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692B1 - 바닥 평탄화 차량 - Google Patents

바닥 평탄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692B1
KR101519692B1 KR1020107018175A KR20107018175A KR101519692B1 KR 101519692 B1 KR101519692 B1 KR 101519692B1 KR 1020107018175 A KR1020107018175 A KR 1020107018175A KR 20107018175 A KR20107018175 A KR 20107018175A KR 101519692 B1 KR101519692 B1 KR 10151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loor
displacement member
planarization
grind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717A (ko
Inventor
한스 부트
Original Assignee
알파플랜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플랜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알파플랜 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10010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24B7/18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with disc-type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본체와, 이 차량 본체를 이동시키는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울퉁불퉁한 바닥면을 평탄화시키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 평탄화 차량은, 바닥으로부터 소정 양의 재료를 제거하도록 마련되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와, 평탄화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후방측 변위 부재 뒤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마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 평탄화 차량{FLOOR LEVELLING VEHICLE}
본 발명은, 울퉁불퉁한 바닥면(floor surface)을 평탄화(leveling)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으로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전방부, 후방부, 제1 장변측 측부 및 제2 장변측 측부을 갖는 차량 본체;
차량 본체의 전방부에 장착된 전방측 변위 수단 및 차량 본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후방측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수단;
변위 수단들의 운동을 구동하는 차량 구동 장치; 및
차량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grinding tool)
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는 연마 장치(polishing device)를 포함하며, 이 연마 장치는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편, 평탄화될 필요가 있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를 달성하기 위한 양의 재료를 바닥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마련되며, 이 연마 장치의 운동이 제2 구동 장치에 구동되는 그러한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차량은 울퉁불퉁한 바닥면으로부터 요철(undulation)을 제거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을 개시하고 있는 EP-A-154946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바닥 평탄화 차량은 바닥 위에서 소정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잔류 요철의 발생을 허용하는 식으로 그 바닥을 평탄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해, 그 바닥 위에서 이동할 차량들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긴 파장을 갖는 요철이 잔류할 수 있다. 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 본체의 중간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스케이트 형태를 하고 있다. 후방측 변위 수단도 슬라이딩 스케이트 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하고 있는 한편, 차량의 횡방향으로 서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떨어진 채로 차량의 양쪽 장변측 측부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평행한 원형 소잉 헤드(sawing head)를 포함하는 벌크부 제거 수단이 차량의 후방부 쪽으로 편이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러한 소잉 헤드는 바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회전하여, 높이 방향으로 요철을 가공하여 그 요철의 대부분을 제거하며, 이에 의해 거칠기가 큰 표면을 남긴다. 벌크부 제거 수단에 의해 가공된 표면 영역을 평활화(smoothen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마 장치가 바닥 평탄화 차량의 후방부 쪽으로 편이되게 마련된다. 이 연마 장치는 바닥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평탄화 작업을 개선시키기 위해, 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이 전진할 때에 벌크부 제거 수단 및 연마 장치에 의해 가공된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EP-A-1549462에 개시된 차량은 1회의 작업 후에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가 통상 얻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벌크부 제거 수단은 다소 두꺼운 층을 한번에 바닥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그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이 외에도, 차량의 횡방향으로 벌크부 제거 수단과 연마 장치 간의 거리를 변경할 수 없다. 그 결과, 연마 장치들 간의 간격을 평탄화될 경로의 폭에 대해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매 작업 전에 차량을 평탄화될 통로의 폭에 대해 완전히 맞춰야 한다. 이는 시간 소모적이며 그 방식이 비용이 많이 들게 한다.
보다 융통성이 있고 다양한 폭의 통로에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바닥 평탄화 차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1. 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장변측 측부에 각각 장착된 장타원형(oblong)의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는다.
2. 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차량 본체의 제1 및 제2 장변측 측부에 각각 장착된 장타원형의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3. 제1 전방측 변위 부재 및 제1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 본체의 제1 강성의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되고, 제2 전방측 변위 부재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 본체의 제2 강성의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된다.
4. 한편에서는 제1 전방측 변위 부재와 제1 후방측 변위 부재가 다른 한편에서는 제2 전방측 변위 부재와 제2 후방측 변위 부재가 동일한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5. 후방측 변위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6. 전방측 및 후방측 부재들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차량 본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바닥 평탄화 차량에 구비된 전방측 변위 수단이 길게 형성되지 않거나, 및/또는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진 않지만, 대신에 예를 들면 보기륜(bogie wheel)을 갖는 경우와 같이 바퀴나 2개 이상의 힌지 장착된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바퀴식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그러한 변위 수단에 의해, 바닥면 상에 존재하는 요철의 적어도 일부의 크기는 평균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그러한 요철이 바퀴 차량의 경우에 그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간의 거리보다 상당히 작거나 상당히 큰 빈도수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요철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바퀴들 사이의 거리에 근사한 간격에 상응하거나, 전방측 또는 후방측 변위 부재에서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힌지 지점들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빈도수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아니며, 이러한 요철은 평균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강조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자는 그러한 요철의 크기 또는 높이가 평탄화 작업에 의해 감소되긴 하지만 차량의 종방향으로 각각의 추가적인 바퀴 쌍 또는 각각의 추가적인 힌지 지점에 의해 새로운 요철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한쌍의 바퀴 또는 하나의 힌지 지점이 존재하게 되면 2배의 빈도수로 요철을 생성할 것이다. 차량의 종방향으로 각각의 추가적인 바퀴 쌍 또는 각각의 힌지 지점 사이의 거리는 흔히 그 바닥면을 이용할 트럭이나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거리에 근사하기 때문에, 새로이 생성된 요철은 그 트럭의 흔들림 및 덜컹거림을 유발할 간격으로 발생한다. 실제로,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서 생성되는 요철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그 요철의 크기는 평탄화된 바닥 위에서 트럭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남게 된다.
기존의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였을 때에, 본 발명자에게는 바닥의 충분한 평탄화를 달성하기 위한 해법이, 발생하는 요철의 크기를 보다 양호한 정도로 평균화하고 그 요철의 빈도수를 최고로 달성할 수 있는 최소값으로 감소시키려는 시도로서 힌지 지점 또는 바퀴의 개수를 증가시킬 때에는 찾아지지 않는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대신에, 그러한 해법은, 서로 짧은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개개의 요철, 즉 그 바닥 위에서 이동하게 될 차량들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거리에 근사한 간격으로 발생한 요철이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는 변위 부재를 갖는 바닥 평탄화 차량을 제공할 때에 찾을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모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강성을 갖는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그 변위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개개의 요철은 변위 부재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것이다. 그 대신에, 길게 형성된 강성의 변위 부재의 저부의 바닥 접촉면과 바닥면 간의 접촉면 영역에서의 전체적인 바닥 프로파일과 변위 부재에 걸친 중량 분포의 조합에 의해 변위 부재의 위치를 결정할 것이다. 다시 말해, 평탄화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강성을 갖는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가 존재함으로써 바닥 위에서의 그 차량의 변위가 바닥에 존재하는 개개의 요철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차량이 위에서 이동할 바닥의 큰 규모의 프로파일에 의해 결정되게 한다. 그 결과, 변위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파장으로 발생하는 요철에 의해 야기되는 차량 본체의 상하 운동의 빈도수는 감소되며, 그리고 높이 방향으로 그라인딩 공구의 운동은 훨씬더 서서히 진행되는 한편, 길게 형성된 강성의 변위 부재의 저부의 바닥 접촉면과 바닥면 간의 접촉면 영역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에서, 전방측 변위 수단은 아직 가공되지 않은 표면이나 트랙 위에서, 또는 후방측 변위 수단이 위에서 이동할 표면에 비해서는 덜 한 정도로 가공된 표면 또는 트랙 상에서 이동할 것이다. 후방측 변위 수단은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된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그 후방측 변위 수단의 상하 운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른 이점은, 차량 및 그라인딩 공구의 전체적 상하 운동이 또한 감소하여, 평탄화 차량의 전방측 변위 부재와 후방측 변위 부재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발생하는 요철의 개선된 평탄화가 얻어진다는 점이다.
바닥 프로파일의 즉각적이고 만족스런 평탄화가 사전에 원래의 바닥 프로파일을 측정할 필요 없이 한번에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원래의 바닥 프로파일 및 그 바닥에서 제거될 층 두께에 따라, 첫 번째 평탄화 작업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프로파일이 저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평탄화 작업을 수회에 걸쳐 단순히 반복하고, 이에 따라 바닥 평탄화 차량을 바닥면 위에서 수회 이동시킴으로써 평탄화의 정도가 매 반복시마다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복되는 가공에 관계없이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가 사전에 원래의 바닥 프로파일을 측정할 필요 없이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평탄화의 개선은 평탄화 작업을 반복할 경우에 전방측 변위 부재가 매번 이미 평탄화된 트랙 위에서 이동하고 후방측 변위 부재는 한번 더 평탄화된 트랙 위에서 이동한다는 점에 기인하다. 그 결과, 후방측 변위 부재의 상하 운동 크기는 전방측 변위 부재에 비해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식으로, 평탄화 작업의 원활함이 더욱 개선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들이 차량 본체에 장착되거나 그 일부를 형성하는 강성의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된다는 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은, 전방측 변위 부재와 후방측 변위 부재 사이의 거리 또는 그들의 틸팅 지점의 거리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발생하는 큰 규모의 요철을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보다 적은 정도로 제거하지만, 매번 지나갈 때마다 적은 재료를 제거하기 때문에 평탄화 작업이 보다 고속으로 진행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바닥 위에서 이동하게 될 바퀴 차량에서의 앞바퀴와 뒷바퀴 간의 거리에 근사한 간격으로 발생하여 그 바퀴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게 될 요철이 제거되도록 변위 부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길게 형성된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의 강성은 변위 부재가 바닥 상의 요철의 특히 높이 방향으로의 치수와 관계없이 그 요철의 정상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항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그 결과로 바닥면의 보다 매끈한 평탄화가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를 바닥 평탄화 차량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하면, 연마 작업 중에 요철의 경사면과 접촉할 때에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을 감소시킨다는 점과, 최소의 재료 제거시에 돌출 에지와 링의 형성에 대한 우려를 최고의 정도로 최소화하도록 바닥면과의 최적의 접촉 면적을 보장한다는 점 간에 최적의 절충이 달성되도록 그라인딩 공구를 위치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틸팅 장착의 결과, 바닥 평탄화 차량의 변위는 보다 원활하게 진행된다.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제거되는 층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제거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라인딩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소정 경사진 자세로 고정되는 데, 특히 연마면이 다가오는 요철을 향하도록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다. 그라인딩 공구와 바닥면 간의 각도는 통상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바닥에 링형 프로파일의 형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행해진다. 당업자라면 평탄화될 바닥의 성질에 대해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구동 장치 및 그라인딩 공구의 구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평탄화 차량과는 별도로 이루어져 바닥 평탄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어 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바닥의 평탄화는 평탄화 작업이 종료된 후에 그 바닥이 완전하게 수평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평탄화는 오히려, 바닥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부뿐만 아니라 오목한 구멍일 수 있는 요철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차량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파장으로 요철이 발생할 정도로 그 크기를 감소시키게 그 요철을 제거하도록 바닥을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평탄화를 가져오는 것이지 수평 상태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실제로, 수 미터 또는 수십 미터의 긴 파장을 갖는 요철은 남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그 바닥 위에서 이동할 차량들의 종방향으로 그 차량들의 바퀴들 사이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큰 파장을 갖는 요철은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크다라는 표현은 바퀴들 간의 거리의 적어도 2배를 의미한다. 수 ㎝의 매우 짧은 파장을 갖는 요철은 통상 바닥에 대한 첫 번째 작업 중에 제거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을 평탄화가 필요한 통로의 바닥 위에서 이동시키되, 그 통로의 양쪽 측부 상의 제1 및 제2 트랙을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각각 평탄화시키고, 이어서 이들 제1 및 제2 트랙 위로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를 이동시며, 이러한 평탄화 작업을, 제1 및 제2 변위 부재를 제1 및 제2 트랙 위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제1 및 제2 트랙을 다시 가공함으로써 반복하는, 울퉁불퉁한 바닥을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공된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 위치한 제3 트랙을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 가능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하며, 이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들에 의해 이동된다. 이에,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이동될 수 있거나,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를 갖는 임의의 기타 차량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 또는 제1 트랙과 제2 트랙 너머에 위치한 제4 및 제5 트랙을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 가능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 특히 제2 및 제3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하며, 이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들에 의해 이동된다. 이에,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본 발명의 전술한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이동될 수 있거나,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를 갖는 임의의 기타 차량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융통성이 있고 다양한 폭의 통로에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바닥 평탄화 차량 및 바닥 평탄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 및 이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바닥 상에 발생하는 요철 위에서의 변위 부재의 변위를 도시하는 것으로, 특히 X축 상의 평탄화될 경로의 길이(m 단위)에 따른 바닥 상에 발생하는 요철의 절대 높이(㎜ 단위)를 Y축 상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회의 평탄화 작업을 거친 후에 바닥면에 대한 좌우측 그라인딩 공구에 의한 평탄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원래의 바닥의 평탄 수준과 1회 및 2회의 평탄화 작업 후에 평탄 수준을 나타내며, 도 4b는 원래의 바닥의 평탄 수준과 3회의 평탄화 작업 후에 평탄 수준을 나타내고, 도 4c는 원래의 바닥의 평탄 수준과 4회 및 5회의 평탄화 작업 후에 평탄 수준을 나타내며, 도 4d는 원래의 바닥의 평탄 수준과 6회 및 7회의 평탄화 작업 후에 평탄 수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Y축은 X축에 표시된 평탄화될 경로의 길이(m 단위)에 따른 바닥 상에 발생하는 요철의 절대 높이(㎜ 단위)를 나타낸다.
도 5는 평탄화 전에, 1회의 평탄화 작업 후에, 및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 바닥에 요철이 발생하는 빈도수의 분석을 나타낸다. 여기서, Y축은 요철의 크기를 나타내고(㎜ 단위), X축은 요철이 발생하는 빈도수(1/m 단위)를 나타낸다.
실제로, 새로이 건설된 바닥이나 얼마간 사용된 바닥은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있어 그 차량의 흔들림 및 덜컹거림을 유발한다. 이는 특히 짐이 심하게 적재되어 무게 중심이 높아진 아일 트럭(aisle truck)이 그 바닥을 이용하게 되는 창고의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높아진 무게 중심은 바닥에서의 돌출부의 존재와 조합되어, 그 트럭의 덜컹거림이나 전복의 위험성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울퉁불퉁한 바닥을 평탄화하는 바닥 평탄화 차량 및 바닥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차량 본체(15)를 포함한다. 이에, 차량 본체(15)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강성 축(1, 2)을 포함하지만,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차량 본체(15)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기술적 구성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축(1, 2)은 차량 본체(15)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차량 본체(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축(1, 2)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게 연장하지만, 그 축들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도 연장할 수 있다. 축(1, 2)은 통상의 축의 형상을 하거나, 예를 들면 강성 플레이트와 같이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축(1, 2)들은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부품들로서 이루어지지만,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차량 본체(15)는 차량 본체(15)의 횡방향으로 그 전방부(7)의 양쪽에 장착된 전방측 변위 수단(10, 11) 및 차량 본체(15)의 횡방향으로 그 후방부(17)의 양쪽에 장착된 후방측 변위 수단(20, 21)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측 변위 수단은 제1 종방향 축(1)의 전방부(27)에 장착된 제1 전방측 변위 부재(10), 및 제2 종방향 축(2)의 전방부(28)에 장착된 제2 전방측 변위 부재(11)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측 변위 수단(20, 21)은 제1 종방향 축(1)의 후방부(37)에 장착된 제1 후방측 변위 부재(20) 및 제2 종방향 축(2)의 후방부(38)에 장착된 제2 후방측 변위 부재(21)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 변위 부재들은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차량 본체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들은 길게 된 형상을 가져, 장타원형(oblong) 형상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차량 본체(15)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변위 부재(20, 21)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본체(15)의 종방향으로 길게 된 형상을 가져 장타원형 형상을 하며 그 종방향으로 강성을 갖는다.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10, 11, 20, 21)들은 각각 강성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변위 부재의 종방향으로 강성의 단일체를 형성한다. 이들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의 강성은 특히 중요하며, 예를 들면 보기륜을 갖는 경우와 같이 변위 부재에 복수의 하위 부재가 힌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이유는 힌지 장착된 하위 부재를 갖는 후자 경우에, 차량의 높이 방향 변위가 파형을 이룰 때에 그 크기는 힌지 연결부의 개수 분의 1에 상응하는 비로 감소하지만, 그 차량이 취하는 파형의 진동수는 힌지 연결부의 개수만큼 배가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평탄화 차량이 취하는 파형 운동이 배가됨으로써 바닥에 추가적인 요철을 유발하고, 결국에는 트랙의 종방향으로 짧은 간격 또는 빈도수로 요철을 갖는 바닥을 생성할 것이다. 그 결과, 평탄화된 트랙 위에서 이동하는 차량에 공진을 유발하며, 이는 진동 운동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강성의 변위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변위 부재는 예를 들면 슬라이딩 스케이트 형상, 2개의 이상의 바퀴에 둘러진 캐터필라 형상,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타 강성 부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스케이트 형태가 이용되는 경우, 그 스케이트는 예를 들면 원활한 이동 작업을 제공하도록 스케이트의 저면의 일련의 개구를 관통하는 복수의 바퀴나, 스케이트의 저면에 부착된 슬라이딩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10, 11, 20, 21)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 그 바닥을 이용하게 될 차량의 앞차축과 뒤차축 간의 거리로 맞춰진 길이를 가져, 나중에 그 바닥을 이용할 차량에 맞추어진 평탄화가 달성되게 한다. 이러한 식으로, 변위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돌출부든지 오목부든지에 관계없이 그러한 요철이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변위 부재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된 평탄화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변위 부재는 요철의 개개의 돌출부 및 오목부를 감지하는 일 없이 요철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프로파일 위에서 이동할 것이다. 이에 의해, 변위 부재는 요철과 변위 부재들의 서로에 대한 치수에 따라 요철의 정상부 위에서뿐만 아니라 경사면 위에서도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변위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모든 요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화 작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것이다. 변위 부재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그러한 필터링이 보다 양호해진다. 나중에 그 바닥을 이용해야하는 차량의 치수, 특히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거리를 고려할 때에, 바닥 평탄화 차량의 변위 부재(10, 11, 20, 21)의 길이는 충분히 길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75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m여야 한다. 그러나, 변위 부재(10, 11, 20, 21)의 길이는 평탄화를 필요로 하는 공간 내에서 평탄화 차량이 여전히 기동성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너무 길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라면 충분한 기동성과 충분한 길이 간에 최적의 절충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는 후방측 변위 부재(20, 2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는 후방측 변위 부재(20, 21)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차량 본체, 나아가서는 그라인딩 공구(11, 12)의 상하향 운동을 감소시켜 달성될 수 있는 평탄화를 개선시키는 한편, 전방측 변위 부재가 트랙의 가공된 부분보다 격렬한 요철을 갖고 있는 아직 가공되지 않았거나 덜 가공된 트랙 위에서 통상 이동된다는 점에서 보다 양호한 필터링이 얻어진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는 후방측 변위 부재(20, 21)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 차량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할 경우에 방향을 돌릴 필요가 없는 전후진 이동 차량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대칭형 차량이 제공된다. 다시 말해, 언제든지 전방측 변위 수단이 전방측 변위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거나 후방측 변위 수단이 전방측 변위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10, 11, 20, 21)의 저부의 지면 접촉면과 평탄화될 바닥 간의 지속적인 접촉을 보장하는 한편, 제공되는 평탄화를 개선시키고 평탄화가 수행될 수 있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10, 11, 20, 21)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 각각에 틸팅 가능하게 또는 힌지 장착된다.
변위 부재(10, 11, 20, 21)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축(1, 2)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차량 본체 또는 종방향 축(1, 2)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위 부재들의 자세를 소정 자세로부터 변경하여, 평탄화 차량을 그 종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변위 부재들을 종방향 축(1, 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시키거나, 임의의 고려 방향으로 평탄화 차량의 이동을 조향할 수 있도록 변위 부재들을 소정 각도로 연장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는 각각 제1 및 제2 전방 단부(30, 31)와 제1 및 제2 후방 단부(32, 3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방 단부(30, 31)들은 제1 전방 강성 부재(9)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후방 단부(32, 33)들은 제1 후방 강성 부재(1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20, 21)는 각각 제1 및 제2 전방 단부(40, 41)와 제1 및 제2 후방 단부(42, 4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방 단부(40, 41)들은 제2 전방 강성 부재(29)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후방 단부(42, 43)들은 제2 후방 강성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바닥면의 프로파일에 관계없이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들이 평행한 자세로 유지되고 후방측 변위 부재(20, 21)들이 평행한 자세로 유지되는 한편, 후방측 변위 부재들이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 상에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평탄화 작업의 결과를 상당히 개선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또한 그러한 연결이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변위 부재들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한편, 그 차량이 위에서 이동할 바닥의 프로파일에 관계없이 임의의 고려 방향으로의 평탄화 차량의 조향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차량 본체의 제1 및 제2 장변측 측부, 다시 말해 차량 본체의 좌우측 측부가 상이한 프로파일을 갖는 바닥면 부분 위에서 이동하여, 제1 측부가 제2 측부와는 다른 높이로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와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바닥 프로파일에 관계없이 바닥면의 개선된 평탄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의 전방부(27, 28)들이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연결 부재(1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의 후방부(37, 38)들도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연결 부재(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식으로, 차량 본체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닥 평탄화 작업의 전체적인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13, 23)에 비틀림 힘이 가해지게 하는 차량 본체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발생하는 높이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각 연결 부재(13, 23)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하거나 종방향 축(1, 2)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에서 연결 부재(13, 23)의 회전 또는 이동을 허용하는 피벗 조인트에 의해 종방향 축에 연결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연결 부재의 양단부 모두가 피벗 조인트에 의해 종방향 축에 연결된다. 이러한 식으로, 차량 본체의 하나의 장변측 측부가 다른 장변측 측부에 대해 차량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 차량 본체의 좌측과 우측 간에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높이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피벗 조인트 대신에,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하거나 종방향 축(1, 2)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에서 연결 부재(13, 23)의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기타 연결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종방향 축(1)과 제2 종방향 축(2) 사이의 간격은 평탄화 차량이 지나갈 통로의 폭 또는 평탄화될 경로의 폭에 맞추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들은 차량 본체(15)의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종방향 축(1, 2)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닥 평탄화 차량의 양방향 이동성(reversibility)에 관해 이점이 덜한 것으로 간주되더라도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연결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횡방향 축(5)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길이 가변성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서로 동축으로, 텔레스코프식으로, 또는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축부(6, 16)를 포함하는 횡방향 축(5)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축부(6, 16)의 길이는 그 축부들의 벽이 그들의 제2 단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소 겹쳐지는 한편, 그들의 길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평탄화될 경로 폭을 감당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제1 축부(6)는 예를 들면 차량 본체(15)의 제1 종방향 축(1)에 일단부가 연결된 튜브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 축부(16)는 예를 들면 제1 튜브(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튜브 또는 로드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 축부(16)는 차량 본체(15)의 제2 종방향 축(2)에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동축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축부(6, 16)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축(5)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그 차량이 위에서 이동할 바닥면 상에서 발생하는 높이차를 차량 본체(15) 내에서 수용 및 보상할 수 있게 한다.
횡방향 축(5)은 그 기능을 고려할 때에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임의의 형상을 할 수 있다. 횡방향 축(5)은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제1 및 제2 축부(6, 16)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축부는 또한 타워형 단면을 갖거나 로드 형상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축부(6, 16)는 횡방향 축(5)의 종방향으로의 최적의 변위성 및 회전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제1 종방향 축(1)과 제2 종방향 축(2) 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10, 11, 20, 21)의 전방부 및 후방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강성 부재(9, 19, 29)의 길이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방향 축(1, 2)의 전방부 및 후방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3, 23)의 길이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은 또한 차량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3, 12)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개의 그라인딩 공구가 차량 본체(15)의 양쪽 장변측 측부에 하나씩 마련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가 바닥 평탄화 차량의 횡방향으로 추가되어, 한번에 2이상의 평행한 경로를 평탄화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또한 바닥 평탄화 차량의 종방향으로 전방측 변위 수단과 후방측 변위 수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추가되어 평탄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3, 12)는 바닥 평탄화 차량의 종방향으로 전방측 변위 수단과 후방측 변위 수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는 요철을 보다 많이 제거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전방측 변위 부재(10, 11)쪽으로 편이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는 보다 많은 재료의 제거를 보장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는 차량 본체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되어, 차량을 돌릴 필요 없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칭형 차량을 제공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딩 공구(3, 12) 및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는 평탄화 작업에서 제거되는 재료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바닥 평탄화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그라인딩 공구는 그 바닥 접촉면이 변위 부재의 높이보다 다소 아래에서 연장하여 후방측 변위 수단과 바닥면 간의 접촉면보다 다소 아래의 높이까지 요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가 후방측 변위 부재(20, 21) 뒤쪽의 소정 위치에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차량 본체(15)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차량에 장착된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추가적인 차량은 제1 그라인딩 공구(3)와 제2 그라인딩 공구(12) 사이의 트랙을 평탄화하는 위치에 장착된 하나의 단일 그라인딩 공구를 포함한다. 이는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트랙을 평탄화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평탄화 차량은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를 달성하는 데에 필요한 횟수만큼 바닥 위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식으로 통로의 양쪽에 있는 제1 및 제2 트랙이 평탄화된다. 이러한 작업 중에,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통상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양쪽의 제1 및 제2 트랙이 평탄화된 후에,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는 더 이상 바닥과 접촉하지 않도록 들어올려지고,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가 하강하여,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서 연장하는 추가적인 트랙을 평탄화한다. 이는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의 배치 상태에 따라 한번에 또는 2회 이상의 평탄화 작업으로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추가적인 트랙을 평탄화할 때에 바닥 평탄화 차량에 장착될 수 있지만, 변위 부재가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평탄화된 제1 및 제2 트랙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한은 바닥 평탄화 차량이나 임의의 기타 적절한 차량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차량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은 바람직하게는 바닥 평탄화 차량의 횡방향으로 양측에 장착된 2개의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바닥 평탄화 차량에 장착되거나, 이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차량 본체에서 그 횡방향으로 그라인딩 공구(3, 1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바닥 평탄화 차량에 의해 각각의 요철을 두 번씩 가공할 수 있어, 한번에 개선된 평탄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그라인딩 공구(3, 12)로부터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딩 공구(3)에 의해 연마된 경로와 해당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에 의해 연마되는 경로가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쳐져,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경로의 평탄화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딩 공구(12)에 의해 연마된 경로와 해당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18)에 의해 연마되는 경로도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이러한 식으로,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평탄화된 제1의 경로와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제2의 경로가 평탄화되어, 중간의 종방향 림 또는 요철의 발생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한 림 또는 요철은 연마 표면들이 서로 바로 연장하거나 작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연장하도록 위치 설정된 후속 연마 공구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물론, 제2의 경로를 평탄화할 때에, 그라인딩 공구(3, 12)는 바닥과 접촉하지 않도록 들어올려질 수 있다. 평탄화를 최적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차량은 통상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가공된 경로 위에서 이동하도록 위치 설정된 변위 부재를 포함할 것이다. 통상,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에 의한 평탄화는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한 평탄화가 허용 가능한 정도로 완료된 후에나 수행될 것이다.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임의의 그라인딩 공구일 수 있으며, 그라인딩 공구(3, 12)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3, 12)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평탄화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마 디스크를 포함한다. 통상, 연마 디스크는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연마 장치는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를 달성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양의 재료를 제거하도록 평탄화를 필요로 하는 바닥면과 접촉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해, 연마 디스크의 연마면은 요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거나, 소정 각도로 연장하거나, 이들 두 상황 모두가 발생할 수도 있다. 연마 장치의 회전 운동이 차량의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거나, 각각의 연마 장치가 그 자신의 구동 장치(4, 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실무적인 이유로, 연마 장치의 구동 장치는 차량의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된다.
그라인딩 공구(3, 12, 8, 18)와 바닥 간의 최적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그라인딩 공구는 차량 본체에 힌지 장착되며, 그라인딩 공구를 특정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힌지 연결은 모든 방향으로, 즉 360°에 걸쳐 연장한다. 이는 예를 들면 피벗 조인트를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요철의 경사면 위에서 이동하는 경우, 연마 장치의 연마면(5)은 자동적으로 그 경사면의 표면을 따라 그 표면 위에서 이동하여, 그 경사면의 표면을 따라 재료를 제거할 것이다. 연마 장치가 힌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연마 디스크의 가장자리가 요철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그 요철 내로 파고들게 되고, 그 결과 바닥 평탄화 차량이 움직이지 않게 될 것이다.
그라인딩 공구 또는 연마 장치로는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임의의 장치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라인딩 공구(3, 12)의 위치는 통상 연마면(5)이 변위 부재(10, 11, 20, 21)들의 접촉면보다 다소 아래의 높이에서 연장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식으로, 후방측 변위 수단과 바닥면 간의 접촉면보다 다소 아래의 높이까지 요철을 제거하여 개선된 평탄화가 달성된다. 제1 그라인딩 공구(3)는 제1 전방측 변위 부재(10)와 제1 후방측 변위 부재(20)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차량 본체, 바람직하게는 제1 종방향 축(1)에 장착된다. 제2 그라인딩 공구(12)는 제2 전방측 변위 부재(11)와 제2 후방측 변위 부재(21)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제2 종방향 축(2)에 장착된다. 그라인딩 공구(3, 12)와 변위 부재(10, 11, 20, 21)는 공통의 축, 예를 들면 종방향 축(1, 2)에 장착되어, 이들 종방향 축 간의 간격의 변화에 의해 그라인딩 공구들 간의 간격의 상응하는 변화를 제공하도록 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예를 들면 그라인딩 공구(3, 12)들 간의 간격을 차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부재(10, 11, 20, 21)들 간의 간격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그라인딩 공구(3, 12)를 지지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횡방향으로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들 간의 간격을 후방측 변위 부재(20, 21)들 간의 간격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키고, 후방측 변위 부재들 간의 간격도 역시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차량에 변위 부재를 장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후방측 변위 부재가 해당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된 트랙 위에서 항시 이동하도록 그라인딩 공구와 후방측 변위 부재를 주의하여 위치 설정하여야 한다. 이는 달성될 수 있는 평탄화의 원활성을 개선시킨다.
횡방향 축(5)은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차량 본체(15) 또는 종방향 축(1, 2)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된다. 그라인딩 공구(3, 12)는 제1 및 제2 종방향 축(1, 2)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차량 본체(15) 또는 종방향 축(1, 2)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간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전방측 변위 부재(10, 11)들은 종방향 축(1, 2) 또는 차량 본체(15)의 중간으로부터 후방측 변위 부재(20, 21)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식으로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평탄화 차량이 얻어진다. 그 결과,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이 차량을 돌릴 필요 없이 반대로 될 수 있더라도, 그 평탄화 작업의 특성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이는 차량을 돌리기에는 여유가 거의 없는 공간 내의 바닥을 평탄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10, 11)와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20, 21)의 이동은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과는 별도로 외부에 장착되지만 그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된 차량 구동 장치(24)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치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이 훨씬 기동성을 갖고 용이하게 수송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은 1 내지 2 미터의 다소 좁은 폭에서부터 수 미터에 이르는 폭넓게 다양한 치수를 갖는 통로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구동 장치와 차량 간의 연결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다소 고정된 위치에 배치한 상태로 차량을 평탄화할 필요가 있는 바닥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바닥 평탄화 차량을 위한 구동 장치(24)로서는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임의의 구동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구동 장치는 예를 들면 가공될 필요가 있는 바닥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기타 적절한 구동 장치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차량을 돌릴 필요 없이 동일한 구동 장치에 의해 차량 본체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가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바닥 평탄화 장치는 창고 내의 통로를 평탄화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에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도 3a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측 변위 부재(10)는 이 변위 부재의 저부 지면 접촉면과 2개의 연속하는 요철의 정상부 간에 접촉 면적이 분배되어 있는 한편, 후방측 변위 부재(20)는 트랙의 시작 지점의 급한 경사를 갖는 하나의 요철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의 바닥의 형상은 A로 표시되어 있다. 전방측 변위 부재와 후방측 변위 부재 사이의 강성의 축에 위치하는 그라인딩 공구는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3b는 전방측 변위 부재의 길이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큰 파장을 갖는 요철 위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측 변위 부재(10)는 그 요철의 정상부 위에서 이동하고 있는 한편, 후방측 변위 부재(20)는 그 요철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로 도시되어 있다. 그라인딩 공구는 도 3b에서 라인 B로 나타낸 위치에 상응하는 양의 재료를 제거할 것이다. 전방측 변위 부재는 그 요철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후방측 변위 부재(20)는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연마된 트랙 위에서 이동함에 따라, 바닥은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화된다. 전방측 변위 부재가 도 3c에 도시한 바로 다음의 요철 위로 더 전진한 경우, 후방측 변위 부재는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C로 나타낸 트랙 위에서 전진한다. 도 3c에서는 바닥에서 전방측 변위 부재(10)의 길이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골이 전방측 변위 부재(10)에 의해 검출되지 않아 전방측 변위 부재가 연속하는 정상부들 위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 변위 부재가 골의 높이를 따라가게 된다면,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가 낮아져 더 많은 재료를 제거하게 되며, 이는 평탄화 속도에 손실을 가져온다. 이 경우, 그 요철의 크기는 감소하겠지만, 새로운 요철이 전방측 변위 수단과 후방측 변위 수단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파장으로 생성될 것이다. 도 3d에서는 바닥면이 전방측 변위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파장의 구멍을 갖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후방측 변위 부재(20)는 전방측 변위 부재(10) 보다 위의 높이에 있다. 이들 둘을 연결하는 축의 위치는 그라인딩 공구(3)가 바닥과 접촉하지 않아 어떠한 재료도 제거하지 않도록 된다. 바닥 평탄화 차량이 더 전진할 때(도 3e 참조), 그라인딩 공구가 구멍 위에서 전진하여 어떠한 재료도 제거되지 않는다. 후방측 변위 부재가 상기한 골 위에서 이동하고 전방측 변위 부재가 후속한 요철의 경사면 위에서 이동하였을 때에, 강성 축 및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는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프로파일 F가 얻어질 때까지 재료가 제거된다.
이러한 평탄화 작업에 의해 평탄화된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친 전체적인 평탄화 작업 결과가 좌측 그라인딩 공구(3)에 의해 연마된 통로의 좌측 트랙에 대해서는 도 4a(1) 내지 도 4d(1)에, 우측 그라인딩 공구(12)에 의해 연마된 통로의 우측 트랙에 대해서는 도4a(2) 내지 도 4d(2)에 도시되어 있다. 라인 Ⅰ은 1회의 단일 평탄화 작업 후에 얻어진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라인 Ⅱ 및 Ⅲ은 바닥면을 1회 및 2회 다시 가공한 후에 얻어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라인 Ⅳ 내지 Ⅸ는 각각 바닥면을 3회, 4회, 5회, 6회, 7회 및 8회 다시 가공한 후에 얻어진 바닥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전방측 변위 부재는 각각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1회 및 2회 가공된 트랙 위에서 전진하는 한편, 후방측 변위 부재는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2회 및 3회 가공된 트랙 위에서 전진한다.
도 5a(1) 및 도 5a(2)에서는 바닥의 좌우측 트랙들이 각각 첫 번째 평탄화 작업을 거친 후에 요철이 바닥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A는 원래의 바닥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B는 1회 평탄화 작업 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게다가, 그 바닥 위를 주행할 차량들에 대해 허용할 수 없는 빈도수로 존재하는 새로운 요철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평탄화 작업을 충분한 횟수로 반복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빈도수로 발생하는 요철은 좌측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에 대해서는 도 5b(1)의 프로파일 C로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우측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에 대해서는 도 5b(2)의 프로파일 C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거된다.
원하는 경우, 평탄화 작업은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고, 이 때에 제1 그라인딩 공구(3)와 제2 그라인딩 공구(12) 사이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제1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가 장착된 별도의 차량을 이용하는 데, 이 별도의 차량의 변위 수단들은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연마된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닥 평탄화 차량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는 바닥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도록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식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가 원하는 횟수로 평탄화 작업된 평행한 제1 및 제2 경로 위에서 각각 이동하면서, 제1 경로와 제2 경로 사이의 제3 경로가 평탄화된다. 이에 의해, 제3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되는 경로는 제1 및 제2 경로와 부분적으로 겹쳐지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중간 경로의 평탄화는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를 필요한 양의 재료를 제거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한번에 달성할 수 있거나, 2회 이상의 작업으로 달성할 수도 있다.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평탄화 작업이 제2 및 제3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를 이용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2 및 제3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바닥 평탄화 차량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각각 연마된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서 연장하거나,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제1 트랙과 제2 트랙 너머에서 연장하는 제4 및 제5 트랙을 연마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제2 및 제3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는 별도의 차량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마는 제2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에 의해 연마되는 경로가 제1 그라인딩 공구(3)에 의해 연마된 경로와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통상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18)에 의해 연마되는 경로와 제2 그라인딩 공구(12)에 의해 연마된 경로가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이러한 식으로, 그라인딩 공구(3, 12) 및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에 의해 연마되는 경로들 사이에 홈 또는 림이 형성될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큰 폭의 경로를 연마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8, 18)에 의한 연마는 또한 그들의 트랙이 그라인딩 공구(3, 12)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과 겹치지 않도록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는 의도한 용례에 좌우된다.

Claims (18)

  1. 울퉁불퉁한 바닥면(floor surface)을 평탄화(leveling)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으로서,
    전방부, 후방부, 제1 장변측 측부 및 제2 장변측 측부을 갖는 차량 본체;
    상기 차량 본체의 전방부에 장착된 전방측 변위 수단 및 상기 차량 본체의 후방부에 장착된 후방측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수단;
    상기 변위 수단들의 운동을 구동하는 제1 차량 구동 장치; 및
    상기 차량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는 평탄화될 필요가 있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원하는 정도의 평탄화를 달성하기 위한 양의 재료를 바닥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그라인딩 공구의 운동은 제2 구동 장치에 구동되는 것인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장변측 측부에 각각 장착된 장타원형(oblong)의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종방향으로 강성을 가지며,
    상기 후방측 변위 수단은 차량 본체의 횡방향으로 차량 본체의 제1 및 제2 장변측 측부에 각각 장착된 장타원형의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전방측 변위 부재 및 제1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 본체의 제1 강성의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전방측 변위 부재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차량 본체의 제2 강성의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되며,
    한편에서는 상기 제1 전방측 변위 부재와 상기 제1 후방측 변위 부재가 다른 한편에서는 상기 제2 전방측 변위 부재와 상기 제2 후방측 변위 부재가 동일한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후방측 변위 부재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평탄화된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부재들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상기 차량 본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평탄화 차량은 제1 그라인딩 공구와 제2 그라인딩 공구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측 변위 부재, 제1 그라인딩 공구, 및 제1 후방측 변위 부재는 제1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전방측 변위 부재, 제2 그라인딩 공구,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제2 종방향 연장 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종방향 연장 축과 제2 종방향 연장 축 간의 간격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변화 수단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축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파이프는 이들 파이프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한 한편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이프는 차량 본체의 제1 종방향 연장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차량 본체의 제2 종방향 연장 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는 연마 장치를 포함하며, 이 연마 장치는 바닥 평탄화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마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마 장치는 차량 본체의 종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연마 장치를 경사진 자세로 고정시키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변위 수단은 슬라이딩 스케이트, 바퀴식 스케이트, 및 2개의 이상의 바퀴에 둘러진 캐터필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변위 수단은 슬라이딩 스케이트, 바퀴식 스케이트, 및 2개의 이상의 바퀴에 둘러진 캐터필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측 변위 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단부는 전방 강성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단부는 후방 강성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방향 축은 제1 및 제2 전방 축부와 제1 및 제2 후방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축부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방 연결 부재의 양쪽 단부는 제1 및 제2 전방 피벗 조인트에 의해 제1 및 제2 종방향 연장 축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며, 후방 연결 부재의 양쪽 단부는 제1 및 제2 후방 피벗 조인트에 의해 제1 및 제2 종방향 연장 축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의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의 위치는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변위 부재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는 전방측 변위 부재와 후방측 변위 수단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평탄화 차량은 바닥 평탄화 차량의 차량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차량을 포함하며, 이 추가적인 차량은,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표면 영역을 가공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평탄화 차량은 바닥 평탄화 차량의 차량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차량을 포함하며, 이 추가적인 차량은, 변화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제1 및 제2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동 장치와 상기 그라인딩 공구의 구동 장치는 바닥 평탄화 차량과는 별도로 외부적으로 장착되어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
  16. 울퉁불퉁한 바닥을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에 따른 이동형 바닥 평탄화 차량을 평탄화가 필요한 통로의 바닥 위에서 이동시키되, 그 통로의 양쪽 측부 상의 제1 및 제2 트랙을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각각 평탄화시키고, 이어서 이들 제1 및 제2 트랙 위로 제1 및 제2 후방측 변위 부재를 이동시며, 이러한 평탄화 작업을, 제1 및 제2 변위 부재를 제1 및 제2 트랙 위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제1 및 제2 트랙을 다시 가공함으로써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연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 위치한 제3 트랙을 상기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 가능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하되, 이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연마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과 제2 트랙 사이에 또는 상기 제1 트랙과 제2 트랙 너머에 위치한 제4 및 제5 트랙을 상기 바닥 평탄화 차량에 연결 가능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에 의해 가공하되, 이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구는 가공된 제1 및 제2 트랙 위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 변위 부재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연마 방법.
KR1020107018175A 2008-01-17 2009-01-19 바닥 평탄화 차량 KR101519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0380.7 2008-01-17
EP08150380A EP2080586A1 (en) 2008-01-17 2008-01-17 Floor levelling vehicle
PCT/EP2009/050569 WO2009090266A1 (en) 2008-01-17 2009-01-19 Floor levelling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17A KR20100102717A (ko) 2010-09-24
KR101519692B1 true KR101519692B1 (ko) 2015-05-12

Family

ID=3930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75A KR101519692B1 (ko) 2008-01-17 2009-01-19 바닥 평탄화 차량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65343B2 (ko)
EP (2) EP2080586A1 (ko)
KR (1) KR101519692B1 (ko)
CN (1) CN101959645B (ko)
AT (1) ATE552070T1 (ko)
AU (1) AU2009204774B2 (ko)
ES (1) ES2385808T3 (ko)
HK (1) HK1149916A1 (ko)
PL (1) PL2242611T3 (ko)
WO (1) WO2009090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0060B2 (en) 2012-01-17 2016-12-27 Avigilon Fortres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utomation using video content analysis with depth sensing
CN104942668A (zh) * 2015-05-25 2015-09-30 江苏科瑞欣机械有限公司 地面激光研磨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99A (en) * 1901-05-13 1901-09-17 John H Shipway Grinding and polishing machine.
US3129539A (en) * 1962-12-26 1964-04-21 Nicholas L Tempero Surface sander having automatic leveling properties
US3496681A (en) * 1965-11-16 1970-02-24 Fred A Oswald Floor grinding machine
CH548488A (fr) * 1972-06-08 1974-04-30 Speno International Procede de rectification en voie d'une file de rails par meulage de sa surface de roulement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3903658A (en) * 1974-11-21 1975-09-09 Lukens Steel Co Mobile oscillating spot grinder with pressure control means to produce a feathering effect
CH581232A5 (ko) * 1975-01-13 1976-10-29 Speno International
JPS6094264A (ja) * 1983-10-27 1985-05-27 Hitachi Zosen Corp 研掃装置
CN86207710U (zh) * 1986-09-29 1987-06-03 湖南省冷水江市建筑电动工具厂 齿轮式行星磨盘水磨石机
US4891858A (en) * 1987-03-23 1990-01-09 Famag Fahrzeug- Und Maschinenhandelsgesellschaft M.B.H. Nfg.Kg. Roadworking apparatus
US5643047A (en) * 1990-08-01 1997-07-01 Concrete Grinding Ltd. Mobile floor grinding vehicle
GB9315447D0 (en) * 1993-07-26 1993-09-08 Unilever Plc Floor cleaning and polishing equipment
DE4408749A1 (de) * 1994-03-15 1995-09-21 Hefter Maschinenbau Bodenreinigungsmaschine
US5605493A (en) * 1994-04-19 1997-02-25 Clarke Industries, Inc. Stone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6053660A (en) * 1997-01-15 2000-04-25 Allen Engineering Corporation Hydraulically controlled twin rotor riding trowel
US7261623B1 (en) * 2001-07-23 2007-08-28 Onfloor Technologies, L.L.C. Wood floor sanding machine
US6786556B2 (en) * 2002-01-07 2004-09-07 Joseph E. Due Concrete grinder apparatus
ATE448906T1 (de) 2002-10-04 2009-12-15 Alphaplan Internat Verfahrbare bodenschleifmaschine
US6921304B2 (en) * 2003-06-18 2005-07-26 Stanley C. Hewitt Amphibious vehicle
AU2005212142B2 (en) * 2004-02-13 2009-01-22 Htc Sweden Ab Floor processing machine
US20060025059A1 (en) * 2004-07-28 2006-02-02 Gueorguiev Gueorgui D Concrete polish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2070T1 (de) 2012-04-15
EP2080586A1 (en) 2009-07-22
WO2009090266A1 (en) 2009-07-23
US20110034109A1 (en) 2011-02-10
CN101959645A (zh) 2011-01-26
AU2009204774B2 (en) 2014-09-18
AU2009204774A1 (en) 2009-07-23
PL2242611T3 (pl) 2012-10-31
US8465343B2 (en) 2013-06-18
CN101959645B (zh) 2013-07-17
EP2242611B1 (en) 2012-04-04
EP2242611A1 (en) 2010-10-27
ES2385808T3 (es) 2012-08-01
KR20100102717A (ko) 2010-09-24
HK1149916A1 (en)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2142B2 (en) Floor processing machine
CA2558134C (en) Motor grader with adjustable front wheel structure
JPS624482B2 (ko)
JP3916564B2 (ja) レールを切削修復するための移動装置
KR101519692B1 (ko) 바닥 평탄화 차량
JP2004299664A (ja) 履帯リンク研摩装置および履帯走行装置
FR2615216A1 (fr) Appareil de meulage a ruban pour une machine a meuler les rails pour le meulage d'irregularites a la surface du champignon de rail d'un ou des deux rails d'une voie ferree posee
US20140227949A1 (en) Floor grinding/polishing machine with gimbal-mounted grinding/polishing head
US8573885B2 (en) Road surface planar
JP2890036B2 (ja) 4クローラ型車両の姿勢制御機構
JP4669499B2 (ja) ブレード制御装置
US7793376B2 (en) Truck mounted rotating broom system
JPS60174396A (ja) 航空機用洗浄装置
JP2020059446A (ja) 移動体
EP1549462B1 (en) Device for levelling floors
JP7053586B2 (ja) レール頭部表面における凹凸を取り除くための軌道走行可能な機械
US20230117834A1 (en) Grinding machine adaptable to ground contours
JP2024022718A (ja) 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JPS60185677A (ja) 自走式作業車
JPS60105756A (ja) コンクリ−ト床仕上作業車
PL240129B1 (pl) Jednoosiowe urządzenie dla mocowania osprzętu do kształtowania terenu
JPS5871069A (ja) 自走研掃方法とその装置
JPS60105757A (ja) コンクリ−ト床仕上機
JPH10195813A (ja) 表面切削機
JPH042176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