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22B1 -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 Google Patents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22B1
KR101536922B1 KR1020140173478A KR20140173478A KR101536922B1 KR 101536922 B1 KR101536922 B1 KR 101536922B1 KR 1020140173478 A KR1020140173478 A KR 1020140173478A KR 20140173478 A KR20140173478 A KR 20140173478A KR 101536922 B1 KR101536922 B1 KR 10153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rail
cente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범
Original Assignee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창틀(10)의 들쭉날쭉한 굴곡을 단순히 은폐시키는 구조가 아닌 그 굴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리모델링의 핵심인 견고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보장하면서 외측 롤링라인(63) 및 내측 롤링라인(73)을 통한 새로운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리모델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REMODELING BALCONY WINDOW UNIT}
본 발명은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의 들쭉날쭉한 굴곡을 단순히 은폐시키는 구조가 아닌 그 굴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리모델링의 핵심인 견고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보장하면서 외측 롤링라인 및 내측 롤링라인을 통한 새로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리모델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리모델링시 창호에 관하여는 기존 창틀을 철거한 후 새로운 창틀을 설치하는 것으로 공사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리모델링 공사는 기존 창틀을 철거하기 위한 작업이 어렵고, 나아가 폐기물 발생, 벽체 손상 및 복구에 따른 많은 불편함과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1 및 2에는 기존 창틀 위에 새로운 창틀을 설치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4906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도 1a 내지 도 1e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치되었던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로부터 각각 내측창과 외측창을 탈거하는 제1단계;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상부에 각각 기밀유지 및 높이조절용 받침패드(100)를 설치하는 제2단계; 받침패드(100) 위에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200)을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에 관통되게 하여 장착하는 제3단계; 일체형 창틀(20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대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 일체형 창틀(200)에 각각 새로운 내측창(400a)과 외측창(400b)을 장착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은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상부에 각각 기밀유지 및 높이조절용 받침패드(100)를 설치한 후 이 받침패드(100) 위에 일체형 창틀(200)을 장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받침패드(100)의 두께만큼 그리고 일체형 창틀(200)의 두께만큼 전체 높이가 높아져 새로운 내측창(400a) 및 외측창(400b)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어 실내외에서의 시야를 답답하게 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고, 나아가 받침패드(10)의 두께 및 일체형 창틀(200)의 두께에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하여야만 하여 중량이 무거워지면서도 비용까지 상승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967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도 2a 내지 도 2f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의 시공방법은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기밀부재(400a)가 놓여진 기 설치된 창문프레임(F)의 상부를 감싸도록 그 위에 T형부재(200)를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T형부재(200)의 측벽에 형성된 나사부(220)가 일측이 연장된 측면의 장공(310)에 끼워지도록 H형부재(300)를 창틀장착구(1000)의 단턱진 바닥면에 올려놓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T형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위에 일체형 창문틀(100)을 창틀장착구(1000)에 끼운 다음 기설치된 창문프레임(F)에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의 시공방법은 기 설치된 창문프레임(F) 위에 기밀부재(400a)를 놓고 다시 그 위에 T형부재(200)를 올려놓은 후 창문틀[100; 상부틀(100a) 및 하부틀(100b)]을 장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기밀부재(400a)의 두께만큼, T형부재(200)의 두께만큼 그리고 상부틀(100a) 또는 하부틀(100b)의 두께만큼 전체 높이가 높아져 새로운 창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어 실내외에서의 시야를 답답하게 하는 문제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밀부재(400a), T형부재(200), 창문틀[100; 상부틀(100a) 및 하부틀(100b)] 심지어는 H형부재(300)의 두께에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하여야만 하여 중량이 무거워지면서도 비용까지 상승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4906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967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창틀의 들쭉날쭉한 굴곡을 단순히 은폐시키는 구조가 아닌 그 굴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리모델링의 핵심인 견고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보장하면서 외측 롤링라인 및 내측 롤링라인을 통한 새로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리모델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 사이의 굴곡을 따라 센터 오버랩틀을 마련하고,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 사이의 굴곡을 따라 외측 오버랩틀을 마련하며,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사이의 굴곡을 따라 내측 오버랩틀을 마련한 후, 이들 센터 오버랩틀, 외측 오버랩틀 및 내측 오버랩틀 중 이웃하는 부분을 쌍으로 묶어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을 중심에 두고 외측 라인틀과 내측 라인틀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리모델링을 실현케 할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프레임에 차례로 돌출된 외측수직프레임, 외측레일,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각각 차이가 날지라도 센터 오버랩틀,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을 부분적으로 컷팅하여 신속하게 리모델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 오버랩틀 그리고 내측 오버랩틀을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 사이 그리고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사이로 장착시킬 때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꺾쇠편에 의해 긴밀하게 걸쳐지도록 하여 조립 후 이탈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을 통해 실내 및 실외의 공기 및 이물질 차단을 적극적으로 실현하여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스프링 및 내측 스프링에 의해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이 탄성적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을 끼울 때 외측볼 및 내측볼을 기준으로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이 눌려질 수 있도록 하고,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설치완료 후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기밀(氣密)의 유지로서 단열 및 방음의 극대화를 실현케 할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라인틀 및 내측 라인틀이 오버랩 창틀과의 결합에만 의존치 아니하고 기존 창틀의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의 외측절곡턱 및 내측절곡턱에 긴밀하게 걸쳐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라인틀 및 내측 라인틀이 별도의 나사를 동원하지 않고 상호간 암수 톱니 고정 및 쐐기 고정되도록 하여 리모델리 공사 중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뚫려진 개구부에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차례로 돌출되는 외측수직프레임, 외측레일,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을 지닌 창틀과, 상기 창틀에 끼워져 롤링되는 외측롤러를 지닌 외측창문 및 내측롤러를 지닌 내측창문을 포함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측수직프레임, 외측레일,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의 굴곡에 따라 덧씌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외측롤러 및 내측롤러를 각각 받쳐주는 외측 롤링라인 및 내측 롤링라인을 구비한 오버랩 창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창틀의 들쭉날쭉한 굴곡을 단순히 은폐시키는 구조가 아닌 그 굴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리모델링의 핵심인 견고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보장하면서 외측 롤링라인 및 내측 롤링라인을 통한 새로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리모델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 사이의 굴곡을 따라 센터 오버랩틀을 마련하고, 이어서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 사이의 굴곡을 따라 외측 오버랩틀을 마련하며, 나아가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사이의 굴곡을 따라 내측 오버랩틀을 마련한 후, 이들 센터 오버랩틀, 외측 오버랩틀 및 내측 오버랩틀 중 이웃하는 부분을 쌍으로 묶어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을 중심에 두고 외측 라인틀과 내측 라인틀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리모델링을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에 차례로 돌출된 외측수직프레임, 외측레일,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각각 차이가 날지라도 센터 오버랩틀,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을 부분적으로 컷팅하여 신속하게 리모델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오버랩틀 및 센터 오버랩틀 각각에 컷팅라인을 부여하여 공사 중 더욱 신속한 재단을 통한 리모델링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터 오버랩틀 그리고 내측 오버랩틀을 외측수직프레임 및 외측레일 사이 그리고 내측레일 및 내측수직프레임 사이로 장착시킬 때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꺾쇠편에 의해 긴밀하게 걸쳐지도록 하여 조립 후 이탈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라인틀, 내측 라인틀 그리고 외측 오버랩틀, 내측 오버랩틀 및 센터 오버랩틀 각각의 모헤어를 통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안쪽 및 바깥쪽 모두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곤충의 침입을 적극적으로 차단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을 통해 실내 및 실외의 공기 및 이물질 차단을 적극적으로 실현하여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스프링 및 내측 스프링에 의해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이 탄성적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을 끼울 때 외측볼 및 내측볼을 기준으로 외측 실링윙 및 내측 실링윙이 눌려질 수 있도록 하고,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의 설치완료 후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기밀(氣密)의 유지로서 단열 및 방음의 극대화를 실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라인틀 및 내측 라인틀이 오버랩 창틀과의 결합에만 의존치 아니하고 기존 창틀의 외측레일 및 내측레일의 외측절곡턱 및 내측절곡턱에 긴밀하게 걸쳐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라인틀 및 내측 라인틀이 별도의 나사를 동원하지 않고 상호간 암수 톱니 고정 및 쐐기 고정되도록 하여 리모델리 공사 중 견고함과 더불어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벽체를 포함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벽체를 포함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B)에 뚫려진 개구부(B1)에 장착된 창틀(10)을 철거하지 않고 리모델링한 후 새로운 외측창문(21; 도면에서 하이샤시 창문으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및 내측창문(22; 도면에서 알루미늄 창문으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벽체(B)의 훼손 역시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벽체(B)에 뚫려진 개구부(B1)에 장착되는 창틀(10)은 수평프레임(11)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차례로 돌출되는 외측수직프레임(12), 외측레일(13),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을 구비한다.
이러한 창틀(10)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오래된 건물일수록 노후화되어 단열 및 방음에 대한 효율이 떨어지고 심지어는 외관상으로도 혐오스러운 형태를 취하고 있어 새로운 설치 또는 리모델링의 공사가 절실한 것이 사실이다.
한편, 기존의 창틀(10)은 수평프레임(11)에 돌출된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의 양측으로 외측수직프레임(12)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이 구비되어 들쭉날쭉한 높이를 취할 수밖에 없는데,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리모델링 구조를 보면 모두 들쭉날쭉한 높이 위로 새로운 창호를 단순히 수평상태로 설치하여 기존 창틀(10)의 혐오스러움만을 은폐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새로운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크기를 제한하여 실내외에서의 시야를 답답하게 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제작 소재에 대한 중량 및 단가 역시 문제점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특히 조립 견고성을 보장하기엔 한계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창틀(10)의 외측수직프레임(12), 외측레일(13),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의 굴곡에 따라 덧씌워져 고정되면서 외측롤러(21a) 및 내측롤러(22a)를 각각 받쳐주는 외측 롤링라인(63) 및 내측 롤링라인(73)을 구비한 오버랩 창틀(100)을 핵심 구성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 창틀(10)의 들쭉날쭉한 굴곡을 단순히 은폐시키는 구조가 아닌 그 굴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리모델링의 핵심인 견고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보장하면서 외측 롤링라인(63) 및 내측 롤링라인(73)을 통한 새로운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리모델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창틀(10)과 오버랩 창틀(100) 상호간을 바람직하게 실리콘 접착으로 고착시키거나 나사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공사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오버랩 창틀(100)은 외측수직프레임(12)에 덧씌워져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외측레일(13)에 다다르면서 돌출된 외측고정돌기(31)를 지닌 외측 오버랩틀(30)과, 외측레일(13)에 밀착되는 센터지지턱(41)으로부터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절곡 연장됨과 동시에 내측레일(14)에 다다르면서 돌출된 센터고정돌기(42)를 지닌 센터 오버랩틀(40)과, 내측레일(14)에 밀착되는 내측지지턱(51)으로부터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절곡 연장됨과 동시에 내측수직프레임(15)에 덧씌워지는 내측 오버랩틀(50)과, 외측고정돌기(31)에 결합되는 제 1 외측서포터(61) 및 센터지지턱(41)에 결합되는 제 2 외측서포터(62)를 지니면서 외측레일(13)에 덧씌워져 외측 롤링라인(63)으로 하여금 외측롤러(21a)를 받쳐주도록 하는 외측 라인틀(60)과, 센터고정돌기(42)에 결합되는 제 1 내측서포터(71) 및 내측지지턱(51)에 결합되는 제 2 내측서포터(72)를 지니면서 내측레일(14)에 덧씌워져 내측 롤링라인(73)으로 하여금 내측롤러(22a)를 받쳐주도록 하는 내측 라인틀(70)을 포함한다.
건물에 장착된 창틀(10)은 기본적으로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을 지니면서 벽체(B)의 안팎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외측수직프레임(12)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을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 사이의 굴곡을 따라 센터 오버랩틀(40)을 마련하고, 이어서 외측수직프레임(12) 및 외측레일(13) 사이의 굴곡을 따라 외측 오버랩틀(30)을 마련하며, 나아가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 사이의 굴곡을 따라 내측 오버랩틀(50)을 마련한 후, 이들 센터 오버랩틀(40), 외측 오버랩틀(30) 및 내측 오버랩틀(50) 중 이웃하는 부분을 쌍으로 묶어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을 중심에 두고 외측 라인틀(60)과 내측 라인틀(70)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리모델링을 실현케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외측수직프레임(12) 및 외측레일(13) 사이의 굴곡에 따른 외측 오버랩틀(30),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 사이의 굴곡에 따른 센터 오버랩틀(40) 그리고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 사이의 굴곡에 따른 내측 오버랩틀(50)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오버랩 창틀(100)을 분할하여 수평프레임(11)에 차례로 돌출된 외측수직프레임(12), 외측레일(13),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 상호간의 간격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각각 차이가 날지라도 센터 오버랩틀(40), 외측수직프레임(12) 및 외측레일(13)을 부분적으로 컷팅하여 신속하게 리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외측 오버랩틀(30) 및 센터 오버랩틀(40) 각각에 컷팅라인(C)을 부여하여 공사 중 더욱 신속한 재단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터지지턱(41)은 수평프레임(11)으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로 절곡되어 외측레일(13)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내측지지턱(51)은 수평프레임(11)으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로 절곡되어 내측레일(14)에 탄성적으로 밀착며, 센터지지턱(41) 및 내측지지턱(51)은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을 향하는 꺾쇠편(G)을 각각 지닐 수 있도록 한다.
센터 오버랩틀(40) 그리고 내측 오버랩틀(50)이 외측수직프레임(12) 및 외측레일(13) 사이 그리고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 사이로 장착될 때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꺾쇠편(G)에 의해 긴밀하게 걸쳐지는 작용을 발휘케 하여 조립 후 이탈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측 라인틀(60)은 외측 롤링라인(63)을 중심에 두고 외측창문(21)의 안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외측 양쪽돌출편(64)을 구비하고, 내측 라인틀(70)은 내측 롤링라인(73)을 중심에 두고 내측창문(22)의 안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내측 양쪽돌출편(74)을 구비한다.
그리고, 외측 오버랩틀(30)은 외측창문(21)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외측 세움턱(32)을 구비하고, 내측 오버랩틀(50)은 내측창문(22)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내측 세움턱[52; 예를 들면 내측수직프레임(15)을 따라 세워진 내측 세움턱(52)]을 구비하며, 센터 오버랩틀(40)은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센터 세움턱(43)을 구비한다.
외측 라인틀(60), 내측 라인틀(70) 그리고 외측 오버랩틀(30), 내측 오버랩틀(50) 및 센터 오버랩틀(40) 각각의 모헤어(M)에 의해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안쪽 및 바깥쪽 모두가 동시에 밀폐될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곤충의 침입을 적극적으로 차단케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외측 양쪽돌출편(64)은 외측 양쪽원호홈(64a)을 구비하고, 외측 양쪽원호홈(64a)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외측볼(65)을 지지하면서 외측 세움턱(32)에 이르도록 횡으로 펼쳐지는 외측 실링윙(Sealing Wing; 66)을 포함하고, 내측 양쪽돌출편(74)은 내측 양쪽원호홈(74a)을 구비하고, 내측 양쪽원호홈(74a)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내측볼(75)을 지지하면서 내측 세움턱(52)에 이르도록 횡으로 펼쳐지는 내측 실링윙(Sealing Wing; 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실링윙(66) 및 내측 실링윙(76)을 통해 실내 및 실외의 공기 및 이물질 차단을 적극적으로 실현하여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외측 실링윙(66)으로 하여금 외측 양쪽원호홈(64a)에 끼워지는 외측볼(65)을 기준으로 횡으로 펼쳐지거나 종으로 눌려지도록 탄성 회동 가능케 하는 외측 스프링(67)을 더 포함하고, 내측 실링윙(76)으로 하여금 내측 양쪽원호홈(74a)에 끼워지는 내측볼(75)을 기준으로 횡으로 펼쳐지거나 종으로 눌려지도록 탄성 회동 가능케 하는 내측 스프링(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스프링(67) 및 내측 스프링(77)에 의해 외측 실링윙(66) 및 내측 실링윙(76)이 탄성적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을 끼울 때에는 외측볼(65) 및 내측볼(75)을 기준으로 외측 실링윙(66) 및 내측 실링윙(76)이 눌려질 수 있도록 하고,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설치완료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기밀(氣密)의 유지로서 단열 및 방음의 극대화를 실현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외측레일(13)은 외측절곡턱(13a)을 구비하고, 제 1 외측서포터(61)는 외측절곡턱(13a)에 걸쳐지는 제 1 외측걸림턱(61a)을 구비하고, 내측레일(14)은 내측절곡턱(14a)을 구비하고, 제 1 내측서포터(71)는 내측절곡턱(14a)에 걸쳐지는 제 1 내측걸림턱(71a)을 구비토록 한다.
외측 라인틀(60) 및 내측 라인틀(70)이 오버랩 창틀(100)과의 결합에만 의존치 아니하고 기존 창틀(10)의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의 외측절곡턱(13a) 및 내측절곡턱(14a)에 긴밀하게 걸쳐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외측고정돌기(31) 및 제 1 외측서포터(61)는 서로 암수 톱니(T) 고정되고, 센터지지턱(41) 및 제 2 외측서포터(62)는 서로 쐐기(S) 고정되고, 센터고정돌기(42) 및 제 1 내측서포터(71)는 서로 암수 톱니(T) 고정되고, 내측지지턱(51) 및 제 2 내측서포터(72)는 서로 쐐기(S) 고정되도록 한다.
외측 라인틀(60) 및 내측 라인틀(70)이 별도의 나사를 동원하지 않고 상호간 암수 톱니(T) 고정 및 쐐기(S) 고정되도록 하여 리모델리 공사 중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각종 창이나 문을 의미하는 창호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 : 벽체 B1 : 개구부
10 : 창틀 11 : 수평프레임
12 : 외측수직프레임 13 : 외측레일
13a : 외측절곡턱 14 : 내측레일
14a : 내측절곡턱 15 : 내측수직프레임
21 : 외측창문 21a : 외측롤러
22 : 내측창문 22a : 내측롤러
30 : 외측 오버랩틀 31 : 외측고정돌기
32 : 외측 세움턱 40 : 센터 오버랩틀
41 : 센터지지턱 42 : 센터고정돌기
43 : 센터 세움턱 50 : 내측 오버랩틀
51 : 내측지지턱 52 : 내측 세움턱
60 : 외측 라인틀 61 : 제 1 외측서포터
61a : 제 1 외측걸림턱 62 : 제 2 외측서포터
63 : 외측 롤링라인 64 : 외측 양쪽돌출편
64a : 외측 양쪽원호홈 65 : 외측볼
66 : 외측 실링윙 67 : 외측 스프링
70 : 내측 라인틀 71 : 제 1 내측서포터
71a : 제 1 내측걸림턱 72 : 제 2 내측서포터
73 : 내측 롤링라인 74 : 내측 양쪽돌출편
74a : 내측 양쪽원호홈 75 : 내측볼
76 : 내측 실링윙 77 : 내측 스프링
100 : 오버랩 창틀 C : 컷팅라인
M : 모헤어 T : 톱니
S : 쐐기 G : 꺾쇠편

Claims (10)

  1. 삭제
  2. 벽체(B)에 뚫려진 개구부(B1)에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1)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차례로 돌출되는 외측수직프레임(12), 외측레일(13),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을 지닌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끼워져 롤링되는 외측롤러(21a)를 지닌 외측창문(21) 및 내측롤러(22a)를 지닌 내측창문(22)을 포함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측수직프레임(12), 외측레일(13), 내측레일(14) 및 내측수직프레임(15)의 굴곡에 따라 덧씌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외측롤러(21a) 및 내측롤러(22a)를 각각 받쳐주는 외측 롤링라인(63) 및 내측 롤링라인(73)을 구비한 오버랩 창틀(100)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랩 창틀(100)은
    상기 외측수직프레임(12)에 덧씌워져 상기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상기 외측레일(13)에 다다르면서 돌출된 외측고정돌기(31)를 지닌 외측 오버랩틀(30)과,
    상기 외측레일(13)에 밀착되는 센터지지턱(41)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절곡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레일(14)에 다다르면서 돌출된 센터고정돌기(42)를 지닌 센터 오버랩틀(40)과,
    상기 내측레일(14)에 밀착되는 내측지지턱(51)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11)을 따라 절곡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수직프레임(15)에 덧씌워지는 내측 오버랩틀(50)과,
    상기 외측고정돌기(31)에 결합되는 제 1 외측서포터(61) 및 상기 센터지지턱(41)에 결합되는 제 2 외측서포터(62)를 지니면서 상기 외측레일(13)에 덧씌워져 상기 외측 롤링라인(63)으로 하여금 상기 외측롤러(21a)를 받쳐주도록 하는 외측 라인틀(60)과,
    상기 센터고정돌기(42)에 결합되는 제 1 내측서포터(71) 및 상기 내측지지턱(51)에 결합되는 제 2 내측서포터(72)를 지니면서 상기 내측레일(14)에 덧씌워져 상기 내측 롤링라인(73)으로 하여금 상기 내측롤러(22a)를 받쳐주도록 하는 내측 라인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오버랩틀(30) 및 센터 오버랩틀(40)은 재단 가능한 컷팅라인(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지지턱(41)은 상기 수평프레임(11)으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레일(13)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내측지지턱(51)은 상기 수평프레임(11)으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레일(14)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지지턱(41) 및 내측지지턱(51)은 상기 외측레일(13) 및 내측레일(14)을 향하는 꺾쇠편(G)을 각각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라인틀(60)은 상기 외측 롤링라인(63)을 중심에 두고 상기 외측창문(21)의 안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외측 양쪽돌출편(64)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라인틀(70)은 상기 내측 롤링라인(73)을 중심에 두고 상기 내측창문(22)의 안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내측 양쪽돌출편(74)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오버랩틀(30)은 상기 외측창문(21)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외측 세움턱(32)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오버랩틀(50)은 상기 내측창문(22)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내측 세움턱(52)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오버랩틀(40)은 상기 외측창문(21) 및 내측창문(22)의 바깥쪽을 향해 모헤어(M)를 장착시키기 위한 센터 세움턱(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양쪽돌출편(64)은 외측 양쪽원호홈(64a)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양쪽원호홈(64a)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외측볼(65)을 지지하면서 상기 외측 세움턱(32)에 이르도록 횡으로 펼쳐지는 외측 실링윙(6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양쪽돌출편(74)은 내측 양쪽원호홈(74a)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양쪽원호홈(74a)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내측볼(75)을 지지하면서 상기 내측 세움턱(52)에 이르도록 횡으로 펼쳐지는 내측 실링윙(7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실링윙(66)으로 하여금 상기 외측 양쪽원호홈(64a)에 끼워지는 상기 외측볼(65)을 기준으로 횡으로 펼쳐지거나 종으로 눌려지도록 탄성 회동 가능케 하는 외측 스프링(6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윙(76)으로 하여금 상기 내측 양쪽원호홈(74a)에 끼워지는 상기 내측볼(75)을 기준으로 횡으로 펼쳐지거나 종으로 눌려지도록 탄성 회동 가능케 하는 내측 스프링(7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레일(13)은 외측절곡턱(13a)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외측서포터(61)는 상기 외측절곡턱(13a)에 걸쳐지는 제 1 외측걸림턱(61a)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레일(14)은 내측절곡턱(14a)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측서포터(71)는 상기 내측절곡턱(14a)에 걸쳐지는 제 1 내측걸림턱(7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10.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고정돌기(31) 및 제 1 외측서포터(61)는 서로 암수 톱니(T) 고정되고,
    상기 센터지지턱(41) 및 제 2 외측서포터(62)는 서로 쐐기(S) 고정되고,
    상기 센터고정돌기(42) 및 제 1 내측서포터(71)는 서로 암수 톱니(T) 고정되고,
    상기 내측지지턱(51) 및 제 2 내측서포터(72)는 서로 쐐기(S)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KR1020140173478A 2014-12-05 2014-12-05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KR10153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478A KR101536922B1 (ko) 2014-12-05 2014-12-05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478A KR101536922B1 (ko) 2014-12-05 2014-12-05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22B1 true KR101536922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478A KR101536922B1 (ko) 2014-12-05 2014-12-05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43B1 (ko) 2016-02-23 2016-11-0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KR101695826B1 (ko) 2016-07-28 2017-01-13 한화엘앤씨(주) 발코니에 설치된 기존 창틀을 활용한 창호의 리모델링장치
KR101760719B1 (ko) 2017-04-13 2017-07-31 동방시스템주식회사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763928B1 (ko) * 2016-09-10 2017-08-0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2023142B1 (ko) * 2019-03-26 2019-09-19 주식회사 하이에코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KR20220048904A (ko) * 2020-10-13 2022-04-20 김민철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18Y1 (ko) * 2004-08-12 2004-11-18 강태혁 창틀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18Y1 (ko) * 2004-08-12 2004-11-18 강태혁 창틀 커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43B1 (ko) 2016-02-23 2016-11-0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KR101695826B1 (ko) 2016-07-28 2017-01-13 한화엘앤씨(주) 발코니에 설치된 기존 창틀을 활용한 창호의 리모델링장치
KR101763928B1 (ko) * 2016-09-10 2017-08-0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1760719B1 (ko) 2017-04-13 2017-07-31 동방시스템주식회사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2023142B1 (ko) * 2019-03-26 2019-09-19 주식회사 하이에코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WO2020197110A1 (ko) * 2019-03-26 2020-10-01 주식회사알파큐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US11885163B2 (en) 2019-03-26 2024-01-30 Alphaq Inc. Fitting frame having improved prefabricated rails
KR20220048904A (ko) * 2020-10-13 2022-04-20 김민철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KR102558132B1 (ko) * 2020-10-13 2023-07-21 김민철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22B1 (ko) 리모델링 발코니 창호
JP6449540B2 (ja) 改装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KR101462001B1 (ko)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JP6481070B2 (ja) 改装サッシ
JP2016037804A (ja)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JP2007297831A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20210043336A (ko)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JP6265778B2 (ja) 改修用サッシ
KR20160006397A (ko) 개보수 창호용 실내 마감재
JP2010216148A (ja) 建具
JP6606373B2 (ja) 子扉ユニット及び子扉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2009144389A (ja) ドア
JP6007067B2 (ja)
JP2015124544A (ja) 改装サッシ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JP6798927B2 (ja) 建具
JP5961095B2 (ja)
JP2019173526A (ja) 簡易構造物
KR102100755B1 (ko)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JP4375323B2 (ja) 雨漏れ防止構造の比較解説装置
JP6007066B2 (ja) 窓、窓の製造方法
KR101708154B1 (ko) 창호용 누수 방지 부재
JP2011144609A (ja) 改装工法
KR101875989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외측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