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412B1 - 슬래그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그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412B1
KR101874412B1 KR1020170038257A KR20170038257A KR101874412B1 KR 101874412 B1 KR101874412 B1 KR 101874412B1 KR 1020170038257 A KR1020170038257 A KR 1020170038257A KR 20170038257 A KR20170038257 A KR 20170038257A KR 101874412 B1 KR101874412 B1 KR 10187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pipe
unit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환
윤용승
이승종
변용수
정기진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7003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485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10J3/526Ash-remov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09Mechanical details of gasifi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l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화기와 같이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는 장치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운전 압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기의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슬래그 배출 장치는 상기 고압 반응기에 연결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유닛; 및 상기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감지하는 슬래그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은, 원기둥 형태이며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감지부에 의해 슬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몸체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고압 반응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슬래그가 상기 저장부로 충전되며,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향하면 슬래그가 배출된다.

Description

슬래그 배출 장치{SLAG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슬래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화기와 같이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는 장치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운전 압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가스화기술은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조건에서 가스화 반응을 통한 CO 및 H2 합성가스 전환기술이며, 생성된 합성가스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후단 공정에서 합성연료, 화학원료 등의 제조에 사용 가능하다. 특히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의 경우 기존의 단순 연소방식에 의한 발전 보다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며, 발생되는 공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저공해 고효율의 발전기술로 알려져 있다.
석탄가스화기는 고온,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며, 운전과정에서 설비 내부에서 발생된 슬래그와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록 호퍼(Lock Hopper)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록 호퍼 방식에서는 고압 반응기와 동일한 압력으로 운전 가능한 저장호퍼가 사용되며, 반응기와 호퍼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한 입자상 오염물질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입자상 오염물질 배출운전을 위해서는 1차 저장 용기의 경우에는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운전압력 제어를 위한 압력조절 밸브와 입자상 오염물질 이송용 고압 밸브가 사용되기 때문에 장치 구축비용이 고가이고 시스템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압조건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안전 운전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12669호(2013.02.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화기와 같이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는 장치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운전 압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화기의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슬래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반응기에 연결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유닛; 및 상기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감지하는 슬래그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은, 원기둥 형태이며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감지부에 의해 슬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몸체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고압 반응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슬래그가 상기 저장부로 충전되며,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향하면 슬래그가 배출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판; 및 상기 저장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가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슬래그를 배출할 때 가스부에서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판이 상기 슬래그를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부는,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출입시키는 가스 밸브; 상기 가스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배관이 아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배관이 윗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배관이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될 때 상기 고압 반응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이송판이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배출되며, 상기 제1 배관이 상기 제3 배관에 연결될 때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판을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 측으로 이동시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 내부에는 상기 이송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가 다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판과 상기 가이드 바 사이를 밀봉하는 제1 실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판과 상기 저장부 사이를 밀봉하는 제2 실링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래그 감지부는, 상기 고압 반응기 내부의 냉각수에 포함된 슬래그를 감지하며, 상기 냉각수 상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냉각수 하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는 슬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2 감지부는 슬래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판을 설치한 저장부에 의해 상기 고압 반응기 측의 고압 영역과 슬래그 배출 유닛 측의 상압 영역이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스화기와 같이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는 장치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운전압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슬래그 배출 방법을 통해 종래 배출 과정에 필요한 고압 밸브류, 압력제어장치, 그리고 고압용 1차 저장용기와 같은 부대설비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운전방법이 간단하므로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및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 조건에서의 슬래그 배출뿐만 아니라 액체 상태의 물질 배출 운전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유닛의 (a)가스 배출 상태와 (b)가스 공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유닛의 슬래그 배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유닛의 (a)가스 배출 상태와 (b)가스 공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유닛의 슬래그 배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 장치(100)는 석탄가스화기와 같이 고압 조건에서 운전되는 고압 반응기(10)에서 발생하는 슬래그(30)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슬래그(30)는 비산재 등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오염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고압 반응기(10)에서 발생한 슬래그(30)는 고압 반응기(10)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30)로 떨어져서 배출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슬래그의 배출은 슬래그(30)를 포함하는 냉각수(20)로서 유체 형태로 배출되나 편의상 슬래그로 기재한다.
가스화 반응을 위한 고압 반응기(10)는 하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래그(30)는 고압 반응기(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슬래그 배출 장치(100)는 고압 반응기(10) 배출구에 연결되어 슬래그를 충전하고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유닛(110), 및 고압 반응기(10)에서 발생한 슬래그(10)를 감지하는 슬래그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슬래그 감지부(130)는 고압 반응기(10) 내부의 냉각수(20)로 떨어진 슬래그(30)를 감지하며, 냉각수 상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131), 및 냉각수 하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132)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131)는 슬래그가 감지되면 슬래그 배출 유닛(110)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135)로 신호를 보내며, 제2 감지부(132)는 슬래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래그 배출 유닛(11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부(153)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감지부(131)는 슬래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슬래그 배출 유닛(11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감지부(132)에 의해 슬래그가 모두 배출되어 슬래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래그 배출 유닛(11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135)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슬래그 배출 유닛(110)은, 원기둥 형태이며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111), 몸체(111)를 감싸는 하우징(112), 및 몸체(111)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슬래그를 담아 배출하는 저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2)은 몸체(111)가 회전하는 동안 저장부(113)에 충전된 슬래그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몸체(111)와 이격없이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113)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의 크기만큼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저장부(113)로 슬래그를 충전하거나 저장부로부터 슬래그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래그 감지부(130)의 제1 감지부(131)에 의해 슬래그가 감지되면 제1 감지부(131)는 제어부(135)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135)는 구동 모터(136)에 신호를 보내어 구동 모터(136)에 의해 슬래그 배출 유닛(110)의 몸체(111)가 회전하도록 한다.
몸체(111)가 회전하는 동안, 저장부(113)의 개구부가 고압 반응기(10)의 배출구와 연결되면 고압 반응기(10)의 압력에 의해 고압 반응기(10)의 슬래그가 저장부로 이송되며, 저장부(113)의 개구부가 하우징(112)의 하부로 내려오면 슬래그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슬래그 배출 유닛(110)은, 저장부(113)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판(114), 및 저장부(113) 타측에 설치되어 저장부(113)에 가스를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이송판(114)을 이동시키는 가스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판(114)의 설치로 슬래그 배출을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고압 반응기(10)의 고압 영역과 슬래그 배출 유닛(110)의 상압 영역을 구분하여 압력차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가스부(120)는, 저장부(113)에 가스를 출입시키는 가스 밸브(121), 가스 밸브(121)와 연결되고 몸체(111)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배관(122), 제1 배관(122)과 연결되며 하우징(112)에 설치되되 몸체(111)의 회전에 의해 제1 배관(122)이 아래측으로 이동할 때 제1 배관(122)과 연결되는 제2 배관(123), 및 제1 배관(122)과 연결되며 하우징(112)에 설치되되 몸체(111)의 회전에 의해 제1 배관(122)이 윗측으로 이동할 때 제1 배관(122)과 연결되는 제3 배관(12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1)가 회전하는 동안, 고압 반응기(10)의 배출구와 저장부(113)의 개구부가 연결될 때, 고압 반응기(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고압 반응기(10)의 슬래그가 저장부(113)로 이송되며, 이와 동시에 이송판(114)도 저장부(113)의 개구부측에서 바닥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배관(122)이 제2 배관(123)에 연결되므로 저장부(113) 바닥과 이송판(114)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는 제1 배관(122) 및 제2 배관(12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1)가 회전하는 동안, 저장부(113)의 개구부가 하우징(112)의 하부를 향할 때 슬래그가 슬래그 저장소(140)로 배출되며, 제1 배관(122)이 제3 배관(124)에 연결되므로, 제1 배관(122) 및 제3 배관(124)을 통해 저장부(113)에 가스가 공급되어 이송판(114)을 저장부(113)의 개구부 측으로 밀어주어 슬래그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3) 내부에는 이송판(11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115)가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판(114)과 가이드 바(115) 사이를 밀봉하는 제1 실링부(117)가 설치되고, 이송판과 저장부 사이를 밀봉하는 제2 실링부(116)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는 슬래그 감지부(130)의 제1 감지부(131)에 의해 슬래그가 감지되어 저장부(113)에 슬래그가 충전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슬래그가 저장부(113)에 충전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고압 반응기(10)의 압력에 의해 저장부(113)에 슬래그가 충전되면서 이송판(114)도 함께 저장부(113)의 바닥면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이송판(114)과 저장부(113) 바닥면에 존재하는 가스는 제1 배관(122) 및 제2 배관(123)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도 3(c)는 저장부(113)에 슬래그가 충전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d)는 몸체(111)의 회전에 의해 저장부(113)의 개구부가 하우징(112) 하부로 이동하여 하우징(112) 하부의 슬래그 저장소(140)로 슬래그가 배출되는 모습으로, 이때 제1 배관(122) 및 제3 배관(124)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어 이송판(114)이 저장부(113)의 개구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래그의 배출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장부(113)에 이송판(114)이 설치됨으로써, 고압 반응기(10)의 고압 영역과 슬래그 배출 유닛(110)의 상압 영역을 구분하여 압력차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작용할 때, 이송판(114) 상부 즉, 고압 반응기(10)와 연결되어 슬래그를 포함한 냉각수(20)가 존재하는 공간 전체는 고압 반응기(10)의 압력인 약 20bar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송판(114) 하부 즉, 저장부(113)와 이송판(114)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즉 저장부(113)의 바닥면과 측면과 이송판(113)의 하부면이 이루는 공간은 가스 충전에 의한 상압 또는 약 7bar 정도의 중압을 유지하는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판 하부의 가스 충전 공간을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 배출 유닛 측의 상압 영역이라고 한다.
한편, 도 3(d)와 같이 작용할 때는 몸체(111)의 회전에 의해 고압 반응기(10) 측의 고압 영역과 저장부(113) 내부의 가스 충전된 영역, 즉 상압 또는 중압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13) 내부의 가스 충전된 영역을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 배출 유닛(110) 측의 상압 영역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출 장치는 가스화기와 같이 고압조건으로 운전되는 장치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운전압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슬래그 배출 방법을 통해 종래 배출 과정에 필요한 고압 밸브류, 압력제어장치, 그리고 고압용 1차 저장용기와 같은 부대설비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운전방법이 간단하므로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및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고압 조건에서의 슬래그 배출뿐만 아니라 액체 상태의 물질 배출 운전에도 적용 가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슬래그 배출 유닛 111 : 몸체
112 : 하우징 113 : 저장부
114 : 이송판 115 : 가이드 바
120 : 가스부 121 : 가스 밸브
122 : 제1 배관 123 : 제2 배관
124 : 제3 배관 130 : 슬래그 감지부
131 : 제1 감지부 132 : 제2 감지부
135 : 제어부 136 : 구동 모터
140 : 슬래그 저장소

Claims (8)

  1. 가스화기의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슬래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반응기에 연결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유닛; 및
    상기 고압 반응기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감지하는 슬래그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은,
    원기둥 형태이며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슬래그를 충전한 후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 감지부에 의해 슬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몸체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고압 반응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압 반응기의 슬래그가 상기 저장부로 충전되며,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향하면 슬래그가 배출되며,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판; 및
    상기 저장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가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슬래그를 배출할 때 가스부에서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판이 상기 슬래그를 밀어내도록 하며,
    상기 가스부는,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출입시키는 가스 밸브;
    상기 가스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배관이 아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배관이 윗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관이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될 때 상기 고압 반응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이송판이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배출되며,
    상기 제1 배관이 상기 제3 배관에 연결될 때 상기 저장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이송판을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 측으로 이동시켜 슬래그가 배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부에 충전된 슬래그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이격 없이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의 크기만큼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저장부로 슬래그를 충전하거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슬래그를 배출하며,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할 때 슬래그가 슬래그 저장소로 배출되며, 상기 제1 배관이 상기 제3 배관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가스가 공급되며, 상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상기 이송판이 상기 저장부의 개구부 측으로 강제 이동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부에는 상기 이송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가 다수 설치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과 상기 가이드 바 사이를 밀봉하는 제1 실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판과 상기 저장부 사이를 밀봉하는 제2 실링부가 설치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감지부는,
    상기 고압 반응기 내부의 냉각수에 포함된 슬래그를 감지하며,
    상기 냉각수 상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냉각수 하부측에 설치되어 슬래그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는 슬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2 감지부는 슬래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슬래그 배출 유닛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슬래그 배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을 설치한 저장부에 의해 상기 고압 반응기 측의 고압 영역과 슬래그 배출 유닛 측의 상압 영역이 구분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KR1020170038257A 2017-03-27 2017-03-27 슬래그 배출 장치 KR10187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57A KR101874412B1 (ko) 2017-03-27 2017-03-27 슬래그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57A KR101874412B1 (ko) 2017-03-27 2017-03-27 슬래그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412B1 true KR101874412B1 (ko) 2018-07-04

Family

ID=6291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257A KR101874412B1 (ko) 2017-03-27 2017-03-27 슬래그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803A (ja) 2013-03-29 2014-10-23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スラグ監視装置及びスラグ監視方法
KR101502081B1 (ko) * 2013-12-03 2015-03-11 한국기계연구원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KR101533701B1 (ko) * 2014-04-09 2015-07-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연속식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803A (ja) 2013-03-29 2014-10-23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スラグ監視装置及びスラグ監視方法
KR101502081B1 (ko) * 2013-12-03 2015-03-11 한국기계연구원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KR101533701B1 (ko) * 2014-04-09 2015-07-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연속식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118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nd handing over fine-grain to coarse-grain solids from a container to a higher pressure system
US20090173005A1 (en) Feed System
KR101882631B1 (ko)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US7050944B2 (en) FCC catalyst injection system having local data access
AU2009250102B2 (en) Device for discharging a solid material from a container
JP4216731B2 (ja) 廃棄物処理装置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BR112012015517B1 (pt) sistema de alimentação de carvão e método de utilizar um sistema de alimentação de carvão
US201401502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liquid from a solids flow
KR101874412B1 (ko) 슬래그 배출 장치
US403373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eeding particulate solids into a pressure reactor
JP4291670B2 (ja) 廃棄物供給装置
JPS6232237B2 (ko)
WO2010077179A2 (ru) Способ плазмохи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вещест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342133B2 (ja) 処理物の供給装置及び方法
CN105567334A (zh) 用于容器封闭件的密封系统
KR101533701B1 (ko) 연속식 배출장치
KR101515447B1 (ko) 가스화기의 미분탄 공급 시스템 및 공급 방법
WO2003018720A2 (en) Apparatus and prcess for discharging ash from a high pressure gasifier
US4173327A (en) Solid handling valve
KR100398406B1 (ko) 고로의 장입호퍼 가압장치
CN103146398A (zh) 焦炉装煤孔密封装置及其密封方法
JP5535868B2 (ja) スラグ排出システムおよびスラグ排出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108980883B (zh) 生物质料锁及工作方法
CN203923115U (zh) 稻壳气化炉的锁气装置
CN104449845B (zh) 一种生物质垃圾密封型定量给料装置和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