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72B1 - 내시경 관절구조 - Google Patents

내시경 관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72B1
KR101535972B1 KR1020140064430A KR20140064430A KR101535972B1 KR 101535972 B1 KR101535972 B1 KR 101535972B1 KR 1020140064430 A KR1020140064430 A KR 1020140064430A KR 20140064430 A KR20140064430 A KR 20140064430A KR 101535972 B1 KR101535972 B1 KR 10153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il springs
portions
current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4006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72B1/ko
Priority to PCT/KR2015/004232 priority patent/WO20151828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이루어진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을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부재로 연결된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좌,우측으로 전류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2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힌지부재로 연결된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 전류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3,4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하면서,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 사이를 탄성부재로 연결구성하여, 형상기억합금 이루어진 제1,2,3,4코일스프링에 각각 전류를 공급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시켜 제1,2,3,4코일스프링을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을 굴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관절구조{Endoscopic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내시경 관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을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수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은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수술도구를 삽입하여, 내시경에 촬영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이러한 내시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도 작고 출혈도 적어 수술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하여, 개복수술이 필요한 거의 모든 수술에 대하여 내시경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고, 다른 의료분야에서도 내시경 수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내시경은 전체적으로 휘어지는 굴곡형이거나 혹은 전혀 굴곡되지 않는 강직 형태로 되는데, 굴곡형의 경우는 구강, 비강, 비인두 및 후두 관찰의 경우에 관찰을 원하는 부위에 고정된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사용이 다소 불편하여 진료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직형의 경우는 속이 깊은 환부로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환자가 급격히 움직일 경우 강직관이 인두부를 충격을 주어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2가 소개되었으나, 특허문헌1,2는 모두 와이어의 당김력을 이용하여 내시경을 굴곡지게 하였기 때문에, 특허문헌1,2와 다른 즉,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내시경을 굴곡 시킬 수 있는 내시경 관절구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381678호(2014. 03. 31. 등록) 특허문헌2 : 국내 등록특허 제10-1116394호(2012. 02. 07.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와이어의 당김력을 이용하지 않고 내시경을 굴곡 시킬 수 있는 내시경 관절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시경 관절구조에 있어서 힌지부재로 연결된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좌,우측으로 전류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2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재로 연결된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 전류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3,4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하면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 사이를 탄성부재로 연결구성하여,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각각 공급해 제1,2,3,4코일스프링을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 좌,우측 사이를 각각 좁혀 좌,우측으로 각각 굴곡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 상,하부측 사이를 각각 좁혀 상,하부측으로 각각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이루어진 제1,2,3,4코일스프링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시켜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을 굴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2,3,4코일스프링을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와 제2실시예에 따른 굴곡 마디부에 형성된 수납공간과 커버부재로 감싸기 때문에, 전류를 공급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제1,2,3,4코일스프링의 발산되는 열을 최대한 차단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3,4코일스프링이 커버부재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1,2,3,4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에서 커버부재가 빠진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에서 커버부재가 장착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 4의 사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를 나타낸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의 제1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좌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의 제2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우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의 제3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상부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의 제4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하부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에서 커버부재가 빠진 부분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구조에서 커버부재가 장착된 부분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재,제2힌지부재가 장착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의 평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좌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우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상부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4코일스프링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을 하부측으로 굴곡 시키는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100A)을 이용하기 위해서 각 마디부의 내부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렌즈, 화상 촬영을 위한 대물렌즈,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 등과 같은 장치들을 마디부 선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은 한 쌍의 힌지부재(60)로 연결되어 평면상의 좌,우측으로만 굴곡되는 실린더 형상의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60)로 연결되어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만 굴곡되는 실린더 형상의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하면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를 탄성부재(50)로 연결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평면상의 상,하,좌,우측에 구성하며, 굴곡된 상태의 내시경 관절(100A)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에 연결된 힌지부재(60)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에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에 연결된 힌지부재(60)는 평면상의 좌,우측에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는 내측으로 수납공간(11)을 각각 형성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좌,우굴곡 마디부(10)의 수납공간(11) 상부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좌,우굴곡 마디부(10)의 수납공간(11) 하부면과 연결형성되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상,하부측 일부분을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은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평면상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코일스프링은(32)은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평면상의 우측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하여 기억시킨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지며,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를 공급받는 제1,2전선(31a)(32a)을 각각 연결구성한다.
즉,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은 하부측 좌,우굴곡 마디부(1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제1,2전선(31a)(32a)에서 각각 전류가 공급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는 내측으로 수납공간(21)을 각각 형성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상,하굴곡 마디부(20)의 수납공간(21) 상부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상,하굴곡 마디부(20)의 수납공간(21) 하부면과 연결형성되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상,하부측 일부분을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평면상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코일스프링은(42)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평면상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하여 기억시킨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지며,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를 공급받는 제3,4전선(41a)(42a)을 각각 연결구성한다.
즉,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은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제3,4전선(41a)(42a)에서 각각 전류가 공급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11)(21)의 수직면에는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의 주변으로 장착홈(11a)(21a)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감싸주는 커버부재(70)를 장착홈(11a)(21a)에 각각 끼움결합한다.
즉, 상기 수납공간(11)(21)과 커버부재(70)는 전류를 공급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서 발산되는 열을 최대한 차단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70)는 좌,우굴곡 마디부(10), 상,하굴곡 마디부(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과 전류공급장치(200)의 사이에는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제1,2,3,4전선(31a)(32a)(41a)(42a)에 각각 공급 및 차단을 해주는 상/하/좌/우 버튼(301)(302)(303)(304)이 형성된 조작부(300)를 다수개로 구성한다.
즉,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과 연결구성된 제1,2전선(31a)(32a)에 전류를 각각 공급 및 차단해주는 조작부(300)와, 제3,4코일스프링(41)(42)과 연결구성된 제3,4전선(41a)(42a)에 전류를 각각 공급 및 차단해주는 또 다른 조작부(300)를 구성하는 것처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마다 조작부(300)를 각각 따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00)는 버튼형식이 아닌 조이스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굴곡 마디부(10), 상,하굴곡 마디부(20), 커버부재(70)는 전류 공급에 의해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서 발산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좌 버튼(303)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1전선(31a)을 통해 제1코일스프링(31)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은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중 하부측 좌,우굴곡 마디부(1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는 힌지부재(60)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동시에 좌측의 사이가 좁혀지고 우측의 사이는 멀어져서 내시경 관절(100A)이 좌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전선(31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좌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2코일스프링(32)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우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의 상,하부 일부분은 수납공간(1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1코일스프링(31)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11)의 장착홈(1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1코일스프링(31)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A)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에 연결구성된 탄성부재(50)는 좌측으로 향할수록 수축되면서 우측으로 향할수록 팽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는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에 연결된 힌지부재(60)와 평면상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힌지부재(60)와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회전하지않고 오히려 힌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로 제3,4코일스프링(41)(42)이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좌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좌 버튼(303)을 다시 누르면 제1코일스프링(3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내시경 관절(100A)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시경 관절(100A)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우 버튼(304)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2전선(32a)을 통해 제2코일스프링(32)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은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중 하부측 좌,우굴곡 마디부(1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는 힌지부재(60)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동시에 좌측의 사이가 멀어지고 우측의 사이는 좁혀져서 내시경 관절(100A)이 우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2전선(32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우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1코일스프링(31)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좌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의 상,하부 일부분은 수납공간(1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2코일스프링(32)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11)의 장착홈(1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2코일스프링(32)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A)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에 연결구성된 탄성부재(50)는 우측으로 향할수록 수축되면서 좌측으로 향할수록 팽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는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에 연결된 힌지부재(60)와 평면상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힌지부재(60)와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회전하지않고 오히려 힌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로 제3,4코일스프링(41)(42)이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우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우 버튼(304)을 다시 누르면 제2코일스프링(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내시경 관절(100A)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시경 관절(100A)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상 버튼(301)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3전선(41a)을 통해 제3코일스프링(41)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중 하부측 상,하굴곡 마디부(2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는 힌지부재(60)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동시에 하부측의 사이가 멀어지고 상부측의 사이는 좁혀져서 내시경 관절(100A)이 상부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3전선(41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상부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4코일스프링(42)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하부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의 상,하부 일부분은 수납공간(2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3코일스프링(41)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21)의 장착홈(2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3코일스프링(41)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A)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에 연결구성된 탄성부재(50)는 상부측으로 향할수록 수축되면서 하부측으로 향할수록 팽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는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에 연결된 힌지부재(60)와 평면상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힌지부재(60)와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회전하지않고 오히려 힌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로 제1,2코일스프링(31)(32)이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상부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상 버튼(301)을 다시 누르면 제3코일스프링(4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내시경 관절(100A)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시경 관절(100A)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하 버튼(302)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4전선(42a)을 통해 제4코일스프링(42)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중 하부측 상,하굴곡 마디부(2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는 힌지부재(60)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동시에 상부측의 사이가 멀어지고 하부측의 사이는 좁혀져서 내시경 관절(100A)이 하부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4전선(42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하부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3코일스프링(41)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상부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의 상,하부 일부분은 수납공간(2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4코일스프링(42)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21)의 장착홈(2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4코일스프링(42)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A)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에 연결구성된 탄성부재(50)는 하부측으로 향할수록 수축되면서 상부측으로 향할수록 팽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는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에 연결된 힌지부재(60)와 평면상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힌지부재(60)와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회전하지않고 오히려 힌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로 제1,2코일스프링(31)(32)이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하부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하 버튼(302)을 다시 누르면 제4코일스프링(4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내시경 관절(100A)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시경 관절(100A)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한편, 도 7 내지 도 14는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를 한 방향으로만 조작하여 내시경 관절(100A)을 상,하,좌,우 굴곡시켰지만, 구강, 비강, 비인두 및 후두 등의 환부 부위의 보다 정밀한 시야 확보를 위해 각각의 조작부(300)의 상,하,좌,우 버튼(301)(302)(303)(304)을 각각 조작할 수도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4와 달리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를 힌지부재(60)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제3,4코일스프링(41)(42)에도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를 힌지부재(60)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3,4코일스프링(41)(4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를 힌지부재(60)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제1,2코일스프링(31)(32)에도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를 힌지부재(60)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을 좌,우로 굴곡하기 위해 제1,2코일스프링(31)(32)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3,4코일스프링(41)(42)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과,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을 상,하로 굴곡하기 위해 제3,4코일스프링(41)(42)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1,2코일스프링(31)(32)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과 다르게, 각각의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의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100A)을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를 각각의 조작부(300)로 각각 따로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 관절(100A)을 다양한 형태로 굴곡시킬 수 있으며, 환부 부위의 상황에 맞게 내시경 관절(100A)을 굴곡시켜 보다 정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00)는 버튼형식이 아닌 조이스틱으로 형성하여, 내시경 관절(100A)을 굴곡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신체에 삽입되는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을 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면서 조명렌즈로 시야를 확보하며 대물렌즈로 촬영하고, 촬영시 필요에 따라 노즐을 통해 공기와 물을 분사하여 병변부위나 추후 시술을 위한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다.
이때, 상기 내시경 관절(100A)이 신체의 내부로 유입될 때는 미리 시술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관절(100B)을 이용하기 위해서 각 마디부의 내부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렌즈, 화상 촬영을 위한 대물렌즈,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 등과 같은 장치들을 마디부 선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은 한 쌍의 제1힌지부재(61)로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와,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반복하여 배열하고, 배열된 각각의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한 쌍의 제2힌지부재(62)로 연결구성한다.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회전되게 연결된 제1힌지부재(61)는 평면상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배열된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회전되게 연결된 제2힌지부재(62)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힌지부재(61)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만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제2힌지부재(62)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평면상의 좌,우측으로만 회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이 상,하부측으로 굴곡될 때에는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가 제2힌지부재(62)에 고정된 상태로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며, 내시경 관절(100B)이 좌,우측으로 굴곡될 때에는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가 제1힌지부재(61)에 고정된 상태로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굴곡 마디부(80)의 내측에는 상,하부로 한 쌍의 수납공간(81)을 형성하여, 한쪽 단면이 'ㅏ'형태로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중앙측 한 쌍의 수납공간(81)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하부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상부면과 연결형성되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상,하부 일부분을 수납한다.
또한,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이 연결형성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상,하부측 수납공간(81)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상부면에 일단이 연결형성되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하부 일부분을 수납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하부면에 일단이 연결형성되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상부 일부분을 수납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타단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부에 배열된 또 다른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하부면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하부에 배열된 또 다른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상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상부면에 각각 연결형성되어, 상기 또 다른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수납공간(81)으로 제1,2코일스프링(31)(32)의 일부분을 각각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1)(32)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평면상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3,4코일스프링은(41)(42)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평면상의 상,하부측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하여 기억시킨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지며,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를 공급받는 제1,2,3,4전선(31a)(32a)(41a)(42b)을 각각 연결구성한다.
즉,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은 하부측에 위치한 굴곡 마디부들(8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제1,2,3,4전선(31a)(32a)(41a)(42a)에서 각각 전류가 공급되어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81)의 수직면에는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의 주변으로 장착홈(81a)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감싸주는 커버부재(70)를 장착홈(81a)에 각각 끼움결합한다.
즉, 상기 수납공간(81)과 커버부재(70)는 전류를 공급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의 발산되는 열을 최대한 차단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70)는 굴곡 마디부(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과 전류공급장치(200)의 사이에는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제1,2,3,4전선(31a)(32a)(41a)(42a)에 각각 공급 및 차단을 해주는 상/하/좌/우 버튼(301)(302)(303)(304)이 형성된 조작부(300)를 다수개로 구성한다.
즉,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과 연결구성된 제1,2전선(31a)(32a)에 전류를 각각 공급 및 차단해주는 조작부(300)와, 제3,4코일스프링(41)(42)과 연결구성된 제3,4전선(41a)(42a)에 전류를 각각 공급 및 차단해주는 또 다른 조작부(300)를 구성하는 것처럼, 제1,2힌지부재(61)(62)와 회전되게 연결된 각각의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마다 조작부(300)를 각각 따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00)는 버튼형식이 아닌 조이스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굴곡 마디부(80)와 커버부재(70)는 전류 공급에 의해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서 발산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좌 버튼(303)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1전선(31a)을 통해 제1코일스프링(31)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1힌지부재(61)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고정된 상태로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힌지부재(61)는 제2힌지부재(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제1힌지부재(61)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회전하지 않게 되며, 제3,4코일스프링(41)(42)은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힌지부재(62)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평면상 좌측은 사이가 좁혀지고 평면상 우측의 사이는 멀어져서 내시경 관절(100B)이 좌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전선(31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좌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2코일스프링(32)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굴곡 마디부(10)의 우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1)의 상,하부 일부분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간(81)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1코일스프링(31)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81)의 장착홈(8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1코일스프링(31)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B)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좌 버튼(303)을 다시 누르면 제1코일스프링(31)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내시경 관절(100B)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우 버튼(304)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2전선(32a)을 통해 제2코일스프링(32)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1힌지부재(61)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고정된 상태로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힌지부재(61)는 제2힌지부재(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제1힌지부재(61)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회전하지 않게 되며, 제3,4코일스프링(41)(42)은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힌지부재(62)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평면상 우측은 사이가 좁혀지고 평면상 좌측의 사이는 멀어져서 내시경 관절(100B)이 우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2전선(32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우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1코일스프링(31)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굴곡 마디부(10)의 좌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2코일스프링(32)의 상,하부 일부분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간(81)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2코일스프링(32)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81)의 장착홈(8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2코일스프링(32)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B)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우 버튼(304)을 다시 누르면 제2코일스프링(32)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내시경 관절(100B)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1,2코일스프링(31)(3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상 버튼(301)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3전선(41a)을 통해 제3코일스프링(41)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2힌지부재(62)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고정된 상태로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2힌지부재(62)는 제1힌지부재(6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제2힌지부재(62)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회전하지 않게 되며, 제1,2코일스프링(31)(32)은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힌지부재(61)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평면상 상부측은 사이가 좁혀지고 평면상 하부측의 사이는 멀어져서 내시경 관절(100B)이 상부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3전선(41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상부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4코일스프링(42)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굴곡 마디부(10)의 하부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3코일스프링(41)의 상,하부 일부분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간(81)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3코일스프링(41)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81)의 장착홈(8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3코일스프링(41)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B)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상 버튼(301)을 다시 누르면 제3코일스프링(41)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내시경 관절(100B)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하 버튼(302)을 누르게 되면 전류공급장치(200)의 전류가 제4전선(42a)을 통해 제4코일스프링(42)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굴곡 마디부(80)의 무게에 의해 팽창된 형태로 있다가 전류 공급에 따른 온도의 상승으로 수축된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2힌지부재(62)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고정된 상태로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2힌지부재(62)는 제1힌지부재(6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에 연결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는 제2힌지부재(62)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회전하지 않게 되며, 제1,2코일스프링(31)(32)은 수축 및 팽창의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힌지부재(61)에 회전되게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평면상 하부측은 사이가 좁혀지고 평면상 상부측의 사이는 멀어져서 내시경 관절(100B)이 하부측으로 굴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은 수축된 형태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 즉, 나이티놀(니켈과 티타늄 합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4전선(42a)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본래의 수축된 형태로 복귀되어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하부측의 사이를 좁혀지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제3코일스프링(41)은 평상시보다 더욱 팽창되어 한 쌍의 굴곡 마디부(10)의 상부측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4코일스프링(42)의 상,하부 일부분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간(81)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4코일스프링(42)의 열을 1차적으로 막으며, 상기 수납공간(81)의 장착홈(81a)에 끼움결합된 커버부재(70)에 의해 전류 공급에 따른 제4코일스프링(42)의 열을 2차적으로 막아, 상기 열이 내시경 관절(100B)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준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의 하 버튼(302)을 다시 누르면 제4코일스프링(42)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내시경 관절(100B)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70)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제3,4코일스프링(41)(42)의 탄성력에 따른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6은 각각의 상기 조작부(300)를 한 방향으로만 조작하여 내시경 관절(100B)을 상,하,좌,우 굴곡시켰지만, 구강, 비강, 비인두 및 후두 등의 환부 부위의 보다 정밀한 시야 확보를 위해 각각의 조작부(300)의 상,하,좌,우 버튼(301)(302)(303)(304)을 각각 조작할 수도 있다.
즉, 도 19 내지 도 26과 달리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제3,4코일스프링(41)(42)에도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3,4코일스프링(41)(4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제1,2코일스프링(31)(32)에도 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9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을 좌,우로 굴곡하기 위해 제1,2코일스프링(31)(32)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3,4코일스프링(41)(42)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과,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을 상,하로 굴곡하기 위해 제3,4코일스프링(41)(42)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1,2코일스프링(31)(32)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과 다르게, 각각의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시경 관절(100B)을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반복하여 배열된 각각의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각각의 조작부(300)로 각각 따로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내시경 관절(100B)을 다양한 형태로 굴곡시킬 수 있으며, 환부 부위의 상황에 맞게 내시경 관절(100B)을 굴곡시켜 보다 정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00)는 버튼형식이 아닌 조이스틱으로 형성하여, 내시경 관절(100B)을 굴곡 시킬수도 있다
이처럼, 신체에 삽입되는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을 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면서 조명렌즈로 시야를 확보하며 대물렌즈로 촬영하고, 촬영시 필요에 따라 노즐을 통해 공기와 물을 분사하여 병변부위나 추후 시술을 위한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다.
이때, 상기 내시경 관절(100B)이 신체의 내부로 유입될 때는 미리 시술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좌,우굴곡 마디부 11 : 수납공간
20 : 상,하굴곡 마디부 21 : 수납공간
31 : 제1코일스프링 32 : 제2코일스프링
41 : 제3코일스프링 42 : 제4코일스프링
50 : 탄성부재 60 : 힌지부재
61 : 제1힌지부재 62 : 제2힌지부재
70 : 커버부재 80 : 굴곡 마디부
81: 수납공간 100A,100B : 내시경 관절
200 : 전류공급장치 300 : 조작부

Claims (6)

  1. 내시경 관절구조에 있어서,
    힌지부재(60)로 연결된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좌,우측으로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재(60)로 연결된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하면서,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와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사이를 탄성부재(50)로 연결구성하여,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해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좌,우굴곡 마디부(10) 좌,우측 사이를 각각 좁혀 좌,우측으로 각각 굴곡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상,하굴곡 마디부(20) 상,하부측 사이를 각각 좁혀 상,하부측으로 각각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굴곡 마디부(10)와 상,하굴곡 마디부(20)는 내측에 수납공간(11)(21)을 형성하여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감싸주는 커버부재(70)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4. 내시경 관절구조에 있어서,
    제1힌지부재(61)로 연결된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사이에는 평면상의 상,하부측으로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반복하여 배열하고, 배열된 각각의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를 제2힌지부재(62)로 연결구성하고,
    배열된 상기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와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 사이에는 평면상의 좌,우측으로 전류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2코일스프링(31)(32)을 구비하여,
    상기 제3,4코일스프링(41)(4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해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제1힌지부재(61)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상,하부측 사이를 각각 좁혀 상,하부측으로 각각 굴곡시키고,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32)에 전류를 각각 공급해 각각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제2힌지부재(62)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굴곡 마디부(80)의 좌,우측 사이를 각각 좁혀 좌,우측으로 각각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마디부(80)는 내측에 한 쌍의 수납공간(81)을 형성하여, 제1,2코일스프링(31)(32)과 제3,4코일스프링(41)(42)을 각각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코일스프링(31)(32)(41)(42)을 감싸주는 커버부재(70)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관절구조.
KR1020140064430A 2014-05-28 2014-05-28 내시경 관절구조 KR10153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30A KR101535972B1 (ko) 2014-05-28 2014-05-28 내시경 관절구조
PCT/KR2015/004232 WO2015182886A1 (ko) 2014-05-28 2015-04-28 내시경 관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30A KR101535972B1 (ko) 2014-05-28 2014-05-28 내시경 관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972B1 true KR101535972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430A KR101535972B1 (ko) 2014-05-28 2014-05-28 내시경 관절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5972B1 (ko)
WO (1) WO2015182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12A1 (ko) * 2019-07-09 2021-01-14 제이와이피글로벌 주식회사 산업용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7275B (zh) * 2019-09-17 2024-01-19 重庆金山医疗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万向节可调节蛇骨和内窥镜
TWI777396B (zh) * 2021-01-29 2022-09-11 施長碧 新型內視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223A (ja) * 2012-06-01 2013-12-12 Olympus Corp 回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684A (ja) * 1993-10-25 1995-05-12 Olympus Optical Co Ltd 多関節可撓管
JP2007289389A (ja) * 2006-04-25 2007-11-08 Olympus Corp 湾曲機構
JP2008023089A (ja) * 2006-07-21 2008-02-07 Olympus Corp 湾曲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223A (ja) * 2012-06-01 2013-12-12 Olympus Corp 回動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12A1 (ko) * 2019-07-09 2021-01-14 제이와이피글로벌 주식회사 산업용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2886A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972B1 (ko) 내시경 관절구조
JP5898274B2 (ja) 回動プリズム内視鏡
US8133171B2 (en) Wire spring guide for flexible endoscope
KR102347945B1 (ko)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TWI659728B (zh) 具末端轉向機構的微創手術用具
JP2004358240A (ja) 尿管切除鏡
CN109862934A (zh) 扩张系统
CN109688894B (zh) 内窥镜和内窥镜系统
JPWO2016147471A1 (ja) 処置具
KR102130881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관절 장치
JP6605594B2 (ja) 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490001B2 (ja) メディカルシステム
JP6341488B2 (ja) 屈曲機構を有する挿入器具
JP7053581B2 (ja) 除神経用カテーテル
US20210068619A1 (en) Endoscope having chain locking prevention function
KR100949998B1 (ko)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내시경
JP2016150214A (ja) 医療用カメラおよびトロカール
KR20200050227A (ko) 수술 장치
JPWO2020136814A1 (ja) 電極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S62201133A (ja) 内視鏡用插入補助具
CN1903116B (zh) 内窥镜
KR101418833B1 (ko) 내외측 힌지 상호작용식 무릎보조기
JPWO2017203582A1 (ja) 内視鏡用デバイス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WO2016199478A1 (ja) 内視鏡
JP6806791B2 (ja) 医療用摘出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