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076B1 - 구동 휠 베어링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휠 베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076B1
KR101532076B1 KR1020130096844A KR20130096844A KR101532076B1 KR 101532076 B1 KR101532076 B1 KR 101532076B1 KR 1020130096844 A KR1020130096844 A KR 1020130096844A KR 20130096844 A KR20130096844 A KR 20130096844A KR 101532076 B1 KR101532076 B1 KR 10153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ub
ring
wheel
axially
r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703A (ko
Inventor
김완태
정연호
문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3009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0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36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 B60B27/0042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omokinetic joint to the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21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 B60B27/0031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of the axial type, e.g. front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3Hub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 B60B35/127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 B60B35/128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of the homokinetic or constant velocit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구동 휠 베어링장치가 개시된다. 차륜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되는 휠 허브,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내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내륜을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륜,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및 내륜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 및 엔진의 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등속조인트를 포함하여, 엔진의 동력을 휠 베어링을 통해 차륜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휠 베어링장치{A driving wheel bearing device}
본 발명은 구동 휠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 베어링의 휠 허브와 등속조인트가 축 방향으로 치형 결합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구동 휠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휠 베어링은 차량의 차륜이 마찰손실 없이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게 하며, 차체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차량의 동력전달장치는 등속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등속조인트는 차량의 주행시에 차량이 바운드되거나 혹은 차량의 선회시에 차륜으로부터 직경방향 변위나 혹은 축방향 변위 또는 모멘트 변위를 흡수하면서 엔진의 동력을 차륜에 원활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최근에 자원 절약과 공해 배출 저감을 위해 차량의 연비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차량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경량화와 더불어 조립성 및 보수성 향상을 위해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베어링에 등속조인트를 직접 연결하는 동력전달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휠 베어링에 등속조인트가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구동 휠 베어링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휠 베어링(10)을 등속조인트(20)가 관통해서 스플라인(30)을 매개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휠 베어링(10)은 도시되지 않은 차륜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되는 휠 허브(12)와, 상기 휠 허브(12)를 내측에 끼워서 지지함과 더불어 차체나 너클 등과 같은 고정체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외륜(14), 상기 휠 허브(12)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내륜(16) 및, 상기 휠 허브(12)와 외륜(14) 사이 및 상기 내륜(16)과 외륜(1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휠 허브(12)와 내륜(16)이 상기 외륜(14)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체(18)를 포함한다.
상기 등속조인트(20)는 상기 휠 허브(12)를 관통해서 상기 스플라인(30)을 매개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휠 허브(12)와 등속조인트(20)의 축 방향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록크 너트(40)가 상기 등속조인트(20)의 축 방향 선단부에 체결된다.
상기 스플라인(30)은 상기 휠 허브(12)에 끼워져 장착되는 상기 등속조인트(20)의 축 부위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치형과 치형홈이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휠 허브(12)에서 상기 등속조인트(20)의 축 부위가 끼워지는 내주면에도 치형과 치형홈이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등속조인트(20)의 치형이 휠 허브(12)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휠 허브(12)의 치형이 등속조인트(20)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휠 허브(12)와 등속조인트(20)는 치형과 치형홈의 결합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 베어링과 등속조인트의 결합구조에서 휠 허브와 등속조인트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치형과 치형 사이에 일정량의 클리어런스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바, 이러한 클리어런스는 차량의 운행시에 발생되는 하중이 휠 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의 결합부에 가해질 경우에 증가되어 노이즈를 발생시킨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휠 허브와 등속조인트를 축방향 치형 결합으로 연결하여 엔진의 동력을 차륜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고, 휠 베어링에 적절한 예압이 유지되게 하여 휠 베어링의 성능 향상 및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휠 베어링장치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되는 휠 허브,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내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내륜을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륜,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및 내륜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 및 엔진의 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등속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 축방향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휠허브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 상기 휠 허브의 스플라인과 결합되는 축방향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스플라인은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치형과 치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스플라인은 상기 휠 허브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치형과 상기 내륜의 치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치형홈이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휠 허브의 내측에는 휠 허브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된 제1중공 삽입부와,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된 제2중공 삽입부 및, 상기 제1중공 삽입부와 제2중공 삽입부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중공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중공 삽입부에 체결 볼트가 삽입된 다음에 상기 격벽을 관통해서 상기 등속조인트의 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의 외주면에는 나사부와, 이 나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평탄한 내륜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휠 허브의 내륜압입부가 압입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압입부와, 상기 휠 허브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륜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의 나사부에는 링 너트가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내륜은 상기 링 너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피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링 너트는 상기 피가압면과 면접촉하여 상기 피가압면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너트의 상기 내륜과 대향하는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수직벽면과, 이 제1수직벽면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가압면, 및 상기 가압면의 축방향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수직벽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상기 링 너트의 제1수직벽면과 대향하는 제1수직벽면과, 상기 링 너트의 가압면에 의해 눌러져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상기 피가압면, 및 상기 링 너트의 제2수직벽면과 대향하는 제2수직벽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가압면과, 이 제1가압면의 반경 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압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링 너트가 상기 휠 허브에 조립될 경우에 링 너트의 제1가압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링 너트의 제1가압면과 대향함과 더불어 축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피가압면과, 상기 제1피가압면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링 너트의 제2가압면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피가압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고무링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상기 고무링이 밀착하는 링 형상의 돌기가 축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씨일이 장착되고; 상기 휠 허브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차륜과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외륜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차체에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휠 베어링장치에 의하면, 휠 허브와 등속조인트가 축 방향 치형 결합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등속조인트와 휠 베어링을 차륜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로부터 상기 내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의 외주면에 링 너트가 편심되게 끼워져 쐐기 작용으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휠 베어링에 가해져도 상기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내륜이 휠 허브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으므로, 안정된 베어링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과 링 너트의 쐐기 작용으로 휠 베어링에 적절한 예압이 가해져서 휠 베어링의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휠 베어링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휠 베어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허브와 내륜 및 링 너트의 결합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 허브와 내륜 및 링 너트의 결합부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휠 베어링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차륜을 차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휠 베어링(100)과, 상기 휠 베어링(100)의 회전 요소에 결합되어 엔진의 동력을 상기 휠 베어링(100)의 회전 요소를 통해 상기 차륜에 전달하는 등속조인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베어링(100)은 상기 차륜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되는 휠 허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11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112)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112)에 허브 볼트(114)가 관통한 다음에 상기 차륜에 체결되어, 상기 휠 허브(110)와 차륜이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다.
상기 휠 베어링(100은 상기 휠 허브(110)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 내륜(120)과, 상기 휠 허브(110)와 상기 내륜(120)를 내측으로 끼워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차체나 너클 등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되게 체결되는 외륜(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륜(13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132)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32)에는 관통하는 체결홀(134)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34)을 통해 체결 볼트가 삽입되어 차체나 너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륜(13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 휠 허브(11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내륜(120)에는 각각 내륜궤도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륜궤도와 대향하는 상기 외륜(130)의 내주면에는 외륜궤도가 형성되어, 상기 내륜궤도와 외륜궤도 사이에는 볼 형상의 전동체(140)가 복열로 삽입되어 케이지(142)로 지지된다.
상기 전동체(140)는 물론 단열로 구성될 수 있고, 볼 형상 이외에도 롤러 형상 혹은 테이퍼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110)와 상기 외륜(1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휠 베어링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씨일(150)이 외륜(130)과 휠 허브(110)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륜(130)과 내륜(1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휠 베어링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씨일(150)이 외륜(130)와 내륜(120)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은 상기 휠 허브(110)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 스플라인(160)을 매개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 허브(110)의 내측에는 휠 허브(110)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된 제1중공 삽입부(115a)와, 휠 허브(110)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된 제2중공 삽입부(115b) 및, 상기 제1중공 삽입부(115a)와 제2중공 삽입부(115b)를 분리시키는 격벽(11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보스(210)는 상기 제2중공 삽입부(115b)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165)가 상기 제1중공 삽입부(115a)를 통해 삽입된 다음에 상기 격벽(116)을 관통해서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보스(2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휠 허브(110)와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분리가 방지되게 된다.
상기 스플라인(160)은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 원주방향으로 치형과 치형홈이 교대로 형성된 축방향 스플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휠 허브(110)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 원주방향으로 치형과 치형홈이 교대로 형성된 축방향 스플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치형이 휠 허브(110)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휠 허브(110)의 치형이 등속조인트(200)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휠 허브(110)와 등속조인트(200)가 일체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된다.
상기 휠 허브(110)의 축방향 내측 외주면에는 나사부(11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사부(118)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평탄한 내륜압입부(119)가 상기 휠 허브 나사부(118)와 연속되거나 혹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륜(120)은 상기 휠 허브(110)의 내륜압입부(119)가 압입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압입부(122)와, 상기 휠 허브(110)의 나사부(118)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압입부(122)와 연속하거나 혹은 인접하도록 형성된 나사부(1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륜(120)의 나사부(124)의 직경은 상기 내륜(120)의 압입부(12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륜(120)과 상기 휠 허브(110)를 조립할 때에 상기 내륜(120)의 압입부(122)를 상기 휠 허브(110)의 나사부(118) 쪽으로 끼운 다음에 상기 내륜(120) 혹은 휠 허브(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내륜(120)과 휠 허브(110)가 나사 결합되면서 내륜(120)의 압입부(122)에 휠 허브(110)의 내륜압입부(119)가 압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륜(120)과 휠 허브(110)의 조립 과정에 휠 베어링(100)에는 1차적으로 예압이 부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륜(120)이 상기 휠 허브(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110)의 나사부(118)에는 상기 내륜(120)보다 축방향 내측에서 링 너트(170)가 나사로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링 너트(170)의 내주면에도 상기 휠 허브(110)의 나사부(118)에 대응하는 나사부(172)가 형성되어, 상기 링 너트(170)도 상기 휠 허브(110)의 외주면에 나사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링 너트(170)가 상기 내륜(120)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링 너트(17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수직벽면(174)과, 이 제1수직벽면(174)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압면(176) 및 이 가압면(176)의 축방향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수직벽면(17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륜(120)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상기 링 너트(170)의 제1수직벽면(174)과 대향하는 제1수직벽면(126)과, 상기 링 너트(170)의 가압면(176)에 의해 눌러져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피가압면(127) 및, 상기 링 너트(170)의 제2수직벽면(178)과 대향하는 제2수직벽면(12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면(127)과 상기 가압면(176)은 각각 그 중심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가압면(127)과 상기 가압면(176)은 각각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면(127)의 중심은 상기 가압면(176)의 중심에 대해 한쪽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피가압면(127)의 중심이 상기 가압면(176)의 중심에 대해 최대 1mm 이내로 편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륜(120)을 휠 허브(110)에 1차적으로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링 너트(170)를 휠 허브(110)에 끼워서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링 너트(170)가 내륜(12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 상기 링 너트(170)의 가압면(176)이 상기 내륜(120)의 피가압면(127)을 반경 방향 내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 눌러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내륜(120)의 피가압면(127)은 상기 링 너트(17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 너트(170)가 내륜(12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링 너트(170)의 가압면(176)이 내륜(120)의 피가압면(127)을 내측으로 끼워서 반경방향 내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링 너트(170)가 상기 휠 허브(110)에 나사로 결합되는 링 너트(170)의회전 결합 방향(시계방향)은 휠 허브(110) 및 차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므로, 상기 링 너트(170)는 차량의 구동에 따라 상기 내륜(120) 쪽으로 더욱 이동하면서 내륜(120)을 가압하게 된다.
즉 쐐기 작용이 일어나면서 내륜(120)이 링 너트(170)에 의해 가압되어 휠 베어링에는 항상 적절한 예압이 부여될 수 있고, 또한 휠 허브(110)를 통해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도 상기 휠 허브(110)로부터 내륜(120) 및 링 너트(170)가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링 너트(170)가 상기 내륜(120)에 쐐기 작용을 일으키면서 내륜(120)을 가압하는 과정에 링 너트(170)의 제1수직벽면(174)과 상기 내륜(120)의 제1수직벽면(126)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의 간격을 최대 1m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륜(120)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링 너트(17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대체로 수직한 제1가압면 (174a)과, 이 제1가압면(174a)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압면(17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너트(170)의 축방향 외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내륜(120)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링 너트(170)가 상기 휠 허브(110)에 조립될 경우에 링 너트(170)의 제1가압면(174a)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링 너트(170)의 제1가압면(174a)과 대향함과 더불어 축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대체로 수직한 제1피가압면(126a)과, 상기 제1피가압면(126a)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 너트(170)의 제2가압면(176a)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피가압면(127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같이 내륜(120)의 제2피가압면(127a)의 중심은 상기 링 너트(170)의 제2가압면(176a)의 중심으로부터 1mm 이하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링 너트(170)가 휠 허브(110)에 조립될 경우에 상기 내륜(120)의 제1피가압면(126a)과 제2피가압면(127a)은 각각 링 너트(170)의 제1가압면(174a) 및 제2가압면(176a)의 일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들 사이에는 쐐기 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휠 베어링에는 항상 적절한 예압이 부여될 수 있고, 또한 휠 허브(110)를 통해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도 상기 휠 허브(110)로부터 내륜(120) 및 링 너트(170)가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상기 링 너트(170)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무링(179)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고무링(179)과 대향하는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상기 고무링(179)과 밀착하는 링 형상의 돌기(220)를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휠 허브(110)와 등속조인트(200)가 스플라인(160)을 매개로 축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링 너트(170)의 고무링(179)이 상기 등속조인트(200)의 돌기(220)에 밀착되어, 휠 허브(110)와 등속조인트(200) 사이의 스플라인 결합부 쪽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휠 베어링
110: 휠 허브
120: 내륜
130: 외륜
140: 전동체
150: 씨일
160: 스플라인
170: 링 너트
200: 등속조인트

Claims (11)

  1. 차륜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되는 휠 허브;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내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내륜을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륜;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및 내륜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 및
    엔진의 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등속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휠 허브의 외주면에는 나사부와, 이 나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평탄한 내륜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휠 허브의 내륜압입부가 압입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압입부와, 상기 휠 허브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륜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휠 허브의 나사부에는 링 너트가 나사로 체결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링 너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피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링 너트는 상기 피가압면과 면접촉하여 상기 피가압면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 축방향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스플라인과 결합되는 축방향 스플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스플라인은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치형과 치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스플라인은 상기 휠 허브의 치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치형과 상기 휠 허브의 치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치형홈이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의 내측에는 휠 허브의 축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된 제1중공 삽입부와, 상기 휠 허브의 축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된 제2중공 삽입부 및, 상기 제1중공 삽입부와 제2중공 삽입부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중공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중공 삽입부에 체결 볼트가 삽입된 다음에 상기 격벽을 관통해서 상기 등속조인트의 보스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너트의 상기 내륜과 대향하는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수직벽면과, 이 제1수직벽면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가압면, 및 상기 가압면의 축방향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수직벽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상기 링 너트의 제1수직벽면과 대향하는 제1수직벽면과, 상기 링 너트의 가압면에 의해 눌러져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상기 피가압면, 및 상기 링 너트의 제2수직벽면과 대향하는 제2수직벽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가압면과, 이 제1가압면의 반경 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압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내륜의 축방향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링 너트가 상기 휠 허브에 조립될 경우에 링 너트의 제1가압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링 너트의 제1가압면과 대향함과 더불어 축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제1피가압면과, 상기 제1피가압면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링 너트의 제2가압면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피가압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에는 고무링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링 너트의 축방향 내측 선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등속조인트의 축방향 외측 선단면에는 상기 고무링이 밀착하는 링 형상의 돌기가 축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씨일이 장착되고,
    상기 휠 허브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차륜과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외륜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차체에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휠 베어링장치.
KR1020130096844A 2013-08-14 2013-08-14 구동 휠 베어링장치 KR10153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44A KR101532076B1 (ko) 2013-08-14 2013-08-14 구동 휠 베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44A KR101532076B1 (ko) 2013-08-14 2013-08-14 구동 휠 베어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03A KR20150019703A (ko) 2015-02-25
KR101532076B1 true KR101532076B1 (ko) 2015-06-29

Family

ID=5257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844A KR101532076B1 (ko) 2013-08-14 2013-08-14 구동 휠 베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676A (ja) * 2007-09-26 2009-04-16 Jtekt Corp 車輪支持装置
JP2010047042A (ja) * 2008-08-19 2010-03-04 Ntn Corp 駆動車輪用軸受装置
WO2012121425A1 (ko) * 2011-03-04 2012-09-13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264073B1 (ko) * 2004-11-12 2013-05-15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차륜 허브 조인트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73B1 (ko) * 2004-11-12 2013-05-15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차륜 허브 조인트 유닛
JP2009078676A (ja) * 2007-09-26 2009-04-16 Jtekt Corp 車輪支持装置
JP2010047042A (ja) * 2008-08-19 2010-03-04 Ntn Corp 駆動車輪用軸受装置
WO2012121425A1 (ko) * 2011-03-04 2012-09-13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휠 베어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03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710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JP5269347B2 (ja) 車輪用軸受装置
KR20140056153A (ko) 휠 베어링 조립체
JP2008284919A (ja) 車輪用軸受装置、車輪用軸受装置の組立方法、アセンブリ体、およびアセンブリ体の組立方法
JP201024767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290731B (zh) 用于电机的电机轴总成及电机
KR20200139575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1609828B1 (ko) 너클 및 휠 베어링 조립체
JP2005330991A (ja)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JP5250942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101532076B1 (ko) 구동 휠 베어링장치
JP2001041308A (ja) 動力伝達装置
JP2010047042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KR101867404B1 (ko) 구동 휠 베어링 장치
KR101338447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KR102391537B1 (ko) 구동륜 액슬 어셈블리
KR101857193B1 (ko) 구동 휠 베어링
JP2014025524A (ja) ピニオン軸支持用軸受装置
KR102080530B1 (ko) 등속 조인트
JP2005289255A (ja) 車両用駆動輪ハブユニット
JP4026656B2 (ja) 駆動輪支持用ハブ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0694629B1 (ko) 광각 유니버셜 조인트의 플레이트
KR101686625B1 (ko) 실링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322428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WO2022202419A1 (ja) 車輪用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