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824B1 - 자전거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24B1
KR101534824B1 KR1020130118533A KR20130118533A KR101534824B1 KR 101534824 B1 KR101534824 B1 KR 101534824B1 KR 1020130118533 A KR1020130118533 A KR 1020130118533A KR 20130118533 A KR20130118533 A KR 20130118533A KR 101534824 B1 KR101534824 B1 KR 10153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eeth
support
cover
handl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023A (ko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규 filed Critical 이정규
Priority to KR102013011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핸들바가 내부에 결합되도록 스템의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치합되고,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측면에 제1톱니가 각각 형성되는 제1핸들바 및 제2핸들바가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 상부에서 상기 핸들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의 결합각도를 고정하는 커버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핸들부와 커버부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회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조향장치{Handles for bik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바의 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란 사전적 의미로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으로써,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바퀴를 돌려 운전이 이루어지며, 대개 바퀴는 두 개가 일반적이고, 세 개 또는 네 개짜리도 있다.
여기서 핸들이라 불리는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일자 파이프 형식으로 된 플렛 바, 중앙 부분이 살짝 휘어져 있는 라이져 바, 로드 싸이클에 많이 사용되는 드롭 바, 불 바(Bull bar)라고도 불리는 불혼바, 체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TT바, 투어링 용으로 제작된 트레킹 바, 멀티 바, 여성용이나 크류져용 등으로 사용되는 갈매기 바, 묘기를 위해 만들어진 BMX 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자전거용 조향장치는 대개 용도와 편의성에 따라서 지정된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취미나 또는 레저 활동으로 자전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접이식 자전거나 보관이 용이한 자전거 등이 속속 출시되고 있고, 이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의 운반 및 보관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512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용 핸들은 수직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할 뿐 수평방향으로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핸들 바의 각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변경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보관 또는 운반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1100호(2012.2.7. 공개)에는 수평방향으로 핸들 바를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핸들 바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바의 각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자유자제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핸들바를 일렬로 정렬하거나 보관 시 접철할 수 있는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용 핸들바가 내부에 결합되도록 스템의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치합되고,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측면에 제1톱니가 각각 결합되는 제1핸들바 및 제2핸들바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 상부에서 상기 핸들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의 결합각도를 고정하는 커버부 및 상기 지지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핸들부와 커버부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회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핸들부는 각각의 상기 제1톱니가 수평방향으로 치합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1톱니의 상면에 형성된 제2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상기 제2톱니에 대응하여 치합되도록 형성된 제3톱니를 포함하여, 상기 제2톱니와 제3톱니가 수직방향으로 치합하여 상기 제1핸들바 및 제2핸들바의 결합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조향장치는 상기 제1톱니와 제1핸들바 또는 상기 제2톱니와 제2핸들바 사이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결합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톱니와 제1핸들바 또는 상기 제2톱니와 제2핸들바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바와 제2핸들바는 상기 결합바 상에서 각각 상기 결합편과 동시 타격에 의해 결합되되, 각각의 상기 결합바 일 단부는 상기 결합편의 타격에 의해 상기 제1핸들바 또는 제2핸들바 내주면에 가압되고, 상기 제1핸들바 또는 제2핸들바와 상기 결합바가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일 단부에 마련되어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캠과, 타 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캠 내부에 회전축이 배치되고,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지지부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타 단부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고리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조향장치는 상기 커버부와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리볼트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리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조향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레버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동하는 상기 레버부의 마모에 따른 높이를 보상하는 부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쉬부는 상기 레버부의 일 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부쉬와, 상기 지지부 저면과 제1부쉬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부쉬가 마모됨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 저면과 제1부쉬 사이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2경사면이 저면에 형성된 제2부쉬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2부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시키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쉬는 상기 제2부쉬가 상기 제1부쉬 상부에서 경사방향을 따라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경사면의 경사방향 상면 양 측을 따라서 돌출되는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핸들바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둘째, 핸들바를 접철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또는 운반이 용이해지며,
셋째, 핸들바의 각도 조절에 따른 부쉬부가 마모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주기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분해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부쉬부가 마모되기 전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5에 각각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부쉬부가 마모된 후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수평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접철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를 분해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는 사용자가 양 손을 사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핸들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는 일반적인 자전거뿐만 아니라, 2륜차 또는 3륜차 등의 소형 바이크류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는 스템(Stem, 1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 내부에 결합되어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120)와, 상기 핸들부(120) 상측에서 상기 지지부(110)와 결합되는 커버부(130) 및 상기 지지부(110)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130)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버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템(10)은 자전거의 상부 프레임에 해당하는 탑튜브와, 그 아래 배치되는 다운튜브가 만나는 헤드튜브 상단에 배치되며, 하방에는 포크와 연결되어 앞바퀴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템(10)의 일 단부에는 일반적으로 핸들바가 고정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부(110)가 마련되어 제1핸들바(121)와 제2핸들바(122)가 치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제1핸들바(121)와 제2핸들바(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핸들바(121)와 제2핸들바(122)의 측면에는 각각 제1톱니(121a, 1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121a, 122a)의 상면에는 각각 제2톱니(121b, 12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10) 내부에서 상기 제1핸들바(121)에 결합된 좌측 제1톱니(121a)와 상기 제2핸들바(122)에 결합된 우측 제1톱니(122a)가 치합되어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1핸들바(121)와 제2핸들바(122)는 수평방향으로 동일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와 우측 제1톱니(122a) 각각의 일 단부에는 결합바(1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125)의 내부에는 결합편(123)이 삽입되며, 상기 결합편(123)과 결합바(125) 및 상기 제1핸들바(121) 또는 제2핸들바(122)는 특정 공구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의 상면에는 좌측 제2톱니(121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제1톱니(122a)의 상면에는 우측 제2톱니(122b)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제2톱니(121b)와 우측 제2톱니(122b)는 상기 커버부(130)의 저면에 형성된 제3톱니(131)와 선택적으로 치합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상기 레버부(140)는 상기 지지부(1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일 단부에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캠(141)과, 타 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140)는 상기 캠(141)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버부(140)가 상기 지지부(110) 하측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리볼트(143)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볼트(143)는 일 단부에 회전축(144)에 의해 상기 캠(141)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부(110)와 각각의 제1톱니(121a, 122a)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130) 내부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톱니(121a, 122a)들의 상부에는 각각 상기 고리볼트(143)가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핸들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60)와, 상기 지지부재(160)들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리볼트(14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리볼트(143)는 상기 레버부(140)와 상기 커버부(13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부(140)가 상기 지지부(110)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리볼트(143)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이격되어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부(130)와 핸들부(1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상기 핸들부(120)의 수평방향 회동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상기 레버부(140)가 상기 지지부(110)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리볼트(143)가 상기 캠(141)의 외경 변화에 의해 하측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커버부(130)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커버부(130)와 핸들부(120) 사이에 틈이 없어지면서 상기 핸들부(120)의 각도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에서 상기 핸들부(120)의 각도가 고정되는 내용은 후기한다.
상기 레버부(140)와 지지부(110) 사이에는 상기 레버부(140)와 지지부(110) 사이에 마찰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쉬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부쉬부(150)는 상기 레버부(140)의 캠(141)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부쉬(151)와, 상기 제1부쉬(151)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부쉬(151)와 지지부(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2부쉬(152)와, 상기 제2부쉬(15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편(15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153)은 상기 지지부(110)의 측방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상기 지지편(153)이 상기 지지부(1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54)이 마련된다.
상기 제1부쉬(151)는 저면이 상기 캠(14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호(弧) 형상으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14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1부쉬(151)는 마찰에 의해 점점 마모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쉬(151)의 상면에는 제1경사면(15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151a)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양 측에 돌출되는 단턱(15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부쉬(152)는 상기 제1경사면(151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151a)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152a)이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151a)과 제2경사면(152a)은 상기 레버부(140)가 회동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153)의 외주면과 상기 제2부쉬(152)의 내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편(153)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2부쉬(152)는 상기 단턱(151b) 및 제1경사면(151a)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부쉬부(150)가 마모되기 전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140)는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10)와 커버부(130)가 소정 간격 틈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있다. 상기 부쉬부(150)는 상기 제1부쉬(151) 상부에 동일 위치에 상기 제2부쉬(152)가 배치되고, 상기 제1부쉬(151)는 전혀 마모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레버부(140)는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커버부(130)가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부(11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부(13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3톱니(131)는 상기 우측 제2톱니(122b)와 치합되어 상기 핸들부(120)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같은 상태를 반복하여 상기 레버부(140)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1부쉬(151)의 저면이 마모되면서 상기 제2부쉬(152)의 하방으로 이격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130)가 소정간격 유격이 발생하고, 상기 우측 제2톱니(122b)와 제3톱니(131)의 결합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5에 각각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부쉬부(150)가 마모된 후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부쉬(151)에 마모가 발생하면, 상기 제1부쉬(151)와 제2부쉬(152)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쉬(151)와 제2부쉬(152)의 상향 경사방향으로 상기 제2부쉬(152)가 이동하여 상기 제1부쉬(151)와 제2부쉬(152) 사이의 높이차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 제2부쉬(152)는 상기 지지편(153)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부쉬(151)의 제1경사면(151a)과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레버부(140)가 측방으로 회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부쉬(151)가 마모되기 전 상태와 동일하게 상기 제2부쉬(152)를 가압하고, 또한 상기 커버부(130)의 제3톱니(131)가 상기 우측 제2톱니(122b)와 정확하게 치합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수평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접철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와 우측 제1톱니(122a)가 치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도 9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와 우측 제1톱니(122a)가 회동하여 사용자 편의에 따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와 우측 제1톱니(122a)는 상기 제1핸들바(121)와 제2핸들바(122)가 상기 스템(10) 상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회동하여, 자전거를 운반하거나 보관이 용이해지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120)를 수평하게 일렬로 배치하거나,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상기 좌측 제1톱니(121a)와 우측 제2톱니(122b)가 회동하여 소정각도 구부러진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2에 나타낸 자전거용 조향장치(1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핸들바(121)는 상기 결합바(125)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바(125) 내부에는 상기 결합편(123)이 삽입된다.
상기 제1핸들바(121)의 결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1b와 같이, 상기 결합바(125)의 일 단부 상에서 내부로 상기 결합편(123)이 일부 삽입된다. 상기 결합편(123)은 일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삽입되는 일 측이 단면적이 작고, 타 측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125)는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프레임 형상으로 상기 결합바(12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외주면이 절개된 절개홈(1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편(123)이 삽입되는데 탄력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합바(125)가 제1핸들바(121) 내부로 일부 결합되고, 상기 결합바(125)와 제1핸들바(121)와 결합편(123)이 가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핸들바(121) 내부에는 특정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제1핸들바(121)와 결합편(123)을 동시에 가격하여 도 11c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편(123)이 압축되면서 상기 결합바(125) 내주면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결합바(125)는 상기 제1핸들바(121)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전거용 조향장치
110 : 지지부 120 : 핸들부
130 : 커버부 140 : 레버부
150 : 부쉬부 160 : 지지부재
170 : 탄성부재

Claims (10)

  1. 자전거의 스템(10) 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치합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제1톱니(121a,122a) 및 이 한 쌍의 제1톱니(121a,122a)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톱니(121b,122b)와, 상기 제1톱니(121a,122a)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핸들바(121) 및 제2핸들바(122)를 구비하는 핸들부(120);
    상기 핸들부(120)의 제2톱니(121b,122b)와 선택적으로 상하 치합되는 한 쌍의 제3톱니(131)를 갖추고, 핸들부(120) 상부에서 한 쌍의 제1,2톱니(121a,122a), (121b,122b)를 감싸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핸들부(120)의 결합각도를 고정하는 커버부(130) 및
    상기 지지부(110) 하측에 배치되어 커버부(130)를 상하 이동시켜 핸들부(120)의 제2톱니(121b,122b)와 커버부(130)의 제3톱니(131)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부(110) 및 핸들부(120)의 제2톱니(121b,122b)를 관통하여 커버부(130)의 제3톱니(131) 내측에 관통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볼트(143)와, 이 고리볼트(143)와 연동될 수 있게 고리볼트(143)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제1톱니(121a,122a)의 측방향으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핸들바(121) 또는 제2핸들바(122)가 결합되는 결합바(125)와,
    상기 결합바(125) 내부에 삽입되어 제1톱니(121a,122a)와 제1핸들바(121) 또는 제2핸들바(122)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편(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140)는,
    일 단부에 마련되어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캠(141)과, 타 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고리볼트(143)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60)와, 상기 지지부재(160)들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고리볼트(143)의 외주면 상에 끼움 결합되어 고리볼트(14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커버부(130)와 지지부재(16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와 레버부(14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부(110) 상에서 회동하는 레버부(140)의 캠(141) 마모에 따른 높이를 보상하는 부쉬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쉬부(150)는,
    상기 레버부(140)의 일 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제1경사면(151a)이 형성되는 제1부쉬(151)와,
    상기 지지부(110) 저면과 제1부쉬(151)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부쉬(151)가 마모됨에 따라서 지지부(110) 저면과 제1부쉬(151) 사이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제1경사면(151a)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2경사면(152a)이 저면에 형성된 제2부쉬(152)와,
    상기 지지부(110) 상에서 제2부쉬(15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시키는 지지편(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향장치.
  10. 삭제
KR1020130118533A 2013-10-04 2013-10-04 자전거용 조향장치 KR10153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33A KR101534824B1 (ko) 2013-10-04 2013-10-04 자전거용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33A KR101534824B1 (ko) 2013-10-04 2013-10-04 자전거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23A KR20150040023A (ko) 2015-04-14
KR101534824B1 true KR101534824B1 (ko) 2015-07-08

Family

ID=5303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533A KR101534824B1 (ko) 2013-10-04 2013-10-04 자전거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14A (ko)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자전거 조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354Y1 (ko) * 1989-12-12 1994-08-10 최용철 자전거 원핸들 부착장치
KR200181813Y1 (ko) * 1997-11-06 2000-06-01 안상길 자전거핸들의 각도 조절장치
KR20120011100A (ko) * 2010-07-01 2012-02-07 제너럴로터(주) 접이식 핸들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354Y1 (ko) * 1989-12-12 1994-08-10 최용철 자전거 원핸들 부착장치
KR200181813Y1 (ko) * 1997-11-06 2000-06-01 안상길 자전거핸들의 각도 조절장치
KR20120011100A (ko) * 2010-07-01 2012-02-07 제너럴로터(주) 접이식 핸들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14A (ko)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자전거 조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23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083B2 (en) Drift scooter
KR101250018B1 (ko) 전륜부조향자전거
US7988169B2 (en) Bicycle without seat
US20020050695A1 (en) Tricycle
EA201170216A1 (ru) Велосипед
TWI576272B (zh) 使用者推進式騎乘車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20140112703A1 (en) Adjustable seat tubing device for a bicycle
ITMI20062322A1 (it)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ltezza di selle o manubri
KR20150084653A (ko) 차별화된 작동 유닛을 구비한 자전거
KR101534824B1 (ko) 자전거용 조향장치
US20100253036A1 (en) Wheeled Vehicle that is Operated by Stepping Upward and Downward
US8292316B2 (en) Angle-adjusting head parts for front fork
KR101247098B1 (ko) 전륜조향자전거
KR20150124568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CN103950501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前轮代步器
US20070085298A1 (en) Bicycle improved with two front wheels
JP2007261556A (ja) 折りたたみ自転車
US20140049023A1 (en) Bicycle stem
US9671062B2 (en) Adjusting group
JP3150566U (ja) 自転車に使用する交換可能なヘッドパイプ
CN202593777U (zh) 手脚双驱无链自行车
KR200363709Y1 (ko) 무핸들 삼륜 자전거
JP3180848U (ja) 子供用乗り物
US20100109281A1 (en) Bicycle handle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 additional rider on a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