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82B1 -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 Google Patents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682B1
KR101527682B1 KR1020140039157A KR20140039157A KR101527682B1 KR 101527682 B1 KR101527682 B1 KR 101527682B1 KR 1020140039157 A KR1020140039157 A KR 1020140039157A KR 20140039157 A KR20140039157 A KR 20140039157A KR 101527682 B1 KR101527682 B1 KR 10152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fuel
pel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대기
Original Assignee
민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대기 filed Critical 민대기
Priority to KR102014003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5H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10Catalytic re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렛 난로에 관한 것으로, 펠렛 연료의 일차 연소 이후에 연소되지 않은 연기화된 미연가스, 즉 미연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를 고온 환경 하에서 고온용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를 이용한 초단열연소를 통하여 산화시키고, 이차공기 혼합기에서 난방용 이차공기와 고온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혼합가스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춘 이후 부분적으로 남은 미연가스를 세라믹 담체의 산화 촉매기를 이용한 촉매연소를 통하여 산화시킴으로써 완전 연소에 가까운 펠렛 연료의 연소를 구현하는 한편, 고체 펠렛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재를 재분리기와 최종 재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깨끗한 연소가스를 실내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실효적으로 100%에 가까운 고효율 난방을 구현하도록 하고, 펠렛 난로 양측의 연료통으로부터 자중에 의한 펠렛 연료의 자동 공급과 자연대류에 의해 흡입력를 발생시키는 스택을 이용한 연소용 및 난방용 공기의 공급으로 외부 전원에 의하지 않는 무동력 구동을 실현함으로써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를 구성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Clean Pellet Stove of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실내 난방을 목적으로 펠렛을 연료로 하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 초단열연소와 촉매연소를 통하여 팰렛 연료를 완전 연소에 가까이 연소시키고, 재분리기와 재필터를 이용하여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연소가스와 난방용 공기를 직접 실내로 투입하여 실효적으로 100%에 가까운 고효율 난방을 실현하고, 나아가 자중을 이용한 펠렛 연료의 공급과 함께 스택의 자연대류에 의한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연소 및 난방용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무동력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한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에 관한 것이다.
목재 펠렛을 연료로 이용하는 펠렛 난로는 1970년대 오일 쇼크에 대한 대안으로 재생에너지원인 펠렛을 적용한 난로로 처음 등장한 이래 서구권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전 보급되어 왔다. 연통의 자연대류를 이용하는 화목 난로와는 달리, 대부분의 펠렛 난로는 블로워팬를 이용한 강제 급배기 방식을 채택하고 연료 공급 및 조절 또한 전기식 스크루 연료공급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실내용 전기식 팰렛 난로의 경우 100-300W의 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 사용에 따른 비용 증가와 더불어 분진 및 고온 사용 환경에 따른 전기전자부품의 잦은 고장과 함께 실내에서의 작동 소음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성능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면 펠렛 난로의 경우 78% 이상의 열효율을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로 시판되는 펠렛 난로에서는 50-70% 수준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펠렛 난로는 미환경보호국(EPA)의 환경규제 대상에서 면제되고 있으나, 2014년 입법 예고되고 있는 EPA의 신주거용 화목히터에 관한 대기환경보호법(Air Rules for New Residential Wood Heaters)에 따르면 펠렛 난로도 3배 이상 강화된 배출물 규제를 준수하도록 예고하고 있다.
한편, 무동력 펠렛 난로는 구조적인 단순함에 따른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정은 더욱 열악하다. 수동 점화, 화력 조절을 포함한 사용의 불편함, 외기 조건에 쉽게 영향을 받는 배기 연통을 포함한 급배기 시스템의 불완전한 구성으로 인하여 불완전연소, 나아가 배기 역류까지 발생하는 문제점 등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화목 난로와 기본적으로 같은 방식의 연소 및 열전달 방식을 사용하는 무동력 펠렛 난로의 경우 실내 난방을 난로의 복사열에 의존함으로써 강제대류를 이용하는 전기식 펠렛 난로보다 그 열효율은 더욱 떨어져 대부분 최대 5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전기식이나 무동력 펠렛 난로는 대부분 연통을 통하여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배기되는 연소가스의 열량만큼을 버릴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배기가스로 낭비되는 열량은 투입 열량 대비 20%에서 50%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외부로 배기시키는 구조에서는 완전연소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불완전연소에 따른 연기나 미세입자 등의 배출에 대해 다소 느슷한 규제 만이 적용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저탄소 고효율화에 대한 요구와 함께 보다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을 주성분으로 하는 펠렛 연료의 연소는 고체 성분의 직접 연소에 의한 고체 연소와 고체로부터 휘발된 탄화수소 가스의 확산연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열분해에 의해 휘발된 탄화수소 가스는 펠렛 연료의 85%까지 차지하며 이 때 미연소된 가스가 연기로 발생하고, 여기에 연소가스 중의 수분과 응축하면 산성의 목초액을 형성하게 되어 난로의 내구성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연기화된 휘발 연료의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600oC 이상의 고온이 요구되는데, 통상적인 펠렛 난로에서는 확산연소의 국부적인 불균일과 저온 벽면에서의 화염 냉각 등으로 불완전연소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미 발생된 미연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고온 환경을 유지하면서 미연가스와 공기의 완전 혼합을 통한 초단열 예혼합연소나 촉매연소가 가장 유력하다. 통상 목재를 기반으로 하는 연료의 연소에는 이론공기량보다 50-100% 이상 많은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공연비 35 이상, 즉 450% 이상의 과잉공기의 사용를 권고하는데, 이와 같은 과잉공기는 연소온도를 떨어뜨리고 기발생한 미연가스의 농도를 희박하게 하여 혼합가스의 희박가연한계를 넘어서게 하므로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미연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초단열연소는 열재순환 과정을 거쳐 단열화염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연소시키는 것으로 초희박혼합기의 연소에 가장 유력한 방안 중의 하나이다. 촉매연소 역시 미연가스의 연소를 위한 좋은 대안이기는 하나 작동 온도범위가 제한되고 내구수명과 성능에 제한이 있으므로, 미연가스의 주연소보다는 이차적인 연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완전 연소에 가까운 펠렛 연료의 연소와 완전한 재처리를 통하여 깨끗한 연소가스를 실내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실효적으로 100%에 가까운 고효율 난방을 실현하는 펠렛 난로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난로 본체의 화로 양측에 설치한 연료통으로부터 자중을 이용한 펠렛 연료의 공급과 함께 난로 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스택을 통하여 자연대류에 따른 공기 흡입력을 이용한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통하여 무동력 구동을 구현함으로써 단순하면서도 강건한 구조의 펠렛 난로를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펠렛 연료를 연소하기 위한 난로 본체의 일차 화로와 펠렛 버너, 화로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와 연기, 즉 미연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잉여공기와 함께 고속으로 도입하여 그 안에 포함된 재를 관성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고온 환경 하에서 완전 혼합을 이루도록 하는 단열 처리된 재분리기, 미연가스와 잉여공기의 초단열 예혼합연소가 이루어지는 고온용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 배출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적정한 수준의 온도로 낮추고 난방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이차공기 혼합기, 잔여 미연가스를 산화 촉매반응으로 연소시키는 산화 촉매기, 자연대류에 의한 흡입력으로 연소가스와 가열된 난방용 공기를 배출하는 스택과 함께, 배출된 연소가스와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고 배출가스 내의 미세한 재를 거를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고온용 필터를 장착한 스택 안내갓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난로의 무동력 구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난로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펠렛 연료통, 각각의 연료통에 부착된 연료 공급관, 연료/공기 조절기 및 펠렛 버너부의 연료 안내관으로 자중에 의한 연료 공급시스템을 구성하고, 연소 및 난방용 공기의 공급을 위해 자연대류에 따른 흡입력을 발생하는 스택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고효율 펠렛 난로는 친환경 재생에너지원인 펠렛을 사용하는데서 나아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에너지 기술에 대한 요구와 나날이 강화되고 있는 대기환경보호에 적극 대응하는 난방 기구이다. 보다 실질적으로는 기존 난로 대비 사용 연료를 20-50% 정도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연료를 적게 소모하는데 따른 재처리나 유지보수의 노력과 비용 역시 절감시킨다.
또한 자중에 의한 연료의 공급과 스택의 자연대류 흡입력을 이용한 공기의 공급에 기반한 본 발명의 무동력 펠렛 난로는 그 구조의 단순함과 강건성으로 기존 펠렛 난로에 비해 경쟁력 있는 제조원가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운영이나 유지보수에 있어 유리하다.
도1은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펠렛 버너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펠렛 버너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연료 조절기와 이차공기 댐퍼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펠렛 난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펠렛 난로는 도1과 도2에 나타낸 난로 본체의 중앙부에 일차 화로(50)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독립적인 펠렛 연료통(10)과 부속하는 연료 공급관(11)을 각각 설치하며, 화로(50) 하부에 펠렛 버너통(30) 및 펠렛 버너(32)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재받이(41)를 포함한 재받이통(40)을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난로 본체의 화로(50) 후면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를 분리하기 위한 재분리기(60) 및 재분리통(61)을 설치하고, 재분리기(60) 및 화로(50) 상부에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를 설치하며, 그 상부로 이차공기 혼합기(80), 산화 촉매기(90)를 설치하고, 다시 그 상부로 스택(100)과 탈부착이 가능한 재필터(111)를 장착한 스택 안내갓(110)을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펠렛 난로는 그 구성 상, 포도주 잔과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형상은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특징적인 디자인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연료 공급은 난로 본체의 양측에 설치한 펠렛 연료통(10)으로부터, 도3과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공급관(11), 연료 조절기(20) 및 연료 안내관(31)을 거쳐 펠렛 버너통(30) 내부에 장착된 펠렛 버너(32)로 공급된다.
상기의 연료 공급은 펠렛 연료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펠렛 연료통(10)은 하부로 가면서 줄어드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연료 공급관(11)과 연결되고, 연료 공급관(11)은 연료의 하중이 연료 공급에 충분하도록 적절한 각도를 이루고 하부로 가면서 다시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끝단에서 연료 조절기(20) 및 연료 안내관(31)과 연결된다.
상기의 연료 조절기(20)는 연료 공급관(11)과 연료 안내관(31) 사이에 구성하여, 연료의 공급과 차단 및 조절을 하는데, 연료 조절기(20)는 난로 본체의 양측에 장착한 펠렛 연료통(10)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인 연료 공급과 조절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의 연료 조절기(20)와 연료 안내관(31)을 통하여 공급된 연료는 펠렛 버너통(30)에 장착된 펠렛 버너(32)로 유입되어 펠렛 버너(32)의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와 반응하여 일차 연소하게 되고, 펠렛 버너(32)의 천공된 연소판(33) 내에서 연소하고 남은 재는 연소판(33)의 천공을 통해 그 하부에 설치한 재받이로 자중에 의해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펠렛 난로의 연소용 일차공기 및 난방용 이차공기의 공급은 난로 상부에 설치한 스택(100)의 자연대류에 의한 흡입력으로 일어나는데, 완전연소된 연소가스와 난방용 공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특성 상 난로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가 아닌 외부에서 끌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해 재받이통(40) 후측의 격리된 공간을 이용하여 외부공기 흡입구(43)와 공기 흡입통(42)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펠렛 버너통(30)과 연결된 공기 공급구(34)를 형성하여 연소용 일차공기는 펠렛 버너(32)로 공급하고 난방용 이차공기는 다시 펠렛 버너통(30) 후측 상부에 형성된 이차공기 공급구(35)로 공급하는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의 이차공기 공급구(35) 상부에는 이차공기 댐퍼(36)를 설치하여 이차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차공기는 난로 본체의 후면과 재분리기(60)를 통과하면서 예열되어 이차공기 혼합기(80)로 투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펠렛 버너통(30) 전면부에는 난로의 점화를 위한 점화용 토치 안내구(37)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가스토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점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점화가 완료된 이후에는 안내구 마개(38)를 닫아 안내구(37)를 밀폐하여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전기식 펠렛 난로에서는 공기의 공급이 블로워팬에 의해 강제대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펠렛 버너부의 압력이 연료통보다 높아져 역화가 일어나거나 미연가스의 흡입으로 연료 안내관 내부에서 미연가스의 응축에 의한 연료의 고착이 일어날 수 있으나, 자연대류의 흡입력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본 발명의 경우 버너부의 압력이 연료통보다 낮으므로 이러한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펠렛 난로에서 펠렛 연료의 일차 연소는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렛 버너(32)와 일차 화로(50)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차 화로(50)는 고체의 펠렛 연료가 원활히 연소할 수 있는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되 연소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체적을 갖게 구성하고, 화로의 모든 벽면은 화로 도어(51)의 관측창을 제외하고 저온 벽면의 화염 냉각과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세라믹 보드로 단열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일차 화로(50)의 하부는 하단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하고 하단부는 재받이통(40)과 연결되는 통로(52)를 형성하여 화로 내에 재가 쌓이지 않고 재받이(41)로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구조로 구성하고, 화로 상단에는 일차 연소가스 배출구(53)를 형성하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재의 유입 역시 최소화하는 최적의 입구 크기와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화로(50)의 연소가스 배출구(53)를 통하여 화로(5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 미연가스 및 잉여공기와 함께 가벼운 재가 재분리기(60)로 유입되는데, 재분리기(60)는 중간에 가로막을 사이에 두고 먼저 하방으로 고속으로 연소가스가 유입된 후 반대 상방으로 급격히 빠져나가는 구조로, 연소가스보다 무거운 재는 관성에 의해 하방으로 계속 진행하여 재분리통(61)에 쌓이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재분리기(60)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의 분리와 함께, 일차 화로(50)의 미연가스와 잉여공기를 완전 혼합하고 벽면 소염이나 열손실 없이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에 유입시켜야 하므로, 재분리기 내부를 단열 세라믹 보드(62)로 단열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재분리기(60)를 통하여 완전 혼합된 연소가스, 미연가스 및 잉여공기는 미연가스의 이차 연소를 위한 고온용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으로 도입되고, 세라믹 연소기 내부에서 열재순환에 의한 초단열연소가 일어나 미연가스를 연소시키는데, 초희박상태의 미연가스의 혼합기에서 연소가 원활히 일어 날 수 있도록 하니컴 격자의 특성 크기를 충분히 작게 형성하도록 세라믹 연소기를 구성한다.
상기의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의 후류 방향으로 복사열 차폐기(71)를 장착하여 세라믹 연소기로부터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초단열연소의 안정화를 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와 복사열 차폐기(71)로부터 나온 고온 연소가스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적정한 크기와 개수로 형성된 공기 투입구를 통하여 이차공기를 유입하여 연소가스와 혼합시키는 이차공기 혼합기(80)를 구성한다.
상기의 이차공기 혼합기(80)로부터 나온 적정한 온도의 연소가스와 이차공기의 혼합가스에 포함된 잔여 미연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 세라믹 담체에 코팅된 산화 촉매를 갖는 산화 촉매기(90)를 장착한다.
통상적으로 미연가스의 연소에 사용되는 산화 촉매기는, 고온용의 경우 300oC 근처에서 작동을 개시하여 900oC 이상에서 촉매의 손상이 발생하고 저온용의 경우 400oC 이상에서 촉매의 열화가 발생하므로, 내구 수명과 촉매반응 활성화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산화 촉매기(90)로 공급되는 연소 혼합가스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맞출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이차공기 댐퍼(36)를 장착하여 이차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산화 촉매기(90)로부터 연소가스와 함께 가열된 난방용 공기가 산화 촉매기 상부에 설치된 스택(100)으로 유입되는데, 스택의 길이와 단면적, 그리고 배기가스 온도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해 스택이 흡입할 수 있는 흡입량이 결정되므로, 무동력 구동을 위한 최적의 크기와 길이를 갖는 스택(100)을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스택(100)으로부터 나온 연소가스와 난방용 공기를 실내 난방을 위해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택 안내갓(110)을 구성하는데, 스택(100)으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에 혼입되어 있는 초미세 재를 최종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스택 안내갓(110) 하부에 탈착이 가능한 고온용 재필터(111)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시동 초기의 연소용 공기 공급과 미연가스 연기의 연소를 위하여, 산화 촉매기(90)와 스택(100)을 가스 토치와 같은 외부 열원을 사용하여 예열할 수 있도록 예열 안내구(81)를 이차공기 혼합기(80) 전방에 설치하여, 외부 열원으로 스택(100)을 예열하고 산화 촉매기(90)를 촉매 구동 온도까지 가열하여 시동 초기에 발생하는 저온 미연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시동이 완료되면 외부 열원을 제거하고 안내구 마개(82)를 닫아 안내구(81)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10 : 펠렛 연료통 11 : 펠렛 연료 공급관
20 : 연료 조절기 30 : 펠렛 버너통
31 : 펠렛 연료 안내관 32 : 펠렛 버너
33 : 펠렛 버너의 연소판 34 : 공기 공급구
35 : 이차공기 공급구 36 : 이차공기 댐퍼
37 : 점화용 토치 안내구 38 : 점화 안내구 마개
40 : 재받이통 41 : 재받이
42 : 공기 흡입통 43 : 외부공기 흡입구
50 : 일차 화로 51 : 일차 화로 도어
52 : 일차 화로의 재받이 통로 53 : 일차 화로의 연소가스 배출구
60 : 재분리기 61 : 재분리통
62 : 단열 세라믹 보드 70 :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
71 : 복사열 차폐기 80 : 이차공기 혼합기
81 : 예열용 토치 안내구 82 : 예열 안내구 마개
90 : 산화 촉매기 100 : 스택
110 : 스택 안내갓 111 : 재필터

Claims (2)

  1. 난로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한 일차 화로(50)와 펠렛 버너(32)에서 펠렛 연료를 과잉 공급된 연소용 공기로 일차 연소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와 미연가스 및 잉여공기가 혼합된 배출가스를 단열 처리된 재분리기(60)로 도입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재를 관성에 의해 분리함과 동시에 배출가스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완전 혼합시켜 고온용 하니컴 세라믹 연소기(70)로 도입하고 그 내부에서 초단열연소를 통하여 미연가스를 연소시킨 후, 배출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차공기 혼합기(80)에서 난방용 이차공기와 혼합하여 적정한 수준의 온도로 낮춘 다음, 산화 촉매기(90)로 도입하여 잔여 미연가스를 산화 촉매반응으로 완전 연소에 가까운 상태로 최종 처리한 후, 상부의 스택(100)을 따라 배출시켜 스택 상단의 연소가스 안내갓(110)과 이에 부착된 최종 재필터(111)를 통하여 적정한 온도의 깨끗한 연소가스와 난방용 공기의 혼합가스만을 실내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난로 본체 양측의 펠렛 연료통(10)과 본체 중앙의 스택(100)으로부터 각각 연료의 자중과 자연대류에 의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원없이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고, 각각의 펠렛 연료통(10) 하부에 깔때기 모양을 갖는 연료 공급관(11)과 개별적인 조절이 가능한 연료조절기(20)를 설치하여 펠렛 버너(32)의 양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 펠렛 버너통(30)에서 목 형상을 만들고, 그 하부에 위치한 재받이통(40)의 폭을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크게 하여 전체적인 난로의 형상이 포도주 잔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KR1020140039157A 2014-04-02 2014-04-02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KR10152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57A KR101527682B1 (ko) 2014-04-02 2014-04-02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57A KR101527682B1 (ko) 2014-04-02 2014-04-02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682B1 true KR101527682B1 (ko) 2015-06-09

Family

ID=5350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157A KR101527682B1 (ko) 2014-04-02 2014-04-02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6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994A (zh) * 2017-01-11 2017-06-13 林发绍 一种新型家用蜂窝煤锅炉
CN113865358A (zh) * 2021-08-25 2021-12-31 山东莱锻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余热回收的节能型加热炉
USD1017785S1 (en) 2022-08-12 2024-03-12 Solo Brands, Llc Combustor
USD1018811S1 (en) 2022-08-12 2024-03-19 Solo Brands, Llc Heat refl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1Y1 (ko) * 2010-01-13 2010-11-08 오영덕 무연통 펠릿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1Y1 (ko) * 2010-01-13 2010-11-08 오영덕 무연통 펠릿난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994A (zh) * 2017-01-11 2017-06-13 林发绍 一种新型家用蜂窝煤锅炉
CN106838994B (zh) * 2017-01-11 2018-09-07 林发绍 一种新型家用蜂窝煤锅炉
CN113865358A (zh) * 2021-08-25 2021-12-31 山东莱锻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余热回收的节能型加热炉
USD1017785S1 (en) 2022-08-12 2024-03-12 Solo Brands, Llc Combustor
USD1018811S1 (en) 2022-08-12 2024-03-19 Solo Brands, Llc Heat refl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82B1 (ko)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JP2009068817A (ja) 木質系バイオマス、または、炭化物を燃料とするバッチ式燃焼用ボイラと温風発生装置
EP2884200A1 (en) Central heating boiler
CN205002375U (zh) 一种炉前进料的直接燃烧生物质热风炉
CN106871120A (zh) 燃烧器组件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105276583A (zh) 一种混合燃烧装置及利用该装置的燃烧设备
US20080035137A1 (en) Combustion apparatus
CN206958896U (zh) 一种解耦燃烧装置
WO2015054981A1 (zh) 一种旋转火焰炉具
CN201724256U (zh) 一种燃料灰垢易排出的环保型生物质能颗粒燃烧炉
CN204574124U (zh) 一种能燃烧多种燃料的环保炊事采暖炉
CN201443788U (zh) 生物质全燃烧高效低排暖炊炉
WO2015023169A1 (ru) Бытовой котел, работающий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различной степени влажности
WO2014083504A2 (en) Post combustor
CN106382623A (zh) 新能源智能化双旋锅炉
CN102818265B (zh) 储热高温空气燃烧方法在燃烧器或燃烧炉中的应用
RU2551183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90286191A1 (en) Dispositif de combustion
CN205535839U (zh) 一种用于处理垃圾的焚烧系统
CN205746991U (zh) 多功能环保节能生物质气化燃烧炉
CN205535840U (zh) 一种用于处理垃圾的焚烧炉
CN204478029U (zh) 一种燃煤锅炉低氮燃烧回流装置
CN205535756U (zh) 一种环保型生物质燃烧装置
CN204678386U (zh) 生物质燃料锅炉
CN210128369U (zh) 一种取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