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767B1 - 관절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767B1
KR101527767B1 KR1020130150871A KR20130150871A KR101527767B1 KR 101527767 B1 KR101527767 B1 KR 101527767B1 KR 1020130150871 A KR1020130150871 A KR 1020130150871A KR 20130150871 A KR20130150871 A KR 20130150871A KR 101527767 B1 KR101527767 B1 KR 10152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ushion
tightening
velcro ta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재
Original Assignee
신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재 filed Critical 신천재
Priority to KR102013015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767B1/ko
Priority to PCT/KR2014/001532 priority patent/WO20150838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관절보호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는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와,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보호대{JOINT PAD}
본 발명은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관절 부위에 장착되어 관절 운동시에 발생되는 충격과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관심이 크게 증진되고 있으나, 자동차의 대중화와 생활의 편리성도 아울러서 증대되면서 현대인들은 날로 운동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나 운동선수들은 물론이고 일반 직장인들 그리고 가정주부,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학생, 퇴행성 관절통으로 고생하는 노인층 등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무릎에 대한 피로감과 관절 이상은 매우 흔한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5321호(2012. 03. 15. 공개, 발명의 명칭 : 찜질팩이 구비된 무릎 보호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관절 부위에 장착되어 관절 운동시에 발생되는 충격과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보호대는: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쿠션주머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쿠션부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주머니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쿠션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쿠션부를 상기 벨트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쿠션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교차되고, 상기 쿠션부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고정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이 2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이 7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며, 종단면의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쿠션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까지의 거리는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구부림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의 복원력이 더해지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벨트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가 무릎 관절 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고정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벨트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가 무릎 관절 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와 쿠션주머니(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Nylon), 스판덱스(Spandex), 고어텍스(Gore-tex),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彈性絲)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1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1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1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1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쿠션주머니(15)는 벨트(11)에 부착되어 쿠션부(20)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봉 등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쿠션주머니(15)는 쿠션부(20)가 삽입되는 삽입홀부(15a)가 구비되고, 삽입된 쿠션부(2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의 공간부는 벨트(11)의 내측면과 쿠션주머니(15)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된다.
쿠션주머니(15)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쿠션주머니(15)의 신장에 의해 쿠션부(20)를 쿠션주머니(15) 내부의 공간부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고, 쿠션부(20)의 수용이 완료된 경우 쿠션주머니(15)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부(20)가 쿠션주머니(15) 내부의 공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쿠션주머니(15)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주머니(15)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쿠션주머니(15)를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킴에 따라 쿠션주머니(15)에 안착되는 쿠션부(20)를 자연스레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주머니(15)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가 벨트(11)의 내측면에 배치되므로,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쿠션주머니(15)에 삽입되는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주머니(15)와 더불어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쿠션주머니(15)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적합한 쿠션부(20)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쿠션주머니(15)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D)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긴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E)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짧은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1)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14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14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14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고정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2)는 쿠션주머니(15) 대신에 쿠션고정부(3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와 상이하므로, 관절보호대(2)의 구성 중 관절보호대(1)와 동일한 구성은 관절보호대(1)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2)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와 쿠션주머니(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17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17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17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17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쿠션고정부(30)는 벨트(11)에 부착되어 쿠션부(20)를 위치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고정부(30)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쿠션부(20)를 둘러싸면서 쿠션부(20)를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31)는 쿠션부(20)의 일측 둘레를 감싸고, 제1고정부(32)는 쿠션부(20)의 타측 둘레를 감싼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둘러싸이는 쿠션부(20)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고정부(31) 및/또는 제2고정부(32)의 신장에 의해 쿠션부(20)를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가 둘러싸는 내부 공간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고, 쿠션부(20)의 수용이 완료된 경우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부(20)가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를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킴에 따라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쿠션부(20)를 자연스레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고정부(30)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고정부(30)가 벨트(11)의 내측면에 배치되므로,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쿠션고정부(30)에 위치 고정되는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고정부(30)와 더불어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쿠션고정부(30)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적합한 쿠션부(20)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쿠션고정부(3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E)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짧은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 도 17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2)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1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게 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20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20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20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3)는 쿠션부(20)가 쿠션주머니(15)에 의해 위치 고정되지 않고, 벨트(11)에 재봉 등의 방식으로 위치 고정되면서 벨트(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서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와 상이하므로, 관절보호대(3)의 구성 중 관절보호대(1)와 동일한 구성은 관절보호대(1)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3)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22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22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22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22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22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부(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를 에워싸도록 벨트(1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벨트(11)의 내측면(도 23에서 바라보이는 부분)과 벨트(11)의 외측면(도 22에서 바라보이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선택된 하나의 쿠션부(20)가 벨트(11)와 일체로 제조된다.
쿠션부(20)는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일체화시 동시에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재봉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하는 경우에 쿠션부(20) 또한 벨트(11)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20)를 둘러싸는 부위(11b)에 재봉선이 위치되어야 쿠션부(20)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접착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하는 경우에도 쿠션부(20)를 벨트(11)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20)를 둘러싸는 부위(11b)가 접착되어야 쿠션부(20)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쿠션부(20)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 도 22 및 도 2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3)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20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20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20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2, 3: 관절보호대 10 : 벨트부
11 : 벨트 12 : 쿠션안착부
13 : 제1연결부 14 : 제2연결부
15 : 쿠션주머니 16 : 제1조임벨트
17 : 제2조임벨트 20 : 쿠션부
30 : 쿠션고정부

Claims (48)

  1.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쿠션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쿠션부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주머니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쿠션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쿠션부를 상기 벨트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쿠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교차되고, 상기 쿠션부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고정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8. 삭제
  3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이 2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이 7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7. 제1항, 제2항,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쿠션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까지의 거리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KR1020130150871A 2013-12-05 2013-12-05 관절보호대 KR10152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71A KR101527767B1 (ko) 2013-12-05 2013-12-05 관절보호대
PCT/KR2014/001532 WO2015083897A1 (ko) 2013-12-05 2014-02-25 관절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71A KR101527767B1 (ko) 2013-12-05 2013-12-05 관절보호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223A Division KR101582863B1 (ko) 2015-01-07 2015-01-07 관절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767B1 true KR101527767B1 (ko) 2015-06-12

Family

ID=5327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871A KR101527767B1 (ko) 2013-12-05 2013-12-05 관절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7767B1 (ko)
WO (1) WO20150838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1B1 (ko) * 2016-06-15 2017-11-06 조강원 달리기 근력 강화 착용구
KR20190002970U (ko) 2018-05-24 2019-12-04 칭리 마 원적외선 관절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3316B2 (ja) * 2017-10-23 2023-08-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関節接合部上の組織部位の領域管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10091674A (ko) * 2000-03-17 2001-10-23 양용선 무릎 보호대
JP2005232661A (ja) * 2004-02-20 2005-09-02 Kazuko Oi プロテクター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35Y1 (ko) *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200403889Y1 (ko) * 2005-09-15 2005-12-14 손세화 무릎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74A (ko) * 2000-03-17 2001-10-23 양용선 무릎 보호대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JP2005232661A (ja) * 2004-02-20 2005-09-02 Kazuko Oi プロテクター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1B1 (ko) * 2016-06-15 2017-11-06 조강원 달리기 근력 강화 착용구
KR20190002970U (ko) 2018-05-24 2019-12-04 칭리 마 원적외선 관절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897A1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66927A1 (en) Protective Pad Using A Damping Component
US10159295B2 (en) Protective pad using a damping component
JP4839232B2 (ja) サポータ
US20030019006A1 (en) Knee pad construction
WO2006123515A1 (ja) 歩行補助装置
KR101527767B1 (ko) 관절보호대
EP2967161A1 (en) Protective pad using a damping component
KR101582863B1 (ko) 관절보호대
KR101424597B1 (ko) 그네식 안전벨트
KR20050020609A (ko) 쿠션재
US8118760B2 (en) Joint brace and a movement restraining device therefor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JP3127569U (ja) サポータ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60070633A (ko) 보호 부재가 구비된 자전거용 바지
JP6865973B2 (ja) 座位姿勢矯正ベルト
JP3185003U (ja) 膝痛緩和膝当て
JP3138002U (ja) 膝カバー
KR200381460Y1 (ko) 자전거용 안장커버
KR200443529Y1 (ko) 착탈식 보호 쿠션
US20120238927A1 (en) Patella support
KR200269771Y1 (ko) 진동 안마 조끼
WO2024004612A1 (ja) 動作補助装置
JP4958055B1 (ja) 褥瘡予防用具
JP7237347B2 (ja) 屈伸サポー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