR101537074 B1 KR 101537074B1 KR 1020130094439 A KR1020130094439 A KR 1020130094439A KR 20130094439 A KR20130094439 A KR 20130094439A KR 101537074 B1 KR101537074 B1 KR 10153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nding
workpiece
grinding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040A (ko
Inventor
심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에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에스비
Priority to KR102013009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0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2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microgrooves or oil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grinding races, e.g. roller ra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단 일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와,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선단에 각각 마련되며,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전방에 마련되며,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양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와, 상기 베이스 상단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구동 가능케 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구동 하게 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위치변화에 의해 피가공물을 동일하게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plural grinding wheel have processing device for bearing}
본 발명은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회전하는 회전부 양측에 가공부를 각각 마련하여 2개의 베어링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 가공장치는, 원반형상의 피가공물의 일측면을 회전하는 연마기에 밀착시켜 피가공물의 일측면을 원하는 넓이 및 두께로 연삭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때,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연마기는, 일정횟수 이상을 가공하게 되면 연마면이 불규칙 적으로 변화되어 일정한 형태로 가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 가공장치는, 1개의 피가공물 고정장치 및 연마기에 의해 베어링을 생산하게 됨으로 2개를 동시에 제작할 때 보다 많은 작업시간 및 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련하여, 2주축 외경연삭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009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2주축 외경연삭기에 관한 구조는, 중심에 회전하는 숫돌 양측에 피가공물을 위치시켜 숫돌에 의해 피가공물의 외경만을 연마하는 구성으로써, 외경만을 연마하는 피가공물의 생산은 가능하나 베어링의 볼이 안착되는 홈을 가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마작업을 하는 숫돌의 반복 사용시 숫돌의 연마면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씰의 연삭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4593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으나, 씰의 연삭장치에 관한 구조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구동을 하는 연삭숫돌, 연삭숫돌의 위치이동을 가능케 하는 승강장치 및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척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연삭숫돌 및 척에 의해 동시에 두 개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으나, 각각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 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009호(2003.09.08) 선행문헌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4593호(2007.02.2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단일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회전부 양측에 가공부를 각각 마련하여 동시에 2개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연마장치의 균일도를 센서에 의해 측정하고, 균일하게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고정 및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이동부에 의해 서로 다른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단 일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와,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선단에 각각 마련되며,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전방에 마련되며,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양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와, 상기 베이스 상단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구동 가능케 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구동 하게 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위치변화에 의해 피가공물을 동일하게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두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중심위치, 두께 및 깊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가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의 연마면 균일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의 연마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 외측면의 균일도를 기초하여, 상기 연마부가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 외측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는, 하나의 단일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회전부 양측에 가공부를 각각 마련하여 동시에 2개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연마장치의 균일도를 센서에 의해 측정하고, 균일하게 보정하는 보정부에 의해 가공부 연마장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고정 및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이동부에 의해 서로 다른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회전부 사시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마련되는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와,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와,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 전방에 마련되어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40)와, 상기 회전부 양끝단에 마련되는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와, 상기 회전부(40)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50)와, 상기 회전부(40) 및 상기 모터부(5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부(5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4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는, 베이스(1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베이스(10)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요소를 지탱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지면 이외에 지지력을 발생할 수 있는 곳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10) 상단 일측에는,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는, 상기 베이스(10) 상단 일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위치에 맞도록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가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 모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피가공물 가공시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의 위치조정으로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정확히 위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 선단에는,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는,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의 선단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는,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 선단에 각각 마련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의해 가공되는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 구동에 의해 가공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어 있는 피가공물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는, 본 발명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서 가공되는 피가공물이 원형링 형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게 됨으로, 피가공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척 또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척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는, 피가공물이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방법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 전방에는, 회전부(4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부(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회전부(4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피가공물을 회전에 의해 연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40) 양끝단에는,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는, 상기 회전부(40) 양끝단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는, 상기 회전부(40)와 함께 회전구동하게 되며,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40)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는,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 전방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회전구동 하게 되고,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의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위치변화에 의해 피가공물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접촉하여 두 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연삭가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는,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는,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는 피가공물 가공면의 단면이 베어링 볼이 안착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10) 상단 타측에는, 모터부(50)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부(50)는, 상기 회전부(40)가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모터부(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60)에 의해 상기 회전부(40)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40)가 회전운동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40) 및 모터부(50) 사이에는, 동력전달부(60)가 마련된다. 상기 동력전달부(60)는, 상기 회전부(40)와 모터부(5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부(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60)는, 벨트, 체인 등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피가공물의 연삭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으로 상기 모터부(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 일측에는, 제1 센서부(7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센서부(70)는,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어 연삭 가공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두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70)는,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의 중심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센서부(70)는,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중심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중심이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센서부(70)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중심이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삭 가공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두께 및 깊이를 측정하여 균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피가공물의 가공 상태가 달라지므로 상기 제1 센서부(70)에 의해 기설정된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의 위치를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각각의 피가공물이 동일하게 가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70)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맞닿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센서부(70)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맞닿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피가공물의 가공부위 중심위치, 두께 및 깊이를 측정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 및 가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맞닿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60) 상부에는, 지지부(8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80)는, 상기 베이스(10)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센서부(82) 및 연마부(8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80)는, 상기 회전부(40)와 상기 모터부(5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지지부(8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센서부(82) 및 연마부(84)의 작업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부(40) 방향 또는 상기 모터부(50)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 상단에서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80)가 슬라이딩 구동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센서부(82)가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연마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80) 상단에는, 제2 센서부(82)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센서부(82)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연마면 균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80) 상단에 각각 마련된다. 즉, 상기 제2 센서부(82)는, 피가공물을 연마 가공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균일도를 측정하며,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연마부(84)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표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2 센서부(82)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 연마면의 균일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연마 가공되는 피가공물의 품질을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80) 상단에는, 연마부(84)가 마련된다. 상기 연마부(84)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연마면을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연마부(84)는, 상기 제2 센서부(82)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연마면을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지지부(80)가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여 상기 연마부(84)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연마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연마부(84)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 연마면의 균일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연마 가공되는 피가공물의 품질을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를 상기 제2 센서부(82)에 의해 외측면의 곡면형상 및 균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연마부(8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가공하게 된다. 이는, 기설정된 횟수의 피가공물의 가공 이후에 일괄적으로 시행했던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의 외측면을 연마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상기 제2 센서부(82) 및 연마부(84)에 의해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또는 제2 연삭가공부(44) 중에서 연마작업이 필요한 가공부만을 연마함으로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에서는, 상기 제1 고정부(22) 및 제2 고정부(32)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이 서로 다른 크기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부(22)와, 상기 제2 고정부(3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피가공물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센서부(70)에 의해 측정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 및 제2 이동부(30)를 독립적으로 위치이동 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센서부(70)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가공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20 : 제1 이동부
22 : 제1 고정부 30 : 제2 이동부
32 : 제2 고정부 40 : 회전부
42 : 제1 연삭가공부 44 : 제2 연삭가공부
50 : 모터부 60 : 동력전달부
70 : 제1 센서부 80 : 지지부
82 : 제2 센서부 84 : 연마부

Claims (3)

  1.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단 일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선단에 각각 마련되며, 피가공물을 각각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전방에 마련되며,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양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을 각각 연삭 가공하는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
    상기 베이스 상단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구동 가능케 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두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의 연마면 균일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의 연마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피가공물 가공부위의 중심위치, 두께 및 깊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가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 하며,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에 의하여 측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피가공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삭가공부(42) 및 제2 연삭가공부(44)가 맞닿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 외측면의 균일도를 기초하여, 상기 연마부가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 외측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며,
    상기 제1 연삭가공부 및 제2 연삭가공부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구동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에 의하여 상기 피가공물이 상하방향 및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피가공물을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94439A 2013-08-08 2013-08-08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KR10153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439A KR101537074B1 (ko) 2013-08-08 2013-08-08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439A KR101537074B1 (ko) 2013-08-08 2013-08-08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40A KR20150018040A (ko) 2015-02-23
KR101537074B1 true KR101537074B1 (ko) 2015-07-15

Family

ID=5304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439A KR101537074B1 (ko) 2013-08-08 2013-08-08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5576A (zh) * 2017-12-26 2018-06-12 重庆捷科隆金属科技有限公司 轴承除锈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643A (ko) * 1998-07-15 2000-02-07 황해웅 연삭숫돌의 드레싱방법 및 장치
KR200237141Y1 (ko) * 2001-03-16 2001-10-26 주식회사 쎄크 다축 스핀들을 구비한 수평타입의 밀링 머신
JP2007038358A (ja) *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精密加工装置および精密加工方法
JP2007190638A (ja) * 2006-01-18 2007-08-02 Jtekt Corp 内面研削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643A (ko) * 1998-07-15 2000-02-07 황해웅 연삭숫돌의 드레싱방법 및 장치
KR200237141Y1 (ko) * 2001-03-16 2001-10-26 주식회사 쎄크 다축 스핀들을 구비한 수평타입의 밀링 머신
JP2007038358A (ja) *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精密加工装置および精密加工方法
JP2007190638A (ja) * 2006-01-18 2007-08-02 Jtekt Corp 内面研削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40A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534B1 (ko) 얇은 원판형상 공작물의 양면 연삭방법 및 양면 연삭장치
CN102848320B (zh) 磨床的整形装置
CN203293003U (zh) 一种圆盘研磨机
KR101908359B1 (ko) 양두 연삭 장치 및 워크의 양두 연삭 방법
CN107234524A (zh) 一种对刨面为圆形的工件外圆面进行磨削加工的立式磨床
KR101206367B1 (ko) 윈도우 글래스 연마장치
US2748541A (en) Edge grinding optical lenses
KR101537074B1 (ko)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JP6303568B2 (ja) 円すいころの研削装置及び円すいころの研削方法
JP5039957B2 (ja) 内面研削装置用砥石および内面研削方法
JP2002307303A (ja) 薄板円板状ワークの両面研削方法および装置
JP2003103460A (ja) 工作物表面を油溜りがある超仕上面に研削加工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50028659A (ko) 구면연삭장치
US4837979A (en) Polishing device
KR20220028909A (ko) 롤형 공작물의 연마장치
US1395391A (en) Device for truing and dressing grinding-wheels
JP5550971B2 (ja) 研削装置
JPH1148107A (ja) 両面研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70069313A (ko) 지석 스핀들 이동형 호닝머신
JP7207771B2 (ja) 両頭平面研削盤および研削方法
KR20170132552A (ko) 워크서포트 연삭장치
JP2001170862A (ja) ワーク保持装置
JP2022145008A (ja) 加工用砥石の研削面の修正方法
JP2005305609A (ja) ラップ盤
KR20230036291A (ko) 변위형 라운드 툴을 이용한 정밀 곡면 연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