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921B1 -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921B1
KR101523921B1 KR1020130121192A KR20130121192A KR101523921B1 KR 101523921 B1 KR101523921 B1 KR 101523921B1 KR 1020130121192 A KR1020130121192 A KR 1020130121192A KR 20130121192 A KR20130121192 A KR 20130121192A KR 101523921 B1 KR101523921 B1 KR 10152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rner
welding
base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83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23K31/025Connecting cutting edges or the like to tools; Attaching reinforcements to workpieces, e.g. wear-resisting zones to 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23K5/24Arrangements for supporting tor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두 부재가 만나서 형성되는 코너부를 용접하기 위한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바닥부와 측벽부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부에는 상기 각 부재에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가 마련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접토치가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와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홀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JIG FOR WELDING USING IN CORNER OF STRUCTURE}
본 발명은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베이스유닛을 만들어 해당 베이스유닛에 용접토치가 장착된 작동유닛을 결합하면 그 용접토치의 높낮이가 자중에 의해 조절되면서 코너부를 안정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 과정 중에서 용접 공정은 건조 공정의 약 60%를 점유하는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며, 선박 생산은 여러 형상의 선체블록들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블록들을 도크에서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중, 대형 선박 1척을 건조하는데 대략 300 ~ 400개의 선체블록들이 만들어지며, 선체 블록 내부에는 용접셀이 약 200개 정도 존재하므로 1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수평-수직 교차부들을 용접해야 한다.
종래에는 선체 블록 구조물의 수평부재(평판)와 수직부재(입판)를 서로 맞대고 그 코너부를 용접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접토치를 일일이 옮기면서 용접하였다.
코너부를 수동으로 용접하는 것은 용접토치가 코너부의 곡면을 따라가면서 일정한 거리와 속도로 용접해야 하는바, 코너부를 수동 용접하는 것은 용접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하며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용접품질에 편차가 종종 발생하므로 항상 고품질의 용접 결과를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박판 레이저 용접에서는 작업자가 용접선을 따라 수동으로 정확하게 용접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10-60402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물의 코너부를 용접함에 있어 쉽고 간편하면서도 항상 우수한 용접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너부의 각도가 다양하더라도 코너부의 각도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각도를 갖는 베이스유닛을 만들고 그 중에서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하나의 베이스유닛을 선택해 용접토치가 장착된 작동유닛을 결합함으로써 용접이 어려운 코너부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두 부재가 만나서 형성되는 코너부를 용접하기 위한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바닥부와 측벽부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부에는 상기 각 부재에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가 마련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접토치가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와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홀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의 배치 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작동유닛이 끼워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도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각 부재에 진공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이동체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에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의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베이스유닛을 선택해 용접토치가 장착된 작동유닛과 결합하여 용접이 어렵고 불편한 코너부를 우수한 용접 품질로 쉽고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너부의 각도에 제한받지 않고 용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토치가 코너부의 표면을 따라 가면서 용접할 때 용접토치의 자중에 의해서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므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베이스유닛의 정면도,
도4는 도2의 평면도,
도5는 도2의 측면도,
도6은 도5의 상태에서 홀더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종 베이스유닛을 사용한 작용 상태도,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종 베이스유닛을 사용한 작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베이스유닛의 정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는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두 부재(11,12)(예컨대, 구조물의 수평부재(11) 및 수직부재(12))가 만나서 형성되는 코너부(13)를 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유닛(100)과 작동유닛(2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0)은 용접토치(300)가 장착된 작동유닛(200)을 구조물의 코너부(13)에 고정함과 동시에 코너부(13)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으로서, 어떤 소정의 각도를 갖는 구조물의 코너부(13)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그 코너부(13)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이루어진 베이스유닛(100)에 작동유닛(200)을 결합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즉, 베이스유닛(100)은 코너부(13)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바닥부(111,121)와 측벽부(112,122)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부(111,121)와 측벽부(112,122) 각각에는 코너부(13)를 형성하는 각 부재(11,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부착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0)의 바닥부(111,121)는 코너부(13)를 형성하는 어느 한 부재(예컨대, 수평부재(11))의 표면에 부착부(101)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유닛(100)의 측벽부(112,122)는 코너부(13)를 형성하는 다른 한 부재(예컨대, 수직부재(12))의 표면에 또 다른 부착부(101)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유닛(100)은 1개가 마련되어도 무방하지만 코너부(13)마다 그 각도(즉, 두 부재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바닥부(111,121)와 측벽부(112,122)의 배치 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베이스유닛(100)의 배치각도가 각각 90도와 135도를 이루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베이스유닛(100)의 배치 각도가 반드시 여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수정 변경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유닛(100)의 배치각도는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을 지득한다면 누구든지 구조물의 코너부(13) 각도에 대응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인바, 베이스유닛(100)의 배치 각도를 본 실시예와 다르게 변경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베이스유닛(100)에는 용접토치(300)가 장착된 작동유닛(2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를 갖는 수용홈(102)이 형성될 수 있는바, 이 수용홈(102)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수용홈(102)에 작동유닛(200)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02)에 끼워진 작동유닛(200)이 수용홈(10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102)의 일측에는 힌지 회동되는 록킹도어부(103)가 수용홈(102)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록킹도어부(103)는 베이스유닛(100)의 수용홈(102)에 삽입된 작동유닛(200)이 수용홈(102)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힌지 회동되어 수용홈(102)의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작동유닛(200)이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유닛(100)이 서로 다른 코너부(13) 각도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2개 마련된 것으로 제시되었는바, 하나는 바닥부(111)와 측벽부(112)의 배치가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바닥부(121)와 측벽부(122)의 배치가 135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유닛(100)의 어느 특정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3의 (a)에 도시된 90도의 배치각도를 갖는 제1종 베이스유닛(110)의 바닥부(111)와 양 측벽부(112)에는 각각 코너부(13)를 이루는 부재(11,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부착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1)와 측벽부(112)는 9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부(13)를 이루는 두 부재(11,12)의 배치각도가 대략 90도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바닥부(111)와 측벽부(112)에 각각 마련된 부착부(101)가 각 부재(11,12)에 독립적으로 부착되어 제1종 베이스유닛(110)이 두 부재(11,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시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고품질의 용접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된 135도의 배치각도를 갖는 제2종 베이스유닛(120)에서 바닥부(121)와 측벽부(122)는 135의 각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코너부(13)를 이루는 두 부재(11,12)의 배치각도가 대략 135도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적용하기 편리하다.
135도의 배치각도를 갖는 제2종 베이스유닛(120)에서 바닥부(121)는 부착부(101)를 매개로 구조물의 수평부재(11)에 부착될 수 있고, 측벽부(122)는 상기 수평부재(11)와 연결된 수직부재(12)(여기서 수직부재의 의미는 절대적인 개념을 따져서 반드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부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부재에 대해 경사방향을 포함하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부재로 이해하는 것이 좋은바, 용어 선정의 편의상 단순히 수직부재로 통칭한다)에 또 다른 부착부(101)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유닛(100)의 측벽부(122)는 구조물의 수직부재(12)가 베이스유닛(100)의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모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유닛(100)의 양측에 형성되고, 그 두 측벽부(122)에 모두 부착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101)는 베이스유닛(100)이 구조물의 코너부(1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동없이 정밀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성으로서, 바닥부(111,121) 및 측벽부(112,122)에 각각 형성된 부착부(101)는 해당 부재에 진공을 통해 각각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흡착패드는 각 부재의 표면에 가압하여 붙이면 흡착되는 빨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흡착패드와 연통하는 진공니플(미도시)이 베이스유닛(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현되는바, 이 진공니플에 진공펌프와 같은 진공압 발생장치(미도시)를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유닛(100)이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코너부(13)에 고정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부착부(101)는 진공흡착패드 이외에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석장치(미도시)를 통해 각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상기 부착부(101)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는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작동유닛(200)은 일측에 용접토치(300)가 장착되며 베이스유닛(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작동유닛(200)은 홀더부(210)와 지지부(220)와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210)는 용접토치(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용접토치(300)의 착탈을 위해 홀더부(210)에는 홀더부(21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의 클램프(211)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211)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20)는 홀더부(210)와의 관계에서 높이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220)와 홀더부(210) 사이에는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홀더부(210)는 별도의 이동체(225)를 매개로 지지부(220)에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체(225)와 지지부(220)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레일(220a)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가이드레일(220a)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홈(225a)이 마련될 수 있다.
홀더부(210)가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는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도2의 평면도이고, 도5는 도2의 측면도이며, 도6은 도5의 상태에서 홀더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220)에 가이드레일(220a)이 마련되고, 지지부(220)와 홀더부(210)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체(225)에 가이드홈(225a)이 마련되어 이동체(225)의 가이드홈(225a)이 가이드레일(220a)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홀더부(210)도 도5 및 도6에서 비교되는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홀더부(210)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면 홀더부(210)에 장착된 용접토치(300)가 용접을 수행할 때 회전되면서 코너부(13) 쪽으로 진입해도 용접토치(300)의 끝단이 부재의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부재 표면을 따라가면서 용접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10)에 장착된 용접토치(300)는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바, 용접토치(300)가 회전하면서 코너부(13)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7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230)는 지지부(220)에 결합되어 지지부(220) 및 홀더부(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구동부(230)는 회전축을 매개로 지지부(22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230)의 회전속도는 용접속도와 연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용접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30)가 지지부(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부(220)에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체(225)가 회전될 수 있고, 이동체(225)의 회전에 의하여 홀더부(210)가 회전되면서 홀더부(210)에 장착된 용접토치(300)도 회전될 수 있다.
만약, 이때 용접토치(300)가 장착된 홀더부(210)가 이동체(225)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어느 특정 높이에서 고정된다면 용접토치(300)가 코너부(13) 근처에 도달해서도 용접토치(300)는 용접토치(300)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진원 궤적(c)을 따라서만 회동하게 되는바, 이렇게 되면 코너부(13) 안쪽은 용접토치(300)의 끝단(용접팁)이 닿지 않아 용접이 불가능하게 된다.(도7 참조)
따라서, 코너부(13) 안쪽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원 궤적(c)보다 소정의 스트로크(S)만큼 용접토치(300)의 끝단이 부재의 표면 쪽으로 더 이동되어야 하는바, 이와 같이 용접토치(300)가 부재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부재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코너부(13) 안쪽까지 용접하기 위해서는 홀더부(210)가 이동체(225)를 매개로 하방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홀더부(21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은 용접토치(300)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는바, 이하, 도7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종 베이스유닛을 사용한 작용 상태도이고,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종 베이스유닛(120)을 사용한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13)가 형성된 두 부재(11,12)의 위상각이 대략 90도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90도의 배치각도를 갖는 제1종 베이스유닛(110)을 선택해 작동유닛(200)과 결합한 후 코너부(13)에 설치한다.
코너부(13)에 설치된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용접토치(300)의 끝단은 예컨대 수평부재(11)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토치(300)는 용접 작업시 회전되면서 그 자중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코너부(13)를 용접하는바, 용접 시작점은 용접토치(300)가 수평부재(11)와 수직을 이루는 지점(편의상 이 지점을 0도로 설정한다)이 될 수 있으며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접토치(300)가 수직부재와 수직을 이루는 지점(편의상 이 지점을 +90도로 설정한다.)에서 용접이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토치(300)가 부재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좀 더 부드럽고 원할하게 이동하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접 시작점이 0도보다는 조금 큰 예컨대, +1 ~ +10도 구간이 되는 것이 좋으며, 용접 종료점은 +90도 보다 조금 작은 예컨대, +80 ~ +89도 구간이 되는 것이 좋다.
도7은 예시적으로 용접 시작점이 +10도인 것을 나타낸 도면인바, 도7의 지점에서 용접을 시작하면 용접토치(300)가 코너부(13) 안쪽 즉, 도8에 도시된 지점까지 용접토치(300)의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되고, 도8의 지점을 지나게 되면 용접토치(300)는 다시 서서히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부재 표면을 따라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용접토치(300)의 끝단이 부재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은 용접토치(300)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용접 작업은 용접토치(300)의 수직방향 벡터가 작용하는 지점 즉, 용접토치(300)가 수직부재와 수직을 이루는 +90도 지점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13)가 형성된 두 부재의 위상각이 대략 135도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135도의 배치각도를 갖는 제2종 베이스유닛(120)을 선택해 작동유닛(200)을 결합한 후 코너부(13)에 설치한다.
도10 내지 도12에 따른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제1종 베이스유닛(110)을 사용할 때와 대부분 비슷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용접토치(300)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너부(13) 안쪽에 도달할 때까지의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만, 두 부재가 135도의 위상각을 갖는 경우에는 도11의 지점을 통과한 후에도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토치(300)가 수직부재(12) 표면을 따라 가면서 용접을 수행해야 하므로 용접토치(300)의 하방향 슬라이딩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용접토치(300)에는 수직방향 벡터(힘)가 작용하므로 홀더부(210)는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90지점(용접토치(300)가 수평 배치되는 지점)전에 용접이 종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1 : (수평)부재 12 : (수직)부재
13 : 코너부 100 : 베이스유닛
101 : 부착부 102 : 수용홈
103 : 록킹도어부 110 : 제1종 베이스유닛
120 : 제2종 베이스유닛 111, 121 : 바닥부
112, 122 : 측벽부 200 : 작동유닛
210 : 홀더부 220 : 지지부
220a : 가이드레일 225 : 이동체
225a : 가이드홈 230 : 구동부
300 : 용접토치

Claims (6)

  1. 두 부재가 만나서 형성되는 코너부를 용접하기 위한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코너부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바닥부와 측벽부의 배치가 다양한 각도를 이루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부에는 상기 각 부재에 고정 가능한 부착부가 마련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용접토치가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이동체를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별도의 동력 없이 상기 용접토치가 자중에 의해 상기 코너부의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홀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작동유닛이 끼워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도어부가 마련된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각 부재에 진공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는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홈이 마련된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인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KR1020130121192A 2013-10-11 2013-10-11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KR10152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92A KR101523921B1 (ko) 2013-10-11 2013-10-11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92A KR101523921B1 (ko) 2013-10-11 2013-10-11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83A KR20150042483A (ko) 2015-04-21
KR101523921B1 true KR101523921B1 (ko) 2015-05-29

Family

ID=5303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192A KR101523921B1 (ko) 2013-10-11 2013-10-11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9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234A (ko) * 2004-02-26 2006-04-21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모토하이테크 용접장치 및 방법
KR20100129613A (ko) * 2009-06-01 2010-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비용접구간 최소화 기구를 구비한 용접 캐리지
KR20120003388U (ko) * 2010-11-08 2012-05-16 (주)로멕스테크놀로지 멀티패스 자동용접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234A (ko) * 2004-02-26 2006-04-21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모토하이테크 용접장치 및 방법
KR20100129613A (ko) * 2009-06-01 2010-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비용접구간 최소화 기구를 구비한 용접 캐리지
KR20120003388U (ko) * 2010-11-08 2012-05-16 (주)로멕스테크놀로지 멀티패스 자동용접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83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4289B (zh) 汽车发动机左右护板安装板之焊接夹具
KR20150035021A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N104476047B (zh) 焊接机器人
KR101379441B1 (ko) 회전형 용접장치
KR100827194B1 (ko) 자동 용접 캐리지
JP6967586B2 (ja) 弓形工作物の摩擦撹拌接合のための弓形ブーム
KR101523921B1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KR200456283Y1 (ko)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US8056889B2 (en) Positioning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compressor impellers
CN103433651B (zh) 一种自动电焊机的焊枪调校装置
CN108942070B (zh) 焊缝位置调整工装及具有该工装的筒体环缝焊转动装置
CN110102949A (zh) 一种焊接台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CN109277711A (zh) 油水分离器焊接设备
CN205352668U (zh) 汽车后视镜旋转试验系统
KR200347522Y1 (ko) 용접용 캐리지
KR20160022681A (ko)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JPH09327794A (ja) 溶接用トーチ走行装置におけるレールの角度調整装置
KR101291359B1 (ko) 선박의 용접 캐리지
KR101484892B1 (ko) 용접용 오토 캐리지
CN220906351U (zh) 齿轮箱柔性翻转设备
CN209439799U (zh) 用于机床的夹紧装置
CN213196299U (zh) 一种多车型柔性焊装夹具
KR20140030080A (ko) 항타기
CN220612592U (zh) 一种电感引脚的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