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479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479A
KR20160052479A KR1020160047741A KR20160047741A KR20160052479A KR 20160052479 A KR20160052479 A KR 20160052479A KR 1020160047741 A KR1020160047741 A KR 1020160047741A KR 20160047741 A KR20160047741 A KR 20160047741A KR 20160052479 A KR20160052479 A KR 2016005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ing member
radius
gap hold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2479A/ko
Publication of KR2016005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면서,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에 대해서도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형 카메라는 점차 많은 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렌즈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에 렌즈들을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렌즈들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렌즈 배럴에 의해 렌즈들의 광축이 정렬되는 구조이므로, 렌즈 배럴에 장착되는 렌즈들을 모두 동일한 크기 또는 동일한 가공오차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전술된 구조는 렌즈 배럴에 각각의 렌즈들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렌즈 배럴과 렌즈들 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렌즈 간의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렌즈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내면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렌즈 모듈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렌즈들의 정확한 정렬을 가능케 하면서 플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의 개발도 요청된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KR 2006-081971 A JP 2011-075682 A JP 2002-28698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정렬이 용이하고 플레어 현상의 감소가 가능한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제1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이고, 상기 제3결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제3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 및 상기 제2경사각은 동일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결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제2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이고, 상기 제4결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제4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경사각 및 상기 제4경사각은 동일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제1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3결합부는 제3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반지름 및 상기 제3반지름은 동일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결합부는 제2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4결합부는 제4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반지름 및 상기 제4반지름은 동일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원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최소 지름이 제1크기인 제1구멍과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내주면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최소 지름이 제2크기인 제2구멍과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내주면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크기 및 상기 제2크기는 동일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 및 상기 제2경사각은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수용부가 형성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홈과 결합하는 동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제2렌즈가 상기 렌즈 배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는 압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정렬이 용이하고 플레어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렌즈 모듈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피사체와 가까운 순서를 기준으로 명명된 것임을 밝혀둔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1렌즈 및 제2렌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대응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4렌즈 및 제5렌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렌즈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렌즈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100)의 구성이 5매 렌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4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또는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모듈(100)은 3매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 모듈(100)은 간격 유지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제4렌즈(140)와 제5렌즈(1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 부재(160)의 형성 위치가 제4렌즈(140)와 제5렌즈(150) 사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필요에 따라 제3렌즈(130)와 제4렌즈(140) 사이 또는 그외 다른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간격 유지 부재(160)는 단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복수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 사이 그리고 제4렌즈(140)와 제5렌즈(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4렌즈(140)와 제5렌즈(15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전술된 다수의 렌즈(110, 120, 130, 140, 150) 및 간격 유지 부재(160)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된 렌즈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내부에 렌즈 수용부(210)가 형성된 렌즈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2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 수용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수용부(210)는 복수의 렌즈(110, 120, 130, 140, 150)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수용부(210)는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수용부(210)의 단면은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의 단면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수용부(210)의 최상부(도 1의 광축(C-C) 기준임)는 제1렌즈(110)와 대체로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지며, 렌즈 수용부(210)의 최하부(도 1의 광축(C-C) 기준임)는 제5렌즈(150)와 대체로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수용부(210)의 단면 크기가 렌즈(120, 130, 140)의 단면 크기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수용부(210)의 일 부분은 제2렌즈(120) 내지 제4렌즈(140)의 단면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수용부(210)의 내면(212)과 제2렌즈(120) 사이에는 제1간격(S1)이 형성되고, 렌즈 수용부(210)의 내면(212)과 제3렌즈(130) 사이에는 제2간격(S2)이 형성되고, 렌즈 수용부(210)의 내면(212)과 제4렌즈(140) 사이에는 제3간격(S3)이 형성되고, 렌즈 수용부(210)의 내면(212)과 간격 유지 부재(160) 사이에는 제4간격(S4)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간격(S1, S2, S3, S4)은 모두 같거나 또는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압입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200)에 수용된 렌즈들(110, 120, 130, 140, 1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입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입 부재(220)는 대체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입 부재(220)는 제5렌즈(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압입 부재(220)는 렌즈 배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입 부재(220)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렌즈 배럴(200)의 렌즈 수용부(210)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압입 부재(220)는 접착제 등에 의해 렌즈 배럴(200)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구성에서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간격 유지 부재(160)와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간격 유지 부재(160)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설명한다.
제4렌즈(140)는 간격 유지 부재(16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결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의 일 면에는 광축(C-C)에 대해 제1경사각(θ1)을 갖는 제1원추면(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5렌즈(150)는 간격 유지 부재(16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150)의 일 면에는 광축(C-C)에 대해 제2경사각(θ2)을 갖는 제2원추면(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각(θ1)과 제2경사각(θ2)은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와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3결합부(166) 및 제4결합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의 일 면에는 제1원추면(142)과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각(θ1)을 갖는 제3원추면(166)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간격 유지 부재(160)의 타 면에는 제2원추면(152)과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각(θ2)을 갖는 제4원추면(168)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원추면 형상의 결합부(142, 152, 166, 168)에 의해 간격 유지 부재(160)와 접촉하므로 결합 및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간격 유지 부재(160)는 플레어 현상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에 형성되는 구멍(162)의 내주면(164)은 광축(C-C)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내주면(164)은 제1렌즈(110)로부터 제5렌즈(150)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유효광의 입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렌즈의 내면반사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렌즈 모듈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와 간격 유지 부재(16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원추면(142)의 제1경사각(θ1)은 간격 유지 부재(16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3원추면(166)의 제3경사각(θ3)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5렌즈(15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2원추면(152)의 제2경사각(θ2)은 간격 유지 부재(160)의 타 면에 형성되는 제4원추면(168)의 제4경사각(θ4)과 다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100)은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가 간격 유지 부재(160)와 각각 선 접촉 형태로 결합하므로, 렌즈(140, 150) 및 간격 유지 부재(160)의 제작 공차를 낮출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와 간격 유지 부재(16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의 일 면에는 대체로 반구 형태의 제1홈(146)이 형성되고, 제5렌즈(150)의 일 면에는 대체로 반구 형태의 제2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유지 부재(160)의 일 면에는 상기 제1홈(146)에 끼워지는 대체로 반구 형태의 제1돌기(166)가 형성되고, 타 면에는 상기 제2홈(156)에 끼워지는 대체로 반구 형태의 제2돌기(16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46) 및 제2홈(156)은 제1돌기(166) 및 제2돌기(168)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곡률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146)의 수는 제1돌기(166)의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많을 수 있고, 제2홈(156)의 수는 제2돌기(168)의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많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다수의 돌기 및 홈에 의해 간격 유지 부재(160)와 결합하므로, 렌즈(140, 150)와 간격 유지 부재(16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위치 정렬 신뢰성을 높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간격 유지 부재(16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렌즈의 내면 반사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간격 유지 부재(160)의 내주면(164)은 복수의 경사면(1642, 16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의 제1내주면(1642)은 제1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내주면(1644)은 제2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내주면(1642)과 제2내주면(1644)은 대체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내주면(1642)과 제2내주면(1644)이 반드시 예각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내주면(1642)과 제2내주면(1644)은 둔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간격 유지 부재(16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1간격 유지 부재(170)와 제2간격 유지 부재(18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 부재(160)의 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1간격 유지 부재(170)에는 R1의 최소 지름을 갖는 제1구멍(17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간격 유지 부재(170)에는 제1경사각을 갖는 제1내주면(17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내주면(174)은 제1렌즈(110)로부터 제5렌즈(15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제2간격 유지 부재(180)에는 R2의 최소 지름을 갖는 제2구멍(18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간격 유지 부재(180)에는 제2경사각을 갖는 제2내주면(18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내주면(184)은 제1렌즈(110)로부터 제5렌즈(15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멍(172)과 제2구멍(182)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멍(172)은 제2구멍(18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멍(172)이 제2구멍(182)보다 반드시 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멍(172)이 제2구멍(182)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1내주면(174)과 제2내주면(184)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내주면(174)의 경사각은 제2내주면(184)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제1내주면(174)의 경사각이 제2내주면(184)의 경사각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내주면(174)의 경사각이 제2내주면(184)의 경사각보다 작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100)은 간격 유지 부재(160)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전술된 실시 예에 설명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5렌즈(150)와 렌즈 배럴(20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150)는 다수의 결합 돌기(158)를 포함할 수 있고, 렌즈 배럴(200)은 상기 돌기(158)와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 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200)과 제5렌즈(150) 간의 결합력을 형상시킬 수 있으므로 압입 부재의 사용을 배제시키거나 또는 접착제의 사용량을 경감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결합 돌기(158)가 제5렌즈(15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결합 돌기(158)의 형성 위치는 제5렌즈(15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이 4매 렌즈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제4렌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렌즈 모듈
110 제1렌즈
120 제2렌즈
130 제3렌즈
140 제4렌즈
142 제1결합부 또는 제1원추면
146 제1홈
150 제5렌즈
152 제2결합부 또는 제2원추면
156 제2홈
158 결합 돌기
160 간격 유지 부재
162 구멍
164 내주면
166 제3결합부 또는 제3원추면 또는 제1돌기
168 제4결합부 또는 제4원추면 또는 제2돌기
170 제1간격 유지 부재
172 제1구멍
174 제1내주면
180 제2간격 유지 부재
182 제2구멍
184 제2내주면
200 렌즈 배럴
210 렌즈 수용부
212 (렌즈 수용부의) 측면
214 결합 홈
220 압입 부재

Claims (9)

  1.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1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2결합부는 제2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제1반지름과 다른 크기의 제3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제2반지름과 다른 크기의 제4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최소 지름이 제1크기인 제1구멍과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내주면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최소 지름이 제2크기인 제2구멍과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내주면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각 및 상기 제2경사각은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인 렌즈 모듈.
  5. 렌즈 수용부가 형성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1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2결합부는 제2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고,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제1반지름과 다른 크기의 제3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제2반지름과 다른 크기의 제4반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렌즈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홈과 결합하는 동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렌즈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상기 렌즈 배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는 압입 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1020160047741A 2016-04-19 2016-04-19 렌즈 모듈 KR20160052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41A KR20160052479A (ko) 2016-04-19 2016-04-19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41A KR20160052479A (ko) 2016-04-19 2016-04-19 렌즈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56A Division KR20150092458A (ko) 2014-02-05 2014-02-05 렌즈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76A Division KR20170051407A (ko) 2017-05-02 2017-05-02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479A true KR20160052479A (ko) 2016-05-12

Family

ID=5602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741A KR20160052479A (ko) 2016-04-19 2016-04-19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24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530A (ko) * 2018-07-05 2020-01-1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렌즈 유닛, 렌즈 유닛 가공 공정,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530A (ko) * 2018-07-05 2020-01-1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렌즈 유닛, 렌즈 유닛 가공 공정,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KR20210153754A (ko) * 2018-07-05 2021-12-17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렌즈 유닛, 렌즈 유닛 가공 공정,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2458A (ko) 렌즈 모듈
US9507117B2 (en) Lens module
KR101444526B1 (ko) 렌즈 모듈
US20140218813A1 (en) Lens unit
US7969668B2 (en) Lens arrangement and lens module using same
US20090015945A1 (en) Lens unit provided with an engaging structure and a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US7961411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device with the same
US9128265B2 (en) Lens assembly and opt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60068508A (ko) 렌즈 모듈
US20150062727A1 (en) Lens and lens module
US9759885B2 (en) Lens module
KR20160067687A (ko) 렌즈 모듈
KR20140081362A (ko) 렌즈 모듈
US20050207034A1 (en) Lens barrel
US20170131529A1 (en) Lens module
US8248719B2 (en) Camera module
JP2009139705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7417805B2 (en) Camera device
US10459187B2 (en) Optical assembly including passive optical elements having alignment features
KR20160052479A (ko) 렌즈 모듈
US8351140B2 (en) Lens barrel and lens module
KR20170051407A (ko) 렌즈 모듈
US20150260944A1 (en) Lens Module
JP2012103529A (ja) レンズユニット
US20210048599A1 (en) Lens module and lens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