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701B1 - 연속식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701B1
KR101533701B1 KR1020140042261A KR20140042261A KR101533701B1 KR 101533701 B1 KR101533701 B1 KR 101533701B1 KR 1020140042261 A KR1020140042261 A KR 1020140042261A KR 20140042261 A KR20140042261 A KR 20140042261A KR 101533701 B1 KR101533701 B1 KR 10153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lider
slag
filling spa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환
윤용승
정석우
이승종
변용수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4004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스화기 또는 용융로 등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슬래그와 냉각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슬래그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압 조건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 등의 경우 운전과정에서 발생한 슬래그 등과 같은 배출물을 장치의 운전압력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연속식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는 배출구의 하단에 연결되고,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는 배출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 내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슬라이더; 및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진공간이 상기 배출실린더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식 배출장치{Continuous discharging appratus}
본 발명은 연속식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스화기 또는 용융로 등의 운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등의 배출물을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연속식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화기와 용융로는 고온조건에서 운전되는데, 가스화기의 경우 원료로서 석탄 및 폐기물 등이 사용되고, 용융로의 경우 원료로서 철광석 등이 사용된다. 가스화기와 용융로는 공급된 원료에 함유된 미반응물, 예컨대 비금속물질 또는 금속산화물 등의 부산물이 고온에서 용융된 후 슬래그로 배출된다.
가스화기의 경우,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을 이용하거나, 산업현장 또는 생활 폐기물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 또는 고온 상압 조건에서 가스화 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의 합성가스를 생성하도록 하는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연료로 사용되거나, 후단 공정에서 합성연료, 화학원료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석탄가스화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의 경우, 기존의 단순 연소방식에 의한 발전보다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며, 발생되는 공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저공해 고효율의 발전기술이라 할 수 있다.
가스화기 운전과정에서 원료, 예컨대 석탄 또는 폐기물에 함유된 회분 또는 금속성분의 미반응물은 가스화기 내부에서 고온에 의해 용융된 후, 내벽을 타고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가스화기 하부는 냉각수가 채워진 ?처로 구성되고, 흘러내린 슬래그가 ?처에서 급냉각된 후, ?처 하부에 위치한 저장호퍼에 저장된다.
종래의 저장호퍼에 저장된 슬래그의 배출장치는 주로 락호퍼(lock hopper) 방식을 사용한다. 락호퍼 방식은 가스화기 본체의 하부에 일정 크기의 슬래그 저장을 위한 저장호퍼를 구성하고, 가스화기 본체와 저장호퍼 사이에 슬래그 흐름 차단용 밸브를 설치한 후, 일정량의 슬래그가 저장호퍼에 저장되면, 가스화기 본체의 하부와 저장호퍼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닫고, 저장호퍼 하부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 저장호퍼 내부에 저장된 슬래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운전된다. 슬래그 배출이 완료되면, 저장호퍼 하부의 밸브를 닫고, 저장호퍼 내부에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다시 충진하고, 충진 완료후 저장호퍼에 압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가스화기 내부압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한 후 가스화기 본체와 저장호퍼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줌으로써 가스화기 본체 하부에 저장된 슬래그가 저장호퍼로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래그 배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슬래그 배출을 위한 운전이 반복되면, 슬래그 배출시 많은 양의 냉각수가 슬래그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소모되고, 저장호퍼 내부에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가득 채워야 하므로 많은 양의 냉각수가 소요되며, 슬래그와 냉각수의 분리 및 냉각수 정제설비가 부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의 경우 ?처에 냉각수 공급을 위해 고압펌프가 사용되며, ?처와 저장호퍼 사이의 운전압력 제어를 위해 차압계 및 압력 조절밸브 등의 압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며, ?처와 저장호퍼 사이에 설치된 밸브와 저장호퍼 하부에 설치된 슬래그 배출용 밸브가 구성되므로 장치가 복잡하고, 운전방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공급 또는 배출을 단속하는 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47777호의 로터형 원료 정량 공급장치가 있다. 이는 사출기나 압출기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플라스틱 성형기에 정량의 원료를 계량하여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캠에 의해 출몰하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 계량 및 공급이 가능하고, 진동이 있는 성형기 상단에서도 계량 및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48823호의 슬러지 배출밸브가 있다. 이는 슬러지 배출호퍼에 구비되어 유입구가 단면상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협하광의 형태로 외주연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디스크를 가지고, 디스크의 상,하 조절로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17418호의 원료토출장치 및 원료토출방법이 있다. 이는 실린더를 통해 액정이나 페이스트 등의 원료물질을 토출하는 장치 및 토출방법으로서, 토출 장치의 경우 관통된 내부 공간과 관통된 내부 공관과 연결된 유입통로, 그리고 배출통로가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하우징 공급부로 시료가 공급되면 실린더 빈 공간으로 원료가 충진되고, 실린더가 회전하여 실린더 하우징 배출구로 시료가 이송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급 또는 배출을 단속하는 장치들은 고압영역과 상압영역을 구분하지 못하므로 압력 차단이 불가능하여, 고압영역과 상압영역이 구분되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슬래그의 배출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화기 등의 내부 고압구간과 슬래그 등의 배출을 위한 상압구간 사이의 압력 차이를 상쇄시켜서, 고압에서 운전되는 장치에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슬래그 등의 배출시 별도의 압력 조절 및 냉각수 공급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 구성이 간단하며, 운전방법이 간단하므로 가스화기 등의 안정적인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화기에 포함된 연속 배출장치에 있어서, 배출구의 하단에 연결되고,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는 배출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 내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슬라이더; 및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진공간이 상기 배출실린더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출슬라이더는, 상기 충진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공간의 양측에 마련되는 커터에 의해 상기 몸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배출슬라이더의 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왕복 운동시킬 경우, 상기 충진공간이 상기 배출실린더의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 각각에 교대로 돌출되기 위한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되고, 냉각수와 배출물로서 슬래그가 저장되는 ?처; 상기 ?처 내에 저장된 슬래그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화기에 포함된 연속 배출장치에 있어서, 배출구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통로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배출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배출구동부에 의해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배출물을 상기 배출부재로부터 배출시키는 연속식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출슬라이더는, 상기 충진공간의 양측에 커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용기; 상기 배출용기 내에 저장된 배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가스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측면 또는 다른 측면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제철소의 용융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화기 또는 용융로 등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슬래그와 냉각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슬래그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압 조건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 등의 경우 운전과정에서 발생한 슬래그 등과 같은 배출물을 장치의 운전압력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그 또는 입자상의 오염물질 배출과정에 필요한 밸브류, 압력제어장치, 오염수 처리장치 등의 부대설비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가스화기 또는 용융로 등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화기, 제철소의 용융로, 또는 입자상의 오염물질 배출이 필요한 장치 등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료 공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의 배출실린더와 배출슬라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의 배출슬라이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100)는 배출부재, 배출슬라이더(120) 및 배출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100)는 배출물이 가스화기 또는 용융로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슬래그일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원료나 입자상의 오염물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100)는 가스화기나, 제철소의 용융로 뿐만 아니라, 입자상의 오염물질 배출이 필요한 장치, 원료 배출 내지 공급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는 배출구(141)에 마련되고, 배출구(141)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통로(111)가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배출구(141)의 하단에 T자 형태로 연결되는 관부재, 블록, 하우징 등의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는 배출실린더(110)일 수 있다.
배출실린더(110)는 배출구(141)의 하단에 연결되고, 이를 위해 상부에 배출구(14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141)에 나사결합되거나, 배출구(141)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실린더(110)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례로 어느 일단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양단이 개방됨으로써 양단에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슬라이더(120)는 통로(111), 예컨대 배출실린더(110) 내의 중공에 배출구(141)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배출구(141)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충진공간(121)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의 배출구(141)를 통해서 내부에 충진된 배출물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는 구조라면, 측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으므로 상하 관통구조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배출슬라이더(120)는 배출실린더(110) 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출구(141)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배출실린더(110) 내측면과의 유격이 거의 없는 밀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출슬라이더(120)는 충진공간(121)의 양측에 커터(122)가 마련될 수 있다. 커터(122)는 배출슬라이더(120)가 배출실린더(110) 내의 통로(111)를 따라 왕복 운동시, 배출물, 예컨대 슬래그를 커팅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슬래그의 커팅을 위한 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슬라이더(120)는 충진공간(1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몸체(12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충진공간(121)의 양측에 마련되는 커터(122)에 의해 몸체(123)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몸체(123)와 커터(122)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커터(122)가 몸체(123)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동부(130)는 배출슬라이더(120)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충진공간(121)에 충진된 배출물을 배출부재, 예컨대 배출실린더(110)로부터 배출시키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배출슬라이더(120)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충진공간(121)이 배출실린더(110)의 개구(113)로부터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동부(130)는 예컨대 배출슬라이더(120)의 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131)와, 구동실린더(131)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공급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실린더(131)는 일례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펌프로 이루어지는 작동유체공급부(132)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왕복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배출슬라이더(12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131a)가 피스톤로드(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배출슬라이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처럼 배출부재가 양단에 개구(113)가 형성되는 배출실린더(110)인 경우, 구동실린더(131)는 배출슬라이더(120)를 왕복 운동시킬 경우, 충진공간(121)이 배출실린더(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113) 각각에 교대로 돌출되기 위한 스트로크(stroke)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100)는 배출구(141)를 통한 배출물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용기, 감지부(150) 및 제어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용기는 내측에 배출물이 저장되고, 하단에 배출구(141)가 형성되는데, 일례로 냉각수와 배출물로서 슬래그가 저장되는 ?처(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150)는 배출용기 내에 저장된 배출물의 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배출용기가 ?처(140)로 이루어지는 경우, ?처(140) 내에 저장된 슬래그의 양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 의한 제어 기준이 되는 최대량과 최소량을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센서(151,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부(150)의 신호를 수신받아 배출구동부(130)의 작동유체공급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 1 측정센서(151)가 슬래그를 감지하면, 작동유체공급부(132)를 동작시킬 수 있고, 제 2 측정센서(152)가 슬래그를 감지하지 못하면, 작동유체공급부(132)를 정지시킴으로써 ?처(140) 내에서의 슬래그 양이 일정 범위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출슬라이더(120)의 하측에는 충진공간(121)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에서와 같이, 배출슬라이더(120)가 배출실린더(110) 내에서 배출구(141)를 차단하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구동부(130; 도 1에 도시)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b)에서와 같이 충진공간(121)이 배출구(141) 하측에 도달시, 배출구(141)를 통해서 배출되는 배출물, 예컨대 슬래그가 충진공간(121)에 충진되도록 하고, (c)에서와 같이 충진공간(121)이 배출실린더(110)로부터 외부로 돌출시 충진공간(121)에 충진된 슬래그가 낙하하도록 한다. 또한 (d)에서와 같이 충진공간(121)으로부터 슬래그의 배출을 마치고서, (e)와 (f)에서와 같이 배출슬라이더(12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진공간(121)에의 슬래그 충진과 배출 동작을 연속해서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출구동부(130)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로 배출슬라이더(120)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충진공간(121)에 충진된 슬래그를 외부로 연속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슬라이더(120)를 서서히 왕복시키는 과정에서, 배출슬라이더(120)의 움직임에 따라 충진공간(121)에 슬래그가 천천히 충진되므로,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 등의 경우 운전압력 또는 냉각수 수위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상압으로 운전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배출장치(100)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고, 운전방법이 용이하며, 특히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 등에 적용할 경우, 내부 고압영역과 슬래그 배출구(141) 측의 상압영역 간 압력 차이를 구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압영역과 상압영역간의 압력 차단장치(sealing)와 압력 제어장치가 없어도 적용이 가능하고, 슬래그 배출시 별도의 압력 조절을 위한 부대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처(140)에 저장된 슬래그의 양을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슬래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슬래그의 배출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동작이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배출실린더 111 : 통로
112 : 연결구 113 : 개구
120 : 배출슬라이더 121 : 충진공간
122 : 커터 123 : 몸체
130 : 배출구동부 131 : 구동실린더
131a : 연결로드 132 : 작동유체공급부
140 : ?처 141 : 배출구
150 : 감지부 151 : 제 1 측정센서
152 : 제 2 측정센서 160 : 제어부
170 : 배출물저장용기

Claims (10)

  1. 슬래그를 배출하는 연속 배출장치에 있어서,
    배출구의 하단에 연결되고,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는 배출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 내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슬라이더; 및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진공간이 상기 배출실린더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동부;
    를 포함하는, 연속식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라이더는,
    상기 충진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공간의 양측에 마련되는 커터에 의해 상기 몸체가 서로 연결되는, 연속식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배출슬라이더의 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공급부;
    를 포함하는, 연속식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왕복 운동시킬 경우, 상기 충진공간이 상기 배출실린더의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 각각에 교대로 돌출되기 위한 스트로크를 가지는, 연속식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되고, 냉각수와 배출물로서 슬래그가 저장되는 ?처;
    상기 ?처 내에 저장된 슬래그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배출장치.
  6. 슬래그를 배출하는 연속 배출장치에 있어서,
    배출구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통로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배출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슬라이더를 배출구동부에 의해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배출물을 상기 배출부재로부터 배출시키는, 연속식 배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라이더는,
    상기 충진공간의 양측에 커터가 마련되는, 연속식 배출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용기;
    상기 배출용기 내에 저장된 배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배출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속식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가스화기.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속식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제철소의 용융로 장치.
KR1020140042261A 2014-04-09 2014-04-09 연속식 배출장치 KR10153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61A KR101533701B1 (ko) 2014-04-09 2014-04-09 연속식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61A KR101533701B1 (ko) 2014-04-09 2014-04-09 연속식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701B1 true KR101533701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261A KR101533701B1 (ko) 2014-04-09 2014-04-09 연속식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69B1 (ko) * 2016-09-02 2018-02-26 최용미 열분해 가스로
KR101874412B1 (ko) * 2017-03-27 2018-07-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슬래그 배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23U (ja) * 1991-10-14 1993-05-07 日立造船株式会社 アーク式溶融炉
JPH09217922A (ja) * 1996-02-13 1997-08-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溶融スラグ排出装置及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00045759A (ko) * 1998-12-30 2000-07-25 정주호 엘피지 차량의 타르 자동제거 장치
KR20140010975A (ko) * 2011-03-22 2014-01-27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피스톤 유형 이송 펌프 장치, 그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입자성 고체물질을 이송하는 방법, 그 방법의 기체화 반응기의 피딩에의 응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23U (ja) * 1991-10-14 1993-05-07 日立造船株式会社 アーク式溶融炉
JPH09217922A (ja) * 1996-02-13 1997-08-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溶融スラグ排出装置及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00045759A (ko) * 1998-12-30 2000-07-25 정주호 엘피지 차량의 타르 자동제거 장치
KR20140010975A (ko) * 2011-03-22 2014-01-27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피스톤 유형 이송 펌프 장치, 그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입자성 고체물질을 이송하는 방법, 그 방법의 기체화 반응기의 피딩에의 응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69B1 (ko) * 2016-09-02 2018-02-26 최용미 열분해 가스로
KR101874412B1 (ko) * 2017-03-27 2018-07-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슬래그 배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701B1 (ko) 연속식 배출장치
KR100995134B1 (ko) 다운드래프트 방식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분해 방법 및 장치
CN110644269B (zh) 一种工业级自动化连续汽爆系统及方法
JP4216731B2 (ja) 廃棄物処理装置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RU2573026C2 (ru) Способ теплового расщепления высокоуглеродистых веществ в реакторе с подвижным слоем
CN205330918U (zh) 内冷式压缩机余隙气量调节系统执行机构
KR100998934B1 (ko) 미분탄 고온반응 측정시스템
US10260002B2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thermal processing of used or otherwise degraded tyres
CN205152347U (zh) 一种新型智能控制氢氧气源装置
KR101504917B1 (ko) 부생가스 홀더
CN110743446A (zh) 一种煤电一体化三废基发泡材料的实验室研究装置
KR101550319B1 (ko) 석탄 가스화 장치 및 그 냉각 챔버
CN205802069U (zh) 储油罐冷却喷淋装置
US20220252260A1 (en)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yrolysing and combusting a material
CN210034543U (zh) 一种用于高温煤气的水封阀
CN114002388A (zh) 一种高温垃圾热解气体在线监测系统及方法
CN103706585B (zh) 用于中小型反应器和管道网路的移动式清通方法和装置
KR101874412B1 (ko) 슬래그 배출 장치
CN103339236B (zh) 气化反应器
CN105151798A (zh) 一种干粉煤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CN101248312A (zh) 使用金属熔池的方法及其装置
CN101603934B (zh) 桶盖带闭路腔体循环控温装置的量热仪
CN1821759B (zh) 桶盖带闭路腔体循环控温装置的量热仪
CN100510007C (zh) 农林业有机废弃物快速热裂解制取燃料油设备
CN215250651U (zh) 固定床煤气发生炉全自动智能化运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