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90B1 -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90B1
KR101519090B1 KR1020140154229A KR20140154229A KR101519090B1 KR 101519090 B1 KR101519090 B1 KR 101519090B1 KR 1020140154229 A KR1020140154229 A KR 1020140154229A KR 20140154229 A KR20140154229 A KR 20140154229A KR 101519090 B1 KR101519090 B1 KR 10151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leeve
suction
suction hole
suc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봉
Original Assignee
정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봉 filed Critical 정규봉
Priority to KR102014015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90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95 priority patent/WO20160727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석션 공간부(12)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관통된 코어 석션홀(14)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된 샤프트(18)가 구비된 코어 슬리브(10)와; 상기 코어 슬리브(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10)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연통된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 시트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상기 코어 석션홀(14)과 상기 석션 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하는 아웃터 슬리브(20);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를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테이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어 슬리브(10)는 상기 시트(2)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를 지나가는 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상기 코어 석션홀(14)이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24)과 연통되는 코어 석션홀 영역(14HA)과, 상기 코어 석션홀(14)이 생략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24)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쉴드 영역(14S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Pipe bender with improved angle gauge}
본 발명은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원단과 같은 시트를 이용하여 포장지를 제조할 때에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석션 구조를 기존에 비하여 보다 간소화된 새로운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이나 현미와 같은 곡물이나 기타 식품류는 포장지에 담겨서 유통되고 있다. 포장지로는 전체를 비닐 재질로 하여 표면에 인쇄한 비닐 포장지나 종이에 인쇄된 얇은 비닐시트를 합지한 형태의 포장지 등이 있다.
비닐 포장지의 경우에는 두루마리 형태로 보빈에 감겨 있는 비닐 원단을 포장지 제작 장치를 이용하여 풀어서 공급하면서 비닐 원단의 둘레부를 슬릿팅하고, 슬릿팅된 비닐 원단을 접어준 다음 접힌 부분을 열간 실링하는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봉투 형태의 비닐 포장지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즉, 봉투 형태의 비닐 포장지를 만들기 위해 비닐 원단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주는 라미네이팅 장치, 라이네이팅 장치에서 비닐 원단을 풀어서 공급하는 장치, 비닐 원단의 둘레부를 다듬는 슬릿팅 장치 등이 이용된다.
이때, 두루마리 형태의 비닐 원단을 풀어주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하여 대기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비닐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고, 비닐 원단의 슬릿팅 과정에서 생기는 파티클 등의 이물질도 비닐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는 일이 많아서 이러한 비닐 원단을 이용하여 봉투 형태의 포장지를 만들 때에는 비닐 원단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음식물을 담는 포장지에서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면 안되는데, 롤형태로 감겨 있는 비닐 원단이 풀어져 공급되면서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비닐 자체의 마찰력에 의해서 먼지나 파티클 등이 이물질이 비닐 표면에 달라붙게 되며, 비닐의 둘레부를 슬릿팅할 때에 생기는 비닐 파티클 등의 이물질도 비닐 표면에 달라붙게 되어, 특히 음식물을 담는 포장지에서 이물질이 함께 들어가게 되므로, 비닐 포장지 제조 과정에서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반드시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1327395호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327395호는 아웃터 슬리브가 내부의 코어 슬리브에 대해 회전하면서 각각의 슬릿 형태의 아웃터 석션홀을 통해 시트 표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코어 슬리브의 코어 석션홀을 통해 이물질이 코어 슬리브 내부의 석션 공간부로 들어왔다가 외부의 진공 장치 등으로 배출되므로, 비닐 포장지 등의 제조 과정에서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효과가 있고, 이물질이 제거되기 위한 시트의 너비가 달라지더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10-1327395호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 시트에서 이물질을 흡입(석션)하기 위하여 아웃터 슬리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션 조인트 등의 비교적 복잡한 부품이 필요한 것과 같이 구조가 조금 복잡하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39493호(2014.09.02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1997-0036425호(1997.07.22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046608호(2011.06.29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327395호(2013.11.0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비닐 원단과 같은 시트를 이용하여 포장지를 제조할 때에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석션 구조를 기존에 비하여 보다 간소화시켜서 제조시의 공정과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한 새로운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석션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관통된 코어 석션홀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석션 공간부와 연통된 샤프트가 구비된 코어 슬리브; 상기 코어 슬리브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연통된 아웃터 석션홀이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을 통해 시트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코어 슬리브의 상기 코어 석션홀과 상기 석션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아웃터 슬리브; 상기 아웃터 슬리브를 상기 코어 슬리브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테이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어 슬리브는 상기 시트가 상기 아웃터 슬리브를 지나가는 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상기 코어 석션홀이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과 연통되는 코어 석션홀 영역과, 상기 코어 석션홀이 생략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쉴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은 상기 코어 슬리브의 전체 원주면 중에서 일부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아웃터 석션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쉴드 영역은 막혀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아웃터 석션홀 중에서 상기 코어 석션홀과 연통되지 않는 나머지 아웃터 석션홀은 상기 쉴드 영역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 그룹의 각각의 코어 석션홀은 상기 코어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 영역의 각 열의 코어 석션홀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 그룹의 상기 각각의 아웃터 석션홀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 그룹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 석션홀 그룹의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코어 석션홀의 폭은 상기 아웃터 석션홀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는 양단부에 하나씩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지지체는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의 상기 샤프트들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아웃터 슬리브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와 상기 아웃터 슬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 슬리브가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코어 슬리브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는 내부가 상기 코어 슬리브의 석션 공간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석션 장치(진공 흡입장치)에 연결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의 일부를 막아주는 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의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 그룹 중에 최외곽 양쪽의 코어 석션홀 그룹 외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어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 스트랩이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차단 스트랩에 의해 상기 코어 슬리브와 상기 아웃터 슬리브 사이에 이물질 석션 차단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랩홈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랩홈에 상기 차단 스트랩이 끼워져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슬리브의 양단부에 구비된 샤프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 슬리브 내부의 석션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의 연통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어 슬리브의 상기 샤프트에는 플렉시블 관체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또는 플렉시블 관체에 상기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코어 슬리브의 내부에는 이온발생 와이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웃터 슬리브가 회전하면서 시트(비닐 봉투를 만들기 위한 비닐 시트 등)의 표면에 있는 먼지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코어 슬리브에 베어링을 통해 아웃터 슬리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코어 슬리브의 일단부측 관형상의 샤프트에는 별도의 로테이션 조인트가 결합될 필요가 없이 코어 슬리브 양단부측의 샤프트가 브라켓 등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기존에 비하여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가 기존보다 간소화되는 만큼 제조시의 제조시의 공정과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어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들로 이루어진 코어 석션홀 그룹이 코어 슬리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아웃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들로 이루어진 아웃터 석션홀 그룹 역시 아웃터 슬리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는데, 상기 각 열의 코어 석션홀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은 이웃한 열의 코어 석션홀 그룹의 코어 석션홀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은 이웃한 열의 아웃터 석션홀 그룹의 아웃터 석션홀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최대한 많이 흡입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코어 슬리브에 구비된 코어 석션홀과 아웃터 슬리브에 구비된 아웃터 석션홀들을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가공함으로써 석션 효율은 높이면서도 구멍 가공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코어 슬리브의 코어 석션홀의 단면적(양쪽 측단부 사이의 폭)이 아웃터 슬리브의 아웃터 석션홀의 단면적(양쪽 측단부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이루어지므로, 아웃터 슬리브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사이즈의 아웃터 석션홀을 통해서는 불필요한 입자 크기(너무 큰 입자 사이즈) 외부 이물질의 석션(흡입)은 제한하고, 아웃터 슬리브의 아웃터 석션홀을 시트의 표면에서 흡입되어 들어온 이물질은 코어 슬리브의 상대적으로 더 큰 사이즈의 코어 석션홀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흡입(석션)이 이루어지므로 이물질 석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보다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코어 슬리브의 쉴드 섹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에 의해 시트 표면의 이물질을 석션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에 석션 공간부(12)를 구비한 코어 슬리브(10)의 외주면에 아웃터 석션홀(24)을 구비한 아웃터 슬리브(20)가 구비되며, 아웃터 슬리브(20)는 코어 슬리브(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코어 슬리브(10)에는 로테이션 지지체에 의해 아웃터 슬리브(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웃터 슬리브(20)에 의해 코어 슬리브(10)가 씌워지게 된다.
상기 코어 슬리브(10)는 단면 원형관 형태로서, 이러한 코어 슬리브(10)의 전체 외주면은 이물질을 흡입(석션)하는 대상인 시트(2)가 아웃터 슬리브(20)를 지나가는 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코어 석션홀(14)이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 코어 석션홀 영역(14HA)과, 이러한 코어 석션홀(14)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는 쉴드 영역(14SA)으로 구성된다. 즉, 코어 슬리브(10)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상인 시트(2)가 후술하는 아웃터 슬리브(20)를 지나가는 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코어 석션홀(14)이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과 연통되는 코어 석션홀 영역(14HA)과, 이러한 코어 석션홀(14)이 생략되어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쉴드 영역(14SA)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양단부에는 샤프트가 구비된다. 두 개의 샤프트 중에서 하나는 파이프 구조라서 코어 슬리브(10)의 내부 석션 공간부(12)와 샤프트의 내부가 연통된다. 코어 슬리브(10)의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되는 샤프트는 석션장치(진공 흡입장치)와도 연통된다. 한편, 다른 샤프트는 막혀 있는 바아 구조이다. 코어 슬리브(10) 양단부의 샤프트는 미도시된 브라켓에 결합되고, 브라켓은 시트 트리밍 장치와 같이 시트(2)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장치 등의 시트(2)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코어 슬리브(10)가 시트(2)(드라이 시트)의 이송 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14H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각의 코어 석션홀(14)은 코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 영역의 각 열의 코어 석션홀(14)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어 슬리브(10)는 1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에 일자형 슬롯 형태의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이 구비되고, 2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에는 일자형 슬롯 형태의 코어 석션홀(14)이 복수개의 구비되되, 2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은 1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어긋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3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은 2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코어 슬리브(1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진행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1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2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이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2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은 3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즉, 홀수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짝수열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이 코어 슬리브(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열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열의 코어 석션홀(14) 사이의 간격은 대략 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션하는 힘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 각 열의 코어 석션홀(14) 사이의 간격을 대략 5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는 코어 슬리브(10)보다 내경이 더 큰 단면 원형관 구조이다. 아웃터 슬리브(20)에도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각의 아웃터 석션홀(24)은 아웃터 슬리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24)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아웃터 슬리브(20)는 1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에 일자형 슬롯 형태의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되고, 2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에는 일자형 슬롯 형태의 아웃터 석션홀(24)이 복수개의 구비되되, 2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은 1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과 어긋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3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은 2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과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코어 슬리브(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웃터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진행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1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과 2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이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2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은 3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과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즉, 홀수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과 짝수열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이 아웃터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열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24) 사이의 간격도 대략 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터 슬리브(20)로부터 석션하는 힘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24) 사이의 간격을 대략 5mm 정도로 한다.
이때, 상기 코어 슬리브(10)에 형성된 코어 석션홀(14)의 폭(14W)은 아웃터 슬리브(20)에 구비된 아웃터 석션홀(24)의 폭(24W)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코어 석션홀(1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이 5mm 정도라면 아웃터 석션홀(2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대략 2mm 정도가 된다.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는 코어 슬리브(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코어 슬리브(10)에 결합되어, 아웃터 슬리브(20) 내부에 코어 슬리브(10)가 내장된 동심원 형태의 배열 구조가 되는데, 이러한 아웃터 슬리브(20)는 로테이션 지지체에 의해 코어 슬리브(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로테이션 지지체는 베어링(30)이다. 코어 슬리브(10)의 외주면과 아웃터 슬리브(20)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30)이 로테이션 지지체가 된다. 베어링(30)의 내륜부가 코어 슬리브(10)의 양단부측 샤프트(18)에 끼워지고, 샤프트(18)에는 링홈이 구비되어, 상기 링홈에 스냅링(SR)을 결합하면 한 쌍의 샤프트(18)들에 베어링(30)이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스냅링(SR)을 샤프트(18)의 링홈에서 분리하면 베어링(30)을 샤프트(18)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슬리브(10)의 샤프트(18)에 베어링(30)을 조립하기가 수월하다.
상기 베어링(30)을 매개로 코어 슬리브(10)를 감싸도록 아웃터 슬리브(20)를 동축적으로 조립(동심원 배열로 조립)하면, 상기 코어 슬리브(10) 외주면과 아웃터 슬리브(20)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석션 챔버(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웃터 슬리브(20)가 베어링(30)에 의해 코어 슬리브(1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코어 슬리브(10) 양단부의 샤프트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양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코어 슬리브(10) 양단부의 각 샤프트는 브라켓 등의 고정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은 시트 트리밍 장치 등의 시트(2)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코어 슬리브(10)가 내장된 아웃터 슬리브(20)가 시트(2)(드라이 시트)의 이송 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어 슬리브(10)는 고정되어 있고, 아웃터 슬리브(20)는 내부의 코어 슬리브(1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석션 챔버(26)의 전체 영역 중에서 후술하는 차단 스트랩(50)에 의해 석션 챔버(26)의 일부는 석션 차단 챔버(26SC)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 영역(14HA)은 코어 슬리브(10)의 전체 원주면 중에서 일부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쉴드 영역(14SA)은 막혀 있어서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 중에서 코어 석션홀(14)과 연통되지 않는 나머지 아웃터 석션홀(24)은 코어 슬리브(10)의 쉴드 영역(14SA)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쉴드 영역(14SA)과 마주하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들을 통해 진공 흡입력이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석션)하는 경우가 방지된다. 한편,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 영역(14HA)에 구비된 코어 석션홀(14)들과 연통된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들을 통해서는 흡입 압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와서 코어 석션홀 영역(14HA)의 코어 석션홀(14)들을 통해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로 들어갈 것이다.
한편, 상기 코어 석션홀(14)과 아웃터 석션홀(24)은 하나의 열에 하나의 길게 연장된 장홀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 슬리브(10)와 아웃터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는 경로를 열 방향이라 하면, 코어 슬리브(10)와 아웃터 슬리브(20)의 하나의 열마다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과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일자형 코어 석션홀(14)과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코어 석셕홀(14)의 폭이 아웃터 석션홀(24)의 폭보다 더 크다는 구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내부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샤프트는 플렉시블관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석션장치(진공 흡입장치)에 연결된다. 관 구조의 샤프트에 커넥터 등의 연결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수단에는 호스 등을 매개로 진공장치가 연결되어, 진공장치에 의해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에 진공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에 밸브(16)가 구비되거나 플렉시블관에 밸브(16)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16)는 샤프트의 내부의 진공 흡입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어서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와 코어 슬리브(10) 및 아웃터 슬리브(20) 사이의 석션 챔버(26) 내부의 석션 압력(진공 흡입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밸브(16)를 많이 열면 석션 압력이 높아지고 밸브(16)를 적게 열면 석션 압력이 낮아질 것이다. 코어 슬리브(10)의 양단부에 구비된 샤프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의 연통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16)가 더 구비된 것이다. 이때, 코어 슬리브(10)의 양단부에 구비된 두 개의 샤프트 모두가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16)는 두 개의 샤프트에 연통되도록 두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코어 슬리브(10)의 한쪽 샤프트에 연통되도록 밸브(16)가 구비될 수도 있고 코어 슬리브(10)의 양쪽 샤프트에 연통되도록 두 개의 밸브(16)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어 슬리브(10)는 지지체에 고정되어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아웃터 슬리브(20)가 코어 슬리브(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데, 아웃터 슬리브(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태의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아웃터 슬리브(20)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시트(비닐 시트(2) 등)의 표면에서 먼지 또는 시트의 양쪽 둘레부를 슬릿팅할 때에 생기는 파티클 등의 이물질이 아웃터 슬리브(20)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하여 흡입되어 제거된다. 이때, 코어 슬리브(10)에는 일정 위치에 코어 석션홀(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 영역(14HA)에 형성된 코어 석션홀(14)에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이 만나게 되어서 진공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를 통해 흡입되므로, 상기 코어 슬리브(10) 한쪽 단부측의 샤프트(18) 내부를 통과하여 진공 장치 쪽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코어 슬리브(10)에 베어링(30)을 통해 아웃터 슬리브(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코어 슬리브(10)의 일단부측 관형상의 샤프트에는 별도의 로테이션 조인트가 결합될 필요가 없이 코어 슬리브(10) 양단부측의 샤프트가 브라켓 등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기존에 비하여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가 기존보다 간소화되는 만큼 제조시의 공정과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코어 슬리브(10)는 코어 석션홀(14)이 복수개로 구비된 코어 석션홀 영역(14HA)과 코어 석션홀(14)이 구비되지 않고 막혀 있는 쉴드 영역(14SA)으로 구획되고, 코어 석션홀(14)은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에 비하여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어,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서는 이물질 흡입 효율을 더 높여주고 아웃터 슬리브(20) 내부로 들어온 이물질은 아웃터 석션홀(24)보다 더 면적이 넓어진 코어 석션홀(14)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로 흡입되도록 하기 때문에, 석션압 효율은 높이면서도 이물질 흡입량은 보다 높여주는 상승 효과를 얻게 된다.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14)이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므로, 코어 슬리브(10) 내부로 이물질을 그만큼 더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코어 슬리브(10)에서 코어 석션홀(14)이 형성되지 않은 쉴드 영역(14SA)을 구비하여, 아웃터 슬리브(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나가는 시트(2)의 표면이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 영역(14HA)으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에서 코어 슬리브(10)의 쉴드 영역(14SA)과 마주하는 아웃터 석션홀(24)들을 통해서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을 빨아들일 필요가 없는 부분에서는 흡입력 작용을 차단하고 이물질을 빨아들일 필요가 없는 부분으로는 집중적으로 흡입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 흡입 압력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쉴드 영역(14SA)에 의해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시트(2)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만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과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14)을 통해서 흡입하고 다른 외부의 이물질은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 들어오더라도 상기 쉴드 영역(14SA)에 의해 막히게 된다. 시트(2)에 묻은 이물질 이외에 다른 이물질은 흡입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상기 쉴드 영역(14SA)에서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들로 이루어진 코어 석션홀(14) 그룹이 코어 슬리브(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아웃터 슬리브(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24)들로 이루어진 아웃터 석션홀(24) 그룹 역시 아웃터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는데, 상기 각 열의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 코어 석션홀(14)은 이웃한 열의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코어 석션홀(14)과 어긋난 위치(코어 슬리브(10)의 원주 방향 경로를 따라 간다고 가정할 때에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아웃터 석션홀(24)은 이웃한 열의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아웃터 석션홀(24)과 어긋난 위치(아웃터 슬리브(20)의 원주 방향 경로를 따라 간다고 가정할 때에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최대한 많이 흡입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작은 마력(작은 흡입 압력)으로 이물질을 더 많이 흡입(석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어 석션홀(14)과 아웃터 석션홀(24)들을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가공함으로써 석션 효율은 높이면서도 구멍 가공 공수를 줄일 수 있다. 구멍 가공 공수를 줄인다는 것은 작업성을 높이고 생산성에 보다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적어도 일단부측 외주면에 밴드(40)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양단부측 외주면에 한 쌍의 밴드(40)가 결합된다. 밴드(40)는 고무 밴드(40) 튜브 구조와 같이 적절한 탄성이 있는 관형상 부재로서, 아웃터 슬리브(20)의 양단부에 밴드(40)가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아웃터 석션홀(24)의 일부를 막아주게 된다. 물론, 밴드(40)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양단부측 외주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한 쌍의 밴드(4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터 슬리브(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나가는 시트(2)의 폭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석션하는 아웃터 석션홀(24)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시트(2)의 양쪽 폭이 아웃터 슬리브(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아웃터 석션홀(24) 중에서 가장 끝의 아웃터 석션홀(24)의 끝단보다 더 안쪽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한 쌍의 밴드(40) 사이를 좁혀서 밴드(40) 사이의 간격을 시트(2) 양쪽 사이의 폭만큼 맞추어주고 시트(2)의 폭 영역을 벗어난 아웃터 석션홀 영역은 막아준다. 그러면, 시트(2)의 폭만큼만 만나있는 아웃터 석션홀(24)들을 통하여 이물질이 흡입(석션)되므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석션 압력(흡입 압력)이 쓸데없이 많이 작용하여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석션 압력을 작용시키는 진공 흡입장치의 동력인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밴드(40)가 하는 역할이라 하겠다. 즉, 밴드(40)에 의해 시트(2)의 폭에 대응하여 아웃터 슬리브(20)가 외부여 연통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진공 흡입 압력이 다른 곳(즉, 시트(2)의 폭을 벗어난 곳)에 불필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게 된다는 점에서 아웃터 석션홀(24) 개방 폭을 조절하는 밴드(40)가 가지는 의미가 크다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어 슬리브(10)의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 그룹 중에 최외곽 양쪽의 코어 석션홀(14) 그룹 외측의 외주면에는 코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 스트랩(50)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차단 스트랩(50)은 아웃터 슬리브(20)에 접촉은 되어 있지 않지만 0.1mm도 안되게 미세하게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차단 스트랩(50)에 의해 코어 슬리브(10)와 아웃터 슬리브(20) 사이에 이물질 석션 차단 챔버(26S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쉴드 영역(14SA)과 마주하는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서 시트(2)에 묻은 이물질 이외에 다른 외부의 이물질이 석션 차단 챔버(26SC)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이물질이 한 쌍의 차단 스트랩(50)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시트(2) 이외의 이물질이 코어 슬리브(10)의 코어 석션홀(14)로 흡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 슬리브(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랩홈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랩홈에 차단 스트랩(5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어 슬리브(10)의 한쪽 단부에서 차단 스트랩(50)을 밀어넣는 식으로 스트랩홈에 끼울 수 있으므로, 차단 스트랩(50)이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스트랩홈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차단 스트랩(50)의 하단부에 양쪽으로 연장된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차단 스트랩(50)이 코어 슬리브(10)의 스트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홈의 걸림턱에 차단 스트랩(50) 하단부의 걸림편이 걸려짐으로써 차단 스트랩(50)이 코어 슬리브(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어 슬리브(10)의 내부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된 중공관 형태의 샤프트 또는 샤프트에 연결된 플렉시블한 튜브에 밸브(16)가 구비되어 있어서, 밸브(16)의 조작에 의해 진공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시 보다 편리하고 진공 흡입력 조절로 인하여 지나치게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코어 슬리브(10)의 내부에 이온발생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온발생 와이어는 코어 슬리브(10)의 한쪽 중공관 형태의 샤프트를 통해서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흡입 공간부)에 내장되고 동시에 코어 슬리브(10) 바깥의 이온발생기(ionizer)에 연결되어, 이온발생기의 작동에 의해 이온발생 와이어가 코어 슬리브(10) 내부에서 이온(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내부에 구비된 이온발생 와이어가 이온을 발생시켜서 정전기 발생의 요인인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중성화시키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이 방지되며, 정전기의 발생이 방지되면 시트(2)(비닐) 표면에 먼지나 파티클 등이 이물질이 달라붙어서 제대로 흡입(석션)이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정전기의 발생에 의해 이물질이 잘 흡입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다는 것은 음식물 등의 포장지로 사용하는 시트(2)에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등의 포장 내용물이 이물질에 의해 청결이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를 완전히 근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 시트 10. 코어 슬리브
12. 석션 공간부 14. 코어 석션홀
14HA. 코어 석션홀 영역 14SA. 쉴드 영역
17. 밸브 20. 아웃터 슬리브
24. 아웃터 석션홀 26. 석션 챔버
26SC. 석션 차단 챔버 30. 베어링
40. 밴드 50. 차단 스트랩

Claims (10)

  1. 내부에 석션 공간부(12)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관통된 코어 석션홀(14)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된 샤프트(18)가 구비된 코어 슬리브(10)와;
    상기 코어 슬리브(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10)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내주면으로 연통된 아웃터 석션홀(24)이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 시트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상기 코어 석션홀(14)과 상기 석션 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하는 아웃터 슬리브(20);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를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로테이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어 슬리브(10)는 시트(2)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를 지나가는 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상기 코어 석션홀(14)이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24)과 연통되는 코어 석션홀 영역(14HA)과, 상기 코어 석션홀(14)이 생략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상기 아웃터 석션홀(24)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쉴드 영역(14S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14HA)은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전체 원주면 중에서 일부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쉴드 영역(14SA)은 막혀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아웃터 석션홀(24) 중에서 상기 코어 석션홀(14)과 연통되지 않는 나머지 아웃터 석션홀(24)은 상기 쉴드 영역(14SA)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14H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14) 그룹의 각각의 코어 석션홀(14)은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 영역의 각 열의 코어 석션홀(14)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상기 각각의 아웃터 석션홀(24)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 석션홀(24) 그룹의 각 열의 아웃터 석션홀(24)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 석션홀(14)의 폭은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의 폭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코어 석션홀(14)을 통해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슬리브(10)는 양단부에 하나씩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지지체는 베어링(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샤프트들이 상기 베어링(30)에 의해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 슬리브(10)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가 동심원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 슬리브(20)가 상기 베어링(30)에 의해 상기 코어 슬리브(1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는 내부가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됨과 동시에 석션 장치에 연결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슬리브(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24)의 일부를 막아주는 밴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상기 코어 석션홀 영역(14H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코어 석션홀(14)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코어 석션홀(14) 그룹 중에 최외곽 양쪽의 코어 석션홀(14) 그룹 외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 스트랩(50)이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차단 스트랩(50)에 의해 상기 코어 슬리브(10)와 상기 아웃터 슬리브(20) 사이에 이물질 석션 차단 챔버(26S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양단부에 구비된 샤프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 슬리브(10) 내부의 석션 공간부(12)와 연통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의 연통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1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슬리브(10)의 내부에는 이온발생 와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KR1020140154229A 2014-11-07 2014-11-07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KR10151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29A KR101519090B1 (ko) 2014-11-07 2014-11-07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PCT/KR2015/011895 WO2016072786A1 (ko) 2014-11-07 2015-11-06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29A KR101519090B1 (ko) 2014-11-07 2014-11-07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090B1 true KR101519090B1 (ko) 2015-05-11

Family

ID=5339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29A KR101519090B1 (ko) 2014-11-07 2014-11-07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9090B1 (ko)
WO (1) WO20160727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368A (zh) * 2016-05-20 2016-08-31 盐城市成功机械制造有限公司 环保型自动包装机
KR102083400B1 (ko) * 2019-08-26 2020-03-02 김태현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935A (ko) * 1998-10-07 2001-08-22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을 함유하는 밀폐된 패키지를포장재로 된 튜브로부터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패킹 유닛
KR101327395B1 (ko) * 2013-06-04 2013-11-08 정규봉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32B1 (ko) * 1997-06-28 2002-07-03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브러시크리너
US7146678B2 (en) * 2003-06-27 2006-12-12 Philip Morris Usa Inc. Ash and dust removal system
KR101160687B1 (ko) * 2009-09-15 2012-07-03 주식회사 보성산업롤 인쇄기용 용지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935A (ko) * 1998-10-07 2001-08-22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을 함유하는 밀폐된 패키지를포장재로 된 튜브로부터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패킹 유닛
KR101327395B1 (ko) * 2013-06-04 2013-11-08 정규봉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368A (zh) * 2016-05-20 2016-08-31 盐城市成功机械制造有限公司 环保型自动包装机
KR102083400B1 (ko) * 2019-08-26 2020-03-02 김태현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786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973B2 (ja) 吸引装置、シートの搬送方法、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の嵩回復方法
JP4542900B2 (ja) 複数の重ね合わされた繊維層を持つ物品を空気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519090B1 (ko)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CN102665626B (zh) 吸收体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CN104812350B (zh) 用于制造吸收卫生制品的机器
US8691040B2 (en) Absorber forming and transferr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5663227B2 (ja) シートの転写装置
ES2909332T3 (es) Aparatos y procedimientos de conmutación de vacío
JP4642336B2 (ja) 被印刷体枚葉紙を処理する機械の枚葉紙搬送胴
KR101327395B1 (ko)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ES2376577T5 (es) Máquina de interplegado de una banda u hoja de papel con un rodillo de transporte de vacío
WO2019097988A1 (ja)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79098B1 (ko) 웹 반송 장치 및 흡수체 제조 방법
CN104718147B (zh) 用于输运平面物件的抽吸输送装置
JP6965082B2 (ja) 吸収体の製造方法
ITBO20060168A1 (it) Ruota di incarto.
KR101888614B1 (ko) 식품 포장용 필름 이물질 흡입장치
CN109952260B (zh) 真空机头辊
JP5856832B2 (ja) 吸収体の製造装置
JP5748806B2 (ja) 液体適用装置及び液体適用方法
ES2362180T3 (es) Dispositivo de mezclado para un cabezal para papel formado en seco y procedimiento asociado.
KR102615974B1 (ko)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JP2010137386A (ja) 印刷機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方法
ES2756625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y método de producción de artículo ponible desechable utilizando el mismo
TW200900214A (en) Conveying wheel device of slicing machine having slice attraction and peeling apart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