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38B1 - 전기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538B1
KR101525538B1 KR1020140006058A KR20140006058A KR101525538B1 KR 101525538 B1 KR101525538 B1 KR 101525538B1 KR 1020140006058 A KR1020140006058 A KR 1020140006058A KR 20140006058 A KR20140006058 A KR 20140006058A KR 101525538 B1 KR101525538 B1 KR 10152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rol
control unit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후
김대화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뜸 공정 및 보온 공정의 수행 시에 증기 배출부에 구비된 발열 코일의 발열 동작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뜸 및 보온 품질을 개선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발열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로 제어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뜸 공정 및 보온 공정의 수행 시, 증기 배출부에 구비된 발열 코일의 발열 동작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 조리기는 흔히 전기 밥솥으로 대변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밥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기 조리기라는 명칭에 걸맞게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 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본체와 본체 안에 수용되는 내솥, 본체의 상부를 덮는 본체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내솥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뚜껑은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에서 내솥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은 본체(미도시)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40)과, 뚜껑(40)의 하단부에 내솥의 상부를 덮도록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솥 뚜껑(50), 그리고 탑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 플레이트(60)에는 내솥 내의 증기에 대한 조절을 위해 증기 조절부(70)가 수용홈(62)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증기 조절부(70)는 내솥의 내부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내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게 되는 자동증기배출부(90)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리 동작 중 또는 조리 동작의 완료 후 내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80)(솔레노이드 밸브 장치) 및 내솥과 자동증기배출부(90), 증기 배출부(80)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되, 자동증기배출부(90)와 증기배출부(80)가 장착되는 고정판(72)을 구비한다.
탑 플레이트(60)는 수용홈(62)을 제외한 상측면에 히터(65)가 부착되어 뚜껑(4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솥 뚜껑(50)은 고정부(55)에 의해 탑 플레이트(60)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판(72)에는 자동증기배출부(90)와 증기배출부(80)가 장착되고, 수용홈(62)에는 고정판(72)이 결합되므로 히터(65)가 부착될 수가 없어 증기 조절부(70)와, 수용홈(62) 및 수용홈(62)의 저면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연통홈(52)은 히터(65)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전기 조리기의 뜸 및 보온 시에, 히터가 구비되지 못한 면적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부와 연통홈(52)의 배면부(52a) 및 고정부(55)에 물이 맺히게 되고, 이렇게 맺힌 물이 내부의 밥에 떨어지게 되어 밥이 하얗게 색이 변하며, 물기를 머금은 상태로 되어 뜸 및 보온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백화 현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백화 현상은, 도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조리기뿐만 아니라, 내솥 뚜껑이 분리되지 않는 전기 조리기에서도 야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75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7579호
본 발명은 뜸 동작 및 보온 동작 중, 증기 배출부 내에 구비된 발열 코일의 발열 동작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발열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로 제어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조리기의 동작을 수행하고,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밸브 제어부로 구성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뜸 공정 및 보온 공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발열 코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증기 배출부는 전원에 연결되는 구동 코일을 포함하는 밸브 동작 경로와, 전원에 연결되는 발열 코일을 포함하는 발열 동작 경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밸브 동작 경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제1연결선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발열 동작 경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제2연결선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동작 경로와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열 동작 경로와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전압 차단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제어 동작 신호들로 구성된 제어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부의 열림 및 닫힘 동작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동작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에 각각 인가되는 제1 내지 제3 제어 동작 신호들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동작 경로와 발열 동작 경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뜸 동작 또는 보온 동작의 수행 중, 증기 배출부에 구비된 발열 코일의 발열 동작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백화 현상을 방지하고, 조리물의 뜸 또는 보온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조절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 간의 동작 전환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내부 소자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가열부에 의한 가열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리물을 원하는 보온 온도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에서 내솥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주 제어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밸브 제어부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주 제어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은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분포 그래프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전기 조리기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메뉴나 현재 진행 중인 조리 동작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내솥의 상측, 측면, 하측 등에서 열을 가하는 가열부(130)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조리 동작의 선택 등을 입력 받는 입력부(140)와,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50)와, 주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밸브 구동부(170)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160)와, 밸브 제어부(160)으로부터 제어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증기 배출부(180)에 전압을 인가하는 밸브 구동부(170)와, 밸브 구동부(170)로부터의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증기 배출부(18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동작과, 조리 동작 및 보온 동작 등을 수행하며, 증기 배출부(180)로의 전압의 인가를 제어하여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과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주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110)와, 표시부(120)와, 가열부(130)와, 입력부(140) 및 온도 감지부(150)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밸브 제어부(160)는 연결선(G)를 통해 주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한 후,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하여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밸브의 열림 동작을 위한 제1제어 신호, 밸브의 닫힘 동작을 위한 제2 제어 신호, 밸브의 열림과 발열 동작을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 동작 신호는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밸브의 열림 동작을 위한 제1제어 동작 신호,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밸브의 닫힘 동작을 위한 제2 제어 동작 신호, 제3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밸브의 열림과 발열 동작을 위한 제3 제어 동작 신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제어 신호와, 제1 및 제2 제어 동작 신호는 각각 밸브의 닫힘 및 열림 동작을 위한 것이고, 제3 제어 신호와 제3 제어 동작 신호는 밸브의 닫힘과 발열 동작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밸브 구동부(170)는 밸브 제어부(160)로부터의 제어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압을 연결선(J, K, L)을 통해 증기 배출부(180)에 전달한다. 증기 배출부(180)는 전압을 인가 받아 플렌저를 구동하여 증기의 배출 및 차단(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과, 구동 코일의 외부면이나 하부에 위치하여 전압을 인가 받아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발열 코일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 배출부(180)로 특허등록 제10-1256472호인 발열코일이 구비된 증기배출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 간의 회로적 구성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주 제어부(20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공정을 수행하다가, 메뉴의 선택과 조리의 시작 명령에 의해 조리 공정을 수행하고, 조리 공정 이후에 자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신규로 입력된 보온 명령에 따라 보온 공정을 수행한다. 주 제어부(200)는 대기 공정과, 조리 공정 및 보온 공정 등을 수행하면서, 수행되는 공정에 따라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닫힘 및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제어부(16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상세 회로도이다. 밸브 제어부(160)에는 전원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일단이 전원(VDD)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캐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된다. 주 제어부(200)가 연결선(G)을 통하여 제1 제어 신호(예를 들면, Low 신호), 제2 제어 신호(예를 들면, High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예를 들면, PWM 신호)를 밸브 제어부(160)로 인가하고, 밸브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제어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하여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한다.
밸브 구동부(170)는 컬렉터 단자에 연결선(K)이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에 제1연결선(H)이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컬렉터 단자에 연결선(L)이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에 제2연결선(I)이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한다. 제1트랜지스터(Q1)는 구동 코일(VC)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소자이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발열 코일(HC)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 소자이다. 또한, 전원(VCC)이 연결선(J)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밸브 구동부(170)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구동 코일(VC)과 발열 코일(HC)에서 발생되는 역기전압을 제거하는 전압 차단부(D1)를 구비한다. 전압 차단부(D1)는 캐소드 단자가 전원(VCC)과 연결선(J) 사이의 접점(Dj)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단자(접점(Dk))에 연결되어 제1 트랜지스터(Q1)를 보호하는 제1다이오드(D1-1)와, 캐소드 단자가 전원(VCC)과 연결선(J) 사이의 접점(Dj)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접점(Dl))에 연결되어 제2트랜지스터(Q2)를 보호하는 제2다이오드(D1-2)로 구성된다.
증기 배출부(180)는 일단이 연결선(K)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점(Dv)에 연결되는 구동 코일(VC)과, 일단이 연결선(L)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점(Dv)에 연결되는 발열 코일(HC)과, 연결선(J)과 연결되고 구동 코일(VC)의 타단 및 발열 코일(HC)의 타단과 접점(Dv)에서 연결되는 연결선(M)으로 구성된다. 즉, 증기 배출부(180)는 전원(VCC)에 연결된 연결선(J)과 연결선(K) 및 구동 코일(VC)로 이루어지는 밸브 동작 경로와, 전원(VCC)에 연결된 연결선(J)과 연결선(L) 및 발열 코일(HC)로 이루어지는 발열 동작 경로를 포함하고, 밸브 동작 경로와 발열 동작 경로는 연결선(M)을 서로 중첩하여 포함한다.
도 5는 도 3의 주 제어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주 제어부(200)는 현재 대기 동작이 수행 중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대기 동작을 수행 중이면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주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제어부(160)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선(G)을 통해 인가한다.
단계(S15)에서, 주 제어부(200)는 현재 조리 동작이 수행 중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조리 동작을 수행 중이면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주 제어부(200)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증기 배출 동작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만약 증기 배출 동작이 필요하면 단계(S1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주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제어부(160)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선(G)을 통해 인가한다.
단계(S21)에서, 주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제어부(160)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선(G)을 통해 인가한다.
단계(S23)에서, 주 제어부(200)는 현재 보온 공정이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보온 공정을 수행 중이면, 단계(S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 과정을 종료한다.
단계(S25)에서, 주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열림 및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제어부(160)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선(G)을 통해 인가한다.
단계(S27)에서, 주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서 보온 동작이 종료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보온 동작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 과정을 종료한다. 주 제어부(200)는 보온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3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며, 특히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동작과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밸브 제어부의 제어 순서도이다.
단계(S31)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주 제어부(200)로부터 연결선(G)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33)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1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1 제어 신호이면 단계(S3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7)로 진행한다.
단계(S35)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제1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로 인가한다. 제1 제어 동작 신호는 제1연결선(H)을 통하여 인가되는 Low 신호와, 제2 연결선(I)을 통하여 인가되는 Low 신호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는 턴 오프되어, 연결선(J)에 전원(VCC)(예를 들면, 20V)이 인가되고, 연결선(K) 및 (L)는 개방(open) 된다. 따라서, 증기 배출부(180)의 구동 코일(VC)와 발열 코일(HC)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아 밸브의 열림 동작이 수행되고 발열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증기 배출부(180)의 밸브 동작 경로와 발열 동작 경로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기에 모두 비활성화된다.
단계(S37)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2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2 제어 신호이면 단계(S3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한다.
단계(S39)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제2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로 인가한다. 제2 제어 동작 신호는 제1 연결선(H)을 통하여 인가되는 High 신호와, 제2 연결선(I)를 통하여 인가되는 Low 신호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 온되고, 제2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되어, 연결선(J)에 전원(VCC)(예를 들면, 20V)이 인가되고, 연결선(K)에 0V가 인가되고, 연결선(L)은 개방(open)된다. 증기 배출부(180)의 구동 코일(VC)에 전원(VCC)이 인가되어 밸브의 닫힘 동작이 수행되고, 발열 코일(HC)에는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아 발열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증기 배출부(180)의 밸브 동작 경로에 전원(VCC)이 인가되어 활성화되고, 발열 동작 경로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기에 비활성화된다.
단계(S41)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제3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로 인가한다. 제3 제어 동작 신호는 제1연결선(H)을 통하여 인가되는 Low 신호와, 제2연결선(I)을 통하여 인가되는 High 신호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되고, 제2트랜지스터(Q2)는 턴 온되어, 연결선(J)에 전원(VCC)(예를 들면, 20V)이 인가되고, 연결선(K)은 개방(open) 되고, 연결선(L)에 0V가 인가된다. 증기 배출부(180)의 구동 코일(VC)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아 밸브의 열림 동작이 수행되고 발열 코일(HC)에 전원(VCC)이 인가되어 발열 동작이 수행된다. 즉, 증기 배출부(180)의 밸브 동작 경로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기에 비활성화되고, 발열 동작 경로에 전원(VCC)이 인가되기에 활성화된다.
단계(S31), (S33) 및 (S37)에서, 밸브 제어부(160)는 주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제어 신호(Low, High, PWM 신호)를 기준 샘플링 시간(예를 들면, 1ms) 간격으로 기준 샘플링 횟수(예를 들면, 120번)만큼 샘플링하여 제어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120번을 샘플링한다고 가정하면, 120번 샘플링 한 값 중 High값이 90번 이상이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신호(High 신호)로 판단하고, 30번 이하이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신호(Low신호)로 판단하고, 30번과 90번 사이의 값이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3제어 신호(PWM 신호)로 판단한다.
도 7은 도 3의 주 제어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주 제어부(200)가 밸브 제어부(16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로, 주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인가할 필요가 없이, 제1 내지 제3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주 제어부(200)와 밸브 구동부(170)는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하여 연결되며, 연결선(G)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단계(S51)는 도 5의 단계(S11)와 동일하다.
단계(S53)는 도 6의 단계(S35)와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은 같으나, 주 제어부(200)가 제1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하는 점이 상이하다.
단계(S55) 및 (S57)은 도 5의 단계(S15) 및 (S17)와 동일하다.
단계(S59)에서, 도 6의 단계(S35)와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은 같으나, 주 제어부(200)가 제1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하는 점이 상이하다.
단계(S61)에서, 도 6의 단계(S39)와 증기 배출부(180)의 닫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은 같으나, 주 제어부(200)가 제2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하는 점이 상이하다.
단계(S63)은 도 5의 단계(S23)와 동일하다.
단계(S65)는 도 6의 단계(S41)와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동작과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은 같으나, 주 제어부(200)가 제3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연결선(H, I)을 통해 밸브 구동부(170)에 인가하는 점이 상이하다.
단계(S67)는 도 5의 단계(S27)와 동일하다.
상술된 도5 내지 7의 제어 순서도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주 제어부(200)는 대기 공정과 취사 공정 및 보온 공정을 수행하되 각 공정에 따라 증기 배출부(180)의 열림 및 닫힘 공정을 수행하고, 다만 보온 공정에서만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주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 시에 증기 배출부(180)의 닫힘 공정을 수행하면서 발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 이외의 공정에서 예를 들면, 뜸 공정 에서 발열 동작을 수행하여, 내솥 뚜껑 부위에서의 물?힘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부(200)는 뜸 공정 및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전기 조리기가 보온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히터(65)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위치①)과, 히터(65)에 대응하지 않고 증기 조절부(70)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 또는 고정부(55)의 저면(위치②)와, 내솥(20)의 상측 공간(위치③)과, 내솥(20)의 측면(위치④) 및, 내솥의 중간 공간(위치⑤)의 온도가 각각 측정한다.
도 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분포 그래프들이다.
우선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조리기가 보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며, 위치③ 내지 ⑤의 온도는 위치①의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된다. 특히, 이러한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 간의 차이에 의해, 백화 현상이 조리물에 발생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그래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가 히터(65)를 통해 종래 기술과 같은 가열량이 인가되도록 하고, 증기 배출부(160)를 통한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 차이가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 그래프에서의 온도 차이보다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며, 위치③ 내지 ⑤의 온도도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러한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 간의 차이가 감소됨으로써, 백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위치③ 내지 ⑤의 온도 범위는 종래 기술에서의 위치③ 내지 ⑤의 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그래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가 히터(65)를 통하여 종래 기술에서 인가된 가열량보다 적은 가열량이 인가되도록 하고, 증기 배출부(160)를 통한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감소된 가열량으로 인하여,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그래프 상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지만, 위치①의 온도와 위치②의 온도 차이가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 그래프에서의 온도 차이보다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위치③ 내지 ⑤의 온도 범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그래프 상의 온도보다는 낮으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 그래프 상의 온도와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 조리기는 가열부(130) 또는 히터(65)에서의 감소된 가열량으로도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보온 온도를 유지하여, 감소된 가열량만큼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전원부 120: 표시부
130: 가열부 140: 입력부
150: 온도 감지부 160: 밸브 제어부
170: 밸브 구동부 180: 증기 배출부
200: 주 제어부

Claims (9)

  1.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발열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로 제어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조리기의 동작을 수행하고,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밸브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뜸 공정 및 보온 공정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발열 코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3. 삭제
  4.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발열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과 발열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로 제어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 배출부는 전원에 연결되는 구동 코일을 포함하는 밸브 동작 경로와, 전원에 연결되는 발열 코일을 포함하는 발열 동작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밸브 동작 경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제1연결선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발열 동작 경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제2연결선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조리기의 동작을 수행하고,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밸브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동작 경로와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열 동작 경로와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전압 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제어 동작 신호들로 구성된 제어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부의 열림 및 닫힘 동작과,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에 각각 인가되는 제1 내지 제3 제어 동작 신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동작 경로와 발열 동작 경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KR1020140006058A 2014-01-17 2014-01-17 전기 조리기 KR10152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058A KR101525538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058A KR101525538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538B1 true KR101525538B1 (ko) 2015-06-03

Family

ID=5350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058A KR101525538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15A (ko) * 2015-06-24 2017-01-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CN110507176A (zh) * 2018-05-21 2019-11-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上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374A (ja) * 1997-02-14 1998-08-25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炊飯器
KR101256472B1 (ko) * 2012-12-06 2013-04-19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발열코일이 구비된 증기배출밸브
KR101256470B1 (ko) * 2012-12-06 2013-04-19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증기배출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374A (ja) * 1997-02-14 1998-08-25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炊飯器
KR101256472B1 (ko) * 2012-12-06 2013-04-19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발열코일이 구비된 증기배출밸브
KR101256470B1 (ko) * 2012-12-06 2013-04-19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증기배출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15A (ko) * 2015-06-24 2017-01-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KR102369153B1 (ko) 2015-06-24 2022-03-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CN110507176A (zh) * 2018-05-21 2019-11-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上盖
CN110507176B (zh) * 2018-05-21 2021-08-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上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7182A (zh) 一种可低压烹饪的电压力锅
US4488025A (en) Combined high-frequency and thermal heating oven
JP2009028567A (ja) 炊飯器
KR101525538B1 (ko) 전기 조리기
KR101004321B1 (ko) 가열 조리기기의 제어 장치
KR102369153B1 (ko) 전기 조리기
KR20170065150A (ko) 전기 압력 조리기의 취반 제어 방법
KR101525539B1 (ko) 전기 조리기
KR101635048B1 (ko) 조리기기의 구동회로, 조리기기의 구동시스템,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구동방법
JP6341080B2 (ja) 電気炊飯器
US20210259460A1 (en)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kitchen device
KR101597548B1 (ko) 전기 조리기
CN101978216B (zh) 炊具及其控制方法
CN100446704C (zh) 一种压力电饭锅
JP2014168596A (ja) 加熱調理器
JP2650624B2 (ja) 電気炊飯器
JPH07217906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2389578B1 (ko) 전기 압력밥솥
KR100208694B1 (ko) 전자렌지에서의 습도 감지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065863A (ja) 圧力炊飯器
KR100210075B1 (ko) 전자렌지의 히터제어장치
JP2002017567A (ja) 圧力炊飯器
KR200328735Y1 (ko) 습도센서를 이용한 토스터기
JPH1089698A (ja) 高周波加熱装置
JPS5927132A (ja) 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