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32B1 -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 Google Patents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32B1
KR101524932B1 KR1020130113274A KR20130113274A KR101524932B1 KR 101524932 B1 KR101524932 B1 KR 101524932B1 KR 1020130113274 A KR1020130113274 A KR 1020130113274A KR 20130113274 A KR20130113274 A KR 20130113274A KR 101524932 B1 KR101524932 B1 KR 10152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nozzle
washing water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806A (ko
Inventor
조준현
임태규
김원섭
김건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매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to KR102013011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수전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복수의 유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변환밸브, 상기 유로변환밸브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 상기 유로변환밸브 및 상기 노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 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Water Cleaner having cleaning water housing}
본 발명은 온수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수되는 원수에 히터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세척수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일정한 온도 분포를 가능하게 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연속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세척수를 배출하게 하는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국부 및 항문을 세척하는 장치인 온수 세정기에 있어서, 급수 밸브를 통해 급수된 세척수는 온수 세정기 내부의 세척수 저장용기에 담겨 보관된다. 저장된 세척수는 국부 세정을 위한 노즐, 항문 세정을 위한 노즐과 함께 용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세정 대상부위를 세정한 후에는, 노즐 외부에 묻어있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온수 세정기는 저장된 세척수를 이용해 자가 세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노즐의 자가 세정을 하는 세척수로는 온수 세정기의 세척수 저장용기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균일한 온수 온도 유지 구조를 갖는 비데용 온수 탱크를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서, 공개특허 제 10-2009-0060743 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비데의 온수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가 외부 급수 온도에 의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균일한 온수 온도 유지 구조를 갖는 비데용 온수 탱크에 관한 내용을 제시한다. 상기 종래의 문헌 상에서는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온수 탱크 내에 저장된 온수와 급격하게 섞이지 않도록 분산되어 공급되어 균일한 온도로 배출가능하게 하는 방안은 제시하지만, 천천히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는 역할 및 정류 기능을 하는 부가 부품이 반드시 요구되며, 장시간 동안 온수를 공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온수 세정기 중에서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순간 온수 모듈을 이용한 순간 온수 방식이 있는데, 상기 순간 온수 모듈의 경우에는 국부적으로 3개 내지 5 개 정도의 히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온수를 가열할 수 있으나, 고가인 동시에 유량계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 등의 부담요소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수되는 원수에 히터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 세척수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일정한 온도 분포를 가능하게 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연속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세척수를 배출하게 하는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내부저장용기로 입수되는 세척수가 가이드 격벽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저장용기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 및 보온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수전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복수의 유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변환밸브; 상기 유로변환밸브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 모듈; 및 상기 유로변환밸브 및 상기 노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격벽은 그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기 가이드 격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수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입수 노즐의 상단에 배치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 캡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분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모듈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서 상기 유로변환밸브를 통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 항문을 세척하기 위해 분사하는 세정 노즐; 상기 세정 노즐을 사용 후 세척하기 위한 자가 세정 노즐; 및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세척수를 도기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온수 세정기는 입수구에서 출수되는 물이 외벽 혹은 구조물을 따라서 출수구 쪽으로 회전하며 나아가게 되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된 가열 히터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어지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출수구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게 한다.
또한, 회전 방향성을 갖도록 설계된 외벽 혹은 구조물에 의한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동시에 히터를 통해 가열하면서 효율적이고 일정한 온도 분포를 갖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내부저장용기로 입수되는 세척수가 가이드 격벽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저장용기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세척수 저장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세척수 저장부의 하부 케이스 내부 구조를 보이는 절개 사시도, 및
도 6은 세척수 저장부의 하부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온수 세정기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온수 세정기(1000) 구조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세정기(1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세정기(1000)는 수전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저장부(100), 세척수 저장부(100)의 세척수에 대해 전기적인 자극을 통해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살균 모듈(110), 수전구와 세척수 저장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감압급수모듈(200), 세척수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복수의 유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변환밸브(300), 유로변환밸브(300)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 모듈(400), 및 살균 모듈(110), 유로변환밸브(300) 및 노즐 모듈(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세척수는 수전구 및 감압급수모듈(200)을 거쳐 세척수 저장부(100)로 공급된다. 세척수 저장부(100)에 수용되는 세척수는 살균 모듈(110)에 의해 전해 과정을 거쳐 살균 기능을 갖도록 이온화된다. 유로변환밸브(300)는 항문 및 국부 세정을 위해 세척수를 노즐 모듈(400)로 공급하게 한다.
노즐 모듈(400)은 세척수 저장부(100)에서 유로변환밸브(300)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 항문을 세척하기 위해 분사하는 세정 노즐(401), 세정 노즐(401)을 사용 후 세척하기 위한 자가 세정 노즐(410), 및 세척수 저장부(100)의 세척수를 도기(10)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42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100)는 하부 케이스(101), 상기 하부 케이스(101)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클램프와 같은 결속 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02), 하부 케이스(101) 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120), 히터(12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 격벽(130), 하부 케이스(101)의 하면에 연통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수 노즐(150), 및 입수 노즐(150)에서 하부 케이스(101)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분산을 방지하도록 하부 케이스(101) 내에 배치되는 노즐 캡(140)을 포함한다.
세척수 저장부(100)는 그 하부에 입수 노즐(150)이 설치되어 상온의 물(이하, 상온수라 한다)이 공급되며, 히터(120)에 의해 데워진 온수는 상기 입수 노즐(150)에 대향되는 상부 측으로 배출되어 노즐 모듈(4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세척수 저장부(100)의 수위는 상부 일측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며, 온수의 온도는 세척수 저장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히터(120)는 내부에 열선이 배치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양 끝단은 외부의 전력원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히터(120)는 가이드 격벽(130)을 타고 회전하는 세척수의 유로 방향에 놓여 세척수를 히팅하도록 원형의 코일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격벽(130)은 유선형의 구조물로서, 일예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세척수 저장부(100)의 하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수 노즐(150)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격벽(130)의 일단(131)은 타단(133)보다 높이가 낮고, 상기 일단(131)에서 타단(133)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면(135)이 형성된다. 가이드 격벽(130)은 반원 형상을 가짐으로써 세척수 저장부(10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회전할 수 있게 방향성을 갖게 한다.
한편, 세척수 저장부(100)의 내부 형상이 가이드 격벽(13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면, 세척수 저장부(100) 내부에 별도의 가이드 격벽(130)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세척수 저장부(100)의 내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세척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세척수 저장부(100)의 내부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종래에는 상온수가 세척수 저장부(100)의 일측으로부터 급격하게 유입되어 온수 히터에 의해 미처 데워지기 전에 이미 데워진 온수와 입수 유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혼합되어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였던바,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한다.입수 노즐(150)은 수평 유로(151), 수평 유로(151)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 유로(153), 노즐 캡(140)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155)을 포함한다. 경사 유로(153)의 상부에는 노즐 캡(140)이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경사 유로(153)과 노즐 캡(140) 사이에는 완충 공간(154)이 형성된다. 입수 노즐(150)을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는 상기 완충 공간(154)을 지나면서 유동 면적이 점점 작아짐으로 인해서 유동 속도가 점점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입수 노즐(150)의 경사 유로(153)는 히터(120)의 하측에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입수를 가능하게 하며, 히터(120)의 외곽 부분으로 유동 흐름을 만들어 주기 위한 유동가이드 기능을 하는 가이드 격벽(130)과 연계되어 기능한다.
여기에서, 유입공(155)을 통해 하부 케이스(101)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빠른 속도로 공급된다. 즉, 노즐 캡(140)과 입수 노즐(150)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완충 공간(154)과 유입공(155)은 수전구, 감압급수모듈(200) 및 유로변환밸브(300)를 거쳐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수 저장부(100) 내에서 넓게 확산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인 출수속도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살균 모듈(110)은 가이드 격벽(130)을 타고 회전하는 세척수의 유로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세척수 저장부(100)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세척수 저장부(100)의 하단에서 입수 노즐(150)을 통해 유입되는 상온수가 세척수 저장부(100) 내의 온수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격벽(130)을 통한 회전 유동에 의하여 일정한 편차를 유지하며 균일하게 가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저장부(100)과 종래의 세척수 저장부를 시험 데이터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적인 시험 조건으로는 25W/㎠ 의 전력밀도, 7℃의 입수 온도, 600cc 의 유량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행한다.
상기의 시험 조건에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0.8℃의 편차를 보인 반면에, 인용발명의 경우는 1.8℃의 편차를 보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저장부(100)를 적용한 경우에 현저히 편차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수가 세척수 저장부(100)의 상부로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세척수 저장부(100) 내의 온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와 상온수가 순간적인 입수 유동에 의해 급격하게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온수 배출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동기능을 가진 세척수 저장부(100)의 구조는 회전유로구조에 의해 입수되는 원수의 회전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히터(120)와 접촉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발열하면서 출수부로 이동하게 하므로, 발열 효율이 높고 변동이 적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는 세척수 저장부의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출수되는 물이 외벽 혹은 구조물을 따라서 출수구 쪽으로 회전하며 나아가게 되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된 가열 히터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어지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출수구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변기
100 : 세척수 저장부
101 : 하부 케이스
102 : 상부 케이스
110 : 살균 모듈
120 : 히터
130 : 가이드 격벽
140 : 노즐 캡
150 : 입수 노즐
200 : 감압급수모듈
300 : 유로변환밸브
400 : 노즐 모듈
401 : 세정 노즐
410 : 자가 세정 노즐
420 : 분사 노즐
500 : 제어 모듈
1000 : 온수 세정기

Claims (5)

  1. 수전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복수의 유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변환밸브;
    상기 유로변환밸브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 모듈; 및
    상기 유로변환밸브 및 상기 노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의 회전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곡면 구조가 형성되되,
    상기 히터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격벽은 그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가이드 격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수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입수 노즐의 상단에 배치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 캡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모듈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서 상기 유로변환밸브를 통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 항문을 세척하기 위해 분사하는 세정 노즐;
    상기 세정 노즐을 사용 후 세척하기 위한 자가 세정 노즐; 및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세척수를 도기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
KR1020130113274A 2013-09-24 2013-09-24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152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74A KR101524932B1 (ko) 2013-09-24 2013-09-24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74A KR101524932B1 (ko) 2013-09-24 2013-09-24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06A KR20150033806A (ko) 2015-04-02
KR101524932B1 true KR101524932B1 (ko) 2015-06-02

Family

ID=5303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274A KR101524932B1 (ko) 2013-09-24 2013-09-24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7769B (zh) * 2021-11-18 2023-05-16 青岛仟亿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光波电热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73A (ja) * 2000-03-31 2001-10-19 Toto Ltd 温水手段及び局部洗浄装置
JP2002294832A (ja) * 2001-03-30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4204498A (ja) * 2002-12-24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JP2008038433A (ja) * 2006-08-04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浄水タンク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73A (ja) * 2000-03-31 2001-10-19 Toto Ltd 温水手段及び局部洗浄装置
JP2002294832A (ja) * 2001-03-30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4204498A (ja) * 2002-12-24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JP2008038433A (ja) * 2006-08-04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浄水タンク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06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13207U (zh) 一种除垢换热的电热水器
CN102016192B (zh) 用于净身器的流动系统
CN105195481A (zh) 器皿清洗消毒机
CN107326993A (zh) 一种自动清理消毒的马桶
CN106609440A (zh) 一种全自动洗衣机
KR101524932B1 (ko)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2332831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1091076B1 (ko) 비데 세정용 순간 온수장치
KR102359166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105821636B (zh) 一种蒸汽刷
KR20100037897A (ko) 비데 세정용 순간 온수장치
JP201510050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84437B1 (ko) 비데용 스팀 살균 장치
KR200411531Y1 (ko)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CN206852549U (zh) 智能马桶盖及其换向组件
JP5603159B2 (ja) 給水装置
CN106609442A (zh) 具有悬臂式洗涤剂盒的全自动洗衣机
KR101534925B1 (ko) 살균수 분사 노즐 및 이를 갖는 비데
CN220695204U (zh) 家用电器
KR101647661B1 (ko) 다목적 스팀기
CN214974557U (zh) 一种不用手洗食品加工机
CN218635914U (zh) 蒸汽发生器及表面清洁设备
KR20170068930A (ko) 온수유로를 포함하는 비데
CN200994714Y (zh) 一种直热式饮水机的加热机构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