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3897A1 - 관절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3897A1
WO2015083897A1 PCT/KR2014/001532 KR2014001532W WO2015083897A1 WO 2015083897 A1 WO2015083897 A1 WO 2015083897A1 KR 2014001532 W KR2014001532 W KR 2014001532W WO 2015083897 A1 WO2015083897 A1 WO 20150838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lt
cushion
tightening
velcro ta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5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천재
Original Assignee
신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재 filed Critical 신천재
Publication of WO20150838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38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int protector that can be mounted on the joints of the body to alleviate the shock and pain generated during joint movement.
  • knee fatigue and joint abnormalities are very common in most people, including workers and athletes who use knees a lot, as well as general workers, housewives, students who sit for long periods of time, and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degenerative joint pain. It is accep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protector that can be mounted on the joint portion of the body to alleviate the shock and pain generated during joint movement.
  •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lt portion surrounding a body part; And a cushion portion mounted to the belt portion so as to be fixed on the belt portion.
  • the belt portion surrounds the joint port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is disposed on the calf or arm calf region.
  • the belt portion belt surrounding the joint portion; And a cushion pocket attached to the belt to accommodate the cushion uni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the cushion pocket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 the bel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comprises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styrene-butadiene rubber.
  • the belt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belt, the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and having a second velcro tape coupled to the first velcro tape, wherein the belt is detached from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Both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 the belt por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elt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to the belt, one end of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the first tightening Both ends of the tightening belt are detachably connected by detaching the Velcro tape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 the tightening belt the first tightening belt mounted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 the cushion poc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portion into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inserted,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cushion portion.
  • the cushion pocket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on the belt and disposed opposite the cushion pocket, the cush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cushion seating portion is seated.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narrower than the cushion portion.
  • the belt portion belt surrounding the joint portion; And a cushion fixing unit attached to the belt and surrounding the cushion unit to fix the cushion unit to the belt uni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the cushion fix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 the bel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comprises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styrene-butadiene rubber.
  • the belt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belt, the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and having a second velcro tape coupled to the first velcro tape, wherein the belt is detached from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Both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 the belt por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elt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to the belt, one end of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the first tightening Both ends of the tightening belt are detachably connected by detaching the Velcro tape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 the tightening belt is a first tightening belt mounted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 the cushion fixing portion is a first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one side of the cushion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art intersecting with the first fixing part and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part.
  • the cushion fixing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on the belt and disposed opposite the cushion fix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cushion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seated.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narrower than the cushion portion.
  • the belt portion includes a belt surrounding the joint portion, the cushion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l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the cushion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 the bel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comprises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styrene-butadiene rubber.
  • the belt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belt, the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and having a second velcro tape coupled to the first velcro tape, wherein the belt is detached from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Both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 the belt portion further includes a tightening belt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surrounding the belt.
  •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to the belt, one end of the tigh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elt is mounted with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the first tightening Both ends of the tightening belt are detachably connected by detaching the Velcro tape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 the tightening belt is a first tightening belt mounted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 the cushion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restorable material.
  • the cushion portion comprises styrene-butadiene rubber.
  • the cushion portion is made of 20 to 30% by weight of styrene, 70 to 80% by weight of butadiene.
  • the cushion portion comprises a chloroprene rubber.
  • the cushion portion comprises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form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the vertical thickness is reduc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ection toward the end.
  •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convex,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the convex center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concave.
  •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ight-section cross sec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convex,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the center concave.
  •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center convex, the lower surface is formed protruding lower than the end portion.
  •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 the distances from the through-hole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unit to the through-holes arranged at the outer side of the cushion unit are the same.
  • the cushion portion is disposed on the urinary or elbow, the pressure applied to the knee or elbow when the knee or elbow is bent is cushioned by the cushioning portion, thereby relieving pain or the like when bending the knee or elbow. .
  • the restoring force of the cushion portion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 is add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ove the knee or the elbow.
  •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shion pocket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shion pocket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elt is connect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cushion unit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cushion unit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knee joint.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unit is restor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elt is connect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seated on the cushion fixing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shion bag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shion bag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elt is connect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4 is a view showing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cushion part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knee joint portion
  •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unit is restor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ghtening belt is add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ghtening belt is add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elt is connect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int pro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t part 10 and a cushion part 20.
  • the belt part 10 surrounds the body part B, specifically the joint part. Joint area here refers to the knee or elbow.
  • the belt unit 10 includes a belt 11 and a cushion bag 15.
  •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art.
  • the belt 11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11 can be easily worn on the joint area by the extension of the belt 11.
  • the wearing of the belt 11 is completed,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is join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elt 11. Adheres to the site.
  • the belt 11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joint even dur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That is, even when the knees or elbows move, the belt 11 closely adheres to the knees or elbows with elasticity, thereby preventing the belts 11 from escaping from the knees or elbows.
  • the belt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nylon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when the belt 11 is made of nylon, it can withstand thermal deformation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inuous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 Spandex is a common name for synthetic fibers made of elastic fibers of polyurethane fibers, and is characterized by goo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belt 11 including the spandex is worn on the joint site, the fit of the belt 11 may be improv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andex.
  • Gore-Tex refers to a very thin film that is made by heating a large number of Teflon-based resins that are resistant to heat and chemicals and drilled a myriad of small holes.
  •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belt 11, but sweat generated inside the belt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elt 1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hot moisture, which frequently occurs in waterproof products.
  • Polyester is a generic term for polymers having ester bonds -CO-O- in the main chain of the molecule. Since polyester has a high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change its strength even when wet with water, when the belt 11 including polyester is manufactured, even if the belt 11 is wet by sweat released from the body during exercise, the belt 11 )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Since the belt 11 is repeatedly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the belt 11 is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the belt 11 includ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Can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 the belt 11 has a length and a shape that can wrap the joint portion.
  • the belt 11 is formed to have a much longer left and right length than the top and bottom (see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so that the belt 11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shape if it can wrap the joint part.
  • the belt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4.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belt 11 (the left end of Fig. 1),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Velcro tape.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is the other end of the belt 11. 1 reference right end), and a second Velcro tape is provided.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male Velcro tape.
  •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has an female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5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3 and 14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belt 11.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lt 11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The side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joint site.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belt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the belt lik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of FIG. 15. Not only can it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11, it can also be formed in other alternative shapes.
  • the belt 11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11a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ased on FIG. 1).
  •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joint site, that is, on the hamstring or armres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narrow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so that the movement of the joint can be made easier.
  • the cushion bag 15 is attached to the belt 11 to receive the cushion unit 20.
  • the cushion bag 15 is formed in a bag sha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cushion bag 15 has an insertion hole 15a into which the cushion part 20 is inserted, and a space part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inserted cushion part 20 is accommodated.
  • the space portion of the cushion bag 15 is partitio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bag 15.
  • the cushion bag 15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a result,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inside the cushion bag 15 by the extension of the cushion bag 15,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ushion bag 15 when the cushion portion 20 is completely accommodated. As a result, the cushion part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ace part inside the cushion bag 15.
  • the cushion bag 15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Therefore, when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ortion, if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ham or the palm of the hand, the cushion bag 15 is also disposed on the ham or the palm of the arm.
  • the belt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seating unit 12.
  • the cushion seat 12 is provided on the belt 11 and is disposed opposite the cushion bag 15.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The cushion part 20 inserted into the cushion bag 15 is seated on the cushion seating part 12.
  • the cushion portion 20 is fixed by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together with the cushion pocket 15, so that the cushion portion 20 does not deviat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laced position, that is, the ham or the arm.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
  • Passing hole 15a is formed in cushion seating portion 12. Since the passage hole 15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cushion portion 20, the cushion portion 20 seated on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not separated through the passage hole portion 15a.
  • the interior of the cushion seating part 12 is made to flow outside and air. Accordingly, a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ushion seating part 12 through the passage hole part 15a, air may be supplied to the cushion part 20.
  • the cushion part 20 which will absorb sweat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is removed from moistur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and odor due to moisture can be solved.
  • the passage hole 15a is opened and closed in series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Specifically, when the joint part is 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clos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joint part, and when the joint part is un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opened again, and thus the through hole part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passage hole 15a is maximized.
  • the inflow of air into the cushion portion 20 and the air discharge from the cushion portion 20 are further increased, whereby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 is mounted to the belt 11 to be fixed on the belt 11. Specifically,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the cushion bag 15.
  • the cushion unit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s shown in FIGS. 6 to 10, and a cushion unit 20 suitable for each user may be selected and used.
  • the cushion bag 15 is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and the cushion part 20 is also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ham or elbow,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s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s buffered by the cushion portion 20, so that pain or the like during knee or elbow movement can be alleviated. .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 the life of the cush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 the cushion unit 20 may be made of 20 to 30% by weight of styrene, 70 to 80% by weight of butadien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chloroprene rubber.
  • Chloroprene rubber is a rubber made of polychloroprene and is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chloroprene.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ozone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hav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aging resistance. .
  • the cushion portion 20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21A and the lower surface 22A are vertically symmetric in the longitudinal section.
  • the vertical s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decreases in thickness from the center to the end portion.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shion portion 20A are convex, respectively. This is to consider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A is disposed are formed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traint or armrest by its shap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A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the surface facing the sage or arm stool may be either the upper surface 21A or the lower surface 22A. Accordingly, when the user inserts the cushion portion 20A into the cushion inserting portion 15,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e about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 the cushion portion 20A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Only one through hole 23A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A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A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23A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A has one through hole part 23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A,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A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A.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cushion portion 20A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to be convex
  • the lower surface 22B is formed to be convex at the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formed to be concave.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disposed are concave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B)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rmed to be concave upwards,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22B at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As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convexly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cave, the folding of the cushion portion 20B can be made easier.
  •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Only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B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B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23B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B has one through hole part 23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B,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B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B.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cushion portion 20B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C is a cushion portion 20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ffers only in size from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Therefore, since the upper surface 21C, the lower surface 22C,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23C of the cushion portion 20C are the same as the details of the cushion portion 20B,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 a person with a large body, the cushion portion 20C is for a person with a smaller body.
  • the cushion portion 20D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eight shape.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to be convex, and the lower surface 22D is formed to be concave at the center portion.
  • the lower surface 22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symmetrically formed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II ′,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convexly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but the center thereof is concave upward.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dispos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D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D can be more easily folded toward the concav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D. Only one through hole 23D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D may be formed.
  • the through-hole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D are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D.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D)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D has one through hole part 23D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D, and the remaining two through hole parts 23D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D. It is formed to have a whole, 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cushion portion 20D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D when the cushion portion 20D is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the deform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D proceeds more easily due to the free space of the through hole portion 23D.
  • the cushion portion 20D is applicable to a person with a relatively long skeleton that is connected to the joint.
  • the cushion portion 20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vex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22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below the end portion.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E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based on the I-I 'cross-section,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like a plane.
  • the end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in a planar shape, bu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 the portion formed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has a wider range than the port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22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 recesses on which the cushion portions 20E are disposed are form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E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E can be easily fol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E. Only one through hole 23E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E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E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E are forme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E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E has one through hole part 23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E,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E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E.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cushion portion 20E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E when the cushion portion 20E is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the deform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proceeds more easily due to the free space of the through hole portion 23E.
  • the cushion portion 20E is applicable to a person with a relatively short skeleton that is connected to the joint.
  • the user wraps the belt 11 around the knee or elbow so that the cushioning portion 20 of the joint protector 1 is placed on the hamstring or the armrest.
  •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or elbow varies from user to user, but this can be corrected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 the cushioning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calf or arm calf (see FIG. 11).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s is compressed to reduc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knees or elbows are bent (see FIG. 12).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knees or elbows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knees or elbows is reduced, so that the impact on the knees or elbows is also buffered. This can eliminate or alleviate the pain that occurs when bending the knee or elbow.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 is restored (stretch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adds a force equal to the restoring force to the spread of the knee or elbow. This is a great help for users who have injured knees or elbows and the muscles around them.
  • the cushion portion 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till be provid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by repeated compression and restoration, the user can move the knee or elbow continuously while being free from the pain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 the belt unit 10 may further include fastening belts 16 and 17.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tighten the belt 11 while surrounding the belt 11.
  •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belt 1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joint portion of the user's joints by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include a first tightening belt 16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mounted on one end (the upper end of FIG. 1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14), and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It is mounted on the other end (lower end of Fig. 14).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has a central portion 16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6a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equipp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t one end and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t the other end.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16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ing belt 16.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has a central portion 17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7a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17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ing belt 17.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overlap.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the figure showing a state seated on the cushion fixing part.
  • 20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ghtening belt is add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ghtening belt is added in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joint protecto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joint pro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that the cushion fixing part 30 is provided instead of the cushion bag 15, the joi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joint protector 1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otector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joint protector 1.
  • the joint protecto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lt portion 10 and the cushion portion 20.
  • the belt part 10 surrounds the body part B, specifically the joint part. Joint area here refers to the knee or elbow.
  • the belt unit 10 includes a belt 11 and a cushion bag 15.
  •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art.
  • the belt 11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11 can be easily worn on the joint area by the extension of the belt 11.
  • the wearing of the belt 11 is completed,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is join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elt 11. Adheres to the site.
  • the belt 11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joint even dur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That is, even when the knees or elbows move, the belt 11 closely adheres to the knees or elbows with elasticity, thereby preventing the belts 11 from escaping from the knees or elbows.
  • the belt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nylon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when the belt 11 is made of nylon, it can withstand thermal deformation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inuous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 Spandex is a general name of synthetic fiber made of elastic yarn of polyurethane fiber, and it is characterized by goo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belt 11 including the spandex is worn on the joint site, the fit of the belt 11 may be improv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andex.
  • Gore-Tex refers to a very thin film that is made by heating a large number of Teflon-based resins that are resistant to heat and chemicals and drilled a myriad of small holes.
  •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belt 11, but sweat generated inside the belt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elt 1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hot moisture, which frequently occurs in waterproof products.
  • Polyester is a generic term for polymers having ester bonds -CO-O- in the main chain of the molecule. Since polyester has a high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change its strength even when wet with water, when the belt 11 including polyester is manufactured, even if the belt 11 is wet by sweat released from the body during exercise, the belt 11 )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Since the belt 11 is repeatedly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the belt 11 is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the belt 11 includ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Can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 the belt 11 has a length and a shape that can wrap the joi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11 is formed to have a much longer left and right length than the top and bottom (see FIG. 17),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belt 11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shape if the joint part can be wrapped.
  • the belt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4.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belt 11 (the left end of Fig. 17)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Velcro tape.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is the other end of the belt 11 (Fig. 17). 17 standard right end), and a second Velcro tape is provided.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male Velcro tape.
  •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has an female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5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3 and 14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belt 11.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lt 11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The side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joint site.
  • the belt ( 11) the inner periphery can be increased.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lt 11 may be reduced by increas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 overlap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belt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the belt lik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of FIG. 15. Not only can it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11, it can also be formed in other alternative shapes.
  • the belt 11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11a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based on FIG. 17).
  •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joint site, that is, on the hamstring or armres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narrow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so that the movement of the joint can be made easier.
  • the cushion fixing part 30 is attached to the belt 11 to fix the cushion part 20.
  • the cushion fixing part 30 includes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nd surrounds the cushioning part 20 to surround the cushioning part 20 with the belt 11. Position it on the phase.
  • the first fixing part 31 wraps around one side of the cushion part 20, and the first fixing part 32 wraps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part 20.
  •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erefore, the cushion part 20 surrounded by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is not separa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do.
  •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cushion part 20 is easily extended to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by the extension of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 or the second fixing part 32. It can be accommodated to, and when the cushioning portion 20 is completed, the cushioning portion 20 is the first fixing portion 31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3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 The departure from the internal space enclosed by the two fixing parts 32 can be prevented.
  •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re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Therefore, when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ortion, when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ham or the palpitations, the first fix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 also have the upper or upper portion of the palpable region. Is placed on.
  • the cushion part fixed to the position by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is disposed by arranging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on the urinary or palletum. 20) can be naturally placed on or on the palletum.
  • the belt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seating part 12.
  • the cushion seat 12 is provided on the belt 11 and is disposed opposite the cushion fixing part 30.
  • the cushion fix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 the cushion portion 20 fixed to the cushion fixing portion 30 is seated on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 the cushion portion 20 is fixed by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together with the cushion fixing portion 30, so that the cushion portion 20 does not deviat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laced position, that is, the ham or arm ham.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
  • Passing hole 15a is formed in cushion seating portion 12. Since the passage hole 15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cushion portion 20, the cushion portion 20 seated on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not separated through the passage hole portion 15a.
  • the interior of the cushion seating part 12 is made to flow outside and air. Accordingly, a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ushion seating part 12 through the passage hole part 15a, air may be supplied to the cushion part 20.
  • the cushion part 20 which will absorb sweat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is removed from moistur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and odor due to moisture can be solved.
  • the passage hole 15a is opened and closed in series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Specifically, when the joint part is 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clos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joint part, and when the joint part is un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opened again, and thus the through hole part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passage hole 15a is maximized.
  • the inflow of air into the cushion portion 20 and the air discharge from the cushion portion 20 are further increased, whereby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 is mounted to the belt 11 to be fixed on the belt 11. Specifically,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the cushion fixing portion 30.
  • the cushion unit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s shown in FIGS. 6 to 10, and a cushion unit 20 suitable for each user may be selected and used.
  • the cushion fixing part 30 is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the cushion part 20 is also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 the cushion portion 20 When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ham or elbow,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s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s buffered by the cushion portion 20, so that pain or the like during knee or elbow movement can be alleviated. .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 the life of the cush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 the cushion unit 20 may be made of 20 to 30% by weight of styrene, 70 to 80% by weight of butadien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chloroprene rubber.
  • Chloroprene rubber is a rubber made of polychloroprene and is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chloroprene.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ozone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hav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aging resistance. .
  • the cushion portion 20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21A and the lower surface 22A are vertically symmetric in the longitudinal section.
  • the vertical s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decreases in thickness from the center to the end portion.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shion portion 20A are convex, respectively. This is to consider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A is disposed are formed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traint or armrest by its shap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A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the surface facing the sage or arm stool may be either the upper surface 21A or the lower surface 22A. Accordingly, when the user inserts the cushion portion 20A into the cushion inserting portion 15,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e about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 the cushion portion 20A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Only one through hole 23A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A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A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23A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A has one through hole part 23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A,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A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A.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cushion portion 20A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to be convex
  • the lower surface 22B is formed to be convex at the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formed to be concave.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disposed are concave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B)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rmed to be concave upward,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22B at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convexly and both ends are concave, the folding of the cushion portion 20B can be made easier.
  •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Only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B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B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23B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B has one through hole part 23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B,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B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B.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cushion portion 20B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C is a cushion portion 20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ffers only in size from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Therefore, since the upper surface 21C, the lower surface 22C,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23C of the cushion portion 20C are the same as the details of the cushion portion 20B,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 a person with a large body, the cushion portion 20C is for a person with a smaller body.
  • the cushion portion 20D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eight shape.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to be convex, and the lower surface 22D is formed to be concave at the center portion.
  • the lower surface 22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symmetrically formed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II ′,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convexly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but the center thereof is concave upward.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dispos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D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D can be more easily folded toward the concav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D. Only one through hole 23D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D may be formed.
  • the through-hole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D are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D.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D)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D has one through hole part 23D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D, and the remaining two through hole parts 23D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D. It is formed to have a whole, 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cushion portion 20D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vex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22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below the end portion.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E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based on the I-I 'cross-section,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like a plane.
  • the end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in a planar shape, bu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 the portion formed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has a wider range than the port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22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 recesses on which the cushion portions 20E are disposed are form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E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E can be easily fol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E. Only one through hole 23E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E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E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E are forme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E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E has one through hole part 23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E,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E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E.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cushion portion 20E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E when the cushion portion 20E is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the deform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proceeds more easily due to the free space of the through hole portion 23E.
  • the cushion portion 20E is applicable to a person with a relatively short skeleton that is connected to the joint.
  • the user surrounds the belt 11 around the knee or elbow so that the cushioning portion 20 of the joint protector 2 is placed on the hamstring or the armrest.
  •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or elbow varies from user to user, but this can be corrected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 the cushioning portion 20 is placed on the calf or arm calf (see FIG. 11).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s is compressed to reduc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knees or elbows are bent (see FIG. 12).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knees or elbows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knees or elbows is reduced, so that the impact on the knees or elbows is also buffered. This can eliminate or alleviate the pain that occurs when bending the knee or elbow.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 is restored (stretch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adds a force equal to the restoring force to the spread of the knee or elbow. This is a great help for users who have injured knees or elbows and the muscles around them.
  • the cushion portion 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till be provid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by repeated compression and restoration, the user can move the knee or elbow continuously while being free from the pain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 20 and 21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elt is added to the bel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lt unit 10 may further include tightening belts 16 and 17.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tighten the belt 11 while surrounding the belt 11.
  •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belt 1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joint portion of the user's joints by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include a first tightening belt 16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mounted to one end (the upper reference part of FIG. 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20), and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It is mounted on the other end (lower end of Fig. 20).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has a central portion 16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6a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equipp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t one end and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t the other end.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16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ing belt 16.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has a central portion 17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7a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17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ing belt 17.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overlap.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n out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gh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ightening belt is added in a join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shion portion 20 is not fixed to the position by the cushion bag 15, the belt 11 while being fixed to the belt 11 in a manner such as sewing or the like Since it is different from the joint pro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joint protector 1 of the configuration of the joint protector 3, see the drawing of the joint protector 1 This will be described.
  • the joint protector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lt portion 10 and the cushion portion 20.
  • the belt part 10 surrounds the body part B, specifically the joint part. Joint area here refers to the knee or elbow.
  • the belt unit 10 includes a belt 11.
  •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art.
  • the belt 11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belt 11 can be easily worn on the joint area by the extension of the belt 11.
  • the wearing of the belt 11 is completed,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1 is join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elt 11. Adheres to the site.
  • the belt 11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joint even dur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That is, even when the knees or elbows move, the belt 11 closely adheres to the knees or elbows with elasticity, thereby preventing the belts 11 from escaping from the knees or elbows.
  • the belt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ylon, spandex, gore-tex, polyester,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nylon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when the belt 11 is made of nylon, it can withstand thermal deformation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inuous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 Spandex is a general name of synthetic fiber made of elastic yarn of polyurethane fiber, and it is characterized by goo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belt 11 including the spandex is worn on the joint site, the fit of the belt 11 may be improv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andex.
  • Gore-Tex refers to a very thin film that is made by heating a large number of Teflon-based resins that are resistant to heat and chemicals and drilled a myriad of small holes.
  •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belt 11, but sweat generated inside the belt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elt 1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hot moisture, which frequently occurs in waterproof products.
  • Polyester is a generic term for polymers having ester bonds -CO-O- in the main chain of the molecule. Since polyester has a high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change its strength even when wet with water, when the belt 11 including polyester is manufactured, even if the belt 11 is wet by sweat released from the body during exercise, the belt 11 )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Since the belt 11 is repeatedly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the belt 11 is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the belt 11 includ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Can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 the belt 11 has a length and a shape that can wrap the joi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11 is formed to have a much longer left and right length than the top and bottom (refer to FIG. 22). However, the belt 11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elt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4.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belt 11 (the left end of Fig. 22),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Velcro tape.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is the other end of the belt 11 (Fig. 22). 22 reference right end) and a second Velcro tape is provided.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male Velcro tape.
  • the first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has an female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5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elt 11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3 and 14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belt 11.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lt 11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The side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joint site.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belt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is the belt lik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 of FIG. 15. Not only can it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11, it can also be formed in other alternative shapes.
  • the belt 11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1a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ar left and right reference direction in Fig. 22). In the case where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site,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joint site, that is, on the hamstring or armrest.
  •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narrow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so that the movement of the joint can be made easier.
  • the belt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seating part 12.
  • the cushion seating part 12 is provided in the belt 11 an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20.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to surround the cushioning portion 20.
  • the cushion portion 20 is fixed by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 does not deviat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laced position, that is, the ham or arm.
  •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
  • Passing hole 15a is formed in cushion seating portion 12. Since the passage hole 15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cushion portion 20, the cushion portion 20 seated on the cushion seating portion 12 is not separated through the passage hole portion 15a.
  • the interior of the cushion seating part 12 is made to flow outside and air. Accordingly, a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ushion seating part 12 through the passage hole part 15a, air may be supplied to the cushion part 20.
  • the cushion part 20 which will absorb sweat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is removed from moistur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and odor due to moisture can be solved.
  • the passage hole 15a is opened and closed in series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portion. Specifically, when the joint part is 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clos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joint part, and when the joint part is unfolded, the through hole part 15a is opened again, and thus the through hole part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passage hole 15a is maximized.
  • the inflow of air into the cushion portion 20 and the air discharge from the cushion portion 20 are further increased, whereby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 is mounted to the belt 11 to be fixed on the belt (11). Specifically,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ide (part shown in FIG. 23) of the belt 11 and the outer side (part shown in FIG. 22) of the belt 11, and the belt 11 and the belt 11. It is formed integrally. In this case, the cushion unit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s shown in FIGS. 6 to 10, and one of the selected cushion units 20 i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belt 11.
  • the cushion unit 20 may be integr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belt 11 are integrated in a stat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belt 11.
  • the cushion unit 20 may also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belt 11. At this time, the sewing line must be positioned at the portion 11b surrounding the cushion portion 20 to achieve position fixing of the cushion portion 20.
  •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n the belt 11. At this time, the portion 11b surrounding the cushion portion 20 must be bonded to achieve position fixing of the cushion portion 20.
  •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Therefore, when the belt 11 surrounds the joint portion, when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is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the cushion part 20 is also disposed on the patter or armrest.
  • the cushion portion 20 When the cushion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ham or elbow,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s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s buffered by the cushion portion 20, so that pain or the like during knee or elbow movement can be alleviated. .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 Styren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random copolymers of styrene and butadiene.
  • the life of the cush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gas permeability.
  • the cushion unit 20 may be made of 20 to 30% by weight of styrene, 70 to 80% by weight of butadien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chloroprene rubber.
  • Chloroprene rubber is a rubber made of polychloroprene and is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chloroprene.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ging resistance, ozone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have.
  • the cushion unit 20 may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 the life of the cushion portion 20 can be extend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hloroprene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aging resistance. .
  • the cushion portion 20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21A and the lower surface 22A are vertically symmetric in the longitudinal section.
  • the vertical s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decreases in thickness from the center to the end portion.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shion portion 20A are convex, respectively. This is to consider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A is disposed are formed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traint or armrest by its shap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A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the surface facing the sage or arm stool may be either the upper surface 21A or the lower surface 22A. Accordingly, when the user inserts the cushion portion 20A into the cushion inserting portion 15,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e about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 the cushion portion 20A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Only one through hole 23A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A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A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 one through hole portion 23A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A)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23A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A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A has one through hole part 23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A,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A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A.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A, and the cushion portion 20A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to be convex
  • the lower surface 22B is formed to be convex at the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formed to be concave.
  • the upper surface 21B of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disposed are concave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B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B)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rmed to be concave upwards,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B are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22B at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As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convexly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cave, the folding of the cushion portion 20B can be made easier.
  •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Only one through hole portion 23B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B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B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B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B)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23B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B are equal to each other.
  • the through hole part 23B has one through hole part 23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B,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B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B.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B, and the cushion portion 20B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cushion portion 20C is a cushion portion 20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ffers only in size from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B. Therefore, since the upper surface 21C, the lower surface 22C,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23C of the cushion portion 20C are the same as the details of the cushion portion 20B,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the cushion portion 20B is for a person with a large body, the cushion portion 20C is for a person with a smaller body.
  • the cushion portion 20D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eight shape.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to be convex, and the lower surface 22D is formed to be concave at the center portion.
  • the lower surface 22D of the cushion portion 20D is symmetrically formed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II ′,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convexly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but the center thereof is concave upward.
  • the upper surface 21D of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sses or armrests on which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dispos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cushioning portion 20D is formed in the shape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can cushion the impact due to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D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D can be more easily folded toward the concav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D. Only one through hole 23D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D may be formed.
  • the through-hole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D are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D.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D)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D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D has one through hole part 23D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D, and the remaining two through hole parts 23D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D. It is formed to have a whole, 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D, and the cushion portion 20D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to cause odors.
  • the cushion portion 20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vex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22E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below the end portion.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ing portion 20E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based on the I-I 'cross-section,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like a plane.
  • the end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in a planar shape, bu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 the portion formed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has a wider range than the port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22E.
  • the upper surface 21E of the cushion portion 20E is convex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cesses or arm recesses on which the cushion portions 20E are disposed are formed to be concav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mgeum or palmage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buffer the impact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portion 20E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ee or elbow,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ain and the like.
  • both ends of the cushion portion 20E can be easily fol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enter portion when the joint portion moves.
  • the cushion portion 20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portion 23E. Only one through hole 23E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through holes 23E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portion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through-hole portions 23E ar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20E.
  • one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23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outside the cushion portion 20E are formed).
  • the remaining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23E to the center through hole portions 23E are the same.
  • the through hole part 23E has one through hole part 23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shion part 20E, and the remaining four through hole parts 23E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at of the center through hole part 23E. It is formed to have, as a whole is arranged in a + shape.
  • the air supply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20E, and the cushion portion 20E wetted by the user's swea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the like, and odors are generated.
  • the user surrounds the belt 11 around the knee or elbow area so that the cushioning portion 20 of the joint protector 3 is placed on the patella or the arm patella.
  •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or elbow varies from user to user, but this can be corrected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first Velcro tape of the first connector 13 and the second Velcro tape of the second connector 14.
  • the cushioning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calf or arm calf (see FIG. 11).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s is compressed to reduc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knees or elbows are bent (see FIG. 12).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knees or elbows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knees or elbows is reduced, so that the impact on the knees or elbows is also buffered. This can eliminate or alleviate the pain that occurs when bending the knee or elbow.
  • the cushion portion 20 disposed on the ham or the elbow is restored (stretch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adds a force equal to the restoring force to the spread of the knee or elbow. This is a great help for users who have injured knees or elbows and the muscles around them.
  • the cushion portion 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till be provid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by repeated compression and restoration, the user can move the knee or elbow continuously while being free from the pain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 the belt unit 10 may further comprise a fastening belt (16, 17).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tighten the belt 11 while surrounding the belt 11.
  •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belt 1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joint portion of the user's joints by the tightening degree of the fastening belts 16 and 17. .
  • the tightening belts 16 and 17 include a first tightening belt 16 and a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mounted to one end (the upper reference part of FIG. 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20), and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11. It is mounted on the other end (lower end of Fig. 20).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has a central portion 16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6a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equipped with a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t one end and a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t the other end.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6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6c. 16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ing belt 16.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ightening belt 16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6b and 16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has a central portion 17a mounted to the belt 11.
  • the central portion 17a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11a of the belt 11 by sewing or the lik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male Velcro tap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are male and female.
  •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has a male Velcro tape shape
  •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has an arm Velcro tape shape.
  •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tightening Velcro tape 17b and the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 17c. 17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are connected.
  • first and second fas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may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ing belt 17.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the tightening of the belt 11 through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is performed. You can adjust the degree.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overlap.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art more loosely an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joint part.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ightening belt 17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Velcro tapes 17b and 17c.
  • the belt 11 may tighten the joint portion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elt 11 and the joint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관절보호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는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와,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보호대
본 발명은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관절 부위에 장착되어 관절 운동시에 발생되는 충격과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관심이 크게 증진되고 있으나, 자동차의 대중화와 생활의 편리성도 아울러서 증대되면서 현대인들은 날로 운동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나 운동선수들은 물론이고 일반 직장인들 그리고 가정주부,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학생, 퇴행성 관절통으로 고생하는 노인층 등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무릎에 대한 피로감과 관절 이상은 매우 흔한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5321호(2012. 03. 15. 공개, 발명의 명칭 : 찜질팩이 구비된 무릎 보호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관절 부위에 장착되어 관절 운동시에 발생되는 충격과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보호대는: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쿠션주머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쿠션부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주머니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쿠션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쿠션부를 상기 벨트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쿠션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교차되고, 상기 쿠션부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고정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이 2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이 7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며, 종단면의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쿠션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까지의 거리는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구부림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의 복원력이 더해지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벨트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가 무릎 관절 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고정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주머니에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벨트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가 무릎 관절 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와 쿠션주머니(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Nylon), 스판덱스(Spandex), 고어텍스(Gore-tex),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彈性絲)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1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1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1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1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쿠션주머니(15)는 벨트(11)에 부착되어 쿠션부(20)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봉 등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쿠션주머니(15)는 쿠션부(20)가 삽입되는 삽입홀부(15a)가 구비되고, 삽입된 쿠션부(2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의 공간부는 벨트(11)의 내측면과 쿠션주머니(15)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된다.
쿠션주머니(15)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쿠션주머니(15)의 신장에 의해 쿠션부(20)를 쿠션주머니(15) 내부의 공간부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고, 쿠션부(20)의 수용이 완료된 경우 쿠션주머니(15)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부(20)가 쿠션주머니(15) 내부의 공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쿠션주머니(15)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주머니(15)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쿠션주머니(15)를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킴에 따라 쿠션주머니(15)에 안착되는 쿠션부(20)를 자연스레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주머니(15)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주머니(15)가 벨트(11)의 내측면에 배치되므로,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쿠션주머니(15)에 삽입되는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주머니(15)와 더불어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쿠션주머니(15)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적합한 쿠션부(20)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쿠션주머니(15)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D)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긴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E)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짧은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1)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14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14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14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쿠션부가 쿠션고정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2)는 쿠션주머니(15) 대신에 쿠션고정부(3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와 상이하므로, 관절보호대(2)의 구성 중 관절보호대(1)와 동일한 구성은 관절보호대(1)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2)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와 쿠션주머니(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17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17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17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17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쿠션고정부(30)는 벨트(11)에 부착되어 쿠션부(20)를 위치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고정부(30)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쿠션부(20)를 둘러싸면서 쿠션부(20)를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31)는 쿠션부(20)의 일측 둘레를 감싸고, 제1고정부(32)는 쿠션부(20)의 타측 둘레를 감싼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둘러싸이는 쿠션부(20)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고정부(31) 및/또는 제2고정부(32)의 신장에 의해 쿠션부(20)를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가 둘러싸는 내부 공간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고, 쿠션부(20)의 수용이 완료된 경우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부(20)가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를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킴에 따라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쿠션부(20)를 자연스레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고정부(30)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고정부(30)가 벨트(11)의 내측면에 배치되므로,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쿠션고정부(30)에 위치 고정되는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고정부(30)와 더불어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쿠션고정부(30)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적합한 쿠션부(20)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쿠션고정부(3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한편, 쿠션부(20E)는 관절과 연결되는 뼈대가 상대적으로 짧은 사람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 도 17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2)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1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게 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20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20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20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에서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3)는 쿠션부(20)가 쿠션주머니(15)에 의해 위치 고정되지 않고, 벨트(11)에 재봉 등의 방식으로 위치 고정되면서 벨트(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서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1)와 상이하므로, 관절보호대(3)의 구성 중 관절보호대(1)와 동일한 구성은 관절보호대(1)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3)는 벨트부(10)와 쿠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는 신체 부위(B),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여기서 관절 부위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부(10)는 벨트(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벨트(11)의 신장에 의해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벨트(11)의 착용이 완료되면 벨트(11)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1)의 내측면은 관절 부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향상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 중에도 벨트(11)가 관절 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에도 벨트(11)가 신축성을 지닌 채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11)가 무릎 또는 팔꿈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1)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이므로, 벨트(11)가 나일론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 관절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열변형을 견딜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 신축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판덱스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벨트(11)를 관절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스판덱스의 신축성에 의해 벨트(1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어텍스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히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일컫는다. 고어텍스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빗물 등의 외부의 물기는 벨트(11)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나, 벨트(11)의 내부에서 생성된 땀은 벨트(1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 가공제품 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더운 습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결합 -CO-O-를 분자의 주사슬 속에 갖는 중합체의 총칭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인장강도가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에도 강도가 변함이 없으므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하는 경우 운동시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 벨트(11)가 젖더라도 벨트(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벨트(11)는 반복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벨트(11)를 제조함으로써 벨트(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는 상하보다 좌우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형성되나(도 22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관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제1연결부(13), 제2연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일단부(도 22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4)는 벨트(11)의 타단부(도 22 기준 우측단부)에 장착되고,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벨트(11)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벨트(11)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연결부(13, 14)에 의해 벨트(11)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벨트(11)의 내측면을 관절 부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벨트(11)로 둘러싸야 하는 관절 부위의 둘레가 큰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관절 부위의 둘레가 작은 경우에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벨트(11)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는 벨트(1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제1연결부(13)가 도 15의 제1연결부(13)와 같이 벨트(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트(11)는 길이 방향(도 22 기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11a)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벨트(11)의 중앙부(11a)는 관절 부위의 배면, 즉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는 관절의 움직임 시에 관절이 접혀지는 부위이므로 벨트(11)의 중앙부(11a)의 폭이 다른 부위에 비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22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쿠션안착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안착부(12)는 벨트(11)에 구비되고, 쿠션부(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를 에워싸도록 벨트(1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는 쿠션안착부(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도 최초 배치된 위치, 즉 오금 또는 팔오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쿠션안착부(12)는 쿠션부(20)의 부피를 고려하여 벨트(11)의 외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쿠션안착부(12)에는 통과홀부(15a)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a)는 쿠션부(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쿠션안착부(12)에 안착되는 쿠션부(20)는 통과홀부(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쿠션안착부(12)에 통과홀부(15a)가 형성됨에 따라 쿠션안착부(12)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통과홀부(15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쿠션부(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땀 등을 흡수하게 될 쿠션부(20)는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습기 등이 제거되므로, 습기에 의한 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개방과 폐쇄가 연이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절 부위가 접히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관절 부위에 의해 압착되면서 폐쇄되고, 관절부위가 펼쳐지는 경우에 통과홀부(15a)는 다시 개방되므로, 반복적인 개방과 폐쇄에 따른 통과홀부(15a) 내외부의 압력차에 기인하여 통과홀부(15a)를 통한 공기 유동량은 극대화된다.
이로써 쿠션부(20) 내로의 공기 유입과, 쿠션부(20)에서의 공기 배출은 더욱 증가되면서, 쿠션부(20)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쿠션부(20)는 벨트(11)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벨트(1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벨트(11)의 내측면(도 23에서 바라보이는 부분)과 벨트(11)의 외측면(도 22에서 바라보이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쿠션부(20)는 도 6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선택된 하나의 쿠션부(20)가 벨트(11)와 일체로 제조된다.
쿠션부(20)는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일체화시 동시에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재봉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하는 경우에 쿠션부(20) 또한 벨트(11)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20)를 둘러싸는 부위(11b)에 재봉선이 위치되어야 쿠션부(20)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접착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하는 경우에도 쿠션부(20)를 벨트(11)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20)를 둘러싸는 부위(11b)가 접착되어야 쿠션부(20)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쿠션부(20)는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11)가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경우 벨트(11)의 중앙부(11a)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쿠션부(20) 역시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면,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쿠션부(20)에 의해 완충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 움직임시의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합성 고무이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는 스티렌 20 ~ 30 중량%, 부타디엔 70 ~ 8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으로 된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쿠션부(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는 반복적으로 압축과 복원(신장)이 진행되므로,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이 뛰어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A)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에서 상면(21A)과 하면(22A)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다. 쿠션부(20A)의 종단면은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든다.
쿠션부(20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부(20A)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A)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A)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A)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오금 또는 팔오금을 향하는 면이 상면(21A)과 하면(22A) 중 어느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션부(20A)를 쿠션삽입부(15)에 삽입하는 경우에 쿠션부(20A)의 삽입 방향을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쿠션부(2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A)는 1개만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A)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A)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A)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A)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A)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A)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A)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A)는 쿠션부(20A)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A)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A)는 중앙의 관통홀부(23A)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A)를 따라 쿠션부(20A)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A)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A)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A)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A)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A)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B)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B)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B)의 상면(21B)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B)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B)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B)의 양단부는 오목한 부분에서 하면(22B)의 중앙부를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이 쿠션부(20B)의 하면(22B)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쿠션부(20B)의 접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B)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B)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B)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B)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B)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B)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B)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B)는 쿠션부(20B)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B)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B)는 중앙의 관통홀부(23B)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B)를 따라 쿠션부(20B)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B)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B)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B)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B)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B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C)로서, 쿠션부(20B)의 제1변형예와 크기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쿠션부(20C)의 상면(21C), 하면(22C), 그리고 관통홀부(23C)는 쿠션부(20B)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20B)가 체구가 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쿠션부(20C)는 그보다 체구가 작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D)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D)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20D)의 하면(22D)은 I-I' 단면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 각각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중앙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쿠션부(20D)의 상면(21D)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D)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D)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D)의 하면(22D)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D)의 양단부는 오목한 중앙부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D)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D)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D)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D)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D)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D)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D)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D)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D)는 쿠션부(20D)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D)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관통홀부(23D)는 중앙의 관통홀부(23D)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D)를 따라 쿠션부(20D)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D)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D)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D)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D)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D)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 따른 쿠션부(20E)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면(22E)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I' 단면 기준으로 쿠션부(20E)의 상면(21E)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부는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단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하면(22E)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보다 그 범위가 더 넓다.
쿠션부(20E)의 상면(21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20E)가 배치되는 오금 또는 팔오금이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쿠션부(20E)는 그 형상에 의해 오금 또는 팔오금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를 통해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부(20E)의 하면(22E)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절 부위의 움직임 시에 쿠션부(20E)의 양단부는 중앙부와의 연결 부위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쿠션부(2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된다. 관통홀부(23E)는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부(23E)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2개 형성되는 경우에 2개의 관통홀부(23E)의 중앙 지점은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관통홀부(23E)가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중 1개의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쿠션부(20E)의 외곽에 배치되는 나머지 관통홀부(23E)에서 중앙의 관통홀부(23E)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나머지 관통홀부(23E)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부(23E)는 쿠션부(20E)의 중앙에 1개의 관통홀부(23E)가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관통홀부(23E)는 중앙의 관통홀부(23E)와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된다.
통과홀부(12a)를 통해 쿠션안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관통홀부(23E)를 따라 쿠션부(20E)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부(20E)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땀에 의해 젖게 되는 쿠션부(20E)가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20E)가 압축되는 경우에 관통홀부(23E)라는 여유 공간에 의해 쿠션부(20E)의 변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 도 22 및 도 2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보호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관절보호대(3)의 쿠션부(20)가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도록 벨트(11)를 무릎 또는 팔꿈치 부위에 둘러싼다. 무릎 또는 팔꿈치 둘레는 사용자마다 다르나, 이는 제1연결부(13)의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연결부(14)의 제2벨크로테이프의 중첩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와 제1연결부(14)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밀착되게 둘러싸여질 때, 쿠션부(20)는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된다(도 11 참조).
이후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압축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줄인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무릎 또는 팔꿈치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릎 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완충된다. 이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의 구부림 시에 발생되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무릎 또는 팔꿈치를 펼치는 경우에 오금 또는 팔오금 상에 배치되는 쿠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신장)되면서 무릎 또는 팔꿈치의 펼침에 복원력만큼의 힘을 더하게 된다. 이는 무릎 또는 팔꿈치의 손상이 있어 주변 근육이 퇴화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쿠션부(20)는 반복적인 압축과 복원에 의해서도 탄성 복원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무릎 또는 팔꿈치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움직임 시에 발생되는 통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에 조임벨트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벨트부(10)는 조임벨트(16, 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둘러싸면서 벨트(11)를 조이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16, 17)는 벨트(1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임벨트(16, 17)의 조임 정도에 의해 벨트(11)가 사용자의 관절 부위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임벨트(16, 17)는 제1조임벨트(16), 제2조임벨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트(16)는 벨트(11)의 폭 방향(도 20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일단부(도 20 기준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2조임벨트(17)는 벨트(11)의 폭 방향으로 타단부(도 20 기준 하단부)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중앙부(16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1조임벨트(16)의 중앙부(16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1조임벨트(16)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6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6c)의 탈부착에 의해 제1조임벨트(16)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제1조임벨트(16)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에 의해 제1조임벨트(16)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조임벨트(16)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6b, 16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1조임벨트(16)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조임벨트(17)는 중앙부(17a)가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조임벨트(17)의 중앙부(17a)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벨트(11)의 중앙부(11a)에 부착된다. 제2조임벨트(17)는 일단부에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가 장착된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서로 암수 결합된다. 한편,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가 수벨크로테이프 형상인 경우에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는 암벨크로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조임벨크로테이프(17b)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17c)의 탈부착에 의해 제2조임벨트(17)는 양단부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7은 제2조임벨트(17)의 양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에 의해 제2조임벨트(17) 양단부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의 결합 부위의 조정에 의해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조임벨트(17)를 통한 벨트(1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벨트(11)를 느슨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줄임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느슨하게 조이게 되면서 관절 부위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벨트(11)를 보다 강하게 조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조임벨크로테이프(17b, 17c)가 중첩되는 부위를 늘림으로써, 제2조임벨트(17)의 내측 둘레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벨트(11)는 관절 부위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면서 벨트(11)와 관절 부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48)

  1.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가 오금 또는 팔오금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쿠션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상기 쿠션부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주머니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주머니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쿠션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쿠션부를 상기 벨트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쿠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교차되고, 상기 쿠션부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고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고정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쿠션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안착부에는 상기 쿠션부보다 폭이 좁은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관절 부위를 둘러싸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나일론,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제2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는 조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를 둘러싸면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일단부에는 제1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조임벨트의 타단부에는 제2조임벨크로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제1조임벨크로테이프와 제2조임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조임벨트는 양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조임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조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이 2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이 7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며, 종단면의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8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쿠션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부까지의 거리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PCT/KR2014/001532 2013-12-05 2014-02-25 관절보호대 WO20150838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71 2013-12-05
KR1020130150871A KR101527767B1 (ko) 2013-12-05 2013-12-05 관절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897A1 true WO2015083897A1 (ko) 2015-06-11

Family

ID=5327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532 WO2015083897A1 (ko) 2013-12-05 2014-02-25 관절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7767B1 (ko)
WO (1) WO20150838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425A (zh) * 2017-10-23 2020-06-30 凯希特许有限公司 关节上的组织部位的区域管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1B1 (ko) * 2016-06-15 2017-11-06 조강원 달리기 근력 강화 착용구
CN208708785U (zh) 2018-05-24 2019-04-09 马庆利 远红外关节护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353935Y1 (ko) *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JP2005232661A (ja) * 2004-02-20 2005-09-02 Kazuko Oi プロテクター
KR200403889Y1 (ko) * 2005-09-15 2005-12-14 손세화 무릎 보호대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21Y1 (ko) * 2000-03-17 2000-09-01 양용선 무릎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JP2005232661A (ja) * 2004-02-20 2005-09-02 Kazuko Oi プロテクター
KR200353935Y1 (ko) *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200403889Y1 (ko) * 2005-09-15 2005-12-14 손세화 무릎 보호대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425A (zh) * 2017-10-23 2020-06-30 凯希特许有限公司 关节上的组织部位的区域管理
CN111356425B (zh) * 2017-10-23 2022-10-11 3M创新知识产权公司 关节上的组织部位的区域管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767B1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10068070A2 (ko) 양면날면도기
WO2019107661A1 (ko) 알람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15102438A1 (en) Display apparatus
WO2019212177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88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8110856A1 (ko) 회전장치
WO2019212187A1 (ko) 청소기의 노즐
EP3058561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0096382A1 (ko)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9107657A1 (ko) 에어 베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9112396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9107660A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0179965A1 (en) Headrest
WO2020158964A1 (ko) 액션 로봇
WO2016052921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21177582A1 (ko) 피부 접촉을 센싱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15083897A1 (ko) 관절보호대
WO2021235646A1 (ko) 헤어 드라이어
EP3200668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21177577A1 (ko) 씰링 부재가 구비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0235705A1 (ko) 액션 로봇
WO2022158939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080099A1 (ko)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8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8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