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225B1 -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225B1
KR101523225B1 KR1020140042480A KR20140042480A KR101523225B1 KR 101523225 B1 KR101523225 B1 KR 101523225B1 KR 1020140042480 A KR1020140042480 A KR 1020140042480A KR 20140042480 A KR20140042480 A KR 20140042480A KR 101523225 B1 KR101523225 B1 KR 10152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small
slab
drying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은 지름 18cm이하의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하고,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대경목의 4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상기 소경각재와 일치되는 대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와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를 포함하여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 이상으로 접합하되,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 단계 후 4개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Multi-glued reinforced column member having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본 발명은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산 간벌재인 소경목을 활용하여 목조 건축물의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압축강도를 향상시킨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0년 산림청 통계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산림면적은 국토면적의 약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의 임목축적량은 약 8억CBM으로 평균ha당 임목 축적량은 약 125CBM이다. 또한, 지역적으로 보면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약 전체의 40%이상의 산림면적과 임목축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산림자원에 대한 이용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 250만CBM, 2010년 370만CBM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목재의 이용도는 매우 낮아 2010년 임목축적량 대비 이용량은 1%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산재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그 동안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포함하여 많은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은 주로 부가가치가 낮은 용도로 개발되어 왔으며, 벌목되는 국산재의 가격 즉, 원자재의 비용부담보다는 부대적인 운반비와 함수 및 가공수율로스 등으로 인한 국산재의 수입재에 대한 비교경쟁력 및 효율성이 항상 공론화된 문제점으로 제시되어 왔다.
국산재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간벌재의 경우 밀집된 삼림의 특성과 비교적 수령이 짧기 때문에 나무의 직경이 가늘어 가구재 및 건축재료 등의 고부가가치 재료로서 원목상태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축사깔개용 톱밥이나 펄프의 용재 및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의 원재료로 이용되거나 심지어는 간벌 후 그냥 산지에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간벌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일본이나 중국 및 여러 해외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건축물의 골조로 사용되는 구조집성재 및 가구 및 실내인테리어 재료로서 사용되는 조작용 집성재로 제조하는 것이 높은 부가가치를 실현하는데 기여한다 할 수 있다.
집성재는 원목을 일정한 규격의 건조각재로 제작하여 길이 및 폭방향 등으로 접착제로 접합시켜 만드는 목질재료로서 목조건축물의 골조로 사용되는 구조집성재로서 소경재인 간벌재를 각재로 가공한 다음 가로로 다중 접합한 기둥부재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경재인 간벌재를 이용한 다중접합 기둥부재는 압축강도가 비교적 낮고, 또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큰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큰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압축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은 지름 18cm이하의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하고,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설비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대경목의 4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상기 소경각재와 일치되는 대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와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를 포함하여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 이상으로 접합하되,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 단계 후 4개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경각재의 건조단계는 96℃에서 12시간 동안 증습처리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120℃ 및 습구온도 90℃에서 36시간 동안 고온건조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100℃ 및 습구온도 70℃에서 24시간 동안 중온건조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80℃ 및 습구온도 60℃에서 24시간 동안 저온건조하는 단계와, 상온에서 3일 동안 양생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 단계에서 2개의 대경각재를 대각선 모서리에 배치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은 지름 18cm이하의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하고,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설비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를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으로 접합하되,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대경목의 4면을 제재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상기 이중 접합된 소경각재의 각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대경판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이중으로 접합된 소경각재의 4개의 외측면을 덮도록 소경각재의 각 외측면에 상기 판재형상의 대경판재를 각각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합 단계 후 대경판재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벌재인 소경목을 활용하고 압축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큰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압축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간벌재인 소경목을 사용하여 목조건축물의 골조로 활용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재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경각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고,
도4 내지 6은 압축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경각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은 간벌재인 소경목을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제재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10)를 제조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준비된 대경목을 한면씩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제재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대경각재(20)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10)와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20)를 포함하여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 이상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접합 단계 후 4개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소경각재(10)의 제조
먼저,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한다. 간벌재로서 소경목은 일반적으로 지름 18cm이하의 나무로, 본 발명에서는 지름 120mm~140mm 정도의 간벌 소경목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경목은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전나무 등의 수종을 포함한다.
그 다음, 준비된 간벌 소경목을 도1에서와 같이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단면치수 95mm x 95mm 인 다수개의 소경각재(10)를 제조한다. 여기서 원목을 90도씩 회전시키면서 1면씩 차례대로 제재하는 경우에 소경재는 미성숙재인 유령목의 양이 많고 여러 가지 생장 응력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재과정 중에 비틀림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낙엽송의 경우에는 섬유경사가 크고 나선목리를 갖는 경우가 많아서 비틀림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다. 또한, 간벌재의 경우 1면에 1회 제재를 하고 다른 면으로 돌려서 제재할 경우 생산성도 매우 낮게 된다.
따라서 제재 과정 중에 비틀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마주보는 양면을 동시에 제재하게 된다. 또한, 소경목의 수심은 밀도가 높아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가장자리보다 우수하여 수심을 중심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소경각재(10)는 별도의 건조설비를 이용하여 목표 함수율 12%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소경각재(10)의 단면치수는 80mm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건조목재의 두께(50mm)보다 두꺼워 일반 목재의 건조과정과 다른 건조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발명에서는 건조결함은 적게 생기면서 가장 적은 에너지로 가장 빨리 건조할 수 있는 건조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소경각재의 건조에 적용된 건조과정은 1단계 : 96℃에서 12시간 동안 증습처리(steaming); 2단계: 건구온도 120℃ 및 습구온도 90℃에서 36시간 동안 고온건조; 3단계: 건구온도 100℃ 및 습구온도 70℃에서 24시간 동안 중온건조; 4단계: 건구온도 80℃ 및 습구온도 60℃에서 24시간 동안 저온건조; 5단계: 상온에서 3일 동안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경각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96℃에서 12시간 동안 증습처리(steaming, 증기분사)한 후 소정의 건구/습구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고온, 중온, 저온건조과정을 거쳐 건조함으로써 표면 할열과 뒤틀림 등의 건조결함을 최소화하였고 적은 에너지로 가장 빨리 건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건조과정을 거쳐 소경각재(10)를 목표 함수율 12%로 건조한다.
그 다음, 이와 같은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면 약간의 수축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된 소경각재(10)를 대패 마감하여 단면치수 80mm x 80mm 인 정사각형의 소경각재(10)를 생산한다.
2)대경각재(20)의 제조
그 다음, 대경목을 준비하여 대경각재(20)를 제조한다. 대경목은 일반적으로 지름 30cm이상의 원목을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소나무, 낙엽송, 미송 등의 대경목이 사용된다.
이러한 대경목을 한면씩 90도 회전하면서 4면 제재하여 단면치수 95mm x 95mm 인 대경각재(20)를 제조한다. 그 다음, 소경각재(10)와 동일한 건조과정을 거쳐 목표 함수율 12%로 건조한 후 건조시 발생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소경각재(10)와 동일하게 단면치수 80mm x 80mm 인 대경각재(20)를 생산한다.
3) 소경각재(10) 및 대경각재(20)의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소경각재(10) 및 대경각재(20)를 이용하여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를 제조하는데, 단면상에서 다수의 소경각재(10)와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20)를 포함하여 가로, 세로 각각 2중 이상 접합하여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를 제조한다.
도2a 내지 도2d는 대경각재(20)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노란색은 80mm x 80mm 단면의 소경각재(10)를 나타내고 갈색(짙은 색)은 대경목로부터 생산된 80mm x 80mm 단면의 대경각재(20)를 나타낸다. 도2a는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에서 모서리에 하나의 대경각재(20)를 배치 접합한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고, 도2b는 대각선 모서리에 두 개의 대경각재(20)를 배치 접합한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2c는 소경각재(10)를 포함하여 3중 배치하고, 대각선 모서리에 2개의 대경각재(20)를 배치, 접합한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고, 도2d는 4개의 모서리에 4개의 대경각재(20)를 각각 배치, 접합한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20)와 다수의 소경각재(10)를 접합하고, 접합시에는 소경각재(10) 및 대경각재(20)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합시킨다.
이와 같이 소경각재(10) 및 대경각재(20)를 상호 접합시킨 후 그 표면을 사포질 등으로 샌딩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를 제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기둥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은 지름 18cm이하의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하고,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10)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10)를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으로 접합하되,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한면씩 90도 회전시켜 양면을 제재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이중 접합된 소경각재(10)의 각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대경판재(3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이중으로 접합된 소경각재(10)의 4개의 외측면을 덮도록 접합된 소경각재(10)의 외측면에 상기 판재형상의 대경판재(30)를 각각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합 단계 후 대경판재(30)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준비된 소경목을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단면치수 95mm x 95mm 인 다수개의 소경각재(10)를 제조하고 최종 함수율 12%까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건조과정을 거쳐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소경각재(10)를 대패 마감하여 단면치수 80mm x 80mm 인 정사각형의 소경각재(10)를 생산한다.
그 다음, 다수의 소경각재(10)를 접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으로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소경각재(10)를 접합한다.
그리고, 대경목을 준비하고 준비된 대경목을 한면씩 90도 회전하면서 제재한 다음, 상기 건조과정을 거쳐 목표 함수율 12%로 건조한 후 건조시 발생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대경판재(30)를 제조한다. 이 때, 대경판재(30)는 이중 접합된 소경각재(10)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폭 230mm, 두께 35mm의 판재형상으로 제조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경판재(30)를 이중 접합된 소경각재(10)의 외측면에 접합시켰을 때 그 내부가 노출되지 않고 인접한 대경판재(30)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대경판재(30)의 상호 접합면은 45도 각도가 되도록 절삭한다.
그 다음, 도3에서와 같이 대경판재(30)가 접합된 소경각재(10)의 각 외측면을 덮도록 각각의 대경판재(30)를 접합된 소경각재(10)의 각 외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고, 대경판재(30)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여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대경판재(30)가 소경각재(10)의 접합면을 덮도록 접합됨으로써 접착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방습, 방충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와, 간벌재인 소경목 접합 기둥부재의 압축시험을 수행하였고, 압축시험 결과가 표1에 나타나 있다.

주수종
보강 기호 단면치수
(mmxmm)
길이
(m)
비례한도 응력
(MPa)
탄성계수
(GPa)
압축강도
(MPa)
유무 수종

낙엽송
X - 80D2 160x160 2.6 14.3 9.4 25.4
O 낙엽송 80D2-1L 160x160 15.6 10.0 25.1
O 미송 80D2-1DF 160x160 15.3 10.7 26.2
O 낙엽송 80D2-2L 160x160 15.8 10.5 27.7
O 미송 80D2-2DF 160x160 16.6 13.3 31.3
O 낙엽송 80D2-CL 230x230 19.3 13.4 35.4
O 미송 80D2-CDF 230x230 23.6 16.5 35.7
X - 80T3E 240x240 16.0 7.8 26.8
O 낙엽송 80T3E-2L 240x240 18.1 13.5 29.4
O 미송 80T3E-2DF 240x240 21.6 13.2 32.5
O 낙엽송 80T3E-4L 240x240 19.2 12.8 30.2
O 미송 80T3E-4DF 240x240 23.8 13.0 34.4
각각의 시험편을 나타내는 기호에서 가장 앞의 80은 단면치수 80mm의 정각재가 사용되었음을 의미하고 그 다음의 D 또는 T는 가로 방향 적층수로서 double(2중) 또는 triple(3중)을 나타내며 그 다음의 숫자 2 또는 3은 세로 방향 적층수를 나타내며 그 다음에 나오는 기호 E는 가운데가 빈 부재를 의미하고 E가 없는 것은 가운데가 비지 않은 부재임을 나타낸다. 대시(-) 이후에 나오는 문자 C는 덮개(cover)를 의미하고 숫자 1, 2 또는 4는 대경재 정각재의 숫자이며 마지막에 나오는 문자는 대경재의 수종으로서 L은 낙엽송 그리고 DF는 미송을 나타낸다.
따라서, 80D2-1L(DF)는 도2a에 대응되고, 80D2-2L(DF)는 도2b에, 80T3E-2L(DF)는 도2c에, 80T3E-4L(DF)는 도2d에 각각 대응되며, 80D2-CL(DF)는 도3에 대응된다.
표1에서 단면치수가 160mmx160mm인 5종류의 다중접합 기둥부재에 대한 압축탄성계수와 최대압축강도를 비교한 도표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하지 않은 다중접합 기둥부재(80D2)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기둥부재들의 압축탄성계수 및 압축강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압축탄성계수의 증가는 동일한 하중에 대해 변형이 적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시험에서는 압축탄성계수의 증가와 함께 최대압축강도가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5는 단면치수가 240mmx240mm인 5종류의 다중접합 기둥부재에 대한 압축탄성계수와 최대압축강도를 비교한 도표이다. 도5에서도 마찬가지로 보강하지 않은 다중접합 기둥부재(80T3E)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기둥부재들의 압축탄성계수 및 압축강도가 모두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기둥부재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단면치수가 230mmx230mm 이상인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압축탄성계수와 최대압축강도를 비교한 도표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에서 보면 제2실시예로서 다중접합부재 표면을 대경재 제재목으로 덮어서 보강한 기둥부재들은 단면치수가 240mm보다 10mm 작기는 하지만 압축강도는 단면치수가 240mmx240mm인 부재들보다 오히려 우수하였다. 이는 비교대상인 80T3E에서 중공으로 인한 단면감소의 영향 때문으로 사료되나, 단면감소를 고려하더라도 본 방법으로 제조된 80D2-CL 또는 80D2-CDF 기둥부재는 단면치수가 240mm보다 10mm 작음에도 각각 32% 및 33%의 압축강도 증가를 나타내어 압축강도의 증가가 더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압축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대경판재가 소경각재의 접합면을 덮도록 접합됨으로써 접착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방습, 방충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간벌재인 소경목을 활용하고 압축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목조건축물의 골조로 활용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소경각재 20: 대경각재
30 : 대경판재

Claims (7)

  1. 지름 18cm이하의 간벌재인 소경목을 준비하고, 수심을 중심으로 양면을 제재한 후 90도 회전시켜 나머지 양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정사각형인 소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지름 30cm이상의 대경목을 준비하고, 대경목의 4면을 제재하여 일정 단면치수를 가지도록 한 다음 소정의 함수율까지 건조하고,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을 제거하기 위해 대패 마감하여 단면이 상기 소경각재와 일치되는 대경각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다수의 소경각재와 하나 이상의 대경각재를 포함하여 단면상에서 가로, 세로 각각 2중 이상으로 접합하되, 각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 단계 후 4개의 외측면을 샌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각재의 건조단계는 96℃에서 12시간 동안 증습처리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120℃ 및 습구온도 90℃에서 36시간 동안 고온건조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100℃ 및 습구온도 70℃에서 24시간 동안 중온건조하는 단계와, 건구온도 80℃ 및 습구온도 60℃에서 24시간 동안 저온건조하는 단계와, 상온에서 3일 동안 양생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2개의 대경각재를 대각선 모서리에 배치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다수의 소경각재와 4개의 대경각재를 포함하여 가로, 세로 3중 접합하고, 4개의 대경각재를 4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42480A 2014-04-09 2014-04-09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KR10152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80A KR101523225B1 (ko) 2014-04-09 2014-04-09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80A KR101523225B1 (ko) 2014-04-09 2014-04-09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225B1 true KR101523225B1 (ko) 2015-05-28

Family

ID=5339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80A KR101523225B1 (ko) 2014-04-09 2014-04-09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948A (ko) 2018-07-23 2020-01-31 신효선 목재를 활용한 대구경 목조기둥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13U (ja) * 1992-01-28 1993-08-13 田島産業株式会社 木製積層角材
JPH06257946A (ja) * 1993-03-01 1994-09-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木材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H0860800A (ja) * 1994-08-25 1996-03-05 Tetsuya Hashiguchi 複合木材柱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3612B1 (ko) * 2010-01-25 2010-09-24 경민산업주식회사 다중접착집성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어진 다중접착집성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13U (ja) * 1992-01-28 1993-08-13 田島産業株式会社 木製積層角材
JPH06257946A (ja) * 1993-03-01 1994-09-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木材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H0860800A (ja) * 1994-08-25 1996-03-05 Tetsuya Hashiguchi 複合木材柱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3612B1 (ko) * 2010-01-25 2010-09-24 경민산업주식회사 다중접착집성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어진 다중접착집성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948A (ko) 2018-07-23 2020-01-31 신효선 목재를 활용한 대구경 목조기둥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2175B2 (ja) ハイブリッド木質コア集成材の製造方法
KR101523225B1 (ko) 압축강도가 향상된 다중접합 보강기둥부재의 제조방법
CN113478592A (zh) 一种六边形实木拼接结构及其加工方法
CN111037674B (zh) 一种大幅面高强耐候竹木复合材及其制造方法
CN105666597A (zh) 一种装饰板结构及制造方法
Byeon et al. Static bending performances of cross-laminated wood panels made with tropical and temperate woods
JP5099845B2 (ja) 平角材の製造方法
KR200334715Y1 (ko) 겹층 집성판재
KR102072913B1 (ko) 수직격막부재용 다중접합 구조용 집성판,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집성판의 접합방법
WO2009020379A1 (en) Short grain ply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545364B1 (ko) 원목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목판넬
CN103481339A (zh) 一种香杉细木工板的生产方法
KR102221539B1 (ko) 고단열 내화구조 하이브리드 목질코어 집성재 및 그 제조방법
JP6530865B2 (ja) 集成材の製造方法
KR102133086B1 (ko) 수직격막 및 바닥부재용 다중접합 구조용 집성판 및 그 제조방법
CN202544342U (zh) 实木贴面强化复合集成角材
KR102073481B1 (ko) 수직격막부재용 다중접합 구조용 집성판 및 그 제조방법
JP3341836B2 (ja) 柱又は土台用の角材の製造方法
AU2013100502A4 (en) Composite Floorboard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AU2011200418B2 (en) Timber Laminat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2043589B1 (ko) 향상된 휨강도를 가지는 바닥구조용 복합 집성판 및 그 제조방법
CN114311181A (zh) 一种以斜磨搭接木材中板制作胶合板的方法
AU2011200418B8 (en) Timber Laminat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0785328B1 (ko) 무늬목합판제조방법
Pröller et al. Green-gluing of Eucalyptus grandis for laminated w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