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343B1 -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 Google Patents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343B1
KR101528343B1 KR1020080108959A KR20080108959A KR101528343B1 KR 101528343 B1 KR101528343 B1 KR 101528343B1 KR 1020080108959 A KR1020080108959 A KR 1020080108959A KR 20080108959 A KR20080108959 A KR 20080108959A KR 101528343 B1 KR101528343 B1 KR 10152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colored
polyphenol
culture
mai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919A (ko
Inventor
심문보
김인구
이수용
Original Assignee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Abstract

본 발명은 i) (a)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국균 액체 배양액, (b) 증자한 전분질 물질에서 배양된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c) 상기 (a) 또는 (b)를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을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반응 생성물을 노광시켜 발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착색 화합물은 발색 전구물질을 생성시키기 위한 반응시간뿐만 아니라 착색을 위하여 필요한 노광시간이 짧아 제조가 용이하고, 상기 착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색 주류는 유통 및 저장 기간 중 색상의 변색 및 침전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색상의 퇴색 및 탁도의 증가 없이 우수한 색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균 배양물인 코지(Koji)에서 유래되는 유기산으로 인한 신맛을 갖지 않는다.

Description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COLORED COMPOUNDS AS NATURAL COLORANTS,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LORED ALCOHOLIC LIQUORS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문화가 빠르게 다변화되고 참살이의 확산으로 인하여 주류시장에서도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기 위한 개성을 지닌 주류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주류에 있어 미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시각적 요소에서도 패션화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주류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조방법의 예로, 주류제품에 합성착색료 또는 천연색소를 첨가하는 방법, 천연색소물질을 함유하는 원료(안토시아닌(anthocyanin)계의 적색색소를 함유하는 흑미 등)를 사용하여 최종 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방법(일본 특개소 59- 31192호 참조), 홍색 색소를 생산하는 곰팡이(홍국균(Monascus anka)) 또는 효모균(로도토룰라(Rhodotorula) 속 아데닌(adenine) 요구성 효모 등)을 이용한 제국 및 발효(일본 특개소 59-23788호 참조)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착색료의 경우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색상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합성착색료들이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합성 착색료로는 외면 받기 쉽다. 또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천연색소들은 참살이 추세에는 잘 부합되지만 이들 대부분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특정 파장 및 2 주 이상의 장기간의 반응시간을 필요로 하며, 산미가 강하고, 빛, 열 및 pH 등에 불안정하기 때문에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색상이 쉽게 변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그 이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및 폴리페놀 함유물질을 곰팡이 또는 효모 유래의 물질 또는 효소와 반응시킨 후 특정 파장의 전자파를 조사함으로써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색상을 발색시키는 방법(일본 공개특허 평 1-257467)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발색 전구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 및 발색을 위한 노광에 오랜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특정 파장의 전자파를 조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특수한 장비를 필요로 한다. 또한 곰팡이 및 효모 유래의 물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반드시 발효라는 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발효에 이용된 코지에서 유래된 각종 효소 등의 단백질 물질이 폴리페놀 화합물과 결합하여 침전을 형성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탁도가 증가하고 색상이 퇴색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코지에서 유래된 구연산으로 인하여 강한 산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전구체 형성 시간 및 노광반응 시간만으로도 발색이 가능하고, 주류에 첨가될 경우, 유통 및 저장 기간 중 색상의 변색 및 침전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색상의 퇴색 및 탁도의 증가 없이 우수한 색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신맛을 갖지 않는 유색 주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 (a)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국균 액체 배양액, (b) 증자한 전분질 물질에서 배양된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c) 상기 (a) 또는 (b)를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을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반응 생성물을 노광시켜 발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색 화합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착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색 주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주류는 발색 전구물질을 생성시키기 위한 반응시간뿐만 아니라 착색을 위하여 필요한 노광시간이 짧아 제조가 용이하고, 상기 착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색 주류는 유통 및 저장 기간 중 색상의 변색 및 침전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색상의 퇴색 및 탁도의 증가 없이 우수한 색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균 배양물인 코지(Koji)에서 유래되는 유기산으로 인한 신맛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색 주류용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a)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국균 액체 배양액, (b) 증자한 전분질 물질에서 배양된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c) 상기 (a) 또는 (b)를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을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반응시킨 후, 이를 노광시켜 적색 계열의 착색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국균 액체 배양액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및 라이조푸스(Rhizopus) 속 등의 국균을 액체배지, 예컨대 감자-덱스트로스 액체배지 등에 접종하여, 항온조건, 예를 들어 30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 및 100 내지 300 rpm의 통기 조건에서 2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동안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은 증자한 쌀, 보리, 밀, 고구 마 등의 전분질 물질에 국균을 접종하여 20 내지 45 ℃의 온도조건 및 40 내지 95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3 내지 4일간 국균을 인위적으로 번식시켜 국균 고체 배양물을 얻은 후, 이 고체 배양물을 10 내지 30 % 에탄올 용액 중에서 통상의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으로 얻은 국균 액체 배양액, 및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은 반응에 직접 이용하거나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외여과막으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은 5천 달톤(dalton) 이하, 바람직하게는 3천 달톤 이하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처리액은 단백질 함량이 낮아 주류에 적용 시 헤이즈 및 침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로의 처리는 상기 국균 액체 배양액 또는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을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의 pH 조건에서 음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은 국균 고체 배양물에서 유래되는 유기산이 배제되기 때문에 유기산으로 인한 신맛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국균 액체 배양액,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 처리액은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반응 시 반응액(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 + 국균 액체 배양액 또는 국균 고체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이의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 처리액)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은 통상의 폴리페놀을 공급하는 초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녹차, 삼백초잎, 연잎, 감잎, 음양곽잎, 어성초잎, 솔잎, 은행잎, 댓잎 또는 도토리,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은 반응액의 총량에 대하여 200 내지 1000 ppm,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00 pp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국균 액체 배양액,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이의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 처리액과의 반응을 상온에서 1 내지 3일 동안 수행함으로써 발색 전구물질(1차 반응액)을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1차 반응액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일광을 이용하여 2 내지 4일 동안 여액을 노광시켜 발색시킴으로써 착색 화합물(2차 반응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색 주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색 주류의 제조방법은, 주류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여과하여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렌딩 시 본 발명의 착색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류원액에 첨가물료 및 본 발명의 착색 화합물을 가하여 블렌딩한다(블렌딩 공정). 상기 첨가물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료, 산미료 또는 아미노산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 화합물은 주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종 주류 제품의 총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혼합물에 주조용수를 가하여 적절하게 희석한다(할수 공정). 상기 주조용수로는 주류 원액을 희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희석 농도는 목적하는 주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어, 상기에서 얻어진 주류를 여과(여과 공정) 및 병입함으로써(병입 공정) 최종 주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는 주류로는 소주, 약주, 약재주, 매실주, 과실주 및 리큐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주류 제조공정 중에 상기 국균 액체 배양액,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이의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 처리액과, 상기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함유 물질을 첨가하는 공정, 및 노광시키는 공정 등을 추가로 수행하여 목적하는 유색 주류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색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국균의 액체 배양액 이용
감자-덱스트로스 액체배지(potato dextrose broth)에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을 원료량 대비 0.1% 접종한 후, 35 내지 40 ℃ 및 200 rpm의 통기 조건에서 5 일 동안 배양하여 국균의 액체 배양액을 얻었다.
반응액 총량에 대하여 상기에서 얻은 국균의 액체 배양액 30 중량%, 가루녹차(아모레퍼시픽) 0.3 중량%(폴리페놀 함량: 586 ppm) 및 에탄올 10 중량%를 함께 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30 ℃에서 2일간 반응하여 1차 반응액을 얻었다. 상기 1차 반응액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3일간 일광에 노출시켜 적색 계열의 착색 화합물(2차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국균의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이용
증자한 쌀 및 보리에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을 접종하여 20 내지 45 ℃의 온도조건 및 40 내지 95 % 상대습도 조건에서 3 내지 4일간 국균을 인위적으로 번식시킨 국균의 고체 배양물 분말 20 중량%를 10 %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국균의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 500ml에 가루녹차 0.3 중량%(폴리페놀 함량: 586 ppm)를 첨가하고 30 ℃에서 2일간 반응하여 1차 반응액을 얻었다. 상기 1차 반응액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3일간 일광에 노출시켜 적색 계열의 착색 화합물(2차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한외여과막으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 이용
국균의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3천 달톤(dalton) 이하로 처리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 행하여 적색 계열의 착색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 이용
국균의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의 pH를 6으로 조정한 후 음이온교환 수지에 통과시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적색 계열의 착색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국균의 고체 배양물을 분쇄하여 에탄올 용액으로 사전에 추출하여 이용하지 않고 국균의 고체 배양물을 바로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적색계열의 착색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유색 주류의 제조>
실시예 5: 국균의 액체 배양액과 가루녹차를 반응시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이용한 소주의 제조
(1) 주정의 할수 및 탈취
주정을 주조용수로 에탄올 50%가 되도록 희석한 후 분말 활성탄을 이용하여 탈취하였다.
(2) 블렌딩
상기 (1)에서 얻은 탈취 주정에 스테비오사이드 0.02%(w/v), 과당 0.5%(w/v), 올리고당 0.5%(w/v), 구연산 0.01%(w/v) 및 글리신 0.01%(w/v)을 첨가하고, 실시예 1에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최종 제품에 대하여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블렌딩하였다.
(3) 할수
상기 (2)에서 얻은 블렌딩 원액에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가해, 최종 제품의 알콜 농도가 2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4) 여과
상기 (3)에서 얻은 할수 원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5) 병입
상기 (4)에서 얻은 여과 소주를 병입하였다.
실시예 6: 한외여과막으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과 가루녹차를 반응시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이용한 매실주의 제조
(1) 매실 침출 숙성원액의 제조
50% 탈취 주정에 매실을 일정기간 숙성시켜 매실 침출 숙성원액을 제조하였다.
(2) 블렌딩
상기 (1)에서 얻은 숙성원액에 과당 0.5%(w/v), 올리고당 0.5%(w/v) 및 구연산 0.01%(w/v)을 가하고 실시예 3에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최종 제품에 대하여 2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블렌딩하였다.
(3) 할수
상기 (2)에서 얻은 블렌딩 원액에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가해, 최종 제품의 알콜 농도가 14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4) 여과
상기 (3)에서 얻은 할수 원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5) 병입
상기 (4)에서 얻은 여과 매실주를 병입하였다.
(6) 살균
상기 (5)에서 얻은 병입 매실주를 60℃에서 30분간 정치시켜 살균하였다.
실시예 7: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은 처리액과 가루녹차를 반응시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이용한 리큐르의 제조
(1) 주정의 할수 및 탈취
주정을 주조용수로 에탄올 50%가 되도록 희석한 후 분말 활성탄을 이용하여 탈취하였다.
(2) 블렌딩
상기 (1)에서 얻은 탈취 주정에 스테비오사이드 0.02%(w/v), 과당 0.5%(w/v), 올리고당 0.5%(w/v), 구연산 0.01%(w/v) 및 글리신 0.01%(w/v)을 첨가하고, 실시예 4에서 얻은 착색 화합물을 최종 제품에 대하여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블렌딩하였다.
(3) 할수
상기 (2)에서 얻은 블렌딩 원액에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가해, 최종 제품의 알콜 농도가 1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4) 여과
상기 (3)에서 얻은 할수 원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5) 병입
상기 (4)에서 얻은 여과 리큐르를 병입하였다.
비교예 2: 국균의 고체 배양물과 가루녹차를 이용하여 제조한 착색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주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얻은 착색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매실주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흡광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착색 화합물을 CARY 300 Conc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 배리언(Varian)사)를 이용하여 스캐닝(scanning) 하여 최대 흡광파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의 폴리페놀을 이용한 착색 화합물(2차 반응액)은 480nm 부근에서 최대 흡광도를 지니며, 이에 대한 흡광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6478318-pat00001
시험예 2: 산미 강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3 및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착색 화합물의 산미 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착색 화합물의 구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6478318-pat00002
시험예 3: 침전형성
실시예 1, 3 및 4에서 제조된 각각의 착색 화합물을 실내에 보관하면서 3주 동안 침전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6478318-pat00003
시험예 4: 탁도
상기 실시예 6과 비교예 2에서 얻은 매실주를 실내에 보관하면서 탁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얻은 매실주가 비교예 2에서 얻은 매실주에 비하여 장기 보관 시 탁도 증가가 현저하게 낮아 침전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라 블렌딩시 착색 화합물을 첨가하여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매실주를 실내에서 보관하면서 관찰한 탁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4)

  1. i) (a)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국균 액체 배양액, (b) 증자한 전분질 물질에서 배양된 국균 고체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액, 또는 (c) 상기 (a) 또는 (b)를 한외여과막 또는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을 폴리페놀, 또는 녹차, 삼백초잎, 연잎, 감잎, 음양곽잎, 어성초잎, 솔잎, 은행잎, 댓잎, 도토리 및 이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페놀 함유 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생성물을 노광시켜 발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국균 액체 배양액이 30 내지 45 ℃의 온도 조건 및 100 내지 300 rpm의 통기 조건에서 2 내지 7일 동안 배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증자한 전분질 물질에서 배양된 국균 고체 배양물이 20 내지 45 ℃ 및 40 내지 95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3 내지 4일 동안 배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막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이 5천 달톤(dalton)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 처리가 3 내지 9의 pH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또는 녹차, 삼백초잎, 연잎, 감잎, 음양곽잎, 어성초잎, 솔잎, 은행잎, 댓잎, 도토리 및 이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페놀 함유 물질이 반응액 총량에 대하여 200 ppm 내지 1000 ppm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이 상온에서 1 내지 3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노광이 일광을 이용하여 2 내지 4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화합물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색 화합물.
  11. 제 10 항의 착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색 주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가 소주, 약주, 약재주, 매실주, 과실주 또는 리큐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주류.
  13. 탈취된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여과하여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렌딩 시 제10항의 착색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주류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화합물을 주류의 총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주류의 제조방법.
KR1020080108959A 2008-11-04 2008-11-04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KR10152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59A KR101528343B1 (ko) 2008-11-04 2008-11-04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59A KR101528343B1 (ko) 2008-11-04 2008-11-04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9A KR20100049919A (ko) 2010-05-13
KR101528343B1 true KR101528343B1 (ko) 2015-06-12

Family

ID=4227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959A KR101528343B1 (ko) 2008-11-04 2008-11-04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8901A (zh) * 2010-12-14 2012-07-11 武汉华珍药业有限公司 一种酶法提取橡子壳中棕色素的方法
CN113694561A (zh) * 2021-08-27 2021-11-26 湖南华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接骨木莓多酚的提取分离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938A (ja) * 1996-09-18 1998-04-07 Yamanashi Pref Gov 赤色清酒の製造方法
JP2003265165A (ja) * 2002-03-13 2003-09-24 Asahi Kyowa Shurui Seizo Kk 麹菌の培養方法
KR20040080765A (ko) * 2003-03-13 2004-09-20 강달순 약주의 제조방법
KR100700747B1 (ko) * 2006-10-19 2007-03-28 경주법주주식회사 한약재를 함유하는 자색고구마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938A (ja) * 1996-09-18 1998-04-07 Yamanashi Pref Gov 赤色清酒の製造方法
JP2003265165A (ja) * 2002-03-13 2003-09-24 Asahi Kyowa Shurui Seizo Kk 麹菌の培養方法
KR20040080765A (ko) * 2003-03-13 2004-09-20 강달순 약주의 제조방법
KR100700747B1 (ko) * 2006-10-19 2007-03-28 경주법주주식회사 한약재를 함유하는 자색고구마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9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6979B (zh) 一种含银碳点的制备方法及该碳点在制备抗菌剂上的应用
CN103571721B (zh) 一种金花茶茶酒及其制作方法
KR100746591B1 (ko) 천연 항산화 기능성 배-포도 혼합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929B1 (ko) 증진된 풍미와 기능성을 갖는 참다래, 감 및 머루의 혼합 와인과 발효식초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0389687C (zh) 山楂醋酸发酵饮料及其酿造方法
KR101140024B1 (ko) 관능성이 우수한 발사믹 식초 조성물
CN105838542B (zh) 一种青梅酒及其制备方法
KR101918643B1 (ko) Glucuronic acid와 D-saccharic acid-1,4-lactone(DSL) 함량이 증진된 콤부차 제조방법
CN107475015A (zh) 一种红心火龙果和白心火龙果复合果酒及其制备方法
KR101528343B1 (ko) 천연색소로서의 착색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색 주류
KR101169219B1 (ko) 홍국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7458B1 (ko) 아카시아 꽃과 벌꿀을 이용한 생리기능성 발효주 제조방법
KR100690506B1 (ko) 현미상황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식혜음료제조방법
Cheng et al. Color myth: anthocyanins reactions and enological approaches achieving their stabilization in the aging process of red wine
KR101422247B1 (ko) 오미자와 벌꿀을 이용한 기능성 및 관능성이 강화된 멜로멜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오미자 멜로멜
KR100399408B1 (ko) 인삼현미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0190B1 (ko) 산딸기 식초의 제조방법
KR20090055545A (ko)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Velásquez Chitosan and its applications in oenology
KR100850182B1 (ko)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양조용 코지 및 이를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KR20160116664A (ko) 세븐베리 농축액을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방법 및 세븐베리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음료베이스 조성물
CN105779253A (zh) 一种山楂风味蜂蜜醋及其制备方法
KR102484962B1 (ko) 복숭아 블렌딩 와인의 제조방법
KR101172621B1 (ko) 숙취해소 효능이 있는 오이식초의 제조방법
KR20120034185A (ko) 유황 온천수를 이용하여 유통 기한을 연장한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막걸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