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216B1 - 판넬 지지용 기둥 - Google Patents

판넬 지지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216B1
KR101534216B1 KR1020130140025A KR20130140025A KR101534216B1 KR 101534216 B1 KR101534216 B1 KR 101534216B1 KR 1020130140025 A KR1020130140025 A KR 1020130140025A KR 20130140025 A KR20130140025 A KR 20130140025A KR 101534216 B1 KR101534216 B1 KR 10153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haped steel
panel
fla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105A (ko
Inventor
도병호
박만우
Original Assignee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관을 저해하지 않고 H형강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H형강과; 상기 H형강과 이웃하는 H형강 사이에 판넬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판넬과 상기 H형강의 판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H형강에 구비되는 차폐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판넬을 시공시에 H형강을 통과하는 나사못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H형강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판넬 지지용 기둥{COLUMN FOR SUPPORTING PANEL}
본 발명은 건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넬을 이용한 건축물을 축조시에 판넬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판넬이 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판넬의 시공구조는 일정 간격 이결되게 설치되는 H형강(10)과, H형강(10)과 이웃하는 H형강(10) 사이에 H형강(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배치되는 판넬(20)과, 판넬(20)이 H형강(10)에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판넬(20)을 H형강(10)에 고정하는 나사못(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형강(10)은 H 형상의 부재로서 지반에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매설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반의 외부로 돌출되어 요구되는 높이를 형성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판넬(20)은 판상의 부재로서 H형강(10)과 이웃하는 H형강(10) 사이에 일정 높이를 형성하도록 적층되게 배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나사못(30)은 이러한 판넬(200을 H형강(10)에 체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판넬(20)의 판면을 관통하여 H형강(10)의 일측면을 통과하도록 체결됨으로써 판넬(20)이 H형강(1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판넬 시공구조에 있어서는, 판넬(20)을 H형강(10)에 고정시에 나사못(30)이 판넬(20)의 판면을 관통한 후에 H형강(10)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나사못(30)의 단부가 H형강(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H형강(10)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이러한 나사못(30)의 단부로 인하여 건축물의 미관이 저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넬(20)을 시공시에 돌출된 나사못(30)의 단부로 인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긁힐 수 있으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판넬을 시공시에 H형강을 통과하는 나사못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H형강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판넬 지지용 기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H형강과; 상기 H형강과 이웃하는 H형강 사이에 판넬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판넬과 상기 H형강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H형강에 구비되는 차폐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H형강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H형강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로 구성되어 'ㄷ'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차폐브라켓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브라켓의 길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 대향측의 상기 상부플레이트 단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브라켓의 폭은 상기 H형강의 측면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브라켓의 양단면이 상기 H형강의 외면과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H형강 측면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차폐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상기 H형강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양단면이 상기 H형강과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브라켓과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H형강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T형강과; 상기 T형강의 일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T형강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판넬이 상기 T형강의 대향측에 구비된 외면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판넬과 상기 외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각형강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T형강의 단부는 상기 각형강관 외면의 폭을 이분하는 중앙 영역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넬을 시공시에 H형강을 통과하는 나사못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H형강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판넬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판넬 지지용 기둥은,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H형강(100)과, H형강(100)과 이웃하는 H형강(100) 사이에 판넬(1)을 설치하기 위하여 판넬(1)과 H형강(100)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2)의 단부가 H형강(100)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H형강(100)에 구비되는 차폐수단(200, 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선, 판넬(1)은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판상의 부재로서 H형강(100)과 이웃하는 H형강(10) 사이에 일정 높이를 형성하도록 적층되게 배치되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는 이러한 판넬(1)을 H형강(100)에 체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판넬(1)의 판면을 관통하여 H형강(100)의 일측면을 통과하도록 체결됨으로써 판넬(1)이 H형강(10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H형강(100)은 H 형상의 부재로서 지반에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매설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반의 외부로 돌출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높이를 형성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수단(200, 400)은 체결부재(2)를 기준으로 체결부재(1)가 결합된 H형강 (100)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210)와, 체결부재(1)를 기준으로 체결부재(2)가 결합된 H형강(100)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220)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230)로 구성되어 'ㄷ'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차폐브라켓(20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차폐브라켓(200)은 H형강(100)의 측면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H형강(100)의 판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1)의 단부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H형강(100)의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 및 횡좌굴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차폐브라켓(200)의 길이는 측면플레이트(230) 대향측의 상부플레이트(210) 단부와 하부플레이트(220) 단부가 H형강(100)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브라켓(200)의 폭은 상기 H형강(100)의 측면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차폐브라켓(200)의 양단면이 H형강(100)의 외면과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차폐브라켓(200)의 외면은 H형강(100)의 외면과 모두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 및 횡좌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폐브라켓(200)으로 인한 H형강(100)의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과 횡좌굴 강도의 향상 정도는 아래에 도시한 그래프 및 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그래프 1은 LH-150x100x3.2x4.5 의 규격을 갖는 H형강(100)의 측면에 별도의 차폐브라켓(20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H형강(100)의 횡좌굴 정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1]
Figure 112013104802328-pat00001
그래프 2는 LH-150x100x3.2x4.5 의 규격을 갖는 H형강(100)의 측면에 별도의 차폐브라켓(200)이 설치된 경우에 H형강(100)의 횡좌굴 정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2]
Figure 112013104802328-pat00002
표 1 및 2는 LH-150x100x3.2x4.5 의 규격을 갖는 H형강(100)의 측면에 차폐브라켓(200)이 설치되는 보강길이에 따른 횡좌굴 강도 및 휨모멘트의 강도 변화를 기재한 것이다.
Figure 112013104802328-pat00003
Figure 112013104802328-pat00004
위 표를 살펴보면, 길이 4m정도의 Compact Section 경량H형강은 0.25L ~ 0.50L의 횡좌굴보강으로 전소성모멘트의 약 70% ~ 100%에 해당하는 휨 변형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보강시에는 50%)
그리고, 길이 6m정도의 Compact Section 경량H형강은 0.25L ~ 0.50L의 횡좌굴보강으로 전소성모멘트의 약 40% ~ 70%에 해당하는 휨 변형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보강시에는 25%)
따라서, 차폐브라켓(200)을 H 형강(100)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접합한 경우에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 및 횡좌굴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H 형강(1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수단(200, 400)은 체결부재(2)가 결합된 H형강(100) 측면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차폐플레이트(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플레이트(240)의 폭은 H형강(1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차폐플레이트(240)의 양단면이 H형강(100)과 접촉되게 구비되도록 하고, 이러한 접촉 부위는 용접에 의하여 차폐플레이트(240)와 H형강(100)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수단(200, 400)이 차폐플레이트(240)로 구비되는 경우에 차폐플레이트(240)는 체결부재(2)의 단부가 H형강(100)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H형강(100)의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 및 횡좌굴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차폐브라켓(200)의 측면플레이트(23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폐플레이트(240)의 두께는 요구되는 H형강(100)의 횡좌굴 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큰 횡좌굴 강도가 요구될 경우에는 차폐플레이트(2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며 작은 횡좌굴 강도가 요구될 경우에는 차폐플레이트(2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용 기둥은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T형강(300)과, T형강(300)의 일측면과 평행하도록 T형강(30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판넬(1)이 T형강(300)의 대향측에 구비된 외면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2)가 판넬(1)과 상기 외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각형강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형강(300)은 일정한 높이를 갖고 T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부재이며, 각형강관(400)은 T형강(30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ㅁ'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이러한 T형강(300)과 각형강관(400)이 상호 접합되어 건축물의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이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 및 횡좌굴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판넬(1)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2)이 각형강관(400)의 일측면에 체결되므로 체결수단(2)의 단부가 각형강관(4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형강(300)의 단부는 각형강관(400) 외면의 폭을 이분하는 중앙 영역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 접합되는 것이 휨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판넬 2 : 체결수단
100 : H 형강 200 : 차폐수단
210 : 상면플레이트 220 : 하면플레이트
230 : 측면플레이트 240 : 차폐플레이트
300 : T형강 400 : 각형강관

Claims (9)

  1.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H형강과;
    상기 H형강과 이웃하는 H형강 사이에 판넬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판넬과 상기 H형강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H형강에 구비되는 차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H형강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H형강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로 구성되어 'ㄷ'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꼭지점 영역은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측면은 각각 상기 H형강의 외면과 밀착되게 설치되는 차폐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브라켓의 길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 대향측의 상기 상부플레이트 단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브라켓의 폭은 상기 H형강의 측면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브라켓의 양단면이 상기 H형강의 외면과 접촉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브라켓과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H형강의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
  8. 지반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T형강과;
    상기 T형상의 일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T형강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ㅁ’자형 횡단면을 갖고 방음 판넬이 상기 T형강의 대향측에 구비된 외면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방음판넬과 상기 외면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각형강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지지용 기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형강의 단부는 상기 각형강관 외면의 폭을 이분하는 중앙 영역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지지용 기둥.
KR1020130140025A 2013-11-18 2013-11-18 판넬 지지용 기둥 KR10153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25A KR101534216B1 (ko) 2013-11-18 2013-11-18 판넬 지지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25A KR101534216B1 (ko) 2013-11-18 2013-11-18 판넬 지지용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05A KR20150057105A (ko) 2015-05-28
KR101534216B1 true KR101534216B1 (ko) 2015-07-09

Family

ID=5339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025A KR101534216B1 (ko) 2013-11-18 2013-11-18 판넬 지지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2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65Y1 (ko) * 2004-10-05 2004-12-24 김충열 사태방지책용 에이치빔의 보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65Y1 (ko) * 2004-10-05 2004-12-24 김충열 사태방지책용 에이치빔의 보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05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593B2 (en) Fire protection system for wide flange steel columns and beams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0995459B1 (ko)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JP2011111886A (ja) 現場溶接なしに施工可能な建物の外壁施工装置
JP6546781B2 (ja) 外装材取付構造
JP2014111864A (ja) 梁の補強部材および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KR101534216B1 (ko) 판넬 지지용 기둥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JP2017122361A (ja) 横架材、横架材を用いた面材の取り付け構造、及び横架材を用いた面材と枠材との取り付け構造
JP65070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JP5627972B2 (ja) スリット構造
JP5379581B2 (ja) 耐震補強部材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JP6401883B1 (ja)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2011987B1 (ko) 하지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층간 방화 구조
KR101904118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20120133871A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130025300A (ko) 웨브 단면보강형 데크플레이트
JP6916774B2 (ja) 支持構造および金具
KR101189797B1 (ko) 건축용 바닥 슬래브 거푸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