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318B1 -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 Google Patents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318B1
KR101534318B1 KR1020130126181A KR20130126181A KR101534318B1 KR 101534318 B1 KR101534318 B1 KR 101534318B1 KR 1020130126181 A KR1020130126181 A KR 1020130126181A KR 20130126181 A KR20130126181 A KR 20130126181A KR 101534318 B1 KR101534318 B1 KR 10153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torage containers
belt
tablet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670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12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3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는 고정 프레임과, 분배 트레이와, 셔터와, 컨베이어와, 저장용기들과, 위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은 약제포장장치의 내측에 고정된다. 분배 트레이는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약제포장장치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분배받은 정제들을 수납하는 정제 분배홀들이 적어도 1열로 수평 배열된다. 셔터는 분배 트레이의 하측에서 정제 분배홀들을 개폐한다. 컨베이어는 분배 트레이가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열 방향의 정제 분배홀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를 구비한다. 저장용기들은 벨트의 외측면에 정제 분배홀들의 열 방향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송되며, 정제 분배홀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다. 위치 감지부는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컨베이어를 제어해서 저장용기들을 설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Tablet dispenser of drug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포장장치에 채용되는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조제자가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수작업으로 분배하면, 분배된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포장부로 자동 공급하는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약조제자의 수작업에 의한 약제포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약제포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약제포장장치는 다수의 정제카트리지가 다단으로 배열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정제카트리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제가 수납된다. 정제카트리지들에 수납된 정제는 약조제자의 컴퓨터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며, 정제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호퍼에 집결되어 약제포장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포장부에서 포장된다.
한편, 신약 개발 등으로 인해 기존의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를 조제하거나, 정제를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 조제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특수 형상의 정제에 맞게 정제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등 초기 세팅을 위한 세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약제포장장치에는 정제카트리지에 수납된 정제와 함께 특수 형상의 정제를 포장하거나 특수 형상의 정제만을 포장할 수 있도록 정제분배기가 채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정제분배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282668호(2001.04.02, 공고)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정제분배기의 상측에는 작업자가 분배한 정제들을 수용하는 정제투입구가 위치한다. 정제투입구는 다수의 분배공간들로 구획되며 구획된 분배공간들에 하측 개구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제투입구의 하측 개구들은 배출판에 의해 개폐된다.
정제수용구들은 정제투입구의 하측에 구비된다. 정제수용구들의 각 정제수용홈은 정제투입구의 각 하측 개구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정제투입구의 하측 개구들을 통해 낙하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정제수용구들은 컨베이어의 벨트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무한궤도 타입으로 이송된다. 정제수용구들에 담긴 정제들은 정제수용구들이 각각 컨베이어의 선단을 지나 방향 전환될 때 정제수용구들로부터 호퍼 상으로 낙하함으로써 포장부로 공급된다.
한편, 컨베이어는 벨트가 한 쌍의 풀리들에 감겨 무한궤도로 주행하게 된다. 그런데, 정제수용구들이 벨트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일 방향으로만 이송되므로, 정제분배기의 장기간 사용시 벨트와 풀리 간에 슬립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제수용구들을 정제투입구로부터 정제들을 공급받는 위치로 이송시킨 상태에서, 정제수용구들의 각 정제수용홈이 정제투입구의 각 하측 개구에 정확히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정제투입구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들이 정제수용구들에 정확히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벨트는 방향 전환되는 곡선 구간에서 휘어져 주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제수용구들이 벨트의 곡선 구간을 지날 때 벨트와 결합된 부위에 변형력(stress)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정제수용구들이 벨트와 결합되는 부위가 넓을수록 더 큰 변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는 컨베이어의 구동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분배 트레이로부터 정제들을 공급받는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는 고정 프레임과, 분배 트레이와, 셔터와, 컨베이어와, 저장용기들과, 위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은 약제포장장치의 내측에 고정된다. 분배 트레이는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약제포장장치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분배받은 정제들을 수납하는 정제 분배홀들이 적어도 1열로 수평 배열된다. 셔터는 분배 트레이의 하측에서 정제 분배홀들을 개폐한다. 컨베이어는 분배 트레이가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열 방향의 정제 분배홀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를 구비한다. 저장용기들은 벨트의 외측면에 정제 분배홀들의 열 방향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송되며, 정제 분배홀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다. 위치 감지부는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컨베이어를 제어해서 저장용기들을 설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분배기의 장기간 사용시 벨트와 풀리 간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벨트 상류측의 저장용기들은 분배 트레이의 정제 분배홀들에 각각 정확히 대응된 상태로 대기할 수 있으므로, 정제들을 정확히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들이 벨트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되므로, 저장용기들의 청결 유지 등과 같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들은 각각 분할된 형태로 벨트에 결합되므로, 컨베이어의 구동 부하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분배기가 채용되는 약제포장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분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분배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컨베이어와 저장용기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저장용기들 내의 정제들이 중간 호퍼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위치 감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저장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저장용기가 컨베이어에 장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저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일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저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저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일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있어서, 셔터에 의해 분배 트레이의 정제 분배홀들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 셔터에 의해 분배 트레이의 정제 분배홀들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2에 있어서, 선형 이동유닛에 의해 분배 트레이가 인출입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중간 호퍼로 공급된 정제를 최종 호퍼로 이송시키는 정제 이송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분배기가 채용되는 약제포장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약제포장장치(10)는 약조제자가 컴퓨터 조작에 의해 처방을 내리면, 그 처방 신호에 따라 상부에 다단으로 배열된 다수의 정제카트리지(11)들로부터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선택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약제포장장치(10)는 배출된 정제들이 배출 통로를 통해 최종 호퍼(hopper, 12)로 집결되어 낙하하면, 최종 호퍼(12)의 하측에서 포장부에 의해 포장한다.
여기서, 포장부는 약제포장장치(10)에서 처방에 따라 배출되는 정제들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제들을 포장지(P)에 포장할 수 있다. 최종 호퍼(12)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은 최종 호퍼(12)의 하측으로 포장지 공급기구(13)에 의해 이송 중인 포장지(P) 내에 1회 복용 분량씩 투입된다. 즉, 포장지(P)는 프린터(14)에 의해 인쇄리본(R)과 열 접촉되어 외면에 복용시간과 복용법 등의 각종 서지사항이 인쇄된 후, 최종 호퍼(12)의 하측에서 상부가 개구되게 폭이 반으로 접힌 형태로 이송된다. 그러면, 정제들은 포장지(P)의 상부 개구를 통해 1회 복용 분량씩 포장지(P) 내에 투입된다.
이후, 정제들은 포장지(P) 내에 투입된 상태로 히팅롤러(15)들 사이로 공급되며,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은 히팅롤러(15)들에 의해 1포씩 연속적으로 포장지(P)에 밀봉 포장된다. 정제들을 밀봉 포장한 포장지(P)는 컨베이어 모듈(17)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정제들을 밀봉 포장한 포장지(P)는 히팅롤러(15)들의 출구 쪽에 설치된 커터(16)에 의해 1일 분량 또는 수일 분량 등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포장장치(1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분배기(100)는 정제카트리지(11)들과 최종 호퍼(12) 사이에 설치되어 최종 호퍼(12) 내로 특수 정제들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 정제는 기존의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이거나,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진 형상을 갖는 정제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분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분배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컨베이어와 저장용기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정제분배기(100)는 고정 프레임(110)과, 분배 트레이(120)와, 셔터(130)와, 컨베이어(140)와, 저장용기(150)들과, 위치 감지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10)은 약제포장장치(10)의 내측에 고정된다. 분배 트레이(120)는 고정 프레임(110)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약제포장장치(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예컨대, 분배 트레이(120)는 약제포장장치(1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고정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분배 트레이(120)는 이동 프레임(126)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126)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선형 가이드에 의해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선형 가이드는 고정 프레임(11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111)와, 이동 프레임(126)에 형성된 이동 레일부(127)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부(111)와 이동 레일부(127)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126)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고정 프레임(110)에는 이동 프레임(126)의 원활한 선형 이동을 위해 이동 레일부(127)들의 각 하부에 맞닿아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분배 트레이(120)에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약조제자에 의해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분배받아 수납하는 정제 분배홀(121)들이 형성된다. 정제 분배홀(121)들은 1열로 수평 배열된다. 정제 분배홀(121)들은 열 방향을 따라 동일 피치로 배열된다. 정제 분배홀(121)들은 2열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배 트레이(120)는 이동 프레임(126)에 의해 약제포장장치(10) 외부의 정제수납 위치와 약제포장장치(10) 내의 정제배출 위치를 왕복 이동한다. 여기서, 정제수납 위치는 약조제자가 정제 분배홀(121)들에 정제들을 분배해서 수납할 수 있게 분배 트레이(120)가 약제포장장치(10) 외부로 인출된 위치에 해당한다. 정제배출 위치는 정제 분배홀(121)들에 수납된 정제들을 벨트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로 각각 배출시킬 수 있게 분배 트레이(120)가 약제포장장치(10) 내에 삽입된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정제 분배홀(121)마다 정제 수납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고, 정제 수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 감지부는 광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정제 분배홀(121)에 정제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에 수납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LED를 점등시키거나, 수납 표시로 설정된 색상의 LED를 점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수납 구분지시를 위해 LED를 점등한 후, 수납 완료시 LED를 점멸시킬 수도 있다.
셔터(130)는 분배 트레이(120)의 하측에서 정제 분배홀(121)들을 개폐한다. 셔터(130)는 정제 분배홀(121)들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분배홀(121)들의 각 하부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정제 분배홀(121)들에 각각 수납된 정제들이 저장용기(150)들에 공급될 수 있다. 셔터(130)는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컨베이어(140)는 분배 트레이(120)가 고정 프레임(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열 방향의 정제 분배홀(121)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141)를 구비한다. 벨트(141)는 한 쌍의 풀리(142)들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벨트(141)는 풀리(142)들과 슬립 방지될 수 있게 단면이 V 형상인 V-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풀리(142)들은 고정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142)들 중 하나는 회전 구동부(14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43)는 회전 모터와,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는 구동 축이 구동 기어에 결합된다. 종동 기어는 구동 기어와 치합되고, 풀리(142)의 회전 중심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풀리(142)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141)가 무한궤도로 주행할 수 있다.
저장용기(150)들은 벨트(141)의 외측면에 정제 분배홀(121)들의 열 방향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송되며, 정제 분배홀(121)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다. 저장용기(15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벨트(141)에 고정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60)는 저장용기(150)들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160)는 저장용기(150)들에 각각 설치된 마그네트부(161)들, 및 저장용기(150)들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어 마그네트부(161)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홀 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부(161)들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그네트부(161)는 한 쌍의 영구자석(161a)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영구자석(161a)들은 그 사이에 홀 센서(162)가 위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저장용기(150)에 부착될 수 있다.
홀 센서(162)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감지한다. 이를 이용하여, 홀 센서(162)는 마그네트부(161)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함에 따라 저장용기(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162)는 저장용기(150)들이 컨베이어(140)에 의해 이송될 때 저장용기(150)들의 각 마그네트부(161)가 순차적으로 대응되도록 고정 프레임(1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이 정제 분배홀(121)들로부터 정제들을 공급받는 위치로 정확히 이송된 상태에서, 홀 센서(162)는 저장용기(150)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홀 센서(162)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위치 감지부(1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컨베이어(140)를 제어해서 저장용기(150)들을 설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술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위치 감지부(1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이 정제배출 위치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각각 정확히 대응될 수 있게 컨베이어(140)를 제어해서 저장용기(150)들을 대기시킨다. 이때, 제어부(170)는 홀 센서(162)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컨베이어(140)를 제어해서 홀 센서(162)에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150)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분배 트레이(120)는 정제수납 위치에서 정제 분배홀(121)들에 정제들을 수납한 후 정제배출 위치로 삽입되면, 제어부(170)는 셔터(130)를 제어해서 정제 분배홀(121)들을 개방시킨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분배홀(121)들로부터 정제들이 배출되어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에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컨베이어(140)를 제어해서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을 컨베이어(140)의 선단에서 하나씩 방향 전환시켜 각 저장용기(150) 내의 정제를 중간 호퍼(101)로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홀 센서(162)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홀 센서(162)에 저장용기(150)들이 하나씩 대응되어 위치되도록 컨베이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중간 호퍼(101)로 공급된 정제는 최종 호퍼(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저장용기(150)들로부터 정제들이 모두 배출되면,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은 정제 분배홀(121)들에 각각 정확히 대응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정제분배기(100)의 장기간 사용시 벨트(141)와 풀리(142) 간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벨트(141) 상류측의 저장용기(150)들은 정제 분배홀(121)들에 각각 정확히 대응된 상태로 대기할 수 있으므로, 정제들을 정확히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정제 분배홀(121)들은 3열로 배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루에 정제들을 복용하는 최대 횟수는 아침, 점심, 저녁으로 3회 정도이다. 첫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아침 복용용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분배해서 수납하고, 둘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점심 복용용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분배해서 수납하며, 셋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저녁 복용용 정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분배해서 수납할 수 있다.
컨베이어(140)는 3개로 구비되어 각 벨트(141)가 정제 분배홀(121)들의 각 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컨베이어(140)들의 각 벨트(141)에 저장용기(150)들이 고정된다. 그리고, 컨베이어(140)들에는 전술한 위치 감지부(160)가 각각 설치된다. 3개의 컨베이어(140)들은 제어부(170)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 분배홀(121)들에 수납된 정제들은 저장용기(150)들로 공급된 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간 호퍼(101)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조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정제들을 아침, 점심, 저녁에 복용하도록 처방한다면, 약조제자는 첫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아침 복용용 정제들을 분배하고, 둘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점심 복용용 정제들을 분배하며, 셋째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저녁 복용용 정제들을 분배한다. 이후, 약조제자는 정제분배기(100)를 조작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정제 분배홀(121)들에 분배된 정제들을 셔터(130)에 의해 배출시켜 각 열의 저장용기(150)들에 공급한다. 이후, 컨베이어(140)들을 서로 독립되게 구동시킴으로써, 첫째 행의 저장용기(150)들을 첫째 열, 둘째 열, 셋째 열 순서로 컨베이어(140)들의 각 선단에서 방향 전환시켜 정제들을 중간 호퍼(101)로 공급한다. 다음 행들의 저장용기(150)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송시켜 순차적으로 정제들을 중간 호퍼(101)로 공급한다.
만일, 정제들을 아침, 저녁과 같이 2회만 복용하도록 처방한다면, 약조제자는 하나의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아침 복용용 정제들을 분배하고, 다른 하나의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아침 복용용 정제들을 분배한다. 이후, 약조제자는 정제분배기(100)를 조작해서, 정제 분배홀(121)들로부터 공급받은 2개 열의 저장용기(150)들에 대응되는 2개의 컨베이어(140)들을 서로 독립되게 구동시킴으로써, 정제들을 중간 호퍼(101)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만일, 동일한 종류의 정제들을 아침, 점심, 저녁에 복용하도록 처방하거나, 하루에 1회만 복용하도록 처방한다면, 약조제자는 적게는 1개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만 정제들을 분배한다. 이후, 약조제자는 정제분배기(100)를 조작해서, 정제 분배홀(121)들로부터 공급받은 1개 열의 저장용기들(150)들에 대응되는 1개의 컨베이어(140)만 구동시킴으로써, 정제들을 중간 호퍼(101)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정제들을 분배 트레이(120)에 수납할 수 있다. 하나의 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행 방향을 따라 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등으로 구분하여 정제를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제 분배홀(121)들에 행 방향을 따라 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등으로 구분하여 정제를 수납할 때, 수납구분을 위한 컬러 LED와, 수납 감지를 위한 수납 감지부와, 수납 감지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컬러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한 정제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정제분배기(100)에 의하면, 정제 분배홀(121)별 정제를 1포에 포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옵션 선택에 따라 정제 분배홀(121)의 크기를 초과하는 많은 양의 정제들을 1포에 포장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정제 분배홀(121)들을 단일 처방으로 통합시켜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제 분배홀(121)들은 2열 또는 4열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제 분배홀(121)들이 4열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열에 동일한 정제를 수납한 다음, 필요한 정제 조합으로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A정제를 수납하고, 2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B정제를 수납하며, 3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C정제를 수납하며, 4열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D정제를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에 의해 컨베이어(140)들을 독립되게 구동시킴으로써, 아침에 A정제와 B정제의 조합, 점심에 A정제와 B정제와 C정제의 조합, 저녁에 A정제와 D정제의 조합 등으로 조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제분배기(100)는 각각의 정제 분배홀(121)들에 1개나 2개 이상의 정제를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잡한 처방에서 약조제자의 오조제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약제포장장치(10)에 비정형 정제공급기가 없는 경우, 정제분배기(100)는 비정형 정제공급기처럼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감지부(260)는 저장용기(150)들에 각각 설치된 센서 도그(261)들, 및 저장용기(150)들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어 센서 도그(261)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광 센서(262)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262)는 발광부(262a)와 수광부(262b)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262)가 벨트(141)의 직선 이동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 발광부(262a)와 수광부(262b)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도그(261)들은 저장용기(150)들의 이송에 따라 발광부(262a)와 수광부(262b) 사이로 순차적으로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발광부(262a)로부터 발산된 광이 수광부(262b)로 수렴하지 않으면 센서 도그(261)가 발광부(262a)와 수광부(262b) 사이에 진입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발광부(262a)로부터 발산된 광이 수광부(262b)로 수렴하면 센서 도그(261)가 발광부(262a)와 수광부(262b) 사이에 진입해 있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센서(262)는 센서 도그(261)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함에 따라 저장용기(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저장용기(150)들은 벨트(14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저장용기(150)들을 벨트(141)로부터 분리해서 저장용기(150)들의 각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150)들의 청결 유지 등과 같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저장용기(150)들의 각 하단은 벨트(1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벨트(141)에는 저장용기(150)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 홀(141a)들이 형성된다. 저장용기(150)들의 각 하단에는 결합 홀(141a)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형태의 결합 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1)는 하단 부위에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후크(15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51)는 중앙 부위가 결합 홀(141a)을 통과한 후 후크(151a)들이 벨트(141)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저장용기(150)를 벨트(14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풀리(142)는 중앙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150)들이 풀리(142)를 지나 방향 전환될 때, 각 결합 돌기(151)의 후크(151a)들은 풀리(142)의 홈(142a)을 지나게 되므로 풀리(142)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저장용기(150)들은 벨트(141)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용기(150)들은 벨트(141)와 결합되는 부위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250)는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2개로 분할된 제1,2 분할 용기부(251)(252)로 이루어져 벨트(141)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2 분할 용기부(251)(252)의 하단들에는 벨트(141)의 결합 홀(141a)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형태의 결합 돌기(251a)(252a)가 형성된다.
벨트(141)는 방향 전환되는 곡선 구간에서 휘어져 주행하게 되므로, 저장용기(250)가 벨트(141)의 곡선 구간을 지날 때 벨트(141)와 결합된 부위에 변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저장용기(250)는 제1,2 분할 용기부(251)(252)로 분할되어 벨트(141)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저장용기(250)가 벨트(141)의 곡선 구간을 지날 때 제1,2 분할 용기부(251)(252) 사이가 벌어지면서 벨트(141)와 결합된 부위에 변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력에 의해 벨트(141)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140)의 구동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저장용기(250)에 한 쌍의 영구자석(161a)가 설치되는 경우, 제1 분할 용기부(251)와 제2 분할 용기부(252)에 영구자석(161a)이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250)들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용기(250)의 전체 부위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250)의 제1 분할 용기부(251)는 한쪽에 인접한 저장용기(250)의 제2 분할 용기부(252)와 하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250)의 제2 분할 용기부(252)는 다른 쪽에 인접한 저장용기(250)의 제1 분할 용기부(251)와 하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250)의 제1 분할 용기부(251)의 결합 돌기(251a)와, 한쪽에 인접한 저장용기(250)의 제2 분할 용기부(252)의 결합 돌기(252a)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250)의 제2 분할 용기부(252)의 결합 돌기(252a)와, 다른 쪽에 인접한 저장용기(250)의 제1 분할 용기부(251)의 결합 돌기(251a)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250)들은 벨트(141)에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250)의 제1 분할 용기부(251)와 인접한 저장용기(250)의 제2 분할 용기부(252)가 연결된 부위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저장용기(250)들이 벨트(141)의 곡선 구간을 지날 때 저장용기(250)들 사이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벨트(141)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350)는 베이스 격벽(351) 및 한 쌍의 연장 격벽(3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격벽(351)은 벨트(141)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형태로 하단이 벨트(141)에 고정된다. 연장 격벽(352)들은 베이스 격벽(351)의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벨트(141)의 외측면과 분리된 형태로 벨트(141)의 주행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350)의 연장 격벽(352)들은 벨트(141)의 직선 구간에서 인접한 저장용기(350)의 베이스 격벽(351)에 맞닿게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저장용기(350)는 벨트(141)의 직선 구간에서 둘레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져 정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용기(350)들은 각각의 베이스 격벽(351)의 하단 부위만 벨트(141)의 폭 방향을 따라 벨트(141)에 고정되므로, 벨트(141)의 곡선 구간을 지날 때 벨트(141)와 결합된 부위에 가해지는 변형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력에 의해 벨트(141)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140)의 구동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들은 격벽(451)을 하나씩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격벽(451)은 벨트(141)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형태로 하단이 벨트(141)에 고정된다. 격벽(451)들은 어느 하나가 인접한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저장용기들의 각 저장공간(452)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456)들은 저장공간(452)들의 양쪽 트인 부위들에 각각 분리된 형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공간(452)들은 양쪽 트인 부위들이 가이드 부재(456)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가이드 부재(456)들은 저장공간(452)들 내로 정제가 공급될 때와 저장공간(452)들이 이송될 때, 저장공간(452)들의 양쪽 트인 부위들을 통해 저장공간(452)들 내의 정제들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65)들은 고정 프레임(110)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셔터(130)는 셔터부재(131)와 셔터부재 구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재(131)에는 배출홀(131a)들이 형성된다. 셔터부재(1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출홀(131a)들을 제외한 부위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홀(131a)들은 정제 분배홀(121)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게 배열된다. 셔터부재(131)는 정제 분배홀(121)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제포장장치(10)의 전방으로 선형 이동하게 되면, 배출홀(131a)들이 정제 분배홀(121)에 각각 대응되어 정제 분배홀(12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셔터부재(131)는 분배 트레이(120)의 하면에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예컨대, 분배 트레이(120)는 셔터부재(131)의 선형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 하면에 가이드(122)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122)들은 분배 트레이(120)와의 사이에 셔터부재(131)의 양쪽 가장자리들을 각각 끼워서 셔터부재(131)의 선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셔터부재 구동부(132)는 셔터부재(131)를 선형 이동시켜 배출홀(131a)들을 정제 분배홀(121)들에 대응시키거나 벗어나게 한다. 셔터부재 구동부(132)는 셔터부재용 탄성체(133)와, 가동부재(134)와, 회전 모터(135)와, 랙 기어(136), 및 피니언 기어(137)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재용 탄성체(133)는 셔터부재(131)에 탄성력을 가하여 셔터부재(131)를 정제 분배홀(121)들을 폐쇄하는 위치로 유지시킨다. 셔터부재용 탄성체(133)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이동 프레임(126)과 셔터부재(131)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셔터부재(131)은 정제 분배홀(121)들을 폐쇄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스토퍼(123)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동부재(134)는 셔터부재(131)에 고정된다. 회전 모터(135)는 고정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회전 모터(135)의 몸체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회전 모터(135)의 회전축은 피니언 기어(137)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모터(135)는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랙 기어(138)는 전방 부위가 가동부재(134)에 대응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137)와 치합된다.
예컨대, 회전 모터(135)는 랙 기어(138)가 가동부재(134)를 밀도록 피니언 기어(137)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셔터부재(131)는 가동부재(134)의 밀림에 의해 정제 분배홀(121)들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회전 모터(135)는 랙 기어(138)가 가동부재(134)를 밀고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피니언 기어(137)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셔터부재(131)는 셔터부재용 탄성체(133)에 의해 정제 분배홀(121)들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부재 구동부(132)는 가동부재(134)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동부재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재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제공되며, 제어부(170)는 가동부재(134)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회전 모터(135)에 의해 셔터부재(131)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동부재 센서는 통상적인 광학식 근접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셔터부재 구동부(132)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분배기(100)는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이동 프레임(126)들을 각각 선형 이동시키는 선형 이동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 트레이(120)는 약제포장장치(10)에 대해 자동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선형 이동유닛(180)은 회전 모터(181)와 직선운동 변환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81)의 몸체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회전 모터(181)는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선운동 변환부(182)는 회전 모터(18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이동 프레임(126)으로 전달한다. 예컨대, 직선운동 변환부(182)는 피니언 기어(182a)와 랙 기어(182b)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82a)는 회전 모터(181)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랙 기어(182b)는 피니어 기어(182a)에 치합된다. 랙 기어(182b)는 이동 프레임(126)의 선형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선형 이동유닛(180)은 이동 프레임(126)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리미트 감지부(183a)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감지부(183a)는 이동 프레임(126)이 분배 트레이(120)를 약제포장장치(10) 내의 정제배출 위치로 삽입시키도록 위치해 있을 때, 고정 프레임(110)의 제1 센서 도그(183b)를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리미트 감지부(183a)는 이동 프레임(126)이 분배 트레이(120)를 약제포장장치(10) 외부의 정제수납 위치로 인출시키도록 위치해 있을 때, 고정 프레임(110)의 제2 센서 도그(183c)를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리미트 감지부(183a)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제공되며, 제어부(170)는 회전 모터(181)에 의해 이동 프레임(126), 즉 분배 트레이(120)의 정제배출 위치와 정제수납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리미트 감지부(183a)는 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2 센서 도그(183b)(183c)는 영구자석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미트 감지부는 광학식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중간 호퍼로 공급된 정제를 최종 호퍼로 이송시키는 정제 이송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정제 이송유닛(190)은 하우징(191)과, 스크류(192), 및 회전 구동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1)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91)은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회전 구동부(193)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191)은 상측 부위에 중간 호퍼(101)로부터 정제들을 공급받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하측 부위에 최종 호퍼(12)로 정제들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191)의 회전 과정에서, 하우징(191)의 공급구는 중간 호퍼(101)의 배출구에 대응될 수 있으며, 하우징(191)의 배출구는 최종 호퍼(12)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에 대응될 수 있다.
스크류(192)는 하우징(191) 내에 형성된다. 스크류(192)는 하우징(19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정제를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스크류(192)는 샤프트(192a)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의 이송 날개(192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제가 하우징(191)의 공급구를 통해 하우징(191)과 이송 날개(192b)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하우징(191)이 회전하게 되면 정제는 이송 날개(192b)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송되어 하우징(191)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93)는 하우징(191)을 회전시킨다. 회전 구동부(193)는 회전 모터 등과 같은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크류(192)는 하우징(19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정제를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제 이송유닛은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는 중간 호퍼(101)로부터 벨트의 상류측에 정제를 공급받은 후 최종 호퍼(12)로 이송시킬 수 있게 벨트를 구동할 수 있다.
중간 호퍼(101)에는 진동수단(102)이 구비될 수 있다. 중간 호퍼(101)가 수평 기준으로 경사진 각도가 작거나, 정제의 크기가 작거나, 가루가 많은 정제인 경우, 정제가 정제 이송유닛(190)으로 이송되는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진동수단(102)에 의해 중간 호퍼(101)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정제가 정제 이송유닛(190)으로 이송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진동수단(102)으로는 진동 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최종 호퍼(12) 내에는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인식해서 조제오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03)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03)는 최종 호퍼(12)의 배출구 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등과 같은 비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분배 트레이(1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 트레이(120)들은 이동 프레임(126)들에 각각 고정되어 약제포장장치(10)에 대해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 트레이(120)들의 각 하측에는 셔터(130)가 설치되어 셔터(130)에 의해 각각의 정제 분배홀(121)들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고정 프레임 120..분배 트레이
121..정제 분배홀 126..이동 프레임
130..셔터 140..컨베이어
141..벨트 150,250,350..저장용기
160,260..위치 감지부 170..제어부

Claims (10)

  1. 약제포장장치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약제포장장치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분배받은 정제들을 수납하는 정제 분배홀들이 적어도 1열로 수평 배열된 분배 트레이;
    상기 분배 트레이의 하측에서 상기 정제 분배홀들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분배 트레이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상기 열 방향의 정제 분배홀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상기 벨트의 외측면에 상기 정제 분배홀들의 열 방향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송되며, 상기 정제 분배홀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 저장용기들;
    상기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해서 상기 저장용기들을 설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용기들은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2개로 분할된 제1,2 분할 용기부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분할 용기부가 상기 벨트에 각각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2. 약제포장장치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수평으로 선형 이동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약제포장장치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분배받은 정제들을 수납하는 정제 분배홀들이 적어도 1열로 수평 배열된 분배 트레이;
    상기 분배 트레이의 하측에서 상기 정제 분배홀들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분배 트레이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상기 열 방향의 정제 분배홀들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상기 벨트의 외측면에 상기 정제 분배홀들의 열 방향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송되며, 상기 정제 분배홀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는 저장용기들;
    상기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해서 상기 저장용기들을 설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저장용기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형태로 하단이 상기 벨트에 고정된 베이스 격벽, 및 상기 베이스 격벽의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벨트의 외측면과 분리된 형태로 상기 벨트의 주행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 격벽들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의 연장 격벽들은 상기 벨트의 직선 구간에서 인접한 저장용기의 베이스 격벽에 맞닿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저장용기들에 각각 설치된 마그네트부들, 및
    상기 저장용기들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부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저장용기들에 각각 설치된 센서 도그들, 및
    상기 저장용기들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센서 도그들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들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의 제1 분할 용기부는 한쪽에 인접한 저장용기의 제2 분할 용기부와 하단에서 연결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의 제2 분할 용기부는 다른 쪽에 인접한 저장용기의 제1 분할 용기부와 하단에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분배홀들은 2열 이상으로 각각 배열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각 벨트가 상기 정제 분배홀들의 각 열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들로부터 정제를 공급받는 중간 호퍼, 및
    상기 중간 호퍼로부터 약제포장장치의 최종 호퍼로 정제를 이송시키는 정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20130126181A 2013-10-22 2013-10-22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153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81A KR101534318B1 (ko) 2013-10-22 2013-10-22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81A KR101534318B1 (ko) 2013-10-22 2013-10-22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70A KR20150046670A (ko) 2015-04-30
KR101534318B1 true KR101534318B1 (ko) 2015-07-06

Family

ID=5303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181A KR101534318B1 (ko) 2013-10-22 2013-10-22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11B1 (ko) * 2016-09-12 2018-09-10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장치
KR101994626B1 (ko) * 2017-05-22 2019-07-02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장치
CN109515836A (zh) * 2017-09-19 2019-03-26 深圳市瑞驰致远科技有限公司 异形药逐个打开机构
CN108408263B (zh) * 2018-04-09 2023-10-13 健麾医疗技术(深圳)有限公司 异形药发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17A (ja) * 1996-07-01 1998-01-20 Ueda Seisakusho:Kk 薬剤包装機
KR200354754Y1 (ko) * 2004-04-12 2004-06-30 메디피아주식회사 정밀한 이송 및 투하구조를 가진 정제공급장치
JP2010013145A (ja) * 2008-07-02 2010-01-21 Tosho Inc 薬剤手撒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17A (ja) * 1996-07-01 1998-01-20 Ueda Seisakusho:Kk 薬剤包装機
KR200354754Y1 (ko) * 2004-04-12 2004-06-30 메디피아주식회사 정밀한 이송 및 투하구조를 가진 정제공급장치
JP2010013145A (ja) * 2008-07-02 2010-01-21 Tosho Inc 薬剤手撒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70A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67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US8393495B2 (en) Dispenser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various shaped tablets in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US8386073B2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102187435B1 (ko) 고체약품 부분의 조제 분량을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저장 및 투입 스테이션
KR102140447B1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534318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US20170057682A1 (en) Plural-mode automatic medicament packaging system
US20130020345A1 (en) Tablet dispenser of medicine packing apparatus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20090031169A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180056633A (ko) 자동화된 약물 분배 장치에 사용되는 약물 공급 캐니스터
WO2018021323A1 (ja) 薬剤払出し装置
AU2013307503B2 (en) Apparatus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comprising moving collecting containers and an ancillary dosing station
KR101513691B1 (ko) 약제포장장치의 멀티형 정제분배기
KR101470866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1474714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KR20150141799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CN211519997U (zh) 一种药剂包装装置的锭剂分配器
KR101544185B1 (ko) 약제 포장장치의 약포 배출모듈
KR101543442B1 (ko) 포장정제 디스펜싱 장치
KR20080085615A (ko) 반알과 같이 등분된 특수형상의 정제투입장치를 가지는정제자동분배기
EP0197900B1 (en) A means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s
KR20150141800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101364163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IT202100019868A1 (it) Apparato dosatore di compresse.
KR20180106085A (ko)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