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081B1 -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081B1
KR101502081B1 KR20130149173A KR20130149173A KR101502081B1 KR 101502081 B1 KR101502081 B1 KR 101502081B1 KR 20130149173 A KR20130149173 A KR 20130149173A KR 20130149173 A KR20130149173 A KR 20130149173A KR 101502081 B1 KR101502081 B1 KR 10150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ansfer pipe
gas
gasifier
ga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진
길상인
강건용
노선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6Waste feed arrangements for liqu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40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2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연료를 가스화하는 반응로를 포함하는 가스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반응로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수직 하방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이송관의 상부에서 상기 반응로의 배출구와 연결된 이송관 입구부; 이송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각각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 및 슬래그 배출구; 및 상기 이송관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합성가스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과 상기 가스 유통관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Gasifier apparatus for decreasing variation in furnace pressure}
본 발명은 가스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연료의 가스화에 의해 생성된 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향상된 용융 슬래그 배출 기능을 갖는 가스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화기(gasifier)는 고형의 폐연료들,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생활 폐기물, 바이오매스(biomass) 등을 가스화(gasification)하고 회분을 용융시켜 H2와 CO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syngas) 및 고온의 용융 슬래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가스화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기존의 가스화기(100)는 반응로(11) 및 배출 이송관(13)을 포함한다. 반응로(11)는 반응로 입구(12)와 연결되어 있고 배출 이송관(13)은 이송관 입구(14)를 통해 반응로(11)와 연결되어 있다.
폐연료가 반응로 입구(12)를 통해 반응로(11)로 투입되면 된 후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와 함께 폐연료가 반응로(11) 내에서 가스화 및 용융되면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가 생성된다. 합성가스와 슬래그는 이송관 입구(14)를 통해 배출 이송관(13)으로 이송되고, 합성가스와 슬래그는 각각 가스 배출구(15)와 슬래그 배출구(16)를 통해 각각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성에서 합성가스와 슬래그가 배출 이송관(13)을 통과할 때 슬래그의 유동성의 정도에 따라 슬래그가 덩어리 형태로 이송관을 따라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합성가스가 이송관(13)을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도2 및 도3은 각각 배출 이송관(13)의 평면도와 측단면도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슬래그(19)와 합성가스가 이송관 입구(14)를 통과하여 대략 수직방향의 이송관(13)으로 유입될 때 슬래그(19)와 합성가스는 같은 통로(즉, 이송관 입구(14) 및 이송관(13))를 지나게 된다.
그런데 폐연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용융 슬래그(19)는 염기도에 따라 슬래그의 유동성에 차이가 나게 되는데 용융 슬래그 유동성이 저하할 경우 도시한 것처럼 큰 덩어리의 슬래그가 형성되어 이송관 입구(14)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2 및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슬래그(19)가 이송관 입구(14)와 이송관(13)의 단면적을 크게 차지하게 되어 가스가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즉 용융 슬래그가 큰 덩어리로 배출되는 경우 동일 통로를 사용하는 가스의 흐름에 지장을 주게 되어 반응로(11) 내의 압력 변동 발생 및 반응로내 압력 자동제어시 운전 불안정 상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송관(13)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용융 슬래그가 이송관 내에서 잘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송관의 내부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합성가스의 현열(顯熱)을 이용하고 있다. 이송관(13)의 내부 직경을 증가시키면 내부 표면적도 커지게 되어 단위면적당 고온의 합성가스로부터의 수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용융 슬래그는 합성가스의 현열과 이송관(13)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받는 복사열에 의해 용융상태로 배출되는데 내부 표면적의 증가에 따라 슬래그가 이송관(13) 내부 표면적에서 수수하는 복사열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왜냐하면 복사열은 면적에는 선형적으로 비례하지만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이송관(13)의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므로 이송관의 직경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융 슬래그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가스 배출도 원활히 할 수 있는 향상된 용융 슬래그 배출 기능을 갖는 가스화기 장치에 대한 필요성에 요구되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115400호 (2012.02.15.)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융식 슬래그 처리 가스화 반응로" (2) 한국 등록특허 제10-1005913호 (2010.12.28)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가스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관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용융 슬래그 및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스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 슬래그와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함으로써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연료를 가스화하는 반응로를 포함하는 가스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반응로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수직 하방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이송관의 상부에서 상기 반응로의 배출구와 연결된 이송관 입구부; 이송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각각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 및 슬래그 배출구; 및 상기 이송관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합성가스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과 상기 가스 유통관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화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가스 배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 흐르는 가스를 흡입하는 팬;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 값을 수신받고, 이 감지된 압력이 제1 소정값 이상일 때 상기 팬을 제어하여 상기 팬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관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아 이송관 내부에 충분한 복사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용융 슬래그 및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내압이 증가하면 센서로 이를 인식하여 팬의 흡입력을 자동으로 증가시키고 이송관 입구부를 가열하여 노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노내압의 변동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화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 및 도3은 종래기술의 가스화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측단면도,
도7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
도8은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 그리고,
도9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200)는 폐연료를 가스화하는 반응로(21) 및 이 반응로(21)에서 생성된 용융 슬래그와 합성가스를 수직 하방으로 이송하는 이송관(23)을 포함한다.
반응로(21)는 가스화기 본체(20) 내에 형성되고, 반응로 입구(22)를 통해 예컨대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고형의 폐연료가 주입되면 이 폐연료를 가스화하고 용융시켜 H2와 CO를 주성분으로 합성가스 및 용융 슬래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23)은 대략 수직 방향의 유로를 형성하며, 이송관(23)의 상부에서 반응로(21)의 배출구와 연결된 이송관 입구부(24), 이송관(23)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합성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25), 및 이송관(23)의 하부에 형성되어 용융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26)를 포함한다.
이송관 입구부(24)는 반응로(21)의 배출구와 이송관(23)을 연결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 방향의 유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반응로(21)에서 이송관(23)측으로 슬래그가 잘 흘러내리도록 입구부(24)가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송관(23)은 이 이송관(23)과 병렬로 (즉, 이송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합성가스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30)을 더 포함한다.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23) 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이송관(23)과 가스 유통관(30)이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송관(23)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송관(23)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즉, 이송관(23)의 내부가 원통형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관(2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송관(23)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이송관(23)은 네 개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23) 내부의 네 모퉁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23)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관(23)의 모퉁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23)과 가스 유통관(30)의 구성에 대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이고 도6은 도5의 A-A'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 입구부(24)에서 가스 배출구(25) 사이에서 이송관(23)과 나란한 방향, 즉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5 및 도6의 실시예에서 이송관(23)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네 개의 가스 유통관(30)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23) 내부의 네 모퉁이의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가스 유통관(30)은 이송관(23)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관(23)의 모퉁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송관(23)과 가스 유통관(30)은 서로 연통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스 유통관(30)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가스 유통관(30)의 단면이 예컨대 반원형이나 반타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와 용융 슬래그가 통과하는 이송관(23)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가스 유통관(30)을 형성함으로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용융 슬래그가 적당한 크기로 이송관 입구부(24) 및 이송관(23)을 흐르기 때문에 합성가스도 이송관 입구부(24)와 이송관(23)을 흘러서 가스 배출구(25)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가 맞지 않아 슬래그가 큰 덩어리로 이송관 입구부(24)와 이송관(23)을 흐르더라도 합성가스는 이송관(23)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 유통관(30)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스 유통관(30)을 이송관(23) 측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송관(23)의 수열면적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이송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가 흐르는 유로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 변화 및 이에 의해 슬래그 덩어리의 크기 변동에도 불구하고 반응로(21) 내의 압력("노내압")의 변동폭을 일정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제 다시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200)는 압력센서(41), 컨트롤러(43), 팬(45), 및 가열장치(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41)는 반응로(21) 내의 압력을 감지하며, 이에 따라 용융 슬래그가 큰 덩어리로 형성되어 이송관 입구부(24)의 흐름을 막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팬(45)은 가스 배출구(25)의 후단에 배치되어 이송관(23) 내에 흐르는 가스를 흡입한다.
컨트롤러(43)는 압력센서(41)로부터 감지된 압력 값을 수신받는다. 감지된 압력이 제1 소정값 이상일 때 컨트롤러(43)는 팬(45)을 제어하여 팬(45)의 흡입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가스가 가스 배출구(25)로 더 원활히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노내압이 상기 제1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도록 한다.
가열장치(47)는 이송관 입구부(24)에 배치되어 이송관 입구부(24)의 표면, 즉 바람직하게는 용융 슬래그가 흐르는 이송관 입구부(24)의 바닥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장치(47)는 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43)가 가열장치(47)도 제어할 수 있으며, 압력센서(41)가 감지한 압력 값이 제2 소정값 이상일 때 컨트롤러(43)는 가열장치(47)를 작동시켜서 이송관 입구부(24)를 가열할 수 있다. 용융 슬래그가 큰 덩어리로 형성되어 이송관 입구부(24)의 가스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가열장치(47)가 이송관 입구부(24)를 가열함으로써 이 입구부(24)를 지나는 용융 슬래그를 더 용융하여 슬래그 덩어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 흐름을 원활히 하여 노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소정값은 제1 소정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가열장치(47)가 작동하여 이송관 입구부(24)를 가열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팬(45) 보다 가열장치(47)를 먼저 동작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소정값을 제1 소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23)의 평면도이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송관(23) 내부의 네 면의 측벽은 다공성 재질의 부재(33)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인 이송관(23)을 형성한 다음 이송관(23) 내부에서 네 모퉁이를 제외한 네 측벽 부분에 다공성 부재(33)를 부착함으로써 도시한 실시예의 이송관(23)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네 면의 측벽이 모두 다공성 부재(33)로 형성되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예컨대 하나 또는 두개의 측면에만 다공성 부재(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다공성 부재(33)는 무수한 빈 공간(pore)을 갖고 있으며 이 공간들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고온의 용융 슬래그로부터의 복사열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안적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가 맞지 않아 큰 덩어리의 용융 슬래그가 이송관(23)을 막고 있을 경우, 합성가스가 가스 유통관(30) 뿐만 아니라 다공성 부재(33) 내부를 통해 가스 배출구(25)까지 흐를 수 있으므로 가스의 흐름을 한층 더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노내압의 변동폭을 더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8은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이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송관(53)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60)이 이송관(53)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관(53)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가스 유통관(60)을 도시하였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하나 내지 세 개의 가스 유통관(6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다섯개 이상의 유통관(60)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스 유통관(60)의 단면은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과 같이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9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의 배출 이송관의 평면도이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8의 실시예에서 가스 유통관(60)을 제외한 측벽 부분이 다공성 부재(63)로 대체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스 유통관(60)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 부분이 모두 다공성 부재(63)로 형성되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예컨대 측벽의 일부분에만 다공성 부재(63)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공성 부재(63)는 공기가 잘 통과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빈 공간을 갖는 재질이며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큰 덩어리의 용융 슬래그가 이송관(53)을 막고 있는 경우에도 합성가스가 가스 유통관(60) 뿐만 아니라 다공성 부재(63) 내부를 통해 가스 배출구까지 흐를 수 있으므로 가스의 흐름을 더 원활하게 하고 노내압의 변동폭을 더 감소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가스화기
10, 20: 본체
11, 21: 반응로
13, 23, 53: 이송관
14, 24: 이송관 입구
15, 25: 가스 배출구
16, 26: 슬래그 배출구
30, 60: 가스 유통관
33, 63: 다공성 부재
41: 압력센서
43: 컨트롤러
45: 팬
47: 열선

Claims (10)

  1. 폐연료를 가스화하는 반응로를 포함하는 가스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반응로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수직 하방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이송관의 상부에서 상기 반응로의 배출구와 연결된 이송관 입구부;
    이송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합성가스와 용융 슬래그를 각각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 및 슬래그 배출구; 및
    상기 이송관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합성가스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과 상기 가스 유통관이 연통하고, 상기 이송관 내부의 측벽이 다공성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구는 상기 이송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 입구부에서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내부는 네 개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이 상기 이송관 내부의 네 모퉁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네 개의 가스 유통관을 포함하며, 각각의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 내부의 네 모퉁이의 각각에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통관은 상기 이송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통관의 단면은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반응로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가스 배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 흐르는 가스를 흡입하는 팬;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 값을 수신받고, 이 감지된 압력이 제1 소정값 이상일 때 상기 팬을 제어하여 상기 팬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이송관 입구부에 배치되어 이송관 입구부의 표면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된 압력이 제2 소정값 이상일 때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값은 제1 소정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기.
KR20130149173A 2013-12-03 2013-12-03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KR10150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173A KR101502081B1 (ko) 2013-12-03 2013-12-03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173A KR101502081B1 (ko) 2013-12-03 2013-12-03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081B1 true KR101502081B1 (ko) 2015-03-11

Family

ID=5302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173A KR101502081B1 (ko) 2013-12-03 2013-12-03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412B1 (ko) * 2017-03-27 2018-07-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슬래그 배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251A (ja) * 2002-10-15 2004-05-13 Babcock Hitachi Kk 溶融炉
KR200385461Y1 (ko) * 2005-01-06 2005-05-27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폐 가스 정화처리장치의 가스 버너 노즐
KR101104180B1 (ko) * 2010-11-25 2012-01-12 한국코로나 주식회사 커피원두 볶음용 탈연 탈취 분진 제거장치
KR101115400B1 (ko) * 2011-04-07 2012-02-15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융식 슬래그 처리 가스화 반응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251A (ja) * 2002-10-15 2004-05-13 Babcock Hitachi Kk 溶融炉
KR200385461Y1 (ko) * 2005-01-06 2005-05-27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폐 가스 정화처리장치의 가스 버너 노즐
KR101104180B1 (ko) * 2010-11-25 2012-01-12 한국코로나 주식회사 커피원두 볶음용 탈연 탈취 분진 제거장치
KR101115400B1 (ko) * 2011-04-07 2012-02-15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융식 슬래그 처리 가스화 반응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412B1 (ko) * 2017-03-27 2018-07-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슬래그 배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3075B (zh) 改性装置和改性系统
CN103619997B (zh) 用于在次化学计量氧化的情况下运行的井式气化器
TW419574B (en) Operating method of flow-level incinerator and the incinerator
JP6207279B2 (ja) 熱交換器一体型燃焼炉
US20130327257A1 (en) Fluidized bed furnace
JP2010101598A (ja) ハイブリッド温水装置
JP2008032357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JP5943574B2 (ja) 燃焼炉
KR101502081B1 (ko) 반응로 내의 압력 변동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화기 장치
JP5999883B2 (ja) 燃焼炉
EP2767576B1 (en) Gasification apparatus
WO2009153949A1 (ja) 流動層ガス化方法及びその設備
EP2765177B1 (en) Gasification system
CN104654289A (zh) 一种秸秆焚烧流化床锅炉
JP2008128519A (ja) サイロ型加熱炉
JP5422514B2 (ja) 固形燃料焚きボイラ
JP2009126882A (ja) 炉設備
JP2005061654A (ja) 循環流動層炉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18321246U (zh) 一种燃烧炉及气化系统
CN205603534U (zh) 生物质气化装置
CN215975677U (zh) 煤气化装置
CN103146431B (zh) 分体式双炉膛气化炉及基于该气化炉的室内加热系统及其炕床系统
KR101892718B1 (ko) 폐열 회수율이 극대화된 소각 보일러
WO2013145725A1 (ja) 流動床式ガス化炉への流動粒子供給装置
JP4102167B2 (ja) ガス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