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322B1 -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322B1
KR101526322B1 KR1020157002835A KR20157002835A KR101526322B1 KR 101526322 B1 KR101526322 B1 KR 101526322B1 KR 1020157002835 A KR1020157002835 A KR 1020157002835A KR 20157002835 A KR20157002835 A KR 20157002835A KR 101526322 B1 KR101526322 B1 KR 10152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slide plate
slide
d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730A (ko
Inventor
야스히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는 1쌍의 옆가장자리를 갖는 기판과, 상기 1쌍의 옆가장자리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지지부를 갖고,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옆가장자리의 폭방향의 외측에 갖는 중간판과, 상기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외측 지지부를 갖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수납위치 규정부와,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사용위치 규정부와, 상기 기판의 앞부분에 있어서 표리방향중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수납위치 규정수단과, 상기 기판의 뒷부분에 있어서 상기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사용위치 규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SLIDE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본발명은 본체부와 부체부를 구비하고, 부체부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발명은 휴대전화, 휴대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전자기기로서 숫자 패드 또는 마이크 등을 구비한 본체부, 액정표시장치 또는 스피커를 구비한 부체부, 및 본체부에 대해 부체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중 휴대전화에서는 본체부에 대해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통하여 연결된 부체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에 위치시키고,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또는 턱근방에 위치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미사용시에 숫자 패드를 수납하고, 사용시에 숫자 패드를 액정표시장치의 앞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기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는 부체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판을 본체부의 기판에 가이드와 레일을 장착함으로써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은 기판에 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되고, 이로써 개방되는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의 전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 반력을 부여하고, 슬라이드 조작의 후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보조력을 부여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113067호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는 전체 형상이 특히 가로가 긴 직사각형을 저면으로 한 직육면체형상이고 슬라이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부체부를 본체에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부체부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신장시킨 상태에서는, 부체부와 본체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겸쳐짐량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 부체부가 개방되는 방향의 슬라이드에 수반하는 본체부의 노출면을 최대한 크게 할 것이 요청된다. 특히, 본체부에 숫자 패드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노출면을 보다 크게 할 요청이 보다 강해진다.
그런데, 신장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할 때 부체부의 안정성이나 가이드와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에 기여하는 부분의 견고성을 확보할 필요가 생기는 점에서, 가이드와 레일의 겹쳐짐량, 즉, 오버랩량을 어느 정도 길게 할 것이 요청되는데, 이는 부체부와 본체부의 겹쳐짐을 어느 정도 확보할 것이 반드시 필요한 사태를 초래한다.
즉, 신장상태에 있는 경우, 본체부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는 것이 제한되어 버린다. 즉, 신장상태에 있어서, 본체부의 노출면적을 원하는 면적으로 확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과, 부체부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의 양자를 양립시켜 상품성을 높이는 것이 그렇게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편리성과 조작성을 양립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는 1쌍의 옆가장자리를 갖는 기판과, 상기 1쌍의 옆가장자리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지지부를 갖고,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옆가장자리의 폭방향의 외측에 갖는 중간판과, 상기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외측 지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수납위치 규정부와,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사용위치 규정부와, 상기 기판의 앞부분에 있어서 표리방향중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수납위치 규정수단과, 상기 기판의 뒷부분에 있어서 상기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사용위치 규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에 의하면 편리성과 조작성을 양립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의 스토퍼의 맞닿음면의 양태를 표리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닫힌상태로 한 양태를 비스듬한 표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5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닫힌상태로 한 양태를 비스듬한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커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걸어맞춤양태를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을 제거하여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닫힌상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동작양태를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을 제거하여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열린상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동작양태를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을 제거하여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열린상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동작양태를 이면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개폐상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동작양태를 오른쪽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도 1~도 11중의 F는 전후방향중 전방방향을 나타내고, U는 표리방향중 표면방향을 나타내고, R은 폭방향중 오른쪽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레일(1a, 옆가장자리)이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 기판)와, 좌우 1쌍의 레일(1a)의 각각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2, 지지부(협지부))를 갖는 1쌍의 아우터 레일(3a, 외측가장자리)이 레일(1a)의 폭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3, 중간판)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 부근에 이면방향으로 패인 오목부(1b)를 갖고, 오목부(1b)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면방향을 향하여 일단 수직으로 절곡되고, 판재의 두께정도 이면방향을 향한 후, 더욱 이면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재차 절곡되어 레일(1a)이 형성된다. 또한, 레일(1a)은 오목부(1b)근방보다 전후방향으로 2배정도 길고, 또한 전방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는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해 표면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평행인 평면을 이루고 있고, 중간부분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면방향을 향해 일단 수직으로 절곡되고, 가이드(2)의 표리방향의 두께정도 이면방향으로 신장하는 이면방향 신장부를 형성하고, 더욱 이면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중간부분에 대해 평행을 이루도록 재차 절곡되어 아우터 레일(3a)이 형성된다.
이렇게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부분과 이면방향 신장부에 의해 표리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이 모서리부에 가이드(2)가 걸어맞춰지고 인서트성형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접합된다. 또한, 모서리부 및 아우터 레일(3a)은 중간부분보다 전후방향으로 2배 정도 길고, 후방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2)는, 예를 들어, 상술한 레일(1a)에 대한 슬라이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불소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좌우 1쌍의 아우터 레일(3a, 외측가장자리)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4, 외측 지지부)를 좌우 1쌍의 파지부(5b)로 각각 파지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 슬라이드판)와, 아우터 레일(3a)의 전단부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한 전방방향의 최대변위를 규제하여 중간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6a, 중간수납위치 규정부)를 갖는 플레이트(6)를 구비한다. 가이드(4)는, 예를 들어, 상술한 아우터 레일(3a)에 대한 슬라이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불소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5)도 마찬가지로 전후방향 치수에 비해 폭방향 치수가 긴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평면부분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중간부분에 대해 표면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평행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판재의 중간평면부분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이면방향을 향하여 일단 수직으로 절곡되어 다리부(5a)를 형성하고, 더욱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중간부분에 대해 평행하도록 폭방향 외측으로 재차 절곡되고, 재차 이면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고, 그 후 폭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파지부(5b)가 형성된다.
또한,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아우터 레일(3a)의 후단부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한 후방방향의 최대변위를 규제하여 중간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3b, 중간사용위치 규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앞부분에 있어서 표리방향중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방방향에 대한 최대변위를 규제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한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7, 수납위치 규정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뒷부분에 있어서 표면방향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한 후방방향으로의 최대변위를 규제하여 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8)(사용위치 규정수단)를 구비한다.
스토퍼(7) 및 스토퍼(8)는 완충기능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중심부분에는 탭(tap)에 의해 구멍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구멍부에 스토퍼 핀(9)를 삽입하여 코킹(calking)을 실시함으로써, 스토퍼(7) 및 스토퍼(8)가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다.
또한, 이 고정작업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를 전자기기(102)에 조립하는 타이밍에 실시되고, 이 작업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도 본체부(11)의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에 고정된다. 또한, 도 1의 슬라이드 플레이트(5)에 있어 중간평면부분의 폭방향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전후좌우 4개소의 구멍부분과 미도시의 핀에 의한 코킹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5)는 부체부(12)의 부체부 표면측 케이싱(12a)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후방향중 전방방향은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를 향하는 방향이며,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02)를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이다.
나아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4)의 전단부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한 전술한 중간수납위치에 있어서, 스토퍼(6a, 중간수납위치 규정부)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시켜 격납하는 잘라내어진 형상을 갖는 전단 격납부(4a)를 구비한다. 가이드(4)가 전단 격납부(4a)를 구비하는 것에 대응하여, 파지부(5b)의 전단부도 전단 격납부(4a)와 동일한 잘라내어진 형상을 갖는 전단 격납부 대응부(5c)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이드(4)의 후단부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한 중간사용위치에 있어서 스토퍼(3b, 중간사용위치 규정부)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시켜 격납하는 후단 격납부(4b)를 구비한다. 가이드(4)가 후단 격납부(4b)를 구비하는 것에 대응하여, 파지부(5b)의 후단부도 후단 격납부(4b)와 동일한 잘라내어진 형상을 갖는 후단 격납부 대응부(5d)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의 전단부는 수납위치에 있어서 정사각형 기둥형상의 스토퍼(7)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시켜 수용하는 정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진 형상을 갖는 전단 수용부(3c)를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의 후단부는 사용위치에 있어서 정사각형 기둥형상의 스토퍼(8)을 전후방향으로 오버랩시켜 수납하는 모서리부 형상을 갖는 후단 수용부(3d)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토퍼(6a)는 아우터 레일(3a)과 별도의 부재인 플레이트(6)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가이드(4)에 대해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아우터 레일(3a)를 전방방향측에서 삽입한 후, 플레이트(6)를 아우터 레일(3a)의 이면방향의 면에, 예를 들어,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고정하여, 도 1중 좌측에 나타낸 서브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 서브 어셈블리의 가이드(2)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레일(1a)을 전방방향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가 조립된다. 즉, 플레이트(6)를 아우터 레일(3a)에 대해 별도의 부재로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5)를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해 전방방향으로 최대변위시킨 경우의 중간수납위치에 있어서, 스토퍼(6a)와 전단 격납부(4a) 및 전단 격납부 대응부(5c)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맞닿음면(P1)은, 맞닿음면(P1)을 포함하는 표리방향에 수직인 단면인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6a)의 플레이트(6)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밑둥의 R형상을 제외하고, 전후방향에 수직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5)를 슬라이드 플레이트(3)에 대해 후방방향으로 최대변위시킨 경우의 중간사용위치에 있어서, 스토퍼(3b)와 후단 격납부(4b) 및 후단 격납부 대응부(5d)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맞닿음면(P2)은, 맞닿음면(P2)을 포함하는 표리방향에 수직인 단면인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3b)의 아우터 레일(3a)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밑둥의 R형상을 제외하고 전후방향에 수직이다. 또한, 도 3(a), (b)에는 예시적으로 전방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맞닿음면의 형태만을 나타내었지만, 우측에 대하여도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파지부(5b)의 앞부분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도 2에 나타낸 돌출부(5e)와, 슬라이드 플레이트(5)를 연결하는 스프링(10,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는 전자기기(102)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전자기기(102)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되는 본체부(1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5)에 고정되는 부체부(12)를 구비한다. 본체부(11)는 본체부 표면측 케이싱(11a)과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으로 구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다.
본체부 표면측 케이싱(11a)과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으로 구성되는 본체부(11)의 내부공간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에 필요한 공간을 갖는다. 본체부 표면측 케이싱(11a)의 표면방향측의 면에는 좌우 1쌍의 슬릿(11aa)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다리부(5a)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통과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체부 이면측 케이싱(12b)의 이면방향측의 면의 앞부분에는 좌우 1쌍의 슬릿(12ba)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다리부(5a)가 삽입통과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5)가 베이스 플레이트(1)로부터 가장 이간되는 위치까지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드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5)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이 본체부(11)로부터 후방방향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에는 도 7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커버(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3)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본체부(11)에서 후방방향으로 노출하는 부분을 덮어 가리는 피복수단을 구성한다. 좌우 1쌍의 커버(13)는 서로 폭방향 중앙에 대해 선대칭이고, 전방방향으로 개구하는 거의 상자형태를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1)에 형성한 전 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c, 절결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돌출된 걸어맞춤부(13a)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13)는 이 커버(13)에 대해 전후방향중 전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커버 스프링(14, 부가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13)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가 전후방향의 후방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후단(파지부(5b)에 맞닿는 피맞닿음면(13b))을 상자형상의 후방방향측의 저면으로 하고, 커버 스프링(14)을 외포하여 지지하는 박스(13c, 외포부분)를 상자형상의 본체부에서 전방방향 및 폭방향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구성된다.
커버 스프링(14)의 전방측단은 박스(13c, 외포부분)의 앞쪽 단면으로부터 후방방향으로 구속되고, 커버 스프링(14)의 뒷쪽 단부는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의 후방방향측의 내벽면에 의해 구속되어, 커버 스프링(14)은 커버(13)에 항상 전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여기서, 슬릿(1c)의 전후방향중 전방방향 단부의 위치는 걸어맞춤부(13a)의 전방방향 단부가 맞닿은 경우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3)의 후단부가 본체부(12)의 후단부와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부(13a)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슬릿(1c, 절결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커버(13)의 박스(13c, 외포부분)를 제외한 부분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일치시킨다.
즉, 전자기기(102)의 부체부(12)가 본체부(11)에 대해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후방 후단에 의해 커버(13)가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의 후방방향의 벽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부체부(12)가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에는, 커버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 이면측 케이싱(11b)내에 재차 수납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 및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02)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해 슬라이드 플레이트(5)를 전후방향의 후방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경우에,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전후방향의 오버랩량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기기(102)에 있어서, 본체부(11)에 대해 부체부(12)를 후방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 본체부(11)의 노출면의 면적을 보다 크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노출면에 숫자 패드나 소형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개개의 키를 가능한 한 크게 하고 나아가 키의 배열에 관한 제약도 가능한 한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높은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레일(1a)과 가이드(2)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오버랩량과, 아우터 레일(3a)과 가이드(4)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오버랩량을 모두 가능한 한 큰 수치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02)에 있어서의 본체부(11)에 대한 부체부(12)의 상대변위와 상대회전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일(1a)과 아우터 레일(3a)을 동일 평면상에 구성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3)를 표리방향으로 얇은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11)내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면서도 전자기기(102)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일(1a)과 가이드(2)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오버랩량과, 아우터 레일(3a)와 가이드(4)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오버랩을 확보함과 동시에, 스토퍼(6a)와 스토퍼(3b)의 돌출방향을 폭방향의 외측으로 하고, 스토퍼(7) 및 스토퍼(8)의 돌출방향을 표면방향으로 하여 서로 수직인 관계를 이루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퍼의 구성에 의하면, 부체부(12)의 조작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해 슬라이드 플레이트(5)가 표리방향 또는 폭방향을 중심으로 한 상대회전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표리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회전에 대해서는 스토퍼(7) 또는 스토퍼(8)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의 전단 수용부(3c) 또는 후단 수용부(3d)에 맞닿고, 폭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회전에 대해서는 스토퍼(6a) 또는 스토퍼(3b)가 가이드(4)의 전단 격납부(4a)와 슬라이드 플레이트(5)의 전단 격납부 대응부(5c) 또는 후단 격납부(4b)와 후단 격납부 대응부(5d)와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기기(102)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방향의 상대회전에 대하여, 전자기기(102) 및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가 원래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의 돌출방향의 조합을 규정함으로써, 레일(1a)과 가이드(2) 및 아우터 레일(3a)과 가이드(4)의 간섭에 더하여, 구성요소간의 간섭부위수를 증가시켜 구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대회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5)에 고정되는 부체부(12)의 상술한 상대회전이 억제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버(13)를 구비함으로써, 부체부(12)를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경우에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100)의 내부기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가 이면방향으로 패인 오목부(1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체부(11)와 부체부(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부재의 배치 및 배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치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도 3(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P1, P2)의 전후방향에 대한 양태를 수직으로 하였다. 그러나, 도 3(c), (d)에 나타낸 실시형태로 하여도 된다. 즉, 중간수납위치에 있어서의 스토퍼(6a)와 전단 격납부(4a) 및 전단 격납부 대응부(5c)의 전후방향에 있어 좌우 1쌍씩 존재하는 맞닿음면(P1)을, 맞닿음면(P1)을 포함하는 표리방향에 수직인 단면인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6a)의 플레이트(6)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밑둥의 R형상을 제외하고, 좌우 1쌍의 맞닿음면(P1)간의 폭방향 중앙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키고, 맞닿음면(P1)의 법선이 전후방향 그리고 폭방향 내측을 지향하는 실시형태로 하여도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간사용위치에 있어서의 스토퍼(3b)와 후단 격납부(4b) 및 후단 격납부 대응부(5d)의 폭방향으로 1쌍씩 존재하는 전후방향 에 있어서의 맞닿음면(P2)이, 맞닿음면(P2)을 포함하는 표리방향에 수직인 단면인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3b)의 아우터 레일(3a)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밑둥의 R형상을 제외하고, 좌우 1쌍의 맞닿음면(P2)간의 폭방향 중앙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키고, 맞닿음면(P2)의 법선이 후방방향 또한 폭방향 외측을 지향하는 실시형태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맞닿음면(P1, P2)에 의하면, 좌우 1쌍의 맞닿음면에 작용하는 힘에 폭방향 성분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특히 표리방향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나 폭방향의 힘이 부체부(12)에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 표리방향을 중심으로 한 부체부(12)의 본체부(11)에 대한 회전이나 폭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국제출원은 2010년 6월 15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36343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특허출원 제2010-136343호의 모든 내용을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발명의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에 의하면, 편리성과 조작성을 양립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본체부에 대해 어느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체부를 갖는 각종 전자기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쌍의 옆가장자리를 갖는 기판과,
상기 1쌍의 옆가장자리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지지부를 갖고,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옆가장자리의 폭방향의 외측에 갖는 중간판과,
상기 1쌍의 외측가장자리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1쌍의 외측 지지부를 갖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수납위치 규정부와,
상기 외측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중간판에 대한 중간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중간사용위치 규정부와,
상기 기판의 앞부분에 있어서 표리방향중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수납위치를 규정하는 수납위치 규정수단과,
상기 기판의 뒷부분에 있어서 상기 표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기 기판에 대한 사용위치를 규정하는 사용위치 규정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로서,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판에 고정되는 부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판 및 상기 중간판의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을 덮어가리는 피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수단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피복수단에 대해 상기 전후방향중 전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중 전방방향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상기 수납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전단부가 상기 중간수납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수납위치 규정부를 격납하는 전단 격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후단부가 상기 중간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사용위치 규정부를 격납하는 후단 격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전단부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위치 규정수단을 수용하는 전단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후단부가 상기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위치 규정수단을 수용하는 후단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20157002835A 2010-06-15 2011-06-13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152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6343 2010-06-15
JP2010136343A JP5693055B2 (ja) 2010-06-15 2010-06-15 電子機器用スライド装置
PCT/JP2011/063502 WO2011158788A1 (ja) 2010-06-15 2011-06-13 電子機器用スライド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71A Division KR20130029411A (ko) 2010-06-15 2011-06-13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30A KR20150020730A (ko) 2015-02-26
KR101526322B1 true KR101526322B1 (ko) 2015-06-11

Family

ID=453481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71A KR20130029411A (ko) 2010-06-15 2011-06-13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20157002835A KR101526322B1 (ko) 2010-06-15 2011-06-13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71A KR20130029411A (ko) 2010-06-15 2011-06-13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62753B2 (ko)
EP (1) EP2584765B1 (ko)
JP (1) JP5693055B2 (ko)
KR (2) KR20130029411A (ko)
CN (1) CN102948133B (ko)
WO (1) WO2011158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97469U (zh) * 2011-07-29 2012-04-1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便携电子设备终端的滑板铰链
US10268245B2 (en) 2017-01-26 2019-04-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053A (ja) * 2001-10-18 2003-04-25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KR20070000599U (ko) * 2007-04-23 2007-05-23 신종철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20090099144A (ko) * 2008-03-17 2009-09-22 (주)엘티엠에이피 슬라이딩 및 틸팅구동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773A (en) * 1983-10-07 1985-10-29 Standard Precision, Inc. Ball bearing slide with removable and lockable inner slide member
JP4193411B2 (ja) 2002-04-26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4350118A (ja) * 2003-05-23 2004-12-09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JP2005142728A (ja) * 2003-11-05 2005-06-02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CN101106876A (zh) * 2006-07-14 2008-0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其制作方法
JP4845029B2 (ja) 2006-10-27 2011-12-28 エイチティー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機構及びチルト機構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並びに関連する方法
JP4842223B2 (ja) * 2007-07-27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モジュール
US8073510B2 (en) * 2007-09-10 2011-12-06 Samkwang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453853B (zh) * 2007-12-07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CN101460033A (zh) * 2007-12-11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CN101605439B (zh) * 2008-06-10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US7809415B2 (en) * 2008-09-08 2010-10-05 Chin-Fu Horng Coupl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US8265721B2 (en) * 2008-12-15 2012-09-11 Nokia Corporation Bia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053A (ja) * 2001-10-18 2003-04-25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KR20070000599U (ko) * 2007-04-23 2007-05-23 신종철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20090099144A (ko) * 2008-03-17 2009-09-22 (주)엘티엠에이피 슬라이딩 및 틸팅구동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48133B (zh) 2015-07-01
KR20130029411A (ko) 2013-03-22
CN102948133A (zh) 2013-02-27
WO2011158788A1 (ja) 2011-12-22
EP2584765A1 (en) 2013-04-24
US20130077902A1 (en) 2013-03-28
JP5693055B2 (ja) 2015-04-01
EP2584765B1 (en) 2017-05-17
EP2584765A4 (en) 2016-06-08
KR20150020730A (ko) 2015-02-26
US8662753B2 (en) 2014-03-04
JP2012004735A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243B2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70049075A1 (en)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06115109A (ja) 携帯情報端末
US7646866B2 (en) Slide module for a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KR101526322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드장치
US7548769B2 (en) Sliding device
KR101419416B1 (ko) 슬라이드 유닛 기구
KR101487470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1487341B1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
JP4573348B2 (ja) 携帯情報端末
WO2008035441A1 (fr) Terminal mobile
KR101428737B1 (ko) 슬라이드 기기
US9886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881795B2 (ja) 携帯端末
WO2015097936A1 (ja) 電子機器
JP2013197958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JP2008187285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10068314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JP2010136259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装置
JP2011061673A (ja) スライド式情報端末
JP2013008905A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