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72B1 -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72B1
KR101532872B1 KR1020140042068A KR20140042068A KR101532872B1 KR 101532872 B1 KR101532872 B1 KR 101532872B1 KR 1020140042068 A KR1020140042068 A KR 1020140042068A KR 20140042068 A KR20140042068 A KR 20140042068A KR 101532872 B1 KR101532872 B1 KR 10153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ase
opening
laundry
laundry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상
김용선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최재상
김용선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상, 김용선, 김광현 filed Critical 최재상
Priority to KR102014004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 걸이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의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가이드 홈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탁물 걸이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 건조대를 가리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리모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 건조대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개폐동작에 따른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매립 케이스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Ceiling embedded type drying rack}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정원이 없는 아파트에서 발코니는 채광이 우수하고 바깥공기를 접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로 유아의 놀이터, 일광욕, 장독대, 세탁물 건조, 피난 통로, 휴식과 전망을 위한 공간에서 차츰 침실, 거실 등의 전용공간을 늘리고 이를 수납공간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95호(2013. 6. 10 공개)에는 간편하게 설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스탠드형, 천장 부착형의 세탁물 건조대가 개시된다.
특히 발코니에서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천장으로부터 세탁물 걸이대가 승강 가능하도록 된 천장 부착형 세탁물 건조대가 설치되고 있다.
한편, 아파트의 발코니가 침실, 거실 등의 전용공간으로 편입됨에 따라 세탁물 건조 공간의 부족으로, 거실 창가 쪽에 접이식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를 펼쳐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세탁물을 건조할 때마다 매번 세탁물 건조대를 옮겨야 하므로 보관 및 이동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천장 부착형 세탁물 건조대의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세탁물 걸이대가 승강하므로 세탁물 건조대의 보관 및 이동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등 미관상의 이유로 설치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 걸이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를 가리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리모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 건조대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개폐동작에 따른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재 위로 매립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간편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전제로 하여,
상기의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가이드 홈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와, 상기 회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자바라 도어와, 상기 자바라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방향 외측으로 인출되고 하방향 내측으로 인출되는 레일이 설치된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의 레일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도어와, 상기 셔터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동부는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매립 케이스는 상기 세탁물 걸이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세탁물 걸이의 정위치가 감지된 경우 리모컨에 의해 매립 케이스의 하부를 닫기 위한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매립 고정 케이스와, 상기 매립 고정 케이스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매립 가변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매립 케이스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와, 회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매립 케이스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와, 회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매립 고정 케이스와, 매립 고정 케이스와 끼움 결합되어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매립 가변 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 걸이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 건조대를 가리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리모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 건조대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개폐동작에 따른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매립 케이스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수단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수단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수단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수단의 제 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어 블록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매립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실내 소음에 대한 흡음 또는 차음, 냉·난방비의 절약을 위한 단열 등의 목적으로 실내 공간과 천장 슬래브 공간을 구획하는 천장 마감재가 시공된다.
즉,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천장 슬래브에 목재 또는 경량형강을 이용하여 틀을 형성한 뒤 천장 마감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은 아파트의 발코니가 침실, 거실 등의 전용공간으로 편입됨에 따라 부족한 세탁물 건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천장 구조를 이용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착안하였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는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에 있어서, 세탁물 건조대(10)가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20)와,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0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세탁물을 걸어두기 위한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는 세탁물 걸이(11)에 와이어를 걸어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당겨 승강하는 구조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천장 마감재(20)는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천장 슬래브(1)에 목재 또는 경량형강을 이용하여 만든 틀에 부착 설치되고, 합판, 석고보드,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세탁물 걸이(11)가 실내 공간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다.
개폐수단(100)은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세탁물 걸이(11)가 하강하여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세탁물 걸이(11)가 상승하여 천장 슬래브(1)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세탁물 걸이(1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10)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아파트 등에서 세탁물 건조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 1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에 있어서, 세탁물 건조대(10)가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20)와, 천장 마감재(20)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00)이 구비되고, 상기의 개폐수단(100)은 세탁물 건조대(10)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110)와,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가이드 홈(111)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120)와, 슬라이드 도어(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매립 케이스(110)는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천장 마감재(20)와 소정 폭 겹치는 베젤(140)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도어(120)는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물 건조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베젤(140)에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도어(120)가 관통 설치되고, 베젤(140) 내측면에 슬라이드 도어(120)의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도어(120)는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120)는 상면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선톱니(12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베젤(140)에 직선톱니(121)와 치차결합을 위한 결합 홈(141) 및 원형톱니(131)를 매개로 직선톱니(121)와 맞물려 구동하는 구동모터(132)를 포함하는 구동부(130)가 탑재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모터(132)가 정·역 구동함에 따라 원형톱니(131)의 회전운동이 직선톱니(121)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슬라이드 도어(120)가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 걸이(1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10)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도어(120)로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아파트 등에서 세탁물 건조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에서는 슬라이드 도어(120)가 양측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도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양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 2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에 있어서, 세탁물 건조대(10)가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20)와, 천장 마감재(20)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00)이 구비되고, 상기의 개폐수단(100)은 세탁물 건조대(10)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110)와,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회전축(15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150)와, 회전 도어(1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매립 케이스(110)는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천장 마감재(20)와 소정 폭 겹치는 베젤(140)이 형성된다.
회전 도어(150)는 매립 케이스(1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축설된 회전축(151)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축(151)과 함께 회전하여 매립 케이스(110)의 하부를 개폐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물 건조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회전 도어(150)는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축설된 회전축(151)에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 도어(150)의 회전축(151)과 기어를 매개로 톱니가 맞물려 구동하는 구동모터(132)를 포함하는 구동부(130)가 매립 케이스(110)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모터(132)가 정·역 구동함에 따라 기어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도어(150)가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 걸이(1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10)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 도어(150)로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아파트 등에서 세탁물 건조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에서는 회전축(151)과 축 결합되는 회전 도어의 리브(152) 상에 톱니를 형성하여 구동모터(132)의 축 기어(153)와 맞물리도록 하여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하고, 회전 도어(150)가 양측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회전 도어에 의해서도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양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 3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에 있어서, 세탁물 건조대(10)가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20)와, 천장 마감재(20)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00)이 구비되고, 상기의 개폐수단(100)은 세탁물 건조대(10)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110)와, 매립 케이스(110) 하부의 가이드 홈(111)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져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자바라 도어(170)와, 자바라 도어(17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매립 케이스(110)는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천장 마감재(20)와 소정 폭 겹치는 베젤(140)이 형성된다.
자바라 도어(170)는 매립 케이스(110) 하부 내측에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물 건조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자바라 도어(170)는 일정 폭의 판재(171)가 접힘 가능하게 연속되게 배치되고 판재 양단 중앙에 체결돌기(172)가 형성되어 매립 케이스(10)의 하단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1)에 삽입 내재되고, 이에 대응하여 자바라 도어(170)의 선단과 구동모터(132)에 결속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재(133)를 포함하는 구동부(130)가 매립 케이스(11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모터(132)가 정·역 구동함에 구동모터(132)의 회전운동이 링크부재(133)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자바라 도어(170)가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 걸이(1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10)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자바라 도어(170)로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아파트 등에서 세탁물 건조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에서는 자바라 도어(170)가 양측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자바라 도어(170)에 의해서도 매립 케이스(10) 하부를 양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마주보는 자바라 도어(170)의 선단에 자석 띠(173)가 취부되어 자바라 도어(170)가 닫혔을 때 서로 맞붙어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자바라 도어(170)는 와이어에 의해 개폐할 수도 있다.
다음,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 4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하는 세탁물 건조대(10)에 있어서, 세탁물 건조대(10)가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1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20)와, 천장 마감재(20)의 승강 통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00)이 구비되고, 상기의 개폐수단(100)은 세탁물 건조대(10)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21)에 매립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방향 외측으로 인출되고 하방향 내측으로 인출되는 레일(181)이 설치된 매립 케이스(110)와, 매립 케이스(110)의 레일(181)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도어(190)와, 셔터 도어(19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매립 케이스(110)는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천장 마감재(20)와 소정 폭 겹치는 베젤(140)이 형성된다.
셔터 도어(190)는 매립 케이스(110) 양 측면에 각 배치되는데, 매립 케이스(110)의 측벽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 레일(181)을 따라 이동하여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물 건조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어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셔터 도어(190)는 곡면에 따라 굽힘이 가능하도록 소정 폭의 판재가 링크 결합되고, 셔터 도어(190) 양단이 매립 케이스(110)의 양 측벽에 상방향 외측으로 인출되고 하방향 내측으로 인출된 레일(181)이 삽입 내재되며, 셔터 도어(190) 후면에 이동방향으로 직선톱니부(193)가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매립 케이스(110) 전 후벽 하단에 직선톱니부(193)와 치차결합을 위한 결합 홈부(112) 및 원형톱니부(134)를 매개로 직선톱니부(193)와 맞물려 구동하는 구동모터(132)를 포함하는 구동부(130)가 베젤(140) 상에 탑재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모터(132)가 정·역 구동함에 따라 원형톱니부(134)의 회전운동이 직선톱니부(193)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셔터 도어(190)가 레일(181)을 따라 이동하여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 걸이(1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10)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셔터 도어(190)로 가려주어 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공간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아파트 등에서 세탁물 건조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은 첨부도면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의 제어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먼저, 상기의 구동부(130)는 리모컨(200)에 의해 원격 제어된다.
즉, 매립 케이스의 베젤(140)에는 리모컨(20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01)가 마련되어 리모컨(200)으로부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21)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2)를 구동하여 전술한 슬라이드 도어(120), 회전 도어(150), 자바라 도어(170), 셔터 도어(190)를 열게 된다.
물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02)나 도어가 완전히 열려 더 이상 구동모터(132)가 회전하지 않은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의 구성으로 구동모터(132)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물 건조대(10)의 세탁물 걸이(11)를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하강시켜 실내 공간에서 세탁물을 걸어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세탁물 걸이(11)로부터 세탁물을 수거한 후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세탁물 걸이(11)를 상승시켜 천장 상측으로 원위치시키고, 리모컨(20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구동부(130)는 수신기(201)로부터 승강 통로(21)를 닫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모터(132)를 역으로 구동하여 전술한 슬라이드 도어(120), 회전 도어(150), 자바라 도어(170), 셔터 도어(190)를 닫게 된다.
물론,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02)가 구비되거나 도어가 완전히 닫혀 더 이상 구동모터(132)가 회전하지 않는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의 구성으로 구동모터(132)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탁물 건조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물 건조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줌으로써 실내 공간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매립 케이스(110)는 세탁물 걸이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203)가 설치되고, 구동부(130)는 위치 센서(203)로부터 세탁물 걸이(11)의 정위치가 감지된 경우 리모컨(200)에 의해 매립 케이스(110)의 하부를 닫기 위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세탁물 걸이(11)가 하강한 상태에서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닫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어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수신기(201)를 통해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닫기 위한 리모컨(200)의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위치 센서(203)로부터 세탁물 걸이(11)의 정위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부(130)는 매립 케이스(110) 하부를 닫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도어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세탁물 걸이(11)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203)는 세탁물 걸이(11)의 일측단에 부착된 자석과, 이 자석에 대응하여 매립 케이스(110) 내측에 부착 설치된 자기 센서로 구현되거나, 세탁물 걸이(11)의 하단부와 접촉에 의해 기계적 접점이 변화하는 리밋스위치(210) 등에 의해 양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첨부도면 12 및 13을 참조하여 매립 케이스(1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도시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도면을 참조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매립 케이스(110)는 그 상판(113) 하부에 세탁물 건조대(10)가 위치되어 일체로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된다.
즉, 매립 케이스(110)는 상부가 상판(113)에 의해 밀폐된 구조로, 상판(113)에는 세탁물 건조대(10)의 장착공에 대응하여 관통공(114)이 천공된다.
따라서 매립 케이스(110)를 천장 슬래브(1)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판(113) 하부에 세탁물 건조대(10)를 위치시킨 후 칼브럭이나 콘크리트 앙카로 천장 슬래브(1)에 부착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0)와 매립 케이스(110)가 일체로 천장 슬래브(1)에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매립 케이스(110)의 상판(113)에 의해 천장 슬래브(1)의 노출면이 가려지게 되므로 미관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의 매립 케이스(110)는 그 상판(113) 하부에 세탁물 건조대(10)가 위치되어 일체로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는 매립 고정 케이스(110a)와, 매립 고정 케이스(110a)와 끼움 결합되어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매립 가변 케이스(110b)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매립 고정 케이스(110a)는 세탁물 건조대(10)를 하부에 위치시킨 후 칼브럭이나 콘크리트 앙카에 의해 일체로 천장 슬래브(1)에 부착 설치되고, 매립 가변 케이스(110b)는 상측이 매립 고정 케이스(110a)의 하측과 일부분 겹친 상태에서 베젤(140)이 천장 마감재(20) 하부와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베젤(140)을 천장 마감재(20) 하부에 부착 설치하거나 매립 고정 케이스(110a)와 매립 가변 케이스(110b)의 겹친 부분에 피스를 체결하여 일체로 결속함으로써 승강 통로(21) 상에 매립 케이스(11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공사 현장의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매립 고정 케이스(110a)와 매립 가변 케이스(110b)가 일부분 겹치므로 매립 케이스(110)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천장 슬래브(1)와 천장 마감재(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천장 슬래브
10: 세탁물 건조대
11: 세탁물 걸이
20: 천장 마감재
21: 승강 통로
110: 매립 케이스
110a: 매립 고정 케이스
110b: 매립 가변 케이스
120: 슬라이드 도어
121: 직선톱니
130: 구동부
131: 원형톱니
132: 구동모터
133: 링크부재
134: 원형톱니부
140: 베젤
141: 결합 홈
150: 회전도어
151: 회전축
152: 리브
153: 축기어
170: 자바라 도어
171: 판재
172: 체결 돌기
173: 자석 띠
181: 레일
190: 셔터 도어
193: 직선톱니부
200: 리모컨
202: 센서
203: 위치 센서
210: 리밋스위치

Claims (11)

  1.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가이드 홈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2. 삭제
  3. 삭제
  4.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자바라 도어와,
    상기 자바라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5.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방향 외측으로 인출되고 하방향 내측으로 인출되는 레일이 설치된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의 레일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도어와,
    상기 셔터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6.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7.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케이스는 상기 세탁물 걸이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세탁물 걸이의 정위치가 감지된 경우 리모컨에 의해 상기 매립 케이스의 하부를 닫기 위한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8.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9.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매립 고정 케이스와,
    상기 매립 고정 케이스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매립 가변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10.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와, 상기 회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11. 세탁물 건조대가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고 세탁물 걸이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통로가 형성된 천장 마감재와, 상기 천장 마감재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된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부착 설치된 천장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통로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 케이스와,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립 케이스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회전 도어와, 상기 회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매립 케이스는 그 상판 하부에 상기 세탁물 건조대가 위치되어 일체로 상기 천장 슬래브에 부착 설치되는 매립 고정 케이스와,
    상기 매립 고정 케이스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매립 가변 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KR1020140042068A 2014-04-08 2014-04-08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KR10153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68A KR101532872B1 (ko) 2014-04-08 2014-04-08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68A KR101532872B1 (ko) 2014-04-08 2014-04-08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872B1 true KR101532872B1 (ko) 2015-06-30

Family

ID=5352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068A KR101532872B1 (ko) 2014-04-08 2014-04-08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8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94A (ja) *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80073088A (ko) * 2007-02-05 2008-08-08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94A (ja) *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80073088A (ko) * 2007-02-05 2008-08-08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CA1300487C (en) Drive unit for a vertical blind or the like and vertical blind utilizing same
KR101367913B1 (ko) 커튼박스 일체형 창호구조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532872B1 (ko) 천장 매립형 세탁물 건조대
US9074419B2 (en) Window covering multi-lift system
KR20090068975A (ko) 서랍식 발코니
JP5747320B2 (ja) ウィンドウ装置
CN201588485U (zh) 自动控制开闭隐藏式窗户
KR20140000230U (ko) 스마트 전동식 빨래건조대
JP2009221654A (ja) 遮音ドア装置
CN204060317U (zh) 雨水感应自动控制门窗开关装置
KR101491733B1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2044147B1 (ko) 배연창 개폐장치
JP7066500B2 (ja) 防水扉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CN105888428A (zh) 一种多功能电动窗
KR101060483B1 (ko) 창문개폐장치
JP5351613B2 (ja) シャッタ装置
JP2022090674A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装置の制御方法
JP6255171B2 (ja) 開閉装置
CN204040848U (zh) 一种对开式电动遥控卷帘门
CN217216336U (zh) 一种应用于自动窗帘的直线电机
CN216517565U (zh) 一种可自动开合的窗户
JPH0868262A (ja) 窓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