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851B1 -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851B1
KR101536851B1 KR1020137032028A KR20137032028A KR101536851B1 KR 101536851 B1 KR101536851 B1 KR 101536851B1 KR 1020137032028 A KR1020137032028 A KR 1020137032028A KR 20137032028 A KR20137032028 A KR 20137032028A KR 101536851 B1 KR101536851 B1 KR 10153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ireless device
wireless link
threshol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265A (ko
Inventor
존 제이 앤더슨
조슈아 디 티엘렌
서밋 수어
제프리 에이 니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법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온도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TEMPERATURE-DRIVEN AIRLINK SELEC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는 무선 주파수 (RF) 송신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 (PDAs), 휴대용 게임 콘솔들, 팜탑 컴퓨터들, 및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다수의 전자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하고, 이 전자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는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링크 서브시스템이다. 용어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링크 (airlink)" 는 특정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즉 OTA (over the air) 로 확립되는 다른 시스템과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무선링크들의 예들은 "W-CDMA" (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EVDO" (Evolution Data-Only);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및 그 데이터 서비스 확장들 예컨대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및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LTE" (Long-Term Evolution)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이한 무선링크들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즉, 무선 디바이스 및 기지국은 양자가 동일한 무선링크에 대해 구성되지 않는다면 통신할 수 없다.
무선링크 서브시스템은 RF 트랜시버 회로 및 신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신호 프로세싱 회로는 RF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상향변환 및 RF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부터 하향변환하는 것 및 RF 신호를 함께 특징짓는 신호 변조, 복조 및 코딩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제어 하에서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신호 프로세싱 중 일부는 통상적으로,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수행되고, 다른 부분들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수행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는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 동안 무선링크가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는 무선링크 서브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는) 재구성 가능한 프로세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즉, 무선 디바이스는 때로는 하나의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하고, 다른 때에는 상이한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링크는 변하는 동작 컨디션들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의 무선링크가 양자의 지역들에서 서비스 제공자들 전체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2 개의 지리적 지역들 간의 로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의 그러한 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 1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하고,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의 그러한 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 2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한다. 예를 들어, W-CDMA 무선링크 서비스가 제 1 지리적 지역에는 제공되지만 LTE 무선링크 서비스는 제 1 지역에는 제공되지 않는 한편, LTE 무선링크 서비스가 제 2 지리적 지역에는 제공되지만 W-CDMA 무선링크 서비스는 제 2 지리적 지역에는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W-CDMA 와 LTE 모드들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듀얼-모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지역에서 로밍하는 경우 W-CDMA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지역에서 로밍하는 경우 LTE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용어들 "무선링크 (airlink)", "모드", 및 "무선링크 모드" 는 본원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일부 무선링크들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동작 파라미터들을 특징으로 삼는다. 예를 들어, 일부 무선링크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그것이 정보를 송신하는 레이트를 변경하도록 한다. 데이터 서비스 인핸스먼트들, 예컨대 EDGE 및 GPRS 는 라디오 채널의 품질에 따라 변조 및 코딩 스킴, 그리고 따라서 데이터 송신의 강건성 및 비트 레이트를 적응시키는 레이트 적응 알고리즘들을 특징으로 삼는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채널 품질이 높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서는 높은 채널 품질을 이용하여 정보 스루풋을 최대화하도록 변조 및 코딩 스킴 또는 다른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가 채널 품질이 낮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서는 정보 무결성 (information integrity) 을 최대화하도록 변조 및 코딩 스킴 또는 다른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들은 가끔 서비스 품질 (QoS) 조정들로서 지칭된다. 또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무선링크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동작에서, 무선 디바이스 내의 전자 회로는 열을 생성하는데, 과도한 레벨에서의 이 열은 회로에 유해할 수도 있다. 생성되는 열의 양은 동작 컨디션들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 전력 레벨에서 지속된 기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많은 양의 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은, 프로세서가 모니터링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그 온도 위에서는 전자 회로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는 임계 또는 결정적인 온도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는 열 센서들을 포함한다. 열 센서의 판독이 무선 디바이스가 이러한 임계 온도에 도달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는 무선링크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생성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키고자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이 개시되고,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온도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온도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모니터링된 온도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수록되어 있는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방법을 실행 및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코드에 의해 구현된 방법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온도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다르게 표기되지 않으면 한 각종 뷰들 전체에서 유사한 부분들을 가리킨다. "102A" 또는 "102B" 와 같은 글자 지정들을 갖는 도면 부호들에 있어서, 글자 지정들은 동일한 도면에 존재하는 2 개의 유사한 부분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구분지을 수도 있다. 참조 부호들에 대한 글자 지정들은, 참조 부호가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모든 부분들을 망라하도록 의도되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 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및 트랜시버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는 도 1 의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의 개념적 예시이다.
도 3b 는 더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에서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 한 후의 도 3a 의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개념적 예시이다.
도 4a 는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개념적 예시이다.
도 3b 는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 한 후의 도 4a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개념적 예시이다.
도 5a 는 낮은 무선링크 신호 품질이 무선링크 모드들을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지만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의 개념적인 예시이다.
도 5b 는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한 후의 도 5a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개념적인 예시이다.
도 6 은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 은 온도 임계들에 응답하여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더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와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 간에 스위칭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은 지연 후에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하고 더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다시 스위칭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모니터링된 온도 및 비-열 팩터 양자에 응답하여 무선링크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은 도 1 의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모니터링된 온도 및 비-열 팩터 양자에 응답하여 무선링크를 선택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용어 "예시적인" 은 본원에서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에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양들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 설명에서, 용어들 "통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전화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핸드셋" 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어드밴트 3G 및 4G 무선 기술로, 다양한 무선 성능들을 갖는 더 많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서 보다 큰 대역폭 이용 가능성이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기, 위성 전화기, 페이저, 개인 휴대 정보 단말 (PDA),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스마트북 또는 판독기,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무선 접속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 설명에서, 소프트웨어의 맥락에서 용어 "애플리케이션" 은 또한, 확장 가능한 콘텐트, 예컨대 객체 코드, 스크립트들, 바이트 코드, 마크업 언어 파일들, 및 패치들을 갖는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 지칭된 "애플리케이션" 은 또한, 개방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문헌들 또는 액세스될 필요가 있는 다른 데이터 파일들과 같은 사실상 확장 가능하지 않은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콘텐트" 는 또한, 확장 가능한 콘텐트, 예컨대 객체 코드, 스크립트들, 바이트 코드, 마크업 언어 파일들, 및 패치들을 갖는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 지칭된 "콘텐트" 는 또한, 개방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문헌들 또는 액세스될 필요가 있는 다른 데이터 파일들과 같은 사실상 확장 가능하지 않은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설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데이터베이스",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 관련 엔터티 또는 엘리먼트,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객체, 실행 가능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로써,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양자가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도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라이징되고/되거나 2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포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들은 각종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되어 있는 각종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는 로컬 시스템, 분산형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의 방식으로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도 1 은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구현되는 무선 전화기 또는 핸드셋의 형태의 예시적인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예시의, 비제한적인 기능 블록도를 통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함께 커플링되는 멀티-코어 중앙 처리 장치 ("CPU")(110) 및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를 포함하는 온-칩 시스템 (102) 을 포함한다. CPU (110) 는 하나 이상의 코어들 (222, 224, 230,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어들 (222, 224, 230, 등) 은 단일의 집적 회로 다이 상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코어들은 다중 회로 패키지의 별개의 다이들 상에 통합되거나 커플링될 수도 있다. 코어들 (222, 224, 230, 등) 은 하나 이상의 공유된 캐시들을 통해 커플링될 수도 있고, 코어들은 네트워크 토폴로지들, 예컨대 버스, 링, 메시, 및 크로스바 토폴로지들을 통해 메시지 또는 명령 전달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CPU (110) 대신에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가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술된 전자 엘리먼트들 및 다른 것들은 동작 동안 열을 생성한다. 과도한 열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전자 엘리먼트들에 유해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2 이상의 무선링크 모드들 중 임의의 선택된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링크 모드들 중 일부에서의 동작은 무선링크 모드들 중 다른 것들에서의 동작 보다 더 많은 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W-CDMA 모드에서 가끔 그리고 LTE 모드에서 다른 때에 동작할 수도 있고, LTE 모드에서의 동작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LTE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CPU (110) 가 수행하는 더 집약적인 연산 프로세싱 (예를 들어, 코딩) 으로 인해 평균적으로 W-CDMA 모드에서의 동작보다 더 많은 열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생성된 열의 양은 그것이 소비하는 전력량에 관련된다. 따라서, 문구 "더 전력 집약적인" (또는, 동등하게는 "덜 전력 효율적인") 은 본원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모드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모드들에서 동작은 다른 모드들 보다 송신된 비트 당 더 적은 에너지를 갖는 정보의 송신을 초래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또는 그 일부분들이 뜨거워지는 것을 야기하는 반드시 비트 당 에너지가 아닌 통상의 송신 시간 간격 동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소비된 총 에너지이다. 즉, 송신될 소정 양의 데이터에 대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서의 온도들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보다는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서 더 높을 것이다.
CPU (110)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내부, 온-칩 열 센서들 (157A)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외부, 오프-칩 열 센서들 (157B)(총괄하여 센서들 (157) 로 지칭됨)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온-칩 열 센서들 (157A) 은 수직 PNP 구조에 기초하고 대개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CMOS") 초고밀도 집적 ("VLSI") 회로들에 전용되는 하나 이상의 "PTAT" (proportional-to-absolute temperature) 온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프-칩 열 센서들 (157B) 은 하나 이상의 서미스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열 센서들 (157) 은 아날로그-투-디지털 변환기 제어기 (미도시) 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되는 전압 강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열 센서들 (157) 의 다른 유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열 센서들 (157) 은 이들이 각종 전자 회로 엘리먼트들에 의해 방출된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온-칩 시스템 (102) 전체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열 센서들 (157) 은 하나 이상의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들 (101) 에 의해 제어 및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들은 CPU (110) 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은 고 레벨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열 컨디션들 및/또는 열 부하들을 관리하고, 부정적인 열 컨디션들, 예컨대 임계 온도들에 도달하는 것을 경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 선택 방법들을 포함하는 열 폴리시들을 모니터링 및 적용하는데 책임이 있을 수도 있다.
도 1 은 또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모니터 모듈 (114) 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을 나타낸다. 모니터 모듈 (114) 은 열 센서들 (157) 중 하나 이상과 그리고 CPU (110) 뿐만 아니라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과 통신한다.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은 부정적인 열 컨디션들을 식별하도록 모니터 모듈 (114) 과 작업하고 이하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드 선택 열적 완화 방법들을 포함하는 열 폴리시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들 (101) 을 형성하는 메모리 (112) 에 저장된 실행 가능 명령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들 (101) 을 형성하는 이들 명령들은 CPU (110),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또는 다른 프로세서 또는 회로 엘리먼트에 의해 실행되어,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들 (110 및 126), 메모리 (112),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 또는 이들의 조합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10) 에 커플링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 (128) 및 터치스크린 제어기 (130) 를 더 포함한다. 온-칩 시스템 (102) 외부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32) 는 디스플레이 제어기 (128) 및 터치스크린 제어기 (130) 에 커플링된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또한, 비디오 디코더 (134), 비디오 증폭기 (136) 및 비디오 포트 (138) 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 (134) 는 CPU (110) 에 커플링된다. 비디오 증폭기 (136) 는 비디오 디코더 (134)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32) 에 커플링된다. 비디오 포트 (138) 는 비디오 증폭기 (136) 에 커플링된다.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USB") 제어기 (140) 는 또한, CPU (110) 에 커플링된다. 또한, USB 포트 (142) 는 USB 제어기 (140) 에 커플링된다. 메모리 (112) 및 가입자 식별 모듈 (SIM) 카드 (146) 는 또한, CPU (1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148) 가 CPU (1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디지털 카메라 (148) 는 전하-결합 디바이스 ("CCD") 카메라 또는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CMOS") 카메라이다.
또한,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오디오 코더-디코더 ("CODEC")(150) 는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오디오 증폭기 (152) 는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 (15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 1 스테레오 스피커 (154) 및 제 2 스테레오 스피커 (156) 는 오디오 증폭기 (152) 에 커플링된다. 도 1 은, 마이크로폰 증폭기 (158) 가 또한,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 (150) 에 커플링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마이크로폰 (160) 은 마이크로폰 증폭기 (158)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주파수 변조 ("FM") 라디오 튜너 (162) 는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 (15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한, FM 안테나 (164) 는 FM 라디오 튜너 (162) 에 커플링된다. 또한, 스테레오 헤드폰들 (166) 은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 (15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1 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주파수 ("RF") 트랜시버 (168) 가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RF 스위치 (170) 는 RF 트랜시버 (168) 및 RF 안테나 (172)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174) 는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을 갖는 모노 헤드셋 (176) 은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한, 진동기 디바이스 (178) 는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1 은 또한, 전력 공급기 (180), 예를 들어 배터리가 온-칩 시스템 (102) 에 커플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양태에서, 전력 공급기는 AC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 ("AC")-투-DC 변환기로부터 도출되는 충전가능 직류 ("DC") 배터리 또는 DC 전력 공급기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32), 비디오 포트 (138), USB 포트 (142), 카메라 (148), 제 1 스테레오 스피커 (154), 제 2 스테레오 스피커 (156), 마이크로폰 (160), FM 안테나 (164), 스테레오 헤드폰들 (166), RF 스위치 (170), RF 안테나 (172), 키패드 (174), 모노 헤드셋 (176), 진동기 (178), 열 센서들 (157B), 및 전력 공급기 (180) 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온-칩 시스템 (102) 외부에 있다. 그러나, 모니터 모듈 (114) 은 또한,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서 (126) 및 CPU (110) 의 방식으로 이들 외부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션들 또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상에서 동작 가능한 리소스들의 실시간 관리를 도울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무선링크 모드-스위칭 열 관리 방법들은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을 통해, 또는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CPU (110) 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통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각종 열 센서들 (157) 이 예를 들어, CPU (110), RF 트랜시버 (168), 및 RF 스위치 (170) 와 같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각종 하드웨어 엘리먼트들과 충분히 인접하여 그리고 충분한 열적 연관되어 위치되어, 감지된 열과 연관된 하드웨어 엘리먼트가 식별될 수도 있다.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CPU (110) 는 버스 (211) 를 통해 메모리 (112) 에 커플링된다. CPU (110) 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는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로부터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열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는 CPU (110) 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PU (110) 에 의한 이러한 명령들의 실행에 의해 정의된 프로세스는 커맨드들로 하여금, CPU (110) 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프로세스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에 또는 다른 코어들 또는 프로세서들에 발행되게 할 수도 있다.
RF 트랜시버 (168) 는 버스 (213) 를 통해 메모리 (112) 에 커플링된다. RF 트랜시버 (168)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미도시) 을 포함할 수도 있다. CPU (110) 는 메모리 (112) 로부터 RF 트랜시버 (168) 로 버스 (213) 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정보의 전송을 조정한다. 전송된 정보의 일부는 RF 트랜시버 (168) 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될 정보를 나타낸다.
버스들 (211 및 213) 각각은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을 통한 다수의 통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들 (211 및 213) 은,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 추가적인 엘리먼트들, 예컨대 제어기들, 버퍼들 (캐시들), 드라이버들, 반복기들, 및 수신기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버스 (211) 및 버스 (213) 는 전술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적합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어드레스, 제어, 및/또는 데이터 접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12) 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예컨대 데이터 및 프로그래밍 코드가 CPU (110) 에 의해 동작되는 유형이다. 종래의 컴퓨팅 원리들에 따르면, CPU (110) 는 프로그래밍 코드, 예컨대 동작 시스템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 코드의 제어 하에서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프로그래밍 코드, 즉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은 스타트업 로직 (250), 관리 로직 (260), 애플리케이션 로직 (280), 열 컨디션 검출 로직 (290), 및 모드 제어 로직 (292) 을 포함한다. 이들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은 메모리 (112) 에 저장 또는 상주하는 것으로서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메모리 (112) 내의 그 전체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주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오히려 이러한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은 열적 폴리시 매니저 모듈 (101) 과 같은 도 1 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다른 소스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필요한 단위로, 예를 들어, 코드 세그먼트들, 파일들, 명령 단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위로 CPU (110) 를 통해 일부분들에서 취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된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또는 그 일부들로 프로그래밍될 때, CPU (110), 메모리 (112)(또는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이 저장 또는 상주하는 다른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 의 조합 및 임의의 관련된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시스템을 정의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및 이들이 저장되거나 이들이 상주하는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으로서 특허부문 어휘에서 지칭되는 것을 구성한다.
메모리 (112) 는 예시적인 컴퓨터 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내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관련된 시스템 또는 방법과 연관되어 또는 이에 의한 사용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포함 또는 저장할 수도 있는 다른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수단이다. 도 2 에 도시된 각종 로직 엘리먼트들 및 다른 이러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의 명령들을 페치하고 이 명령들을 실행시킬 수도 있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 프로세서 포함 시스템, 또는 다른 시스템과 같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관련되거나 이에 의한 사용을 위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문헌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관련되거나 이에 대한 사용을 위해 정보를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도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 (즉, 비-완전 리스트) 은 다음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갖는 전기 접속 (전자적),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자기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전자적), 판독 전용 메모리 (ROM)(전자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전자적), 광 섬유 (광학적), 및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CDROM)(광학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페이퍼 또는 다른 매체의 광학적 스캐닝을 통해 프로그램이 전자적으로 캡처될 수 있을 때 프로그램이 인쇄되고, 그 후 컴파일링되고, 필요하다면 적합한 방식으로 해석되거나 다르게는 프로세싱된 후,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는 페이퍼 또는 다른 적합한 매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타트업 로직 (250), 관리 로직 (260), 애플리케이션 로직 (280), 열 컨디션 검출 로직 (290) 및 모드 제어 로직 (292) 은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이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이들은 당해 분야에 각각 잘 알려져 있는 다음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논리 함수들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 게이트들을 갖는 이산 논리 회로(들),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PGA),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에서의 조합 로직.
모드 제어 로직 (292) 의 제어 하에서, CPU (110) 가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수도 있고, 스위칭 하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다른 무선링크 모드로 동작 중에 있고 그렇지 않으면 무선링크 모드를 선택한다. 모드 제어 로직 (292) 은 본원에 설명된 모드 선택 열적 완화 방법들에 관련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링크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관련되는 종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모드 선택 방법들은 2 이상의 무선링크 모드들의 세트 중에서 기지국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최고 품질의 RF 신호 링크를 제공하는 무선링크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링크 선택 방법들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무선링크 모드에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무선링크 모드들의 세트 내에서 동작하도록, 또는 반대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지정된 무선링크 모드들에서 동작하는 것을 그만두도록 사용자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 명령하는 수동적인 선택 방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는 목적을 위해) LTE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그만두도록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 명령할 수 있다. 더 통상적으로, 종래의 무선링크 선택 모드들은 계층적 선호 스킴에 따라 모드들을 자동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기지국과 충분히 고품질의 RF 신호 링크가 확립될 수 있는 지리적 지역에서 로밍 중인 경우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LTE 모드가 제공할 수 있는 만큼 고속의 데이터 송신 스루풋을 제공하지 않는 다른 모드들에 비해 LTE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LTE 모드를 제공하는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거나 LTE 모드에서 기지국과 단지 용납할 수 없는 저 품질의 RF 신호 링크가 확립될 수 있는 지리적 지역에서 로밍 중인 경우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고속의 데이터 송신 스루풋 만큼을 제공할 수 없는 대안의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모드 선택 방법들은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되기 때문에, 이들은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원에 설명된 모드-선택 열적 완화 방법들에 관련되는 모드 제어 로직 (292) 의 일부분들은 상기 참조된 열 컨디션 검출 로직 (290) 에 응답한다. 즉, 모드 제어 로직 (292) 및 열 컨디션 검출 로직 (290) 양자에 따라 동작하는 CPU (100) 는 결정적 임계를 초과할 수도 있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열 컨디션들을 완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2 이상의 선택 가능한 무선링크 모드들의 세트 중에서 무선링크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무선링크 모드들에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를 동작하는 것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또는 그 일부들로 하여금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를 다른 모드들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많은 열을 생성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유해한 열 컨디션들을 완화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들은 전술된 각종 열 센서들 (157) 에 의해 감지 또는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도 3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내에서 모니터링된 온도들 중 하나 이상이 임계를 초과하는 예시적인 경우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a 에서 과도한 열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라인들에 의해 예시의 목적으로 개념적인 방식으로 나타내어졌으나, 당업자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회로의 일부분들, 예컨대 CPU (110) 내에 집중되거나 로컬라이징될 수도 있고, 또한 임의의 상당한 양으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로부터 방출되거나 방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도 3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제 1 기지국 (305) 이 더 전략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를 통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 (200) 이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를 통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다른 경우들에서 단일의 기지국 (미도시) 은 다수의 무선링크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멀티-모드 동작할 수 있는 것처럼 멀티-모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명확함을 위해 모드 스위칭 또는 모드 선택 방법이 결정된 열 컨디션들에 응답하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되었으나, 모드 스위칭 또는 모드 선택 방법은 열 컨디션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 추가의 컨디션들에 응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열 컨디션은 RF 신호 링크 품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비-열 컨디션은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의 결정에서의 입력 또는 다른 팩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4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내에서 모니터링된 온도들 중 하나 이상이 임계를 초과하지 않는 예시적인 경우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지 않는 열 컨디션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온도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회로를 잠재적으로 유해하게 하도록 충분히 높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링크는 예컨대, RF 신호 링크 품질에 응답하여 종래의 방법들에 따라 (제 1 기지국 (405) 과의 통신을 수반하는 것으로서 예시를 위해 도 4a 에 나타낸) 제 1 무선링크로부터 (제 2 기지국 (410) 과의 통신을 수반하는 것으로서 예시를 위해 도 4b 에 나타낸) 제 2 무선 링크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도 5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 컨디션 및 RF 신호 링크 품질 (즉, 비-열 컨디션) 양자는 모드 스위칭 방법에 수반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내에서 모니터링된 온도들 중 하나 이상이 임계를 초과하고, 낮은 RF 신호 링크 품질이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경우에서, 모드 스위칭은 열 컨디션을 또한 고려할 수 있고, 따라서 온도 구동형 방법 및 종래의 신호 품질 기반 방법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 기반 결정이 나타내는 모드가 선택 또는 스위칭되고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그 후 동작하는 모드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것이면,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의 스위칭은 온도들을 더욱더 잠재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열 컨디션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예를 들어, 더 먼 기지국 (505) 을 이용하여) 고 품질의 RF 신호 링크를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고 전력에서 송신함에도 불구하고, RF 신호 링크 품질이 낮아질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높은 송신 전력은 임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된 온도들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모드 스위칭은 예를 들어, 개선하기 위한 RF 신호 링크 품질 시간을 소멸시키거나 제공하기 위한 과도한 열 시간을 제공하도록 짧은 시간 간격 동안 모드 스위칭을 연기 또는 지연함으로써 종래의 방법들로부터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열 컨디션이 향상되면, 즉 온도가 감소하면, 무선링크는 (제 1 기지국 (505) 과의 통신을 수반하는 것으로서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4a 에 나타낸)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제 2 기지국 (510) 과의 통신을 수반하는 것으로서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4b 에 나타낸)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된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이 도 6 내지 도 10 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 흐름들에서 소정의 단계들 또는 활동들은 설명된 기능에 대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해 자연스럽게 다른 것들을 선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순서 또는 시퀀스가 본 발명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활동들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일부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단계들 전에, 후에, 또는 병렬로 (즉,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지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소정의 단계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생략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그 후", "그러면", "다음에" 등과 같은 단어들은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차라리, 이들 단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방법의 설명을 통해 독자를 가이드하는데 사용된다. 유사하게, 단계 또는 활동이 방법에서 먼저 발생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으나, 방법은 어떤 시점에 시작할 수도 있다. 방법 또는 그 일부는 또한, 반복적으로 또는 루프형 방식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나, 그것은 단지 한번 만 설명될 수도 있다. 도 6, 7, 8, 9 및 10 에 관하여 각각 후술되는 예시적인 방법들 (600, 700, 800, 900 및 1000) 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동작 동안 어느 적절한 시간에 수행 또는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음성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의 무선 송신 및 수신과 기본적으로 병렬로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상세한 설명의 이들 흐름도들 및 연관된 설명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적합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유사한 로직을 생성 또는 다르게는 제공하고, 또는 적합한 하드웨어 또는 유사한 로직을 생성 또는 다르게는 제공하여 개시된 발명을 어려움 없이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이러한 로직은 열 컨디션 검출 로직 (290) 및 모드 제어 로직 (292)(도 2) 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직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온도들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이러한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를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제 2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명확함을 위해 개별적으로 예시적인 방법들이 본원에 설명되었으나, 이들 방법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 에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블록 60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도 1) 중 적어도 하나가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61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블록 61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컨디션이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면, 블록 62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가 스위칭된다. 그러나, 열 컨디션이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지 않으면, 블록들 605, 61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은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추가의 예시적인 방법들을 통해 더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열 컨디션" 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온도들과 하나 이상의 임계 온도들 간의 비교와 같은 입력으로서 모니터링된 온도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을 그 범위 내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에는, 온도 임계들에 응답하여 더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와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 간의 스위칭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블록 70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도 1) 중 적어도 하나가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71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를 임계와 비교함으로써,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블록 71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면, 블록 72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는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 그러나,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블록들 705, 71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이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일단,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되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또는 그 회로 부분들은 과도한 열의 일부를 소멸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은 열이 소멸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모드를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다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72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중 적어도 하나는 다시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73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를 임계와 비교함으로써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이 다시 결정된다. 임계는 블록 715 에 관하여 전술된 것과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임계일 수도 있다. 블록 735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이면, 블록 74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는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스위칭되는 모드는 그것이 이전에 스위칭되었던 모드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모드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된 온도가 계속해서 임계를 초과하면, 블록 725, 73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은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도 8 에는,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하고 더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로 다시 스위칭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블록 80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도 1) 중 적어도 하나가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8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를 임계와 비교함으로써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블록 8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면, 무선링크 모드는 블록 8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 그러나,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블록들 805, 810 등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이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일단 덜 전력 집약적인 무선링크 모드로 스위칭되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또는 그 회로 부분들은 과도한 열의 일부를 소멸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은 열이 소멸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모드를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다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8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열을 소멸시킬 수도 있는 시간 동안, 적절한 기간 또는 지연 예를 들어 몇 초 후에 다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이 지연 후에, 무선링크 모드는 블록 8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스위칭되는 모드는 그것이 이전에 스위칭되었던 모드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모드일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모두로, 블록들 805, 81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 이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되도록 방법 (800) 은 계속적인 또는 루프형 방식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도 9 에는 모니터링된 온도 및 비-열 팩터 양자에 응답하여 무선링크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9 의 블록 90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도 1) 중 적어도 하나가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91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를 제 1 임계 (T1) 와 비교함으로써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블록 9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면, 블록 9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는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 제 1 임계가 비교적 높은 임계를 나타내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과도한 열의 임박한 손상 위험 또는 다른 유해한 영향에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손상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블록 915 에서 블록 920 으로의 직접 흐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는 지연 없이 스위칭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모니터링된 온도는 제 1 임계 (T1) 와 제 1 임계보다 낮은 제 2 임계 (T2) 양자와 비교되어,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보다 작지만 제 2 임계보다는 큰지를, 즉 제 1 임계와 제 2 임계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제 1 임계와 제 2 임계 사이의 온도 범위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과도한 열의 낮은 손상 위험 또는 다른 유해한 영향에 있을 수도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블록 9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와 제 2 임계 사이에 있지 않으면, 즉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2 임계 이하이면, 열 센서들 (157) 은 블록들 905, 91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모니터링되고 열 컨디션이 결정된다.
그러나, 모니터링된 온도가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에 대한 단지 보통의 위험을 나타내는 제 1 임계와 제 2 임계 사이에 있으면, 블록 9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출력 데이터 버퍼가 비워질 때까지 모드 스위칭은 연기 또는 지연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는 무선으로 송신되기 전에 디지털 형태로 정보를 버퍼링하는 출력 데이터 버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출력 데이터 버퍼는 명확함을 위해 도면 부호들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RF 트랜시버 (168) 내에 또는 메모리 (112) 내의 소프트웨어 구조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 더욱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정보가 송신되는 레이트가 CPU (110) 가 송신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그것을 출력 데이터 버퍼에 제공하는 레이트를 초과하면, 출력 데이터 버퍼는 결국 비워진다. 출력 데이터 버퍼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안 무선링크 모드가 스위칭되면, 이러한 데이터는 절대로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가 과도한 열의 임박한 손상 위험 또는 다른 유해한 영향들에 있을 수도 있는 경우들을 제외하고는, CPU (110) 가 송신을 위해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중 아무것도 손실되지 않도록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하기 전에 출력 데이터 버퍼가 비워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출력 데이터 버퍼의 컨디션은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추가의 팩터 또는 입력일 수도 있는 비-열 컨디션의 예이다. 이러한 비-열 컨디션의 다른 예는 RF 신호 링크의 컨디션이다.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의 스위칭을 연기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가 도 10 에 도시된다. 블록 100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센서들 (157)(도 1) 중 적어도 하나가 모니터링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블록 10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제어 로직 (292)(도 2) 이, RF 신호 링크 품질이, 모드가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면, 블록 10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는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
그러나, 모드 제어 로직 (292) 이, RF 신호 링크 품질이, 모드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면, RF 신호 링크 품질 뿐만 아니라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 (100) 의 열 컨디션이 블록 10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링크 모드 스위칭 방법에 대한 입력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블록 10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된 온도가 모드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에서 임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무선링크 모드는 블록 103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드가 덜 전력 집약적인 모드에서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면, 모드 스위칭은 블록들 1005, 1010 등에 관하여 전술된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연기 또는 지연될 수도 있다. 블록 1030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흐름은 N 번을 루프한다 (여기서, N 은 1 보다 큰 정수). 이러한 루프 동안 언제라도, 신호 품질은 모드 제어 로직 (292) 이 모드가 더 이상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개선될 수도 있다 (블록 1010).
대안으로, 이러한 루프 동안 언제라도, 모니터링된 온도는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블록 1025). 그러나, 프로세스가 신호 품질을 충분히 개선하지 않거나 온도를 충분히 감소시키지 않고 (루프 카운터 n 으로 표기된) N 번의 루프들을 완료하면, 무선링크 모드는 그렇더라도 블록 103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전력 집약적인 모드로 스위칭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드 스위칭 결정에서 추가적인 팩터 또는 입력으로서 RF 신호 링크 품질의 전술된 사용은 이러한 비-열 컨디션이 결정에 포함될 수도 있는 방법의 단지 일 예로써 의도되고, 다른 것들은 본 예 및 본원의 다른 설명들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발생할 것이다.
선택된 양태들이 상세히 예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각종 치환들 및 변경들이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4)

  1.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airlink) 선택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온도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덜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위로 증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임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 간격에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열 (non-thermal)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임계보다 높은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 경우 및 데이터 버퍼가 빈 경우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퍼에 상관없이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무선 주파수 무선링크 품질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
  12.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무선링크 모드들 중 선택된 모드에서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트랜시버 서브시스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상기 온도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며;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덜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위로 증가하였다고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함으로써 열 컨디션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임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 간격에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임계보다 높은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 경우 및 데이터 버퍼가 빈 경우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퍼에 상관없이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무선 주파수 무선링크 품질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연기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3.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모니터링된 상기 온도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덜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컨디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위로 증가하였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임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 간격에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임계보다 높은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 경우 및 데이터 버퍼가 빈 경우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퍼에 상관없이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무선 주파수 무선링크 품질을 포함하는,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연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시스템.
  34.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수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도록 적응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온도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덜 전력 집약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위로 증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에 의해 구현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임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에 의해 구현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 간격에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또한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링크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열 컨디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임계보다 높은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1 임계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지는 않는 경우 및 데이터 버퍼가 빈 경우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상기 제 2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퍼에 상관없이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열 컨디션은 무선 주파수 무선링크 품질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에 의해 구현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무선링크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더 전력 집약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32028A 2011-05-03 2012-04-30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KR101536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00,161 2011-05-03
US13/100,161 US8675615B2 (en) 2011-05-03 2011-05-03 Temperature-driven airlink selec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PCT/US2012/035843 WO2012151161A1 (en) 2011-05-03 2012-04-30 Temperature-driven airlink selec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65A KR20140014265A (ko) 2014-02-05
KR101536851B1 true KR101536851B1 (ko) 2015-07-14

Family

ID=4608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028A KR101536851B1 (ko) 2011-05-03 2012-04-30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75615B2 (ko)
EP (1) EP2705699A1 (ko)
JP (1) JP5805855B2 (ko)
KR (1) KR101536851B1 (ko)
CN (1) CN103621149B (ko)
WO (1) WO20121511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020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90060259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7646A1 (en) * 2010-02-08 2011-08-11 Maxlinea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power reduct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CN103765952B (zh) * 2011-08-17 2018-04-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无线电接入网络中的方法和控制网络节点
US9459879B2 (en) * 2012-06-08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mitigation with multiple processors
US9876762B2 (en) 2012-12-31 2018-01-23 Elwha Llc Cost-effective mobile connectivity protocols
US20140273935A1 (en) * 2013-03-15 2014-09-18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635605B2 (en) * 2013-03-15 2017-04-25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781664B2 (en) 2012-12-31 2017-10-03 Elwha Llc Cost-effective mobile connectivity protocols
US9832628B2 (en) 2012-12-31 2017-11-28 Elwha, Llc Cost-effective mobile connectivity protocols
US9451394B2 (en) 2012-12-31 2016-09-20 Elwha Llc Cost-effective mobile connectivity protocols
US9713013B2 (en) 2013-03-15 2017-07-18 Elwha Llc Protocol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connectivity maps
US9980114B2 (en) * 2013-03-15 2018-05-22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US9781554B2 (en) 2013-03-15 2017-10-03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third party authorization for a roote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706060B2 (en) 2013-03-15 2017-07-11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596584B2 (en) 2013-03-15 2017-03-14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by conditionally authorizing a charge to an account of a third party
US9866706B2 (en) 2013-03-15 2018-01-09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693214B2 (en) 2013-03-15 2017-06-27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843917B2 (en) 2013-03-15 2017-12-12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charge-authorized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706382B2 (en) 2013-03-15 2017-07-11 Elwha Llc Protocols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services cost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813887B2 (en) 2013-03-15 2017-11-07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responsive to charge authorization statuses
US9807582B2 (en) 2013-03-15 2017-10-31 Elwha Llc Protocols for facilitating broader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900232B2 (en) 2013-06-25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based on data activity
US10306654B2 (en) * 2015-04-09 2019-05-28 Altiostar Networks, Inc. Application intelligence controller
US10187282B2 (en) * 2015-10-01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dem management based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JP6675943B2 (ja) * 2016-07-06 2020-04-0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7466457B (zh) 2017-05-18 2020-11-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降低用户设备温度的方法、装置、基站和用户设备
US10470074B2 (en) 2017-07-20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based radio selection
US10193602B1 (en) 2017-08-31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throttling using RF diversity
US10372190B1 (en) * 2018-06-26 2019-08-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rbitrating communications by collocated communication circuitry
AU2020203964B2 (en) 2019-04-04 2021-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porting communication quality measurement resul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KR20200132161A (ko) *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210232531A1 (en) * 2020-01-27 2021-07-29 Swaroop Patel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ing Peripheral Devices to Host Computers
TWI796564B (zh) * 2020-05-12 2023-03-2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可熱插拔的儲存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886A (en) * 1994-09-26 1996-05-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temperature during transmissions
EP0800282A2 (en) * 1996-04-02 1997-10-08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for remot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311B1 (en) * 1998-11-20 2004-07-06 Ericsson Inc. Thermal 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data modem
JP4991117B2 (ja) * 2005-03-02 2012-08-0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JP4624227B2 (ja) 2005-09-29 2011-02-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8923852B2 (en) * 2006-11-01 2014-12-30 Seven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ser equipment decision-making criteria for connectivity and handover
US8346315B2 (en) 2007-09-10 2013-0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aware selec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y
US8265588B2 (en) * 2009-06-29 2012-09-11 Motorola Mobility Llc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CN101848518B (zh) * 2010-06-1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模无线终端及其切换方法
CN101917692B (zh) * 2010-06-17 2013-11-27 吕笑 一种移动终端、生命探测仪、灾后搜救系统和方法
US8452323B2 (en) * 2011-09-22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thermally optimal uplink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886A (en) * 1994-09-26 1996-05-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temperature during transmissions
EP0800282A2 (en) * 1996-04-02 1997-10-08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for remote st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020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90060259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US11218938B2 (en) 2017-11-24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220076436A (ko) * 2017-11-24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534559B1 (ko) 2017-11-24 2023-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1558A1 (en) 2012-11-08
JP2014519733A (ja) 2014-08-14
EP2705699A1 (en) 2014-03-12
CN103621149A (zh) 2014-03-05
US8675615B2 (en) 2014-03-18
WO2012151161A1 (en) 2012-11-08
KR20140014265A (ko) 2014-02-05
JP5805855B2 (ja) 2015-11-10
CN103621149B (zh)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851B1 (ko) 멀티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온도 구동형 무선링크 선택
US9351261B2 (en) Intelligent radio frequency power control
US8750187B2 (en) Data driven adaptive receive chain diversity processing
KR101598311B1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열적으로 최적인 업링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826430B2 (en) Controlling uplink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8139785B (zh) 用于基于关键性能指标的调制解调器管理的系统和方法
EP2699978B1 (en) Sensorless detection and management of thermal loading in a multi-processor wireless device
CN108370573A (zh) 调整信息传输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JP4383480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20110121297A (ko)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자동 심카드 선택을 위한 장치및 방법
TW201844061A (zh) 一種調整終端能力的方法、網路側設備及終端
CN104735248A (zh) 一种移动终端的温升控制的方法及装置
US20200192442A1 (en) Managing and distributing antenna power based on temperature
CN108076489A (zh) 一种小区选择的方法及装置
CN107015611B (zh) 便携设备中上下文辅助热量管理机制
CN113329465B (zh) 一种驻网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113092A (zh) 消息发送/接收方法、覆盖增强等级确定/获取方法及相关设备
JP2016508297A (ja) チャネル・アウェアなジョブ・スケジューリング
CN114007256B (zh) 终端装置、节能反馈方法、非暂态存储介质以及程序产品
US9344926B2 (en) Base station and handover processing method for digital trunking communication
CN108064035B (zh) 电子设备的通信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913491A (zh) 信道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666823A (zh) 网络设备及其执行的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JP5719250B2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14222357A (zh) 终端装置、节能方法、非暂态存储介质以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