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673B1 - 렌즈 및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및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673B1
KR101525673B1 KR1020130105583A KR20130105583A KR101525673B1 KR 101525673 B1 KR101525673 B1 KR 101525673B1 KR 1020130105583 A KR1020130105583 A KR 1020130105583A KR 20130105583 A KR20130105583 A KR 20130105583A KR 101525673 B1 KR101525673 B1 KR 10152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ngaging portion
coupling portion
cros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563A (ko
Inventor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673B1/ko
Priority to US14/083,442 priority patent/US20150062727A1/en
Priority to CN201310633806.XA priority patent/CN104422974A/zh
Publication of KR2015002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02B9/1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G02B9/2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two of the components having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면; 및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인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및 렌즈 모듈{Lens and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및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축 정렬이 용이하고 내면 반사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렌즈 및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렌즈를 렌즈 배럴에 조립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각각의 렌즈가 렌즈 배럴과 개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하나의 기준 렌즈만 렌즈 배럴과 결합하고 나머지 렌즈들은 상기 기준 렌즈 또는 상기 기준 렌즈와 결합한 차순위 렌즈와 결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전자는 모든 렌즈들이 렌즈 배럴과 접촉하므로 렌즈 및 렌즈 배럴의 정밀 가공이 필요로 한다. 이와 달리 후자는 복수의 렌즈들이 플랜지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스스로 정렬되는 구조이므로, 렌즈들의 조립이 용이하고 높은 렌즈 가공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자는 렌즈 정렬용 경사면에 이미지 결상에 필요 없는 빛이 반사될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저해시키는 플레어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렌즈들을 자가 정렬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렌즈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특허문헌 1 및 2는 복수의 렌즈를 각각 렌즈 배럴에 끼워넣어 정렬하는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JP 2005-513523 A JP 2002-28698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자가정렬을 가능케 하면서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렌즈 및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면; 및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광학부를 둘러싸는 플랜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결합부의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결합부의 경사각과 다를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면; 및 곡면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광학부를 둘러싸는 플랜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및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2렌즈와 마주하는 제1렌즈의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렌즈와 마주하는 제2렌즈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의 타 면에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의 타 면에는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렌즈와 함께 정렬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의 광학부와 상기 제2렌즈의 광학부를 연결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일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타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고 경사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타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고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의 자가정렬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렌즈의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플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결합부의 변형 형태들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와 다른 렌즈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렌즈와 다른 렌즈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결합부의 변형 형태들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와 다른 렌즈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렌즈와 다른 렌즈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100)는 소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100)의 제1면(110) 및 제2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학부(112, 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00)는 제1면(110)에 오목한 형상의 광학부(112)가 형성되고, 제2면(120)에 볼록한 형상의 광학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학부(112, 122)의 형상이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100)의 용도 및 렌즈(10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렌즈(100)에는 플랜지부(114, 12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14, 124)는 광학부(112, 122)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렌즈(100)와 렌즈 또는 렌즈(100)와 다른 부재(예를 들어, 간격유지 부재 또는 차광 부재 또는 렌즈 배럴)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랜지부(114, 124)에는 다른 렌즈 또는 다른 부재(예를 들어, 렌즈 경통)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100)의 제1면(110)에는 제1결합부(118)가 형성되고, 렌즈(100)의 제2면(120)는 제2결합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128)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8)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결합부(1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h)와 소정의 폭(w)을 갖는 형상이 반복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높이(h)를 형성하는 면은 광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고, 폭(w)을 형성하는 면은 광축에 대해 대체로 수직할 수 있다. 아울러, 높이(h)와 폭(w)은 모두 일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결합부(118)는 다른 렌즈의 제2면과 결합하여, 렌즈들의 적층 및 자가정렬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제1결합부(118)는 렌즈(100)의 내부로 침투한 잡광(피사체의 선명한 결상을 방해하는 빛)이 렌즈(100)의 광학부(112, 122)로 반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렌즈(100)는 플레어 현상의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118)의 단면형상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8)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h1, h2, h3)가 일정하나(즉, h1 = h2 = h3 이다), 폭(w1, w2, w3)이 증감하는 계단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제1결합부(118)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1, w2, w3)이 일정하나(즉, w1 = w2 = w3 이다), 높이(h1, h2, h3, h4)가 증감하는 계단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제1결합부(118)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h1, h2, h3, h4)와 폭(w1, w2, w3)이 모두 증감하는 계단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제1결합부(118)는 렌즈(100)와 다른 렌즈를 결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8)는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각(θ1)은 제2결합부(120)의 경사각(θ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경사각(θ1)과 상기 제2경사각(θ2)이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제2결합부(128)는 렌즈(100)의 제2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결합부(128)는 제2면(120)의 플랜지부(124)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8)는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2)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8)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추도형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결합부(128)는 다른 렌즈의 제1면과 결합하여, 렌즈들의 적층 및 자가정렬을 가능케 할 수 있다.
한편, 렌즈(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8)와 제2결합부(128)는 도 1의 렌즈(100)와 다른 경사방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1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렌즈(200, 300)는 전술된 렌즈(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200)의 제1결합부(218)는 렌즈(100)의 제1결합부(118)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계단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렌즈(300)의 제1결합부(318)는 렌즈(100)의 제1결합부(118)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계단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200)의 제2결합부(228)는 렌즈(100)의 제2결합부(128)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렌즈들(100, 200, 300) 간의 결합은 항상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합부(118, 318)와 경사면을 갖는 결합부(128, 228)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렌즈들(100, 200, 300)은 광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렌즈들(100, 200, 300)의 광축은 상호 적층 결합함에 따라 자가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100)와 렌즈(200)는 제1결합부(118)와 제2결합부(228)의 결합에 의해 광축이 정렬될 수 있고, 렌즈(100)와 렌즈(300)는 제2결합부(128)와 제1결합부(318)의 결합에 의해 광축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렌즈(100)와 렌즈(200) 또는 렌즈(100)와 렌즈(300)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는 잡광의 반사는 계단형상의 결합부(118, 218, 318)를 통해 제거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즉, 계단형상의 결합부(118, 218, 318)는 입사되는 잡광을 입사방향으로 대체로 반사시키므로, 잡광이 상면(즉, 이미지 센서의 상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100)는 제2결합부(128)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결합부(128)는 하나 이상의 곡선을 포함하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8)는 소정의 반지름(R)을 갖는 하나의 곡선 또는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2개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2결합부(128, 228)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318, 118)와 항상 선 접촉할 수 있다(도 8 참조).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형상을 갖는 렌즈들(100, 200, 300)은 상호 결합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결합부(128, 228)는 임의의 곡선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결합부(128, 228)의 가공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 설명하는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들은 백 단위(100, 200, 300, 400, 500) 도면부호로 표시하며, 이들 렌즈들은 전술된 렌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0)은 다수의 렌즈(100, 200, 300, 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모듈(1000)은 전술된 렌즈들(100, 200, 300, 400, 500)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모듈(1000)은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1000)은 렌즈 배럴(1200)에 수용된 렌즈들(100, 200, 300, 400, 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압입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0)은 렌즈들(100, 200, 300, 400, 500)의 자가 정렬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렌즈(100) 및 제5렌즈(500)는 렌즈 배럴(1200)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나머지 렌즈들(200, 300, 400)은 렌즈 배럴(1200)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200)는 제1렌즈(100)와 결합하여 위치가 정렬되고, 제3렌즈(300)는 제2렌즈(200)와 결합하여 위치가 정렬되고, 제4렌즈(400)는 제3렌즈(300)와 결합하여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렌즈(500)는 제4렌즈(400)와 결합함과 동시에 렌즈 배럴(1200)과 결합하여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제1렌즈(100) 내지 제5렌즈(50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제1결합부는 제1렌즈(100) 내지 제5렌즈(500)의 제1면(도 10 기준으로 오른쪽을 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부는 제1렌즈(100) 내지 제5렌즈(500)의 제2면(도 10 기준으로 왼쪽을 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51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42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결합부(518)와 제2결합부(428)는 선 접촉에 의해 결합하여 상호 인접한 렌즈들(400, 500)을 결합 및 정렬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계단형상의 제1결합부(518)는 내면반사 또는 플랜지부를 통해 입사되는 잡광을 그대로 반사시켜 잡광이 상측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도 10에서는 렌즈 모듈(1000)이 5매의 렌즈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의 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렌즈 모듈(10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0)은 간격유지 부재(1100)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간격유지 부재(1100)는 제3렌즈(300)의 제2결합부(328)와 제4렌즈의 제1결합부(418)와 각각 대응되는 제3결합부(1118) 및 제4결합부(112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간격유지 부재(1100)는 렌즈들(300, 400)의 자가정렬을 가능케 하면서 상면으로의 잡광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렌즈 (또는 제1렌즈)
110 제1면
112 광학부 114 플랜지부
118 제1결합부
120 제2면
122 광학부 124 플랜지부
128 제2결합부
1000 렌즈 모듈
200 제2렌즈 300 제3렌즈
400 제4렌즈 500 제5렌즈
1100 간격 유지 부재

Claims (17)

  1.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면; 및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광학부를 둘러싸는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결합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결합부의 경사각과 다른 렌즈.
  5. 삭제
  6. 삭제
  7.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면; 및
    곡면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인 렌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광학부를 둘러싸는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렌즈.
  9. 삭제
  10. 삭제
  11.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및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인 렌즈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2렌즈와 마주하는 제1렌즈의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렌즈와 마주하는 제2렌즈의 일 면에 형성되는 렌즈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타 면에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타 면에는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15. 제1렌즈;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렌즈와 함께 정렬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의 광학부와 상기 제2렌즈의 광학부를 연결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일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하고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부의 단면형상은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상인 렌즈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타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4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4결합부와 결합하고 경사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타 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제4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 면에는 상기 제4결합부와 결합하고 계단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KR1020130105583A 2013-09-03 2013-09-03 렌즈 및 렌즈 모듈 KR10152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83A KR101525673B1 (ko) 2013-09-03 2013-09-03 렌즈 및 렌즈 모듈
US14/083,442 US20150062727A1 (en) 2013-09-03 2013-11-18 Lens and lens module
CN201310633806.XA CN104422974A (zh) 2013-09-03 2013-11-29 透镜和透镜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83A KR101525673B1 (ko) 2013-09-03 2013-09-03 렌즈 및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63A KR20150026563A (ko) 2015-03-11
KR101525673B1 true KR101525673B1 (ko) 2015-06-03

Family

ID=525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83A KR101525673B1 (ko) 2013-09-03 2013-09-03 렌즈 및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2727A1 (ko)
KR (1) KR101525673B1 (ko)
CN (1) CN1044229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46A1 (ko) * 2022-07-11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4390A1 (ja) * 2014-11-27 2016-06-02 京セラ株式会社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M514580U (zh) 2015-07-06 2015-12-21 Largan Precision Co Ltd 塑膠鏡筒、光學鏡頭、成像裝置及電子裝置
TWI710790B (zh) * 2016-03-31 2020-11-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一)
TWM533229U (en) 2016-08-26 2016-12-0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path folding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WI639029B (zh) 2017-04-10 2018-10-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含有塑膠透鏡的成像透鏡組、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KR102101937B1 (ko) * 2018-04-27 2020-04-17 주식회사 옵트론텍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TWI703342B (zh) * 2019-03-29 2020-09-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110412711A (zh) * 2019-08-28 2019-11-05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TWI702419B (zh) * 2019-09-25 2020-08-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619A (ja) * 2003-11-17 2004-04-22 Sharp Corp 対物レンズ、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70035043A (ko) * 2004-08-04 2007-03-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렌즈 소자 및 광헤드 장치
US20110096415A1 (en) * 2009-10-22 2011-04-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assembly and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KR101067084B1 (ko) * 2008-12-10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내부에 조리개와 배플을 포함하는 웨이퍼 스케일 렌즈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575B2 (ja) * 2000-06-06 2004-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組立方法
CN102033284A (zh) * 2009-09-28 2011-04-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卡合结构及应用该结构的镜头模组
CN102053325B (zh) * 2009-10-30 2013-07-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CN102445738A (zh) * 2010-10-08 2012-05-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CN202975443U (zh) * 2012-11-19 2013-06-05 东莞市旭业光电科技有限公司 光学镜头组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619A (ja) * 2003-11-17 2004-04-22 Sharp Corp 対物レンズ、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70035043A (ko) * 2004-08-04 2007-03-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렌즈 소자 및 광헤드 장치
KR101067084B1 (ko) * 2008-12-10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내부에 조리개와 배플을 포함하는 웨이퍼 스케일 렌즈와 그 제조방법
US20110096415A1 (en) * 2009-10-22 2011-04-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assembly and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46A1 (ko) * 2022-07-11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63A (ko) 2015-03-11
CN104422974A (zh) 2015-03-18
US20150062727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673B1 (ko) 렌즈 및 렌즈 모듈
US9329355B2 (en) Lens module
KR101444526B1 (ko) 렌즈 모듈
US20090015945A1 (en) Lens unit provided with an engaging structure and a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US9904031B2 (en) Lens module
US20110279913A1 (en) Optical lens and lens unit using the same
US10338338B2 (en) Lens module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JP6353366B2 (ja) 光結合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KR20150092458A (ko) 렌즈 모듈
JP2009069801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US10067320B2 (en) Lens module
US9759885B2 (en) Lens module
JP7036524B2 (ja) 光学レンズ
KR20210027171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US9513410B2 (en) Imaging optical element
US9664851B2 (en) Optical assembly
JP2005309289A (ja) レンズおよび組レンズ
KR102295109B1 (ko) 카메라 모듈
TWI840886B (zh) 透鏡模組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US10162172B2 (en) Optical lens and fixture thereof
US20230221620A1 (en) Optical element having stray light suppression structure
KR20160052479A (ko) 렌즈 모듈
US20170006199A1 (en) Imaging apparatus and proj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