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460Y1 - 자전거용 안장커버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안장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460Y1
KR200381460Y1 KR20-2005-0002685U KR20050002685U KR200381460Y1 KR 200381460 Y1 KR200381460 Y1 KR 200381460Y1 KR 20050002685 U KR20050002685 U KR 20050002685U KR 200381460 Y1 KR200381460 Y1 KR 200381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aper
saddle
main body
sad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순
조춘상
Original Assignee
안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순 filed Critical 안희순
Priority to KR20-2005-0002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 B62J1/26Paddings involving other resilient material, e.g. sponge rubber with inflatabl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를 장시간 타더라도 둔부 및 서혜부근 급소로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경감시켜 통증 또는 피로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안장의 외주와 비슷한 외주를 가지고 하나이상의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는 판상의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포켓(15)에 각각 삽입되고 유체가 충전되는 복수의 유연성의 내구력있는 쿠션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부착구에 의해 자전거 안장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안장커버{A cover for bicycle saddles}
본 고안은 자전거용 안장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의 접촉 및 체중으로 인해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둔부 및 서혜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을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안장 상면에 부착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안장은 별다른 쿠션장치 없이 가죽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장시간 탈 경우 사용자의 둔부 및 서혜 부근 급소로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로감이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자전거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를 장시간 탈 경우에도 사용자의 둔부 및 서혜부근 급소로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경감시켜 통증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부착구에 의해 안장에 장착되는 자전거용 안장에 있어서, 천연섬유, 직물, 합성섬유직물, 천연가죽, 합성수지 쉬트 등 내구력 있고 유연성 판체로서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자전거 안장의 외주부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진 본체 ; 긴 튜브형상으로 만들어져 유체가 충전되어 밀폐되고 본체의 고정수단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쿠션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전거용 안장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포켓과 그 포켓에 수용되는 복수의 쿠션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그 쿠션튜브의 직경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1조이상의 탄성스트랩 또는 매직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해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자전거 안장보다 약간 큰 크기의 판체로 되고 4개의 길고 짧은 포켓부(15,15')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포켓(15,15')에 각각 삽입되는 4개의 길고 짧은 쿠션튜브(20a,20b)와, 본체(10)의 주연부에 결합되어 본체(10)를 자전거의 안장위에 부착시키는 부착커버(30)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위의 본체(10)는 자전거 안장의 외주보다 약간 큰 크기의 내구력있는 유연성합성섬유로 된 상면지(12)와, 저면지(14)를 결합, 봉제하여 봉제선(10a)에 의해 구획되어 양단이 막힌 중간부분의 2개의 긴 포켓(15)과 그 외측의 짧은 포켓(15)이 오목부(10b)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양단이 막힌 2개의 짧은 포켓(15')을 형성하는 한편, 포켓(15,15')을 형성함에 있어 상면지(12)와 저면지(14)가 마주보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하였다(도 2참조).
여기서, 본체(10)의 외주부는 자전거 안장의 외주부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게 하는데, 예를 들어, 선단이 좁고 윗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곡선 이루며 후단이 넓게 형성된 안장의 경우 본체(10)도 유사한 평면형상을 가지게 하되, 그 외주부는 안장의 외주부보다 약간 크게 하였다.
그리고, 본체(10)의 포켓(15,15')은 쿠션튜브(20a,20b)가 삽입되어 수용되기에 알맞은 크기를 가지며, 쿠션튜브에는 유체, 예를 들어, 공기, 질소가스, 젤, 물등이 충전되어 밀폐되는 원기둥 막대형상으로, 그 외에도 동일하게 쿠션기능을 갖는 스폰지나 솜 등을 충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쿠션튜브(20)내에 유체 등을 충전함으로써 자전거를 탈 때 둔부에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완화시키고 안장커버의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쿠션튜브(20)가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본체(10)의 전체형상은 각 쿠션튜브(20)가 삽입되는 포켓(15,15')별로 구획되어 요철형상으로 올록볼록하게 되며, 이러한 요철형상은 사용자의 둔부와 서혜에 탄력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안장커버의 중앙부의 긴 쿠션튜브(20a)들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10b) 부위는 서혜부근 급소와의 접촉면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급소로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쿠션튜브(20a,20b)는 저면지(14)의 호형부(14a,14b)의 마주보는 곳을 벌려서 만들어진 삽입구(14c)를 통해 삽입하여 포켓(15,15')내에 수용된다.
상면지(12)와 저면지(14)는 직물을 사용하여 봉제하였으나, 예를 들어 그 재질이 합성수지인 경우 열융착 방식으로 대신할 수 있다.
부착커버(30)는 본체(10)가 쿠션튜브(20)와 함께 안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요소의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서, 가죽, 천 또는 합성수지 커버를 본체(10)의 테두리에 재봉(또는 열융착)방식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며, 안장의 테두리 전체를 덮어씌울 수 있고, 개구부에 신축성 밴드(31)가 구비되어 안장커버가 안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러한 부착커버(30)외에도 본체(10)의 가장자리에 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신축성밴드,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되고 본체(10)에 고정되며 양단부에 각각 암수 결착수단이 구비된 다양한 구성으로 부착수단을 만들어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자전거의 안장 상면에 그 본체(10)가 쿠션튜브(20a,29b)와 함께 장착되도록 한 후 테두리의 부착커버(30)의 개구부를 벌려 안장의 테두리에 덮어 씌우면 신축성 밴드(31)가 조여지면서 안장으로의 장착이 완료되고, 또한 분리시에는 다시 부착커버(30)를 벌려 안장으로부터 벗겨 내면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하나의 변형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장착상태를 나타난 것으로서, 짧은 쿠션튜브(20b)의 긴 쿠션튜브(20a)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제1실시예에 비해 크고 짧은 쿠션튜브(20b)의 선단부의 구경이 제1실시예에 비해 내측을 향해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짧은 쿠션튜브가 생략되고 한쌍의 긴 쿠션튜브(20a)만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긴 쿠션튜브(20a)를 3개로 할 수도 있다.
도 8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내구성이 좋은 합성섬유직물로 된 상면지와 저면지를 사용하여 판상의 본체와 공간부를 만들었으나, 저면지를 일종의 기판처럼 두고 상면지만으로 포켓을 만들 수 있고, 그 재질도 합성섬유직물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천연직물, 천연가죽, 인조가죽, 고무지 등 내구성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면지와 저면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유연성있는 판체의 상면 또는 저면에 긴 자루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직물, 가죽, 고무지 등의 쉬트(sheet)를 봉제, 용착등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분해사시도, 단면도, 결합상태도 및 장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한쌍의 긴 쿠션튜브(20a'), 이 한쌍의 긴 쿠션튜브(20a') 후단부 외측에 위치한 한쌍의 짧은 쿠션튜브(20b')로 이루어져 연통되는 일체형 쿠션튜브(20)와, 위의 쿠션튜브(20a',20b')가 삽입되는 네개의 포켓(15a,15a')이 형성된 본체(10)가 나타나 있다.
즉, 위의 튜브(20a',20b')의 후단부는 연통되어 있고, 연통부에는 출몰가능한 공기주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덧씌움부(10a)는 일체형 쿠션튜브의 연통부를 도 11과 같이 덧씌우기 위한 것이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착커버(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부착수단에 의해 자전거에 부착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주요부 사시도로서, 상면지(12)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2쌍의 탄성 스트랩(15a)을 구비한 본체(10)와, 본체(10)의 탄성 스트랩(15a)에 삽입, 고정된 한 쌍의 긴 쿠션튜브(20a)가 도시되어 있으며, 부착수단은 생략하였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제1실시예의 고정구인 포켓(15)을 탄성 스트랩(15a)으로 대체하고 그에 따라 저면지를 사용하지 않게 된 것 외에는 제1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도 13에서는 탄성 스트랩(15a)을 상면지(12)의 저면에 부착하였으나 그 상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쿠션튜브(20a)의 노출을 막기 위해 별도의 덧씌움지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튜브(20a)의 직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랩(탄성 스트랩이 아니어도 됨)을 두 부분으로 하고 매듭에 의해 쿠션튜브를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쿠션튜브(20a)를 3개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사시도로서, 상면지(12)의 저면에 부착된 한쌍의 탄성 스트랩(15a)을 구비한 본체(10)와 본체(10)의 탄성 스트랩(15a)에 삽입, 고정된 한 쌍의 긴 쿠션튜브(20a)와, 본체(10)의 외주부에 부착되고 그 저면쪽으로 개구되고 개구부에 부착된 신축성 밴드(31)를 가지는 부착커버(30)를 구비한 자전거용 안장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도 13의 안장커버의 2개의 탄성 스트랩을 합쳐서 하나로 한 것으로서, 다른 구조와 작용효과는 도 13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쿠션튜브(20a)는 연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도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3, 도14의 탄성 스트랩(15a)을 매직테이프(15a')로 대체한 것 외에는 도 13, 도 14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와 그 구조와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5, 도16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에 대하여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위에서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고안이 실시예에 관한 첨부도면이나 위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의 여러가지 변형과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전거용 안장커버는 자전거를 장시간 탈 경우에도 둔부 및 서혜부근 급소로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경감시켜 통증 및 피로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쿠션 안장커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저면을 위로 오게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2의 안장커버의 본체의 포켓에 쿠션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쿠션튜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커버를 자전거의 안장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하나의 변형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커버를 자전거의 안장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커버를 자전거의 안장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안장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자전거 안장커버의 결합관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커버를 자전거의 안장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하나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자전거용 안장커버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a : 재봉선
10b : 오목홈 12 : 상면지
14 : 저면지 14a,14b : 호형부
14c : 삽입구
15, 15', 15a, 15a' : 포켓
20, 20a, 20b, 20a', 20b' : 쿠션튜브
30 : 부착커버 31 : 신축성밴드

Claims (9)

  1. 부착구에 의해 안장에 장착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에 있어서,
    자전거 안장과 비슷한 크기의 외주부를 가지는 내구력있는 유연성 판체로서,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의 고정수단을 구비한 본체(10);
    긴 튜브형상으로 만들어져 유체가 충전되어 밀폐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복수의 쿠션튜브(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쿠션튜브(20a)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이상의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본체(10)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스트랩 또는 매직테이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서로 부착된 상면지(12)와 하면지(14)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포켓(15)이 상기 상면지(12)와 하면지(14)가 서로 마주 보며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쿠션튜브(20a)는 2개 이상 평행을 이루며 연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서로 부착된 상면지(12)와 하면지(14)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평행을 이루는 상기 포켓(15)이 상기 상면지(12)와 하면지(14)가 서로 마주보며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튜브(20a)는 상기 포켓(15)의 갯수에 상응하는 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서로 부착된 상면지(12)와 하면지(14)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포켓(15)이 상기 상면지(12)와 하면지(14)의 어느 하나가 상기 하면지(14) 또는 상면지(12)위에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튜브(20a)는 2개 이상 평행을 이루어 연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서로 부착된 상면지(12)와 하면지(14)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평행을 이루는 상기 포켓(15)이 상기 상면지(12)와 하면지(14)의 어느 하나가 상기 하면지(14) 또는 상면지(12)위에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튜브(20a)는 상기 포켓(15)의 갯수에 상응하는 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8.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나의 포켓(15)의 후부가 전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2개이상 연접된 쿠션튜브(20a)의 양측에 그보다 길이가 짧은 보조쿠션튜브(20b)가 후부에 각각 하나이상 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9. 제2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복수의 포켓(15)중 양측에 있는 것의 후부 양측에 그보다 짧은 길이의 보조포켓(15')이 각각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포켓(15')에 상기 쿠션튜브(20a)보다 길이가 짧은 보조쿠션튜브(20b)가 각각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커버.
KR20-2005-0002685U 2004-11-22 2005-01-28 자전거용 안장커버 KR200381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85U KR200381460Y1 (ko) 2004-11-22 2005-01-28 자전거용 안장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26 2004-11-22
KR20-2005-0002685U KR200381460Y1 (ko) 2004-11-22 2005-01-28 자전거용 안장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460Y1 true KR200381460Y1 (ko) 2005-04-11

Family

ID=4368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685U KR200381460Y1 (ko) 2004-11-22 2005-01-28 자전거용 안장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25B1 (ko) 2013-05-15 2014-09-05 황성만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KR20210092956A (ko) * 2020-01-17 2021-07-27 양준호 열전소자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25B1 (ko) 2013-05-15 2014-09-05 황성만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KR20210092956A (ko) * 2020-01-17 2021-07-27 양준호 열전소자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KR102291685B1 (ko) 2020-01-17 2021-08-20 양준호 열전소자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665B1 (en) Cycle pants with breathable saddle cushion
US6584616B2 (en) Knee pad construction
EP0552298B1 (en) Back belt
US7376978B2 (en) Knee pad construction
US7288076B2 (en) Self-equalizing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ITVR990048U1 (it) Scudo per la protezione dorsale.
WO1997027784A2 (en)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US20050212337A1 (en) Bicycle saddle with a molded cushioning pad assembly
ATE434950T1 (de) Fahrradhelm
TWI651232B (zh) 自行車座墊
CA2500161A1 (en) Saddle support structure
WO1999041134A1 (en) A crotch cushion for a bicycle rider
US5890760A (en) Bicycle seat cushion
US6775851B1 (en) Structure of chest protector
JPH08258788A (ja) バックパックを有する浮力補正器
KR200381460Y1 (ko) 자전거용 안장커버
US20150065933A1 (en)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US7367483B2 (en) Strap assembly with cushioning elements
US20020189003A1 (en) Garment for use with backpacks
US20090056002A1 (en) Shock Absorbent for Protective Pad and Protective Pad and Protective Clothes Using the Same
JP2005058582A (ja) クッション材
KR101638118B1 (ko) 에어 쿠션 안장
TWM545081U (zh) 自行車座墊
US20100205711A1 (en) Kneepad construction
JP7158530B1 (ja) 背負いベルトおよび背負い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